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586A -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 Google Patents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586A
KR20120119586A KR1020110037624A KR20110037624A KR20120119586A KR 20120119586 A KR20120119586 A KR 20120119586A KR 1020110037624 A KR1020110037624 A KR 1020110037624A KR 20110037624 A KR20110037624 A KR 20110037624A KR 20120119586 A KR20120119586 A KR 2012011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ceased
identification unit
digital media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길원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하이패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하이패밀리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하이패밀리
Priority to KR102011003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586A/ko
Publication of KR2012011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묘비와 같은 추모 장치에 식별 유닛을 부착하여 원격으로 저장된 고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식별 유닛은 연결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독출하면 연결정보를 통해 고인의 정보가 포함된 원격 서버와 같은 장치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디지털 미디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 혹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고인의 디지털 전자파일 형태의 다양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A memorial device with an identification unit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deceased}
본 발명은 고인의 추모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식별 유닛이 포함된 추모 장치와 관련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인의 후손들은 자신의 조상을 기리기 위해 묘지를 방문하고 추모하는 의식을 가지곤 한다. 반드시 묘지 형태가 아니더라도 수목장, 납골당, 심지어 화장이더라도 후손들은 고인을 기리기 위한 장소를 따로 마련한다.
시대 변화에 따라 묘지 문화도 점점 바뀌어 대규모 납골당, 화장장, 수목장 등이 포함된 추모 공원의 형태로 장묘 문화가 바뀌고 있다.
이러한 장묘 형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고인이 묻히는 장소에 위치하는 묘비나 화장, 납골 위치에 세우는 묘비와 같은 고인의 식별표지에 포함되는 고인에 관한 정보는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고인의 성명, 생전 기간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고, 간혹 추가적인 정보가 기재된다 하더라도 간단히 시나 한 문장 정도의 기술이 대부분이다.
부모가 자녀들에게 조상을 소개하기 위해 자녀들을 이끌고 묘비를 찾는 경우에도 정작 부모 자신도 어렴풋하게 잊혀져 가는 기억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작고하신 증조부모나 조부모 등 조상을 소개해 줄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어서 자라나는 자녀가 자신의 조상에 관한 생생한 체험을 하기도 힘들고 자신의 선대 핏줄에 관한 막연한 인상 만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디지털 시대가 도래함에도 묘장 문화와 가문을 알아가는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내력 정보는 지극히 제한되어 있고 후손들은 조상에 대한 인식이나 가족애를 되새기는데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단순한 고인을 기리기 위한 비석 만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닌 좀더 상세한 고인의 정보를 알수 있도록 묘비나 기타 수목장 등에 인식이 가능한 식별 표지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할 수 있는 매개 방식에 따른 추모 장치와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 장치로 하여금 리딩할 수 있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이 부착된 추모 장치에 의해 식별되는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는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이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연결정보 리더기, 상기 연결정보를 분석하여 원격 서버에 상기 연결정보에 따른 고인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고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유닛 및 상기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을 리더기를 통해 읽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장치가 상기 식별 유닛에 포함된 연결정보를 통해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장치가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장치 및 고인의 정보 표시 방법을 통해 고인의 묘비와 같은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을 통해 고인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후손들이 고인이 된 조상에 관한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별 표지가 부착된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인에 대한 추모를 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은 제사이든 추모예배이든 늘 가족 단위의 연례 행사 중 하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추모 의식은 가정에 모여서 하기도 하지만 고인의 후손들이 직접 고인이 매장되어 있는 장소를 찾아가 진행되기도 한다.
자녀를 대동하여 선조의 묘소를 방문하게 되면 그곳에는 보통의 묘지와 함께 묘비, 또는 최근 그린 장묘 문화에 따른 수목, 잔디, 화초 등이 존재하게 된다. 아예 가족을 위해 하나의 공간을 마련하는 납골당이라는 형태도 존재한다.
위에서 기술한 것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장묘방식이 있는데, 어떠한 형태이든 간에 고인을 기리는 무언가의 표지는 있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위 예에서 묘비 같은 경우에는 묘비에 고인의 이름, 필요에 따라 호, 생전 기간 등이 새겨져 있다. 조금 더 내용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살아 생전 고인의 행적이나 가족들이 고인을 기억하는 간단한 문구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묘비에 새겨진 간단한 정보는 고인을 기린다는 상징적 의미 외에는 데리고 간 어린 자녀이며 고인을 기억하지도 못하는 후손들에게 고인을 설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정보일 수 밖에 없고 고인에 대해서 생생한 내용을 전달하기에는 제약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람들이 살아 생전에 많은 디지털 사진 파일, 동영상, 전자기록 파일 형태로 자신에 관한 다양한 기록들을 반영구적으로 남길 수 있게 되었다. 사람들은 이러한 기록들을 자신의 블로그에서 공개해 놓기도 하고 아니면 다양한 웹 서비스에 개시해 놓기도 한다.
이러한 생전 기록들을 전자 파일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전자 파일들을 하나의 서버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묘비나 수목장의 수목, 납골당 등에 식별 표지를 부착하고 이러한 식별 표지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를 장착한 장치를 통해 식별 표지를 읽어서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고인의 발자취를 볼 수 있다면 자녀들에게도 훌륭한 가족 역사를 가르칠 수 있는 학습의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고, 가족들에게도 의미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별 표지가 부착된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전체 시스템(100)은 전통적으로 고인을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표식으로서 현제 시스템에서는 수목장의 수목(110), 그리고 그 수목(110) 상에는 식별표지(111)가 부착된다. 식별표지(111)는 일종의 식별 유닛으로서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가 이 식별표지(111)를 리딩하여 고인을 식별해 내든지 고인의 정보를 담은 원격 서버(130)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는 상기의 식별표지(111)를 리딩할 수 있는 연결정보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매장 방식은 수목장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다른 다양한 형태의 매장방식도 채용될 수 있다. 즉, 단순한 묘비가 서있는 전통적인 방식, 납골당 등이다.
식별표지(111)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QR코드, 바코드, 3차원 바코드, RFID 태그 등이 예가 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웹사이트 연결 링크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의해 독출될 수 있고 독출된 정보가 특정 서버에 연결되어 고인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모두 식별표지(111)가 될 수 있다. 식별표지(111)는 묘비나 수목(110), 납골당의 경우 고인의 유해가 담긴 분리된 함 등, 고인이 안치된 장소에 특별히 세워진 추모를 위한 독립 장치에 부착되고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로 하여금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서버(130)와 연결되도록 한다.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표지(111)를 리딩할 수 있는 연결정보 리더기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최근 추모공원에서와 같이 가족 단위의 공간을 따로 배정받는 경우, 공간 내부에는 고인이 화장된 후 재를 담은 함이나 납골함 등의 형태로 여러 고인들이 함께 하나의 공간에 안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그러한 방과 같은 내부 공간에서는 고정된 디지털 미디어 기기를 놓고 식별표지를 읽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 시스템은 고인의 다양한 정보(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15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15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야외에 있는 매장방식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에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바로 고인의 여러가지 정보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는 휴대용 기기이면서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폰과 같은 기기가 적합할 것이다.
원격 서버(130)에는 고인의 정보가 담겨있다. 미리 고인은 살아 생전에 원격 서버(130)에 다양한 콘텐츠를 실어놓을 수 있다. 디지털 사진, 동영상, 자신의 일기가 적힌 문서 파일, 후손에게 남기고 싶은 말 등 다양한 콘텐츠가 원격 서버(130)에 실릴 것이다. 물론 고인이 생전에 해 놓지 못하였다면 가까운 후손이 고인을 기리기 위해 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원격 서버(130)에 심어 놓을 수도 있다. 이 디지털 정보는 블로그나 웹 사이트 내지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일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이러한 고인의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가 식별표지(111)를 독출할 때 해당 원격 서버(130)로 연결되고 그 내부에 포함된 고인의 정보가 되는 콘텐츠는 지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40) 또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120)에 표시된다는 것이다.
고인의 정보가 담긴 콘텐츠는 웹 사이트와 같은 방식도 가능하다고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다양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는데 갤러리, 고인의 글, 동영상 등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디지털 미디어 장치(200)는 연결정보 리더기(210), 송수신 유닛(220) 및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포함한다. 당연히 디지털 미디어 장치(200)에서는 상기 리더기(210), 송수신 유닛(220) 및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20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장치가 전형적인 예이다.
연결정보 리더기(210)는 묘비와 같은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이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식별 유닛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나 바코드, 3차원 바코드, RF 태그 등과 같은 식별 코드가 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의 식별 유닛은 어떤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 유닛(220)은 식별 유닛에 포함된 연결정보를 분석하여 원격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연결정보에 따른 고인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고인의 정보를 수신한다. 연결정보는 프로세서(240)가 분석을 담당할 수 있다.
송수신 유닛(220)이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고인의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240)는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표시한다.
고인의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디지털 전자 파일 형식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의 웹 사이트 연결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을 리더기를 통해 읽는다(S310).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상기 식별 유닛에 포함된 연결정보를 통해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다(S320).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리더기가 포함된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S330).
디지털 미디어 장치는 이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고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340).
상기의 과정을 통해 묘역을 찾은 후손들은 살아 생전 고인의 모습을 보며 가정의 내력을 확인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고인을 잘 알던 후손은 고인을 회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20; 디지털 미디어 장치
130; 원격 서버
140; 디스플레이 장치
200; 디지털 미디어 장치
210; 연결정보 리더기
220; 송수신 유닛
230; 디스플레이 유닛
240; 프로세서

Claims (8)

  1. 디지털 미디어 장치로 하여금 리딩할 수 있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 식별 유닛이 부착된 추모 장치에 의해 식별되는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는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유닛은 QR코드, 바코드, 3차원 코드 및 RFID용 태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
  4.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이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연결정보 리더기; 및
    상기 연결정보를 분석하여 원격 서버에 상기 연결정보에 따른 고인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고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유닛; 및
    상기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리더기는 QR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3차원 코드 및 RFID 리더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의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고,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 웹 사이트 연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장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장치.
  8. 추모 장치에 부착된 식별 유닛을 리더기를 통해 읽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장치가 상기 식별 유닛에 포함된 연결정보를 통해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포함된 장치가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인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 장치를 통해 고인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110037624A 2011-04-22 2011-04-22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KR20120119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24A KR20120119586A (ko) 2011-04-22 2011-04-22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24A KR20120119586A (ko) 2011-04-22 2011-04-22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586A true KR20120119586A (ko) 2012-10-31

Family

ID=4728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624A KR20120119586A (ko) 2011-04-22 2011-04-22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5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57B1 (ko) * 2013-05-14 2015-01-07 이희순 망자 추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5708B1 (ko) * 2013-01-17 2015-07-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KR102031003B1 (ko) * 2018-10-29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을 이용한 추모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005008A (ko) 2021-06-30 2023-01-09 임진영 고인 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08B1 (ko) * 2013-01-17 2015-07-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KR101479057B1 (ko) * 2013-05-14 2015-01-07 이희순 망자 추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1003B1 (ko) * 2018-10-29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물을 이용한 추모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005008A (ko) 2021-06-30 2023-01-09 임진영 고인 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4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unmarked burial site
US9690960B1 (en) Memorial data system
US63409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resenting life stories
US20130332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iniscing to and venerating the deceased in a memorial facility
KR101535708B1 (ko)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KR20120119586A (ko) 고인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추모 장치
US72546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at inaccessible locations
US89674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tems by means of longwave, magnetic signal tagging
KR20120051139A (ko) 추모정보 제공 방법
Maciel et al. Interacting with digital memorials in a cemetery: Insights from an immersive practice
CA2397056C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at remote locations
US20210279830A1 (en) Commemorative System and Method
US20180329946A1 (en) Personal narrative accessing system
KR101737467B1 (ko) 사후 시점 및 초청 조문객별 메시지 발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후 메시지 발송 방법
US2023002303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QR Codes for Accessing Life Details of a Deceased Person
KR20120052675A (ko) 정보코드를 통한 유실사체에 대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CA2900720C (en) Life of achievement
US20210211608A1 (en) Remote gravesite experience system
KR20110018500A (ko) 전자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납골당 추모장치
KR20140132457A (ko) 고인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장치
Marschall Zulu heritage between institutionalized commemoration and tourist attraction
Huh et al. A Design of Foundation Technology for PLC-based Smart-grave (Tumulus) System
US20240028852A1 (en) QR Code Memorial Device
CN103258304A (zh) 多功能扫墓服务系统
KR20010000367A (ko) 장묘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