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708B1 -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708B1
KR101535708B1 KR1020130019079A KR20130019079A KR101535708B1 KR 101535708 B1 KR101535708 B1 KR 101535708B1 KR 1020130019079 A KR1020130019079 A KR 1020130019079A KR 20130019079 A KR20130019079 A KR 20130019079A KR 101535708 B1 KR101535708 B1 KR 10153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deceased
national
memor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569A (ko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9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추모 시스템은 웹 2.0을 기반으로 국립/도립 묘지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상기 국립/도립 묘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WEB 2.0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THE MEMORIAL SERVICE OF ANCESTORS AND PATRIO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를 구축하는 방법과 위인이나 고인을 추모 및 제례할 수 있는 웹 2.0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병, 순국 선열들과 같은 위인이나 돌아가신 고인의 애국 충정을 기리고자 하는 추모객들은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으로 찾아간다. 그러나 외국, 타지 등에 있는 추모객들은 위인이나 고인의 애국 충정을 기리고자 해도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으로 찾아갈 여건이 안되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외국, 타지, 가정 등에서도 위인이나 고인의 애국 충정을 기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2962호(공개일 2010년 4월 27일) "인터넷을 이용한 추모 장치 및 방법"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입된 회원에게 병원, 장례식장, 화장터, 납골당 및 추모원을 통한 체계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되, 가족 및 조문객들은 조문실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하여 장례절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을 이용하여 추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모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함으로써 외국, 타지, 가정 등에서도 장례절차를 확인하고 추모가 가능하도록 할 수는 있지만, 국가적 영웅이나 성인, 위인 등과 같이 고인이 추모객과 특별한 연고가 없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추모객들이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으로 찾아가는 경우, 묘비문에는 해당 위인 또는 고인에 대한 지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추모객이 해당 위인 또는 고인과 특별한 연고가 없으면 해당 위인 또는 고인의 업적 등과 같은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에는 많은 수의 고인이 안장되어 있음에 따라 특정 고인이 안장된 묘지를 정확하게 찾아가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영천, 임실, 이천 호국원은 2011년 7월, 안장 여력이 총 19,319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만성적인 국립 묘지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상/증강 현실 기반의 사이버 묘지 플랫폼 구축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보다 편리하게 위인/고인을 추모할 수 있고, 위인/고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만성적인 안장 여력 부족 사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에 찾아가는 경우 수 많은 묘지 중에서 원하는 묘지를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충원 및 호국원의 만성적인 안장 여력 부족 사태를 해소할 수 있는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편리하게 위인/고인을 추모하고 장엄, 엄숙한 제례할 수 있으며, 위인/고인의 유훈, 일대기 동영상, 사진 등과 같은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추모객이 현실에 존재하는 국립/도립 현충원, 호국원, 민주화 공원, 일반 개인의 묘지, 납골원 등에서 모바일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고인/위인의 묘지를 쉽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고,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를 통해 현실에 없는 가상공간 사이버 묘지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굴, 도난, 손상, 해킹, 바이러스 등이 발생 또는 침투 시 원격 경보,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가상/증강 현실 기반으로 추모 서비스 및 제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추모 시스템은 웹 2.0을 기반으로 국립/도립 묘지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상기 국립/도립 묘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모 시스템은 웹 2.0을 기반으로 고인에 대한 사이버 묘지를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상기 고인의 묘지 또는 상징물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이버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모 시스템은 웹 2.0을 기반으로 사이버 묘지를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및 상기 구축한 사이버 묘지를 기초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이버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모 시스템은 웹 2.0을 기반으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고 이를 운영하는 사이버 묘지 서버 및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증강 현실로 구축하고,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검색한 고인의 정보를 전송하는 플랫폼 구축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추모 방법은 증강 현실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구축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고인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추모 방법은 가상 현실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기초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호국원, 현충원, 고인의 묘지, 추모 상징물 등을 위치 기반의 현실 묘지 또는 상징물의 가상 공간과 별도의 가상현실기반에 사이버 묘지를 구축함으로써 현충원, 호국원 등의 만성적인 안장 여력 부족 사태를 해결할 수 있고, 효율적인 추모/제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지 등을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로 구축하고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위인/고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모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위인/고인을 추모할 수 있고, 위인/고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현충원, 호국원 등에 대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추모객이 현충원, 호국원 등에 실제로 방문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묘지를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기반으로 추모 서비스 및 제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모객들이 보다 장엄하고 엄숙한 가운데 추모 의식 및 제례 의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2.0을 기반으로 가상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에서 추모하고 제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증강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에서 추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현실 기반의 추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증강 현실 기반의 추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기반 사이버 묘지와 현실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병, 순국 선열들과 같은 위인/고인의 애국 충정을 기리기 위한 국립 현충원, 호국원 등의 국립/도립 묘지, 개인의 묘지, 상징물을 가상 현실/증강 현실로 구축한다. 그리고,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개인의 묘지, 상징물 등을 기반으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모객들이 추모 의식, 제례 의식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증강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 호국원 등에서 추모객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고인의 훌륭한 업적과 영웅담, 유훈이 사진, 동영상 또는 삼차원 홀로그램 등을 통해 생생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이버 묘지 서버(110) 및 플랫폼 구축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추모객들이 고인/위인을 장엄, 엄숙한 가운데 보다 효과적으로 추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웹 2.0을 기반으로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고 이를 운영한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충원, 호국원과 같은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 등이 가상 현실로 구축된 사이버 묘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웹 2.0을 기반으로 국립/도립 묘지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상기 국립/도립 묘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웹 2.0을 기반으로 고인에 대한 사이버 묘지를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상기 고인의 묘지 또는 상징물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가상현실 구축부에 의해 구축된 사이버 묘지를 기초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서비스와 추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 국립 사이버 현충원, 국립 사이버 민주화 공원 또는 개인별, 가족별, 종중별, 가상현실 공간의 사이버 묘지를 웹과 애플리케이션 상에 구축하고, 추모객이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현실에 존재하는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 또는 상징물(위패, 명부, 주소지 등)을 선택하면,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하는 고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추모객은 국립 사이버 현충원, 국립 사이버 민주화 공원 또는 개인별, 가족별, 종중별, 가상현실 공간의 사이버 묘지 등의 주소를 기억하지 않더라도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사이버 묘지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웹 2.0을 기반으로 사이버 묘지를 구축하는 가상현실 구축부 및 상기 구축한 사이버 묘지를 기초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버 묘지 서버(110)는 추모객이 사이버 묘지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현실의 위치기반과는 별도로 가상공간 상에 고인의 사이버 묘지 공간 및 추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플랫폼 구축 서버(1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웹 2.0 기반의 상기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불특정 다수의 추모객이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참여, 개방, 소통함으로써 가상 현실로 구축된 사이버 묘지에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및 추모 의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추모객은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인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여러 추모객들과 함께 고인/위인을 추모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로 구축된 제례 시설을 통해 제례 의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추모객은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추모 음식, 선물, 성금 등을 헌정할 수 있으며, 다른 추모객들과 대화할 수도 있다.
한편, 플랫폼 구축 서버(120)는 현충원, 호국원과 같은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 등을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구축하고 추모객이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서 추모 서비스, 제례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현실묘지공간의 태그 정보와 PC 또는 모바일 단말에 구축된 가상 사이버 묘지공간에 고인의 성명 또는 ID 입력 정보를 기초로 제공되는 고인의 일대기, 유훈 등과 같은 고인의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플랫폼 구축 서버(120)는 증강 현실 구축부(122), 위치 정보 저장부(124), 서비스 제공부(126) 및 관리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구축부(122)는 웹 2.0을 기반으로 삼차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를 증강 현실로 구축한다.
위치 정보 저장부(124)는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추모객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전자 태그는 현충원, 호국원, 각 고인의 묘비 등에 부착됨으로써, 현충원, 호국원 등을 찾은 추모객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시설에 대한 정보, 해당 고인에 대한 정보, 위치 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자 태그를 인식하고 증강 현실을 통해 추모객에게 고인/위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되면 이를 플랫폼 구축 서버(120)로 전송하고, 플랫폼 구축 서버(120)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고인의 정보가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26)는 기 구축된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 대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모객의 모바일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26)는 가상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지 등을 기초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증강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지 등을 기초로 모바일 단말(1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추모객에게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구현된 고인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부(128)는 위치 정보 저장부(124)에 저장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굴 방지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부(128)는 현충원, 호국원 등에 설치된 CCTV,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각종 시설, 묘비 등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한편,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의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관리부(128)는 CCTV,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등에 의해 도굴, 훼손 등의 발생하는 것이 감지되면, 원격 경보, 알림 서비스를 통해 해당 장소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도굴, 훼손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2.0을 기반으로 가상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에서 추모하고 제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추모객이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시스템에 접속한 후 고인의 묘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플랫폼 구축 서버는 해당 추모객의 사용자 단말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에 고인의 묘지(210)가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표시되고, 해당 고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320)가 텍스트로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의 일측에는 추모객이 가상으로 제례 의식, 추모 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인에게 헌화를 하거나 분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인의 영정 사진, 동영상 등이 표시되는 영역(240)이 구비될 수 있다.
추모객은 이러한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현실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고인의 유훈 및 일대기를 동영상, 사진, 아바타, 홀로그램 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가상 추모 음식, 헌화, 선물, 성금 등을 헌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플랫폼 구축 서버가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 대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추모객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으로부터 고인의 묘지 찾기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 받으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상 지도가 추모객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상 지도 상에는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모객의 현재 위치(31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추모객이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해 플랫폼 구축 서버로 고인의 성명, 군번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플랫폼 구축 서버는 해당 고인이 안장된 묘지의 위치(320)에 대한 정보가 가상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모객의 현재 위치(310)로부터 해당 고인이 안장된 묘지의 위치(320)까지 갈 수 있는 최단 거리 또는 최소 시간 거리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증강 현실로 구축된 현충원에서 추모하고 제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이 호국원, 현충원 등에 방문하는 경우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추모할 수 있도록 상기 현충원, 호국원 등을 증강 현실로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는 전자 태그가 부착될 수 있고, 추모객은 상기 전자 태그를 통해 고인/위인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추모객이 고인의 묘비에 부착된 전자 태그에 모바일 단말을 태깅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이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 상에 묘비에 대한 영상(410)이 표시되도록 하는 한편, 인식된 전자 태그의 태그 정보를 플랫폼 구축 서버로 전송하고 플랫폼 구축 서버로부터 고인에 대한 정보(4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 구축 서버로부터 수신한 고인에 대한 정보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묘비에 대한 영상(410)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추모객들이 현실같이 고인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들이 장엄, 엄숙한 가운데 추모 의식, 제례 의식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로 고인에 대한 정보(420)와 함께 추모 서비스, 제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현실 기반의 추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이버 묘지 서버는 추모객들이 고인/위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상 현실로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 등을 구축할 수 있다(510). 이 경우, 플랫폼 구축 서버는 가상 현실로 구축된 상기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모객에게 고인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520).
또한,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이 가상 현실로 구축된 상기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및 추모 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추모 서비스, 제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530).
일 예로, 추모객은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인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여러 추모객들과 함께 추모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로 구축된 제례 시설을 통해 추모 의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추모객은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추모 음식, 선물, 성금 등을 헌정할 수 있으며, 다른 추모객들과 대화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증강 현실 기반의 추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들이 고인/위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증강 현실로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지를 구축할 수 있다(610). 이 때,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는 전자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추모객들은 현충원, 호국원, 고인의 묘비 등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고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으로부터 고인의 묘지 찾기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 받으면, 호국원, 현충원 등에 대한 가상 지도가 추모객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고인의 성명, 군번 등과 같은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인의 묘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또는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고인이 안장된 묘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가상 서버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추모객이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장소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 구축 서버는 추모객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현충원, 호국원 및 고인의 묘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620), 고인/위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한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고인의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630). 이 때, 고인의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복원될 수 있다(6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웹 2.0 기반의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시스템 및 방법은 현충원, 호국원 등을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로 구축하고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위인/고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모객이 현충원, 호국원 등에 안장된 위인/고인과 특별한 연고가 없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위인/고인을 추모할 수 있고, 위인/고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현충원, 호국원 등에 대한 가상 지도를 기초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추모객이 원하는 묘지를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모객들이 가상 현실/증강 현실을 통해 제례의식, 추모의식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충원, 호국원 등의 만성적인 안장 여력 부족 사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사이버 묘지 서버
120: 플랫폼 구축 서버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추모객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위인의 유해가 안치된 국립/도립 묘지 또는 고인의 유해가 안치된 묘지의 입지 환경 조건과 동일하도록 웹 2.0을 기반으로 위인의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가상 현실로 구축하고 위치기반의 수치전자지도 상에서 지리적 상관관계로 표현되는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추모객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추모객을 나타내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가상의 추모 음식, 헌화, 선물 및 성금과 관련된 헌정 서비스, 서로 다른 추모객과의 대화 서비스 및 가상 현실로 구축된 제례 시설에 따른 가상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에 따른 제례 서비스와 추모객들의 추모 서비스를 수행하는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묘지 서버; 및
    웹 2.0을 기반으로 삼차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위인의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증강 현실로 구축하고, 현실에 존재하는 위인의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증강 현실로 구축된 위인의 국립/도립 묘지, 또는 고인의 묘지에서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i) 현실에서의 입지 환경 조건과 동일하게 구축된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 대한 가상 지도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ii)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위인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상 현실로 구축된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기초로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고인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iii) 증강 현실로 구축된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에서 제공되는 위인/고인의 성명, ID 입력 정보를 통해 고인/위인의 정보를 검색하여 증강 현실로 구축된 상기 국립/도립 묘지, 고인의 묘지를 기초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삼차원 홀로그램으로 구현된 고인/위인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플랫폼 구축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구축 서버는,
    상기 전자 태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굴 방지 및 관리를 수행하며,
    상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플랫폼 구축 서버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선택된 위치에 매핑된 고인/위인을 추모하기 위한 추모객들 간에 참여, 개방, 소통이 가능하도록 사이버 묘지 내 가상 공간 상의 위인/고인의 사이버 묘지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추모객들은,
    상기 웹 2.0 기반의 고인 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사이버 묘지 내 가상 공간 상의 사이버 묘지 공간에서 상기 추모하고자 하는 위인/고인에 관련된 이미지, 동영상 및 아바타를 이용하여 제례 및 추모 의식을 수행하는 추모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19079A 2013-01-17 2013-02-22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KR101535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5272 2013-01-17
KR1020130005272 2013-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569A KR20140093569A (ko) 2014-07-28
KR101535708B1 true KR101535708B1 (ko) 2015-07-09

Family

ID=5173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79A KR101535708B1 (ko) 2013-01-17 2013-02-22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7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670B1 (ko) *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추모용 가상공간을 활용한 사이버 추모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032774A (ko) 2021-08-31 2023-03-07 충남대학교병원 Id 모듈을 이용한 클라우드 모바일 기반 장례식장 통합관리시스템
KR20230032778A (ko) 2021-08-31 2023-03-07 충남대학교병원 자동발주 서버를 포함한 클라우드 모바일 기반 장례식장 통합관리시스템
IT202100023408A1 (it) 2021-09-10 2023-03-10 Ricordati Di Me Srl Piattaforma per la gestione di ricordini funebri digitali
KR102641886B1 (ko) 2023-03-03 2024-02-27 신경희 3d 조형물을 활용한 증강현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4771A (ko) 2022-09-29 2024-04-05 차민우 메타버스를 이용한 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304A (ko) 2017-10-18 2019-04-26 헤라비스 주식회사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족회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072A (ja) * 2002-05-13 2003-11-21 Yappa Corp 仮想墓地開園システム
KR100682105B1 (ko) * 2005-01-07 2007-02-15 한명환 납골묘 잠금장치의 도난방지시스템
KR20120119586A (ko) * 2011-04-22 2012-10-31 사단법인 하이패밀리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072A (ja) * 2002-05-13 2003-11-21 Yappa Corp 仮想墓地開園システム
KR100682105B1 (ko) * 2005-01-07 2007-02-15 한명환 납골묘 잠금장치의 도난방지시스템
KR20120119586A (ko) * 2011-04-22 2012-10-31 사단법인 하이패밀리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74A (ko) 2021-08-31 2023-03-07 충남대학교병원 Id 모듈을 이용한 클라우드 모바일 기반 장례식장 통합관리시스템
KR20230032778A (ko) 2021-08-31 2023-03-07 충남대학교병원 자동발주 서버를 포함한 클라우드 모바일 기반 장례식장 통합관리시스템
IT202100023408A1 (it) 2021-09-10 2023-03-10 Ricordati Di Me Srl Piattaforma per la gestione di ricordini funebri digitali
KR102410670B1 (ko) *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추모용 가상공간을 활용한 사이버 추모 서비스 제공방법
KR20240044771A (ko) 2022-09-29 2024-04-05 차민우 메타버스를 이용한 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41886B1 (ko) 2023-03-03 2024-02-27 신경희 3d 조형물을 활용한 증강현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569A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708B1 (ko)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US92083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ng a keyphrase with an image
JP5159381B2 (ja) 画像配信システム
US7600679B2 (en) Automatic guidance of visitor in new facility through access control system integration with LCD display
US87989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aborative collection, assignment, visualization, analysis, and modification of probable genealogical relationships based on geo-spatial and temporal proximity
US8433344B1 (en) Displaying a tier of risk in a region of a map displayed via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30332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iniscing to and venerating the deceased in a memorial facility
US94658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nterred remains
US92004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unmarked burial site
US200801957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at inaccessible locations
US20180089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Indoor Views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7033192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40309925A1 (en) Visual positioning system
Owaidah Hajj crowd management via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 case of The Hajj event, Saudi Arabia
KR101411070B1 (ko) 장례 시스템
US9128936B1 (en) Life of achievement
US73959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at remote locations
Hammond The politics of perspective: subjects, exhibits, and spectacle in Taksim Square, Istanbul
CN106780183A (zh) 基于ar增强现实技术和游人保护的开放式鸟类游园系统
KR20120119586A (ko)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CN109426953A (zh) 室内安放墓的墓地运营系统及其方法
KR101511245B1 (ko) 가상 자물쇠 제공 시스템
KR20140132457A (ko) 고인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장치
KR101133004B1 (ko)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3925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사물의 위치찾기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