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004B1 -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004B1
KR101133004B1 KR1020100093042A KR20100093042A KR101133004B1 KR 101133004 B1 KR101133004 B1 KR 101133004B1 KR 1020100093042 A KR1020100093042 A KR 1020100093042A KR 20100093042 A KR20100093042 A KR 20100093042A KR 101133004 B1 KR101133004 B1 KR 10113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mobil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583A (ko
Inventor
강장묵
조성광
송유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기술과 GPS 기술을 이용하여,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유?무선통신회선을 통해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등록을 인가하는 (a)단계;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GPS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는 (b)단계; 관리서버에서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c)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Cemetery Management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기술과 GPS 기술을 이용하여,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전산관리 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여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공원묘지, 사설묘지 등의 현황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전산화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는 묘지가 설치된 지역과 시설명, 묘지 현황정보(소재지, 설치기관, 관리기관, 담당자, 연락처, 분묘형태, 면적 및 규격, 매장현황 등을 포함), 묘지사진 등을 아우르며, 이러한 정보는 묘적조회에 의해 고인의 가족들이나 관계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개인 묘지 등의 경우에는 대(代)가 지남에 따라, 묘지의 위치에 대한 자손들의 기억이 정확하지 않게 되고, 수풀이 우거지거나 토목?건축공사 또는 자연재해에 의해 주변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묘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장기간 방치되는 분묘가 늘어나는 실정이다.
한편,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이미 일상생활 속에서 범용화되어 가고 있는 바, 교류와 소통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정서 및 문화와 잘 어우러져 이 시대의 새로운 풍속도를 만들어 가는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본 발명 역시, 무선인터넷 기술과 GPS 기술을 우리 전통문화와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묘지의 전산관리 수준을 넘어 회원이 필요로 하는 때에 언제든지 묘지의 위치정보, 제례(祭禮) 관련 정보, 족보, 조상의 주요 이력이나 업적 등 전통 가족문화와 장묘문화에 관련된 각종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PS 기술을 묘지의 위치정보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들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특허 제0331092호는 발명의 명칭을 "인공위성/지적/측지 체계를 이용한 묘지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는 특히 GPS 체계에 의하여 묘지 위치를 데이터화 한 후 묘지관리 대장 파일을 작성하여 묘지 내용에 대한 전산화를 꾀함으로써 효율적인 국토관리와 과학적인 묘지 관리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묘지를 관리하는 기관(지방자치단체 등) 또는 단체(종중 등)의 관리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개개인이 조상의 묘를 쉽게 관리하고, 생활 속에서 언제나 조상과 가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개념과는 큰 차이가 있다.
2. 공개특허 2007-0039250호는 발명의 명칭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사물의 위치찾기 시스템 및 방법"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정 사물에 식별자정보(ID) 및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RFID태그를 부착해 놓은 상태에서, RFID리더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사물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읽어서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수신된 태그정보와 지도정보를 저장한 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그 특정 사물의 위치를 요구할 때에, 태그정보를 기초로 맵과 위치표시를 작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된 맵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사물위치로 이동하여 RFID태그를 읽어들임으로써, 특정 사물의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 기술에서 지칭하는 "특정 사물"에 "묘지" 또는 "묘비"를 대입하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묘지 또는 묘비의 위치찾기 시스템 및 방법"을 도출해 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관련지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 기술의 적용을 위해서는 묘지 또는 묘비에 RFID태그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는 RFID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 묘비 또는 묘비에 RFID태그를 부착시킨다는 것이 한국인의 전통적인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점, RFID태그의 분실, 도난 시에는 목적달성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어 위와 같은 문제가 전혀 없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3. 등록특허 제0810153호는 발명의 명칭을 "지피에스를 이용한 묘지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으로 하는 것으로서, 묘지 관리를 위한 서버에 묘지의 GPS 좌표 데이터, 지도, 묘지 사진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네비게이터를 구비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시에 그 GPS 정보를 사용자 네비게이터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그 GPS 정보에 의하여 묘지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함과 동시에 개장할 수 있도록 하는 GPS를 이용한 묘지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기술에서의 "네비게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생각한다면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묘지의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유사점이 있으나, 위 발명은 서버에서 네비게이터로 일방적 정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동통신단말기"라는 기기적 특성을 활용하여 관리서버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쌍방향 소통에 중점을 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4. 공개특허 제2008-0050837호는 발명의 명칭을 "관심위치 등록방법 및 그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로 하는 것으로서, 주행중 장소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촬영된 장소의 GPS정보에 매칭하여 디지털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파일을 관심위치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네비게이션 장치의 메뉴항목 중 관심위치정보에 등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이 특정 장소를 촬영한 이미지를 GPS정보와 매칭하여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묘지의 사진을 GPS정보와 매칭시켜 활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기술구현의 시발점은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국한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정보교류 방법과는 무관하므로 본 발명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묘지에 별도의 식별수단을 부착해 두지 않고, 묘지를 촬영한 이미지와 GPS정보를 기초로 각종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유?무선통신회선을 통해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등록을 인가하는 (a)단계;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GPS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는 (b)단계; 관리서버에서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c)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단계는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에 식별이미지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는 항공사진 또는 디지털그래픽을 조합한 대한민국 전역의 전자맵이 구축된 것이거나, 이미 전자맵이 구축된 서버와 연계된 것이고, 상기 (c)단계는 관리서버에서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자맵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맵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리 대상 묘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단계 이후에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벌초작업신청을 접수하여, 인가하는 (b-1)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상대로 시행되고, 상기 (d)단계 이후에는, 관리서버가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d-1)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는 (d-2)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에는 고인이 생존중에 녹음한 음성데이터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상대로 시행되고, 상기 (d)단계는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신호를 송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음성데이터를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에는 관리 대상 묘지의 지리정보, 묘지 주변의 환경정보, 고인에 대한 인물정보, 회원의 가문정보, 제례(祭禮)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c)단계는 관리서버가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요청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송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묘지에 별도의 식별수단을 부착해 두지 않고, 묘지를 촬영한 이미지와 GPS정보를 기초로 각종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므로, 장묘문화상의 정서에 반하는 일 없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는 별도의 단말기 구입없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용화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서비스 이용자가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고, 벌초작업등의 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장기간 방치되는 묘지를 최소화하고, 첨단기술을 이용한 일자리 창출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본 개념도이다.
[도 2]는 전자맵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관리 대상 묘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서비스 제공화면과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상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벌초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등록을 인가하는 (a)단계;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와 GPS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는 (b)단계; 관리서버에서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c)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a)단계는 관리서버에서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등록을 인가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묘지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은 관리서버에 회원등록 요청을 한다. 특정 개인은 PC,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등으로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등록 요청을 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 운영자 측에 전화로 요청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요청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에서는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온라인 상에서 본인인증, 성인인증 등을 거쳐 회원등록을 인가할 수 있으며, 회비 또는 수수료를 받은 후 회원등록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서버 운용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해둘 수 있다.
본 발명의 (b)단계는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지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GPS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 운영자로부터 위임을 받은 작업자 또는 회원은 관리 대상으로 정한 기존의 묘지 또는 신설 묘지를 촬영하여 그 촬영 이미지를 관리서버에 송신한다. 이 때, 관리서버에서는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와 함께 관리 대상 묘지의 GPS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한다. 묘지의 GPS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는, 1) GPS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통해 GPS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유?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송신하는 방법, 2) 사진촬영과 함께 피사체의 GPS정보가 기록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회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이미지 송신과 함께 GPS정보가 송신되도록 하는 방법, 3) 이미지 송신지(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파악되는 GPS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향후 GPS기술과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른 개선된 방법까지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는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에 식별이미지를 부가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이미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故 ○○○님의 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에 위와 같은 식별이미지를 부가함으로써, 주변의 유사한 묘지와 구분하여 그 위치가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단계는 관리서버에서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는 관리 대상 묘지를 찾고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이는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벌초작업자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일 수도 있다. 본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d)단계는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이미지 요청신호를 발신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묘지를 찾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묘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는 알고 있다 하더라도, 주위의 다른 묘지들과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다운받아 이미지와 실제 묘지를 비교해 보며 정확한 묘지의 위치를 찾아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을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GPS기술을 이용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상기 관리서버에 항공사진 또는 디지털그래픽을 조합한 대한민국 전역의 전자맵이 구축되어 있거나, 상기 관리서버가 이미 전자맵이 구축된 서버와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묘지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신호를 발신하면((c)단계), 관리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자맵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맵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리 대상 묘지 위치정보를 제공한다((d)단계). 이러한 서비스 제공에 의해 관리서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상황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람신호(음악, 진동, 램프점멸 등)를 전달하도록 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관리 대상 묘지를 간과하고 지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맵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관리 대상 묘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서비스 제공화면과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상황에 대한 예시도이다.
[실시예 2]
형제가 많지 않은 회원은 조상 묘지의 벌초작업을 전부 직접 수행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실시예 2]는 회원이 자신의 조상이나 가족의 묘지를 직접 돌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b)단계를 거쳐 관리서버가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촬영 이미지와 GPS정보를 취득한 상태에서, 회원의 벌초작업신청을 접수한 경우, 회원본인인증, 전산결제 등의 과정을 거쳐 위 작업신청을 인가((b-1)단계)한 후에 관리서버 운영자 측에서 인력(벌초작업자)을 파견하여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을 진행토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벌초작업자가 관리 대상 묘지를 찾기 위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즉, 관리서버와 신호를 주고 받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이다. 벌초작업자가 위의 본 발명 내용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 묘지를 찾은 후에는 벌초작업을 진행하고, 벌초작업을 완료한 상태는 회원이 즉시 체크해 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상기 (d)단계 이후에는, 관리서버가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d-1)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는 (d-2)단계; 룰 거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벌초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3]
고인에 대한 추억은 사진으로 남겨두지만, 고인의 음성을 남겨두는 경우는 흔치 않다. 한편, 세상 속에서 어려운 일을 겪거나 기쁜 일이 있을 때 조상의 묘소를 찾아 인사를 드리고 마음을 가다듬거나 생각을 정리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실시예 3]은 고인이 묻혀 있는 묘지 앞에서 고인이 생존중에 남겨둔 음성멘트를 들려 줌으로써, 고인의 정을 더욱 애절히 느끼고, 고인의 뜻을 더욱 깊게 새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리서버에는 고인이 생존중에 녹음한 음성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음성데이터는 간단한 환영인사 멘트에서부터 인생살이에 필요한 조언, 격려의 메세지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해 둘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이르러,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신호를 송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음성데이터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회원이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지고 관리 대상 묘지 가까이 가면, 관리서버에서 자동적으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를 걸게 되고, 회원이 전화를 받으면 묘지에 안장된 고인의 메세지가 전화통화하는 것처럼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든 제공받도록 할 수도 있으나, 고인이 안장된 묘지에 찾아간 경우에 한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때, 회원이 고인의 묘지를 한번이라도 더 찾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는 결국 고인에게도 효를 다하는 미풍양속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촉매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관리 대상 묘지에 관한 각종 정보, 관리 대상 묘지에 안장된 고인에 관한 각종 정보, 회원의 가문정보, 제례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을 수시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관리서버에 관리 대상 묘지의 지리정보, 묘지 주변의 환경정보, 고인에 대한 인물정보, 회원의 가문정보, 제례(祭禮)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본 서비스는 상기 (c)단계에서 관리서버가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d)단계서는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요청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송신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없음

Claims (7)

  1. 관리서버에서 회원등록 요청을 접수하여, 등록을 인가하는 (a)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고인이 생존중에 녹음한 음성데이터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에 항공사진 또는 디지털그래픽을 조합한 대한민국 전역의 전자맵이 구축되어 있거나, 이미 전자맵이 구축된 서버와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의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를 GPS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저장하는 (b)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미지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서버에서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c)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자맵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맵에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리 대상 묘지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음성데이터를 송출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b)단계는 관리서버에서 관리 대상 묘지의 촬영 이미지에 식별이미지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관리 대상 묘지에 사전 설정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b)단계 이후에는,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벌초작업신청을 접수하여, 인가하는 (b-1)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상대로 시행되고,
    상기 (d)단계 이후에는, 관리서버가 벌초작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d-1)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관리 대상 묘지의 벌초작업 후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는 (d-2)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관리 대상 묘지의 지리정보, 묘지 주변의 환경정보, 고인에 대한 인물정보, 회원의 가문정보, 제례(祭禮)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c)단계는 관리서버가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관리서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요청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송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00093042A 2010-09-27 2010-09-27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3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42A KR101133004B1 (ko) 2010-09-27 2010-09-27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42A KR101133004B1 (ko) 2010-09-27 2010-09-27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83A KR20120031583A (ko) 2012-04-04
KR101133004B1 true KR101133004B1 (ko) 2012-04-09

Family

ID=4614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42A KR101133004B1 (ko) 2010-09-27 2010-09-27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93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영거제이영 Ai 기반 가상 디지털 묘지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30A (ko) * 1999-04-30 2000-01-15 유진명 인공위성/지적/측지체계를이용한묘지정보관리시스템
KR20070122187A (ko) * 2007-12-06 2007-12-28 주식회사 동원측량콘설탄트 지피에스 및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묘적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0810153B1 (ko) * 2006-10-31 2008-03-06 김복래 지피에스를 이용한 묘지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30A (ko) * 1999-04-30 2000-01-15 유진명 인공위성/지적/측지체계를이용한묘지정보관리시스템
KR100810153B1 (ko) * 2006-10-31 2008-03-06 김복래 지피에스를 이용한 묘지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070122187A (ko) * 2007-12-06 2007-12-28 주식회사 동원측량콘설탄트 지피에스 및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묘적시스템의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93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영거제이영 Ai 기반 가상 디지털 묘지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83A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3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aborative collection, assignment, visualization, analysis, and modification of probable genealogical relationships based on geo-spatial and temporal proximity
US92004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unmarked burial site
US20110309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at inaccessible locations
KR101535708B1 (ko) Web 2.0 가상·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묘지와 위인/고인 추모 플랫폼 구축 방법 및 장치
JP2008027336A (ja) 位置情報配信装置、カメラ、位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76700B2 (ja) 災害用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災害用情報管理方法
JP2012003738A (ja) 異常事態対応システム
KR101133004B1 (ko) 묘지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02373168A (ja) 位置情報に基づく画像検索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810153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묘지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US9053147B2 (en) Address-based historical data research tool
KR100331092B1 (ko) 인공위성/지적/측지 체계를 이용한 묘지정보 관리 시스템
Abdullah et al. Development of Muslim graveyard management system (MGMS) using geospatial technology applications
KR2000007229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묘소 운용방법
KR2007003925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사물의 위치찾기 시스템 및방법
KR101016084B1 (ko) 관심지점이 표현되는 지도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arvis Mapping Cambodia’s ‘killing fields’
JP2019016100A (ja) データ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プログラム
Lemmen et al. Exploring options for standardization of processes and transactions in land administration
TW200828956A (en) Mobile apparatus, geography data system and geography data acquiring method
JP2015165856A (ja) 故人情報取得表示システム
US20140136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ales leads for cemeteries utilizing three-hundred and sixty degree imagery in connection with a cemetery database
JP2006004006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Hunter et al. Who Lies Where?
AKEH et al. Developing A Property Information System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777 Housing Estate Maiduguri, Borno State,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