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36B1 - 식물 순환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순환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36B1
KR101536336B1 KR1020130144408A KR20130144408A KR101536336B1 KR 101536336 B1 KR101536336 B1 KR 101536336B1 KR 1020130144408 A KR1020130144408 A KR 1020130144408A KR 20130144408 A KR20130144408 A KR 20130144408A KR 101536336 B1 KR101536336 B1 KR 10153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torage
supply pipe
shaft memb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227A (ko
Inventor
조흥열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조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열 filed Critical 조흥열
Priority to KR102013014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3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물을 식물의 아래쪽에서 토양을 통하여 공급하므로 물의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설치비 및 관리비가 적게 소요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져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축부재의 양쪽 끝부분에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살부재와, 서로 대응되는 양쪽 살부재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에 각각 탑재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순환재배장치 {Circulation Cultivation Equipment for Plant}
본 발명은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고 급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나 야채, 묘목, 화훼 등의 각종 식물의 재배는 논이나 밭 등의 지면(노지)에 직접 재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때로는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을 설치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기온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도 사용하지만, 재배하는 구역은 지표면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일부에서는 화분이나 화단 등을 조성하여 건물의 내부나 옥상 등에서 식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동일한 지표면적을 사용하면서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구성된 재배상자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면서 재배하는 순환재배장치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3485호, 제10-2005-0071696호, 제10-2012-0090145호, 제10-2012-0110631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18633호, 제10-0736272호, 제10-0939898호, 제10-1021136호, 제10-1213571호, 제10-1218103호 등에 순환식 식물 재배장치의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가 많이 들고, 유지 및 수리에 필요한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의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설치비 및 관리비가 적게 소요될 수 있는 식물 순환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져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축부재의 양쪽 끝부분에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살부재와, 상기 서로 대응되는 양쪽의 살부재 끝부분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각각 탑재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로 대응되는 살부재끼리 끝부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로부재를 더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가로부재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의 한쪽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되며 다수의 심지가 설치되는 급수관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저수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관은 최고 높이(최상단)에 위치하는 식재상자의 저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물공급관의 끝부분을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식재상자의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하고, 상기 최고 높이 위치하는 식재상자의 상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는 물의 배출 및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상기 베이스판과 측벽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져 설치되는 토양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토양이 통기구멍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실방지시트와, 상기 유실방지시트와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심지가 토양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상자의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급수관의 끝부분이 노출되고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저수탱크가 설치된다.
상기 식재상자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위에 설치되는 흡수시트와, 상기 흡수시트의 위의 공간에 채워져 설치되는 토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의 기둥부재와 축부재 사이에는 축부재가 회전할 때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을 구속하는 일시정지 클러치를 설치한다.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는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살부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축부재의 걸림홈에 끝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축부재쪽으로 돌출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상태로 걸림돌기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상기 물공급관을 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최상단에 위치하는 식재상자의 저수공간에 물을 공급함에 따라, 점점 전체 식재상자의 무게 균형이 깨지면서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이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의 구속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축부재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받침부재들은 물레방아처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하여 물이 공급된 식재상자가 회전되면서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 자중에 의한 힘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의 구속력이 회전력보다 커지면서 회전이 구속된다. 여기에서 회전이 시작되면 물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상기 물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시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한 식재상자에 대하여 1회전(1사이클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물에 적절한 양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물레방아처럼 식재상자들을 회전시키면서 식물의 생육환경(햇빛의 일조량과 수분의 공급 등)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식재상자의 저면으로부터 급수관의 심지를 통하여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의 아래쪽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토양의 상면은 마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풀씨나 다른 식물의 씨가 날아와 떨어지는 경우에도 수분의 부족으로 싹이 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끼 등이 서식하는 것도 방지되어, 잡초에 의하여 재배하는 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토양이 흡수할 수 있는 양을 넘는 물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위에 물이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토양의 저면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므로, 식물의 뿌리 아래쪽에서 물이 공급되어 뿌리가 자연스럽게 굴수성에 의해 아래쪽으로 성장되어 자연스러운 뿌리내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상기 식재상자의 베이스판에 형성된 통기구멍을 통하여 토양 내부로의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토양의 위쪽에서 수분의 증발이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토양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쪽으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식물의 생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있어서, 일시정지 클러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있어서, 급수관에 심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기둥부재(12)와 축부재(14)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과, 복수의 살부재(20)와, 복수의 받침부재(30)와, 복수의 식재상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기둥부재(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져 고정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4)는 상기 한쌍의 기둥부재(12)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축부재(14)는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부재(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축부재(14)는 상기 기둥부재(12)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다.
상기 기둥부재(12)는 한쪽에 하나씩 수직부재를 일자로 세워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한쪽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삼각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부재(12)는 축부재(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예를 들면, 물레방아나 풍차 등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살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4) 양쪽 끝부분에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받침부재(30)는 상기 서로 대응되는 양쪽의 살부재(20) 끝부분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대응되는 살부재(20)끼리 끝부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로부재를 더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재(30)를 상기 가로부재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식재상자(40)는 상기 받침부재(30)에 각각 탑재되고 식물이 식재된다.
상기 식재상자(40)의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49)이 형성된다.
상기 식재상자(40)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공간(49)과 연결되며 다수의 심지(43)가 설치되는 급수관(46)이 설치된다.
상기 심지(4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46)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심지(43)를 설치하게 되면, 급수관(46)을 흐르는 물이 심지(43)의 모세관력에 의해 흡수되어 급수관(46)의 외부로 공급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수공간(49)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70)이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관(70)은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식재상자(40)의 저수공간(49)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관(70)의 끝부분을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식재상자(40)의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하여 분사관(72)을 설치하고, 상기 식재상자(40)의 상부로 상기 분사관(72)으로부터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관(70)은 물공급원(78)에 연결된다.
상기 식재상자(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44)과, 복수의 측벽부재(42)와, 토양(47)과, 유실방지시트(45)와, 급수관(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44)에는 물의 배출 및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재(42)는 상기 베이스판(44)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토양(47)은 상기 베이스판(44)과 측벽부재(4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져 설치된다.
상기 유실방지시트(45)는 상기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토양(47)이 통기구멍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유실방지시트(45)는 부직포나 천, 직물, 스폰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급수관(46)은 상기 유실방지시트(45)와 베이스판(44)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심지가 토양(47)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식재상자(40)의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급수관(46)의 끝부분이 노출되고 저수공간(49)이 형성되는 저수탱크(48)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재상자(4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블럭(53)과, 상기 지지블럭(53)의 위에 설치되는 흡수시트(55)와, 상기 흡수시트(55)의 위의 공간에 채워져 설치되는 토양(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지지블럭(53)에 의하여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인 골이 형성되어 저수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40)의 한쪽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물공급관(70)의 물이 공급되어 일시 저장되는 저수탱크(5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수탱크(58)는 상하면이 개방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지 지지블럭(53)의 위쪽에 칸막이형태로 상기 본체(52)의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 일부의 공간을 나누도록 판재를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저수탱크(58)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물공급관(7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수탱크(58)에 일시 저장된 다음, 상기 흡수시트(55)를 통하여 토양(47)으로 흡수되는 양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블럭(53)에 의해 형성되는 골로 이동하여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시트(55)는 부직포나 천, 직물, 스폰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식재상자(40)를 구성하게 되면, 지지블럭(53)의 아래쪽에 저장된 물이 흡수시트(55)의 모세관력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부의 토양(47)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상기 토양(47)으로 흡수되어 소비되는 양만큼 상기 흡수시트(55)를 통하여 식재상자(40) 아래쪽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프레임(10)의 기둥부재(12)와 축부재(14) 사이에는 상기 축부재(14)가 회전할 때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을 구속하는 일시정지 클러치(15)를 설치한다.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4)에 상기 살부재(30)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걸림홈(16)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재(12)에 상기 축부재(14)의 걸림홈(16)에 끝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축부재(14)쪽으로 돌출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상태로 걸림돌기(17)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걸림돌기(17)는 스프링(18) 등에 의하여 상기 축부재(14)쪽으로 힘이 가하여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식재상자(40)에 동일한 중량으로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거나 종자를 뿌린 상태에서, 각 받침부재(30)에 식재상자(40)를 적재하게 되면, 전체적인 중량의 무게 균형이 맞게 되고, 상기 축부재(14)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돌기(17)가 걸림홈(1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축부재(14)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물공급관(70)을 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최상단에 위치하는 식재상자(40)의 저수공간(49)에 물을 공급하기 시작하면, 점점 전체 식재상자(40) 사이의 무게 균형이 깨지면서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이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의 구속력(상기 스프링(18)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축부재(1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받침부재(30)들은 물레방아처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는 물공급관(72)의 분사관(72)을 통하여 분사되어 최상단의 식재상자(40) 상부에서 물이 공급되면, 이 분사된 물이 토양(47)을 통과하여 지지블럭(55)의 아래쪽 공간으로 저장되고, 점점 전체 식재상자(40) 사이의 무게 균형이 깨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하여 물이 공급된 식재상자(40)가 회전되면서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 자중에 의한 힘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의 구속력이 회전력보다 커지면서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회전이 시작되면 물공급관(70)을 통한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에 의하면, 상기 물공급관(7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시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한 식재상자(40)에 대하여 1회전(1사이클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물에 적절한 양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물레방아처럼 식재상자(40)들을 회전시키면서 식물의 생육환경(햇빛의 일조량과 수분의 공급 등)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동력을 병용하여 식재상자(40)들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순환재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프레임, 12 - 기둥부재, 14 - 축부재, 15 - 일시정지클러치
16 - 걸림홈, 17 - 걸림돌기, 18 - 스프링, 20 - 살부재, 30 - 받침부재
40 - 식재상자, 42 - 측벽부재, 43 - 심지, 44 - 베이스판
45 - 유실방지시트, 46 - 급수관, 47 - 토양, 48 - 저수탱크
49 - 저수공간, 52 - 식재상자, 53 - 돌출부, 58 - 저수탱크
70 - 물공급관, 72 - 분사관, 78 - 물공급원

Claims (10)

  1. 서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져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축부재의 양쪽 끝부분에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살부재와, 상기 서로 대응되는 양쪽의 살부재 끝부분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각각 탑재되고 식물이 식재되며 상기 살부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저수탱크가 설치되는 복수의 식재상자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상자 중의 최상단의 식재상자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기둥부재와 축부재 사이에는 축부재가 회전할 때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을 구속하는 일시정지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일시정지 클러치는 상기 축부재에 상기 살부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축부재의 걸림홈에 끝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축부재쪽으로 돌출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상태로 걸림돌기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살부재끼리 끝부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로부재를 더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가로부재에 그네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는 물의 배출 및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상기 베이스판과 측벽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져 설치되는 토양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토양이 통기구멍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실방지시트와, 상기 물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유실방지시트와 베이스판 사이의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심지가 토양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공간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노출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의 끝부분을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식재상자의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하고, 상기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식재상자의 상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위에 설치되는 흡수시트와, 상기 흡수시트의 위의 공간에 채워져 설치되는 토양과, 상기 물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하면이 개방되는 형상의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식물 순환재배장치.
  10. 삭제
KR1020130144408A 2013-11-26 2013-11-26 식물 순환재배장치 KR10153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8A KR101536336B1 (ko) 2013-11-26 2013-11-26 식물 순환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8A KR101536336B1 (ko) 2013-11-26 2013-11-26 식물 순환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27A KR20150060227A (ko) 2015-06-03
KR101536336B1 true KR101536336B1 (ko) 2015-07-14

Family

ID=5350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408A KR101536336B1 (ko) 2013-11-26 2013-11-26 식물 순환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8701A (zh) * 2017-06-09 2017-10-24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植物养植设备
CN107258362A (zh) * 2017-06-09 2017-10-20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植物栽培机
CN107836240B (zh) * 2017-10-30 2019-11-19 永康市杰创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垂直绿化装置
CN108464159A (zh) * 2018-05-31 2018-08-31 重庆市飞龙种业有限责任公司 香菜种子培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734A (ja) * 2002-03-12 2003-09-16 Berutekku:Kk 並列のトレー回転体による植物栽培装置
KR20030081431A (ko) * 2001-02-09 2003-10-17 에이앤비 하이드로포닉스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리미티드 수경재배용 장치
KR20030095198A (ko) * 2002-06-07 2003-12-18 손정익 분화식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화식물 재배방법
KR200338621Y1 (ko) * 2003-10-24 2004-01-16 윤지영 회전식 자동급수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431A (ko) * 2001-02-09 2003-10-17 에이앤비 하이드로포닉스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리미티드 수경재배용 장치
JP2003259734A (ja) * 2002-03-12 2003-09-16 Berutekku:Kk 並列のトレー回転体による植物栽培装置
KR20030095198A (ko) * 2002-06-07 2003-12-18 손정익 분화식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화식물 재배방법
KR200338621Y1 (ko) * 2003-10-24 2004-01-16 윤지영 회전식 자동급수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27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2647B2 (ja) 水耕栽培装置とそれを用いた水耕栽培方法
WO2015178046A1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KR101536336B1 (ko) 식물 순환재배장치
KR101321441B1 (ko) 청보리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WO2015123725A1 (en)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0476709Y1 (ko) 수경재배장치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102118879B1 (ko) 파이프팜 순환재배장치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20160108055A (ko) 수경재배장치
KR101121032B1 (ko)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JP2010035521A (ja) 栽培用プランター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110010141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101176761B1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JP2018110535A (ja) 栽培装置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KR102158978B1 (ko) 공기정화 재배기
KR200454597Y1 (ko) 화분의 수분공급장치
KR20170088122A (ko) 자동 물 공급 장치를 갖는 새싹 재배기
JP3182017U (ja) 環境保護媒質栽培槽
JP2019149952A (ja) 植物生育システム及び植物生育方法
KR200474178Y1 (ko)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20140026984A (ko) 수경재배를 이용한 옥상녹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