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23B1 - 면역염색장치 - Google Patents

면역염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23B1
KR101536523B1 KR1020140055008A KR20140055008A KR101536523B1 KR 101536523 B1 KR101536523 B1 KR 101536523B1 KR 1020140055008 A KR1020140055008 A KR 1020140055008A KR 20140055008 A KR20140055008 A KR 20140055008A KR 101536523 B1 KR101536523 B1 KR 10153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resent
culture container
lid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동물의 난자 또는 정자와 결합한 형태인 접합자의 이동 없이 하나의 용기에서 반응 용액을 쉽게 교환해줌으로써 시료의 손상과 손실없이 면역 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면역염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의 일측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 및 투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배양용기 및 홈부 상부에 인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홈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면역염색장치{Immunost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면역염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동물의 난자 또는 정자와 결합한 형태인 접합자의 이동 없이 하나의 용기에서 반응 용액을 쉽게 교환해줌으로써 시료의 손상과 손실없이 면역 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반세포의 면역 염색에도 이용 가능하도록하는 면역염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생학, 생식의학, 산부인과학 등의 연구에서는 생쥐와 사람 난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의 난자 (oocyte, egg) 또는 정자와 결합한 형태인 접합자(zygote)를 재료로 사용한다. 다 자란 생쥐 난자의 평균 지름은 : 72 micrometer(μm), 돼지 난자 : 105.1 μm, 사람 난자 : 120 μm 정도이다.
배지 속에서 배양중인 난자 및 접합자를 옮기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느다란 유리 미세관이 연결된 mouth pipet이라는 것을 이용한다. 이 mouth pipet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호흡을 이용하여 난자나 접합자를 끌어올리거나 내려서 원하는 곳으로 시료를 옮길 수 있는 기구이다.
난자 및 접합자의 세포주기 상태, 단백질의 위치 및 염색체의 배열 등을 관찰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난자 또는 접합자를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로 염색한 후 이 항체에 결합할 수 있는 형광물질이 표지된 2차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하거나 DNA를 염색하여 형광을 낼 수 있는 시약을 이용하여 염색하는 것이다. 이렇게 난자와 접합자를 포함한 여러 세포를 염색하여 형광을 관찰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immunocytochemistry 또는 Immunof?uorescence라 부른다.
위 방법에서와 같이 난자나 접합자의 면역 염색을 위해서는 시료를 여러 가지 용액에 차례로 담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에 각각의 용액을 담고 위에서 언급한 mouth pipet을 이용하여 해부현미경 하에서 연속적으로 시료를 옮겨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난자 또는 접합자 시료를 Slide glass 위로 옮겨야 하고 시료 위에 cover glass를 덮고 관찰(도 3 및 도 4 참조)하여야 하지만 난자 시료의 특성상 일반적인 세포 시료에 비해 지름이 커서 시료가 압축되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를 방지하고자 많은 연구자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ide glass에 양면 테잎이나 바세린 등으로 높이를 높여준 후 cover glass를 덮어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앙면테잎이나 바세린에 시료가 붙어서 시료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다 보면 시료가 손상을 입기도 하고 또한 연구자의 mouth pipet 사용 능숙도에 따라 중간중간 중요한 시료를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013057 호[발명의 명칭 : 금-결합 이차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6-101845 호[발명의 명칭 : 정량 관찰이 용이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 일본 공개특허 제 2010-151678 호[발명의 명칭 : 대장암 진단 방법 및 대장암 진단용 키트]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동물의 난자 또는 정자와 결합한 형태인 접합자의 이동 없이 하나의 용기에서 반응 용액을 쉽게 교환해줌으로써 시료의 손상과 손실없이 면역 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면역염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배양용기에서 시료를 염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역염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된 면역염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배양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역염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양의 항체와 시약을 사용하여 면역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면역염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는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의 일측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 및 투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배양용기 및 홈부 상부에 인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홈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홈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덮개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부 내측의 나사산에 제 1 덮개 외측의 나사산이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투입구는 배양용기 상부면에 형성되고, 배출구는 배양용기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홈부의 저면부에 유리판부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1 덮개의 중앙에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배출관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배출관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배양용기 상부의 외측면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양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동물의 난자 또는 정자와 결합한 형태인 접합자의 이동 없이 하나의 용기에서 반응 용액을 쉽게 교환해줌으로써 시료의 손상과 손실없이 면역 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배양용기에서 시료를 염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를 잃어버릴 위험성이 적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시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배양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배양용기를 사용할 때보다 저렴해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양의 항체와 시약을 사용하여 면역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항체와 시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느다란 유리 미세관이 연결된 mouth pipe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사람의 호흡을 이용하여 시료를 옮길 수 있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난자 또는 접합자를 관찰하는 기존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 세포를 관찰하는 기존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이용하여 난자 또는 접합자를 면역염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이용하여 일반세포를 면역염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역염색장치는 배양용기(100)와 제 1 덮개(200) 그리고 일반세포 배양시 배양용기(100)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덮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배양용기(100)는 중앙에 홈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의 일측에 세척액 및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20) 및 투입관(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관(130)과 대향되는 위치에 세척액 및 배양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40) 및 배출관(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구(140) 및 배출관(150)는 투입구(120) 및 투입관(130)과는 달리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배출관(150)은 모세관 현상으로 마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1 덮개(200)는 홈부(110) 상부에 인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홈부(110)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즉 홈부(110)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있고 제 1 덮개(200)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홈부(110) 내측으로 제 1 덮개(200)의 외측을 삽입시킨 후 제 1 덮개(200) 중심부에 형성된 일자홈 또는 십자홈(210)에 일자 드라이버 또는 십자 드라이버의 날을 끼워 돌려주면 홈부(110)에 제 1 덮개(200)가 나사산 결합되면서 체결된다.
투입구(120)는 세척액이나 배양액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배양용기(100) 상부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40)는 배양용기(10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홈부(110)에 채워져 있던 세척액이나 배양액이 투입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또다른 세척액이나 배양액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홈부(110)의 저면부에 유리판부(300)가 더 마련되어 있어, 난자나 접합자에 대해서 면역염색과정을 모두 수행한 후 제 1 덮개(200)를 홈부(110)로부터 제거한 후 홈부(110) 상부에 커버 글라스를 올려놓고 바로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덮개는 배양용기(100) 상부의 외측면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양용기(100) 상부에 결합된다. 제 2 덮개(400)는 난자 또는 접합자의 면역염색과정시에는 불필요하며, 일반적인 세포 배양 방식에 따라 배양할 때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역염색장치의 면역염색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자 및 접합자 면역염색)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이용하여 난자 또는 접합자를 면역염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양용기(100)의 홈부(110) 내에 마련된 유리판부(300) 상부에 면역염색을 위한 난자 또는 접합자를 위치(도 7의 1) 참조)시키고, 배양용기(100)의 홈부(110) 상부에 제 1 덮개(200)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도 7의 2) 참조)시킨다.
그리고 배양용기(100)의 투입구(120) 및 투입관(130)을 통해 세척액 및 고정용액을 순차적으로 투입시켜 세척 및 고정화를 이루고, 다시 세척한 후 상기 홈부 (110)내에 위치한 난자 또는 접합자에 1차 항체를 결합시킨 후 다시 세척액을 투입시켜 세척하고, 세척 후 2차 항체를 결합시키고 세척액을 투입시켜 세척하여 마운팅시켜 난자 또는 접합자에 면역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7의 3) 참조).
그리고 배양용기(100)로부터 제 1 덮개(200)의 중심에 형성된 일자홈 또는 십자홈(210)에 일자 드라이버 또는 십자 드라이버의 날을 홈(210)에 꽂은 다음 제 1 덮개(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양용기(100)로부터 제거시키고, 홈부(110) 상부에 커버글라스를 안착시켜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도 7의 4)) 참조).
(일반 세포 면역염색)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염색장치를 이용하여 일반세포를 면역염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양용기(100)의 홈부(110) 내에 마련된 유리판부(300) 상부에 면역염색을 위한 일반 세포를 위치시키고, 일반적인 세포 배양 방식에 따라 배양시키기 위해 제 2 덮개(미도시)를 배양용기(100) 상부에 결합시켜 일반 세포를 배양시킨다(도 8의 1) 참조). 이때 배양과정은 실시간으로 관찰 가능하다.
배양과정이 완료되면 제 2 덮개를 배양용기(100)로부터 제거한 후 배양용기(100)의 홈부(110) 상부에 제 1 덮개(200)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시킨다( 도 8의 2) 참조).
그리고 배양용기(100)의 투입구(120) 및 투입관(130)을 통해 세척액 및 고정용액을 순차적으로 투입시켜 세척 및 고정화를 이루고, 다시 세척한 후 홈부(110) 내에 위치한 일반 세포에 1차 항체를 결합시킨 후 다시 세척액을 투입시켜 세척하고, 세척 후 2차 항체를 결합시키고 세척액을 투입시켜 세척하여 마운팅시켜 일반 세포에 면역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8의 3) 참조).
면역염색이 완료되면 배양용기(100)로부터 제 1 덮개(200)의 중심에 형성된 일자홈 또는 십자홈(210)에 일자 드라이버 또는 십자 드라이버의 날을 홈(210)에 꽂은 다음 제 1 덮개(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양용기(100)로부터 제거시키고, 홈부(110) 상부에 커버글라스를 안착시켜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도 8의 4)) 참조).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양용기 110 : 홈부
120 : 투입구 130 : 투입관
140 : 배출구 150 : 배출관
200 : 제 1 덮개 210 : 일자홈 또는 십자홈
300 : 유리판부

Claims (7)

  1.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의 일측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 및 투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양액 및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배양용기; 및
    상기 홈부 상부에 인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홈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덮개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 내측의 나사산에 상기 제 1 덮개 외측의 나사산이 결합되어 체결되며,
    상기 홈부의 저면부에 유리판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배양용기 상부의 외측면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양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염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배양용기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양용기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염색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의 중앙에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염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관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염색장치.
  7. 삭제
KR1020140055008A 2014-05-08 2014-05-08 면역염색장치 KR10153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08A KR101536523B1 (ko) 2014-05-08 2014-05-08 면역염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08A KR101536523B1 (ko) 2014-05-08 2014-05-08 면역염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23B1 true KR101536523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008A KR101536523B1 (ko) 2014-05-08 2014-05-08 면역염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910A (ko) * 2004-03-06 2005-09-09 이용진 현미경용 챔버형 시료 장착기
KR20050115540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및 그 용도
KR20110076823A (ko) * 2009-12-29 2011-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별 흡광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세포사멸 정량분석법
KR20110131371A (ko) * 2010-05-31 2011-12-07 전자부품연구원 형광측정용 세포 추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910A (ko) * 2004-03-06 2005-09-09 이용진 현미경용 챔버형 시료 장착기
KR20050115540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및 그 용도
KR20110076823A (ko) * 2009-12-29 2011-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별 흡광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세포사멸 정량분석법
KR20110131371A (ko) * 2010-05-31 2011-12-07 전자부품연구원 형광측정용 세포 추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9719B2 (ja) オートメーション化された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方法
Meseguer et al. Full in vitro fertilization laboratory mechanization: toward robotic assisted reproduction?
Liu et al. Automated microinjection of recombinant BCL-X into mouse zygotes enhances embryo development
Levario et al. Microfluidic trap array for massively parallel imaging of Drosophila embryos
US20140179561A1 (en) Hanging drop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JP2011512125A (ja) マイクロ流体画像サイトメトリ
US20110218390A1 (en) Specimen manipulation device for micro manipulation and biopsy in assisted reproduc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WO2012122379A9 (en) Microfluidic cytochemical staining system
Simeone et al. Paraffin-embedding lithography and micro-dissected tissue micro-arrays: tools for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nalysis of ex vivo solid tumors
CN214088530U (zh) 一种培养皿
CN106092703A (zh) 操作方便的组化笔在细胞爬片免疫组化检测中的应用
KR101536523B1 (ko) 면역염색장치
CN111793562A (zh) 一种培养皿及其应用
Shetty et al. Deri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from poor quality embryos
Walters et al. Mammalian embryo culture in a microfluidic device
CN215440421U (zh) 一种微流控芯片
TWI656214B (zh) 清洗卵子或受精卵表面的方法
Manku et al. Neonatal testicular gonocytes isolation and processing for immunocytochemical analysis
Bharti et al. Female germ cell development, functioning and associated adversities under unfavorable circumstances
Mogessie Visual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spindle actin and chromosome segregation in mammalian oocytes
CN206594038U (zh) 承载装置及包括该承载装置的生物样本观察系统
Masamsetti et al. Ide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of protein expression in whole mouse embryos by immunofluorescence
Borensztein Investigating the inner cell mass of the mouse blastocyst by combine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RNA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Mancini et al. A new microfluidic concept for successful in vitro culture of mouse embryos
CN217202788U (zh) 一种胚胎培养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