KR101536663B1 -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663B1
KR101536663B1 KR1020140031883A KR20140031883A KR101536663B1 KR 101536663 B1 KR101536663 B1 KR 101536663B1 KR 1020140031883 A KR1020140031883 A KR 1020140031883A KR 20140031883 A KR20140031883 A KR 20140031883A KR 101536663 B1 KR101536663 B1 KR 10153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icker
laminated film
film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세
Original Assignee
비지니스대양전산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지니스대양전산폼(주) filed Critical 비지니스대양전산폼(주)
Priority to KR102014003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5Carrier web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이형지(200)와; 적층막(300) 및;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되고,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제조되어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여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라벨 스티커의 인쇄시 피딩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25 ∼ 30㎛로 두께가 얇은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이 도포되어 인쇄하는 휴대형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 nt)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라벨 스티커의 제조공정 전체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Labe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여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라벨 스티커의 인쇄시 피딩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스티커는 외장품으로서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기능성 때문에 필통, 책 등의 문구류, 상업적인 다양한 광고물에서부터 가정 또는 사무실 등 실내 장식용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티커는 종이, PET, PVC, PP등이 소재로 사용된 기재층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를 붙인 후 실크 또는 옵션 등 다양한 종류의 인쇄를 한 인쇄층을 형성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프레스 작업을 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인쇄층 위에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 등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접착용 스티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착용 스티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접착용 스티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업적인 내용이 담긴 스티커지(1)의 이면에 접착되는 액상 접착 시트(2)는 액상 핫 멜트(liquid hot melt)를 스프레이 도포한 것으로, 상기 핫 멜트는 열가소성 접착제로서 상온에서 고형이며 가열 후에 용융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무용제형 접착제로서 블록, 펠릿(pellet), 필름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지만, 살균 처리 등의 일정한 공정을 거치면서 접착력이 약화되어 유통과정에서 용도목적물에 부착하기 전에 스티커지(1)가 액상 접착 시트(2)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액상 접착시트(2) 아래의 그라신 처리 이형지(3)는 접착제 처리된 표면지가 잘 떨어질 수 있도록 그라싱 처리된 종이로 주로 노란색으로 된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티커는 한쪽 면에만 접착성이 있기에 부착 스티커들이 부착할 수 있는 액세서리 등의 부자재가 접착성을 따로 보유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더욱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로 자유롭게 탈, 부착 가능한 기능들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종래의 "다용도 접착용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에 접착제(Ba, Bb)가 형성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원단(A);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A)의 양면 접착제(Ba, Bb) 중 일측면 접착제(Bb)에 부착된 이형지(C); 상기 양면 중 다른 일측면 접착제상(Ba)에 제 1 열처리에 의해 형성된 폴리아미드 파우더(D; poly-amide powder); 그리고, 상기 폴리아미드 파우더(D)에 제 2 열처리에 의해 고정부착된 부자재(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원단(A)의 양면에 접착제(Ba, Bb)를 도포하는 단계(S1); 상기 양면 중에 일측면 접착제(Bb)에 이형지(C)를 부착하는 단계(S2); 상기 양면 중에 다른 일측면 접착제(Ba)에 폴리아미드 파우더(D)를 도포하는 단계(S3); 상기 도포된 폴리아미드 파우더(D)를 제 1 열처리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파우더(D)를 상기 양면 중에 다른 일측면 접착제(Ba)에 증착시키는 단계(S4); 상기 증착된 폴리아미드 파우더(D) 상에 부자재(E)를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부자재(E)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파우더(D)를 제 2 열처리하여 상기 부자재(E)를 상기 폴리아미드 파우더(D) 상에 고정부착시키는 단계(S5)를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다용도 접착용 스티커"는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형성시킨 부자재(네일아트 부재, 귀금속 부재, 단추 부재 및 이미테이션 부재 등)를 필요로 하는 곳에 스티커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스티커를 인쇄용지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또한, 형광물질을 이용한 라벨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73867호(2011.10.10.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형광체가 인쇄된 위조방지용 홀로그램 라벨』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기재층, 이형층, 홀로그램 수용층 및 투명한 투명증착층을 포함하고, 투명증착층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형광물질이 포함된 형광체 인쇄부를 제1 폭 만큼 노출시키면서 형광체 인쇄부의 일부와 투명증착층을 덮는 패터닝된 금속증착층과 패터닝된 금속증착층에 의해 노출된 형광체 인쇄부와 패터닝된 금속증착층을 덮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라벨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 파장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 특성을 나타내거나 특정 자외선 파장에만 여기되는 형광물질을 부가하여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형광물질을 라벨 스티커에 적용하여 스티커 상부면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인쇄층을 스티커 상부면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 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이 특허공개 제2013-0137833호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13-0137833호의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시트(10); 및 상면에 인쇄층(21)과 하면에 점착층(22)을 갖고, 상기 이형시트(10) 상부에 배치되는 스티커필름(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형시트(10)와 상기 스티커필름(20)은 투명 재질이고, 상기 점착층(22)은 레이저광 조사 시 레이저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형광을 얻기 위한 형광제를 포함하고 있는 R구성으로서, 각각 투명 재질인 이형시트(10) 및 필름시트(20A) 공급단계; 상기 이형시트(10)와 필름시트(20A) 사이에 점착층(22)을 형성하여 상호 부착한 시트체(S) 제작단계; 상기 필름시트(20A)를 스티커필름(20) 형상 및 배치에 맞게 절단하는 커팅단계; 상기 시트체(S)의 이형시트(10)에서 상기 스티커필름(20) 주변의 잉여필름(30)을 분리하는 제거단계; 이송되는 상기 시트체(S)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이에 상기 스티커필름(20) 형광제의 형광을 레이저센서(1)로 감지하는 스티커필름 위치 감지단계; 및 위치 감지된 상기 스티커필름(20) 상부에 인쇄층(21) 형성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 제2013-0137833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는 스티커필름(20)의 표면이 어떠한 가공 없이 이면이 점착층(22)을 통해 이형시트(1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어서 잘 절단되거나 잘 찢어지는 등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고,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고자 스티커필름(20)의 두께를 50㎛ 이상이 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스티커필름(2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는 미미하고, 특히 습기에 노출되면, 습기가 스티커필름(20)에 침투하여 스티커필름(20)의 두께에 변형이 일어나 휴대형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인쇄시에 스티커필름(20)을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피딩(feedin g) 할 때 스티커필름(20)이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서 나오지 않거나 나오는 도중에 걸려 파손되는 피딩(feeding)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쇄층(21)이 형성된 스티커필름(20)의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많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인쇄된 문자를 알아볼 수 없는 경우도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의 종류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여 호환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여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라벨 스티커의 인쇄시 피딩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5 ∼ 30㎛로 두께가 얇은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는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인쇄하는 휴대형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높은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는 표면처리를 하여도 라벨 스티커의 제조공정 전체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한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는 프라이머(prim er)로 표면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의 이면(裏面)에 접착제(101)가 도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적층막(300) 및; 상기 적층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는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의 이면(裏面)에 접착제(101)가 도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감열 적층막(300')과; 상기 감열 적층막(300')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보호막(300") 및; 상기 보호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감열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적층막(300) 상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보호막(300")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감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간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감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을 도포하여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라벨 스티커의 인쇄시 피딩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25 ∼ 30㎛로 두께가 얇은 스티커용 원단에 특수한 조성의 적층막이 도포되어 인쇄하는 휴대형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라벨 스티커의 제조공정 전체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접착용 스티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접착용 스티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접착용 스티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종래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에서 공급단계와 시트체 제작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공정도,
도 5는 종래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에서 커팅단계를 거친 시트체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6은 종래 센서 감지형 투명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에서 스티커필름 위치 감지 및 인쇄층 형성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공정도,
도 7a는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7b는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라벨 스티커와 이형지의 형성 및 이형지에 라벨 스티커가 접착되는 공정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라벨 스티커와 이형지의 형성 및 이형지에 라벨 스티커가 접착되는 공정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라벨 스티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7b는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라벨 스티커와 이형지의 형성 및 이형지에 라벨 스티커가 접착되는 공정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라벨 스티커와 이형지의 형성 및 이형지에 라벨 스티커가 접착되는 공정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라벨 스티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는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적층막(300) 및; 상기 적층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형지(200)로는 접착제(101)에 접착되는 그라싱지(201)의 표면에 실리콘(201)이 도포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적층막(300)으로는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18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25 ∼ 30 중량%, 물 8 ∼ 10 중량%, 경질탄산칼슘(무기안료) 22 ∼ 24 중량%, 스테아르산 아연 30% 분산액 7 ∼ 8 중량%, 왁스 7 ∼ 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1% 수용액 2 ∼ 3 중량%, 가교제 2 ∼ 3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는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감열 적층막(300')과; 상기 감열 적층막(300')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보호막(300") 및; 상기 보호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형지(200)로는 접착제(101)에 접착되는 그라싱지(201)의 표면에 실리콘(202)이 도포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감열 적층막(300')으로는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와; 전자수용성 화합물인 4-히드록시벤젠술폰아닐리드 15 ∼ 17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3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감열 적층막(300')의 조성물은 점도가 190mPaㆍs 이며, 표면장력은 37mN/m 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 상에 자동도포기로 도포되어 형성된 감열 적층막(300')의 두께는 3 ∼ 4 ㎛ 이다.
상기 보호막(300")으로는 탄산나트륨 39 ∼ 40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8 ∼ 1.0 중량%, 물 58 ∼ 60 중량%의 혼합물을 나노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 직경 0.9㎛ 인 분산액 6 ∼ 8 중량%; 전분 15% 수용액 32 ∼ 34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15% 용액 32 ∼ 34 중량%; 물 8 ∼ 10 중량%; 스테아르산아연 유화 분산물 3 ∼ 5 중량%; 술포숙신산-메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 2% 수용액 1 ∼ 2 중량%; 자외선 차단제 2 ∼ 3 중량%; 경화제 7 ∼ 9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보호막(300")의 조성물은 점도가 250mPaㆍs 이며, 표면장력은 38mN/m 이고, 상기 감열 적층막(300') 상에 자동도포기로 65℃ 이하에서 도포되어 형성된 보호막(300")의 두께는 2 ∼ 3 ㎛ 이다.
한편, 본 발명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적층막( 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적층막(300) 상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보호막(300")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실내용 라벨 스티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라벨 스티커를 실내용과 실외용으로 구분한 것은 실외용인 경우 라벨 스티커에 인쇄된 문자가 태양 빛에 의해 사라지는 탈색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은 갖는 라벨 스티커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원단준비단계(S10단계)에서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P)을 원단 공급롤(a)에 권취된 상태로 준비하고,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에서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P')를 그라싱지 공급롤( a')에 권취된 상태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에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원단(P)을 롤(b ∼e)을 통과시킨 후 프레스롤(f)과 도포롤(g)을 통해 적층액 탱크(301) 내의 적층액을 3 ∼ 4㎛ 두께로 도포하여 적층막(300)을 형성하고,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에서 그라싱지(201)를 롤(b' ∼e')을 통과시킨 후 프레스롤(f')과 도포롤(g')을 통해 실리콘 탱크(203) 내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건조롤(h ∼ k)를 통과시켜 적층된 도포액을 건조하고 건조롤(h', i')을 통과시켜 도포된 실리콘을 건조하였다.
이어서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프레스롤(l)과 도포롤(m)을 통과시켜 접착제 탱크(102) 내의 접착제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도포하고,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에서 두 프레스롤(n, o)을 통해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상기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를 거쳐 제조된 스티커용지를 마크형성단계(S16단계)에서 인쇄기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인쇄하고,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기로 5.6㎝ 폭으로 절단한 후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스티커용지 권취롤(W)에 권취하고 도 9a,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티커용지 제조를 완료하였다.
여기서 도 9b에 도시한 스티커용지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에서 펀칭으로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모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액의 조성은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18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25 ∼ 30 중량%, 물 8 ∼ 10 중량%, 경질탄산칼슘(무기안료) 22 ∼ 24 중량%, 스테아르산 아연 30% 분산액 7 ∼ 8 중량%, 왁스 7 ∼ 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1% 수용액 2 ∼ 3 중량%, 가교제 2 ∼ 3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에서의 적층액 도포나,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에서의 실리콘 도포 및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의 접착제 도포는 바코터 또는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도 된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내용 라벨 스티커를 제조하였다.
다만, 상기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 사이에 상기 적층막(300) 상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보호막(300")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단계(S12'단계)를 추가 하였다. 즉,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프레스롤(f)과 도포롤(g)을 통해 적층액 탱크(301) 내의 적층액을 도포하고, 이어서 프레스롤(q)과 도포롤(r)을 통해 보호막 탱크(302) 내의 보호액을 2 ∼ 3㎛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롤(s ∼ u)을 통해 건조한 후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를 진행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2에서 감열 적층막(300')을 이루는 조성물은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와; 전자수용성 화합물인 4-히드록시벤젠술폰아닐리드 15 ∼ 17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3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막(300")을 이루는 조성은 탄산나트륨 12 ∼ 14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3 ∼ 0.4 중량%, 물 18 ∼ 20 중량%, 전분 15% 수용액 65 ∼ 68 중량% 의 혼합물을 나노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9㎛ 인 분산액 7 ∼ 8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15% 용액 58 ∼ 62 중량%; 스테아르산아연 유화 분산물 7 ∼ 8 중량%; 술포숙신산-메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 2% 수용액 2 ∼ 4 중량%; 자외선 차단제 5 ∼ 6 중량%; 경화제 14 ∼ 16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보호막 형성단계(S12'단계) 및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에서의 도포는 바코터 또는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도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폴리프로필렌 원단 101 : 접착제
102 : 접착제 탱크 200 : 이형지
201 : 그라싱지 202 : 실리콘막
203 : 실리콘 탱크 300 : 적층막
300' : 감열 적층막 300" : 보호막
301 : 적층액 탱크 400 :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
a : 원단 공급롤 a' : 그라싱지 공급롤
b ∼e, b' ∼e' : 롤 f, f', l, n, o : 프레스롤
g, g', m: 도포롤 h ∼ k, h', i' : 건조롤
P : 폴리프로필렌 원단 P' : 그라싱지
W : 스티커용지 권취롤

Claims (10)

  1.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의 이면(裏面)에 접착제(101)가 도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적층막(300) 및; 상기 적층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 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되어 실내용으로 사용되는 라벨 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적층막(300)은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80 ∼ 85 중량%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18 ∼ 20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25 ∼ 30 중량%, 물 8 ∼ 10 중량%, 경질탄산칼슘(무기안료) 22 ∼ 24 중량%, 스테아르산 아연 30% 분산액 7 ∼ 8 중량%, 왁스 7 ∼ 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1% 수용액 2 ∼ 3 중량%, 가교제 2 ∼ 3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스티커.
  2. 삭제
  3.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의 이면(裏面)에 접착제(101)가 도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상기 접착제(101)에 부착되어 사용시 박리 제거되는 이형지(2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감열 적층막(300')과; 상기 감열 적층막(300')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보호막(300") 및; 상기 보호막(300")이 도포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 어느 한곳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로 구성되어 실외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스티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적층막(300')은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와; 전자수용성 화합물인 4-히드록시벤젠술폰아닐리드 15 ∼ 17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3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스티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300")으로는 탄산나트륨 12 ∼ 14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3 ∼ 0.4 중량%, 물 18 ∼ 20 중량%, 전분 15% 수용액 65 ∼ 68 중량% 의 혼합물을 나노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9㎛ 인 분산액 7 ∼ 8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15% 용액 58 ∼ 62 중량%; 스테아르산아연 유화 분산물 7 ∼ 8 중량%; 술포숙신산-메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 2% 수용액 2 ∼ 4 중량%; 자외선 차단제 5 ∼ 6 중량%; 경화제 14 ∼ 16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스티커.
  6.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 또는 모두에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진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7.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처리된 25 ∼ 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을 준비하는 원단준비단계(S10단계)와; 이형지(200)로서 그라싱지(201)를 준비하는 이형지 준비단계(S11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전면(前面)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감열 적층막(300')을 형성하는 적층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감열 적층막(300') 상에 자동도포기로 도포하여 보호막(300")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단계(S12'단계)와; 상기 그라싱지(201)에 자동도포기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막(202)을 형성하는 실리콘막 형성단계(S13단계)와; 상기 감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이면(裏面)에 자동도포기로 접착제(10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와;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14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제(101)에 상기 이형지(200)의 실리콘막(202)을 접착하여 스티커용지를 형성하는 스티커용지 형성단계(S15단계)와; 상기 감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쇄하여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거나 상기 감열 적층막(300')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단(100)과 폴리프로필렌 원단(100)의 사이 이형지(200)의 좌우 가장자리의 어느 한곳에 펀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 마크센서 감지용 마크(400)를 형성하는 마크형성단계(S16단계)와; 상기 스티커용지를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 및; 상기 스티커용지 절단단계(S17단계)에서 절단된 스티커용지를 휴대형정보단말기기(PDA)에 장착할 수 있도록 롤에 감아주는 스티커용지 권취단계(S18)로 이루어진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막(300)의 조성이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80 ∼ 85 중량%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18 ∼ 20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25 ∼ 30 중량%, 물 8 ∼ 10 중량%, 경질탄산칼슘(무기안료) 22 ∼ 24 중량%, 스테아르산 아연 30% 분산액 7 ∼ 8 중량%, 왁스 7 ∼ 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1% 수용액 2 ∼ 3 중량%, 가교제 2 ∼ 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적층막(300')의 조성이 2-아닐리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15 ∼ 20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0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와; 전자수용성 화합물인 4-히드록시벤젠술폰아닐리드 15 ∼ 17 중량%와 폴리비닐알콜(PVA) 10% 용액 83 ∼ 85 중량% 를 혼합한 후 볼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직경이 0.7㎛ 인 분산액 45 ∼ 5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300")의 조성은 탄산나트륨 39 ∼ 40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8 ∼ 1.0 중량%, 물 58 ∼ 60 중량%의 혼합물을 나노밀로 분산시켜 체적 평균입자 직경 0.9㎛ 인 분산액 6 ∼ 8 중량%; 전분 15% 수용액 32 ∼ 34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15% 용액 32 ∼ 34 중량%; 물 8 ∼ 10 중량%; 스테아르산아연 유화 분산물 3 ∼ 5 중량%; 술포숙신산-메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 2% 수용액 1 ∼ 2 중량%; 자외선 차단제 2 ∼ 3 중량%; 경화제 7 ∼ 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140031883A 2014-03-18 2014-03-18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53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83A KR101536663B1 (ko) 2014-03-18 2014-03-18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83A KR101536663B1 (ko) 2014-03-18 2014-03-18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663B1 true KR101536663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883A KR101536663B1 (ko) 2014-03-18 2014-03-18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79B1 (ko) 2019-09-10 2021-01-18 윤영철 3중 스티커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102561597B1 (ko) * 2023-03-20 2023-08-01 주식회사 엠지케이 리싸이클이 가능한 친환경 수해리 라벨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319A (ko) * 2004-06-04 2007-03-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접착 라벨, 접착 라벨 롤, 감광성 웹 유닛, 및 감광성적층체의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
KR20120081881A (ko) * 2011-01-12 2012-07-20 비지니스대양전산폼(주) 피디에이 프린터용 박리 인쇄지 및 그의 센싱공 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319A (ko) * 2004-06-04 2007-03-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접착 라벨, 접착 라벨 롤, 감광성 웹 유닛, 및 감광성적층체의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
KR20120081881A (ko) * 2011-01-12 2012-07-20 비지니스대양전산폼(주) 피디에이 프린터용 박리 인쇄지 및 그의 센싱공 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79B1 (ko) 2019-09-10 2021-01-18 윤영철 3중 스티커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102561597B1 (ko) * 2023-03-20 2023-08-01 주식회사 엠지케이 리싸이클이 가능한 친환경 수해리 라벨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4658B2 (ja) フィルム接着ラベ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1974666B1 (ko) 레이저 마킹 방법 및 용품
ES2859603T3 (es) Etiqueta adhesiva con recubrimiento desprendible de base acuosa
JP5468249B2 (ja) 情報記録用粘着シート
US4086379A (en) Multi-layered laminates
KR101536663B1 (ko) 라벨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2005502763A (ja) 光ルミネセンス粘着テープ
AU2018257718A1 (en) Activatable adhesive label
CN102186938B (zh) 标签和用于将该标签贴附到物体上的方法
EP1275684A1 (en) Polyolefin-based sheet, display sheet comprising the same, package sheet, transparent recording sheet, cosmetic sheet, emblem sheet, decorative sheet, and coating material for polyolefin resin for use in these
WO2019082201A2 (en) SELF-ADHESIVE WALLPAPER WITH REDUCED ADHESIVE MATERIAL AND WATER-SOLUBLE FILM
US10131177B2 (en) Barrier coating for a substrate
US11279859B2 (en) Methods of passivating adhesives
JP6520028B2 (ja) 擬似接着ラベル及び擬似接着ラベルの製造方法
CN101395240A (zh) 汽车标记用压敏粘合片
US11298912B2 (en) Cutting of adhesive materials with water-soluble protective layer
US607633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having high quality, weather resistant graphics on exterior surfaces
JP6875145B2 (ja) 台紙及び筒状フィルム付き台紙
US20220343802A1 (en) Linerless receipts and labels
JP2018169576A (ja) 粘着シート
JP2007210109A (ja) 擬似接着積層体
KR20160132680A (ko) 점착 코팅용 시트
JP2016151587A (ja) 感熱接着ラベル
JP2006243315A (ja) 易剥離性透明感熱ラベル
US20060105123A1 (en) Water-resistant containers and a method to make such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