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58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587B1
KR101535587B1 KR1020130159286A KR20130159286A KR101535587B1 KR 101535587 B1 KR101535587 B1 KR 101535587B1 KR 1020130159286 A KR1020130159286 A KR 1020130159286A KR 20130159286 A KR20130159286 A KR 20130159286A KR 101535587 B1 KR101535587 B1 KR 10153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noise
steering motor
measurement information
sound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2497A (en
Inventor
김용규
박영순
이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587B1/en
Publication of KR2015007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5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차량 내부에 구비된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고, 소음 정도에 따른 운전자 집중도를 판단하여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re disclosed.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for measuring the noise level in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acoustic data measured using the acoustic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 / RTI >

Description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실시예는 차량 내의 음량을 기반으로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ing motor based on a volume in a vehicl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전동식 조향장치(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을 모터의 동력으로 보조하여 원활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압식 조향장치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고, 엔진의 동력을 소모하지 않아 많이 사용되고 있다. The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is a system that assists the steering operation force of the driver with the power of the motor to enable smooth steering. The structure is simple compared with the hydraulic steering system, and the engine is not powered It is widely used.

전동식 조향장치는 차량의 제작시에 통상 표준적인 운전자의 운전 특성에 맞추어 핸들 조작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각종 제어값이 설정되어 있어 운전자가 편안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has various control values set to assist steering operation force according to the normal driver 's driving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which helps the driver to operate the vehicle comfortably.

다만, 기존의 전동식 조향장치는 기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동작할 뿐, 차량의 실내 환경 또는 운전자의 주행 집중도 등의 조건을 반영하여 조향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existing electric steering apparatus operates on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valu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ering can not be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vehicle or the driving concentration of the driver.

본 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고, 소음 정도에 따른 운전자 집중도를 판단하여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oise level inside the vehicle is measured based on the sound data measured by using the acoustic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sound level based on the noise level There is a main purpose of providing a steering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음향센서가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부;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판단 처리부;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sound data acquisition system comprising: a sound data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sound data obtained by measuring a sound in a vehicle; A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internal sound level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ound data and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음향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과정;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내부소음 판단과정;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과정;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data acquisition method for acquiring sound data measured in a vehicle from an acoustic sensor; An internal noise determination step of measuring internal noise level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ound data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 음량에 따라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내 소리를 측정하여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향센서; 상기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부;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판단 처리부;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상기 조향모터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핸들 조작력의 보조 동력을 출력하는 조향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that controls a steering motor in accordance with an internal volume of a vehicle, comprising: an acoustic sensor for measuring sound in a vehicle to generate acoustic data; An acoustic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sound data measured in the vehicle from the acoustic sensor; A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internal sound level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ound data and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 steering motor for outputting an auxiliary power of steering wheel operating force by using electric power applied from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구비된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운전자 집중도를 판단하여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경우, 조향모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based on the acoustic data measured by using the acoustic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the steering motor is controll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There is an induction effect.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은 음향센서(110), 조향모터 제어장치(120) 및 조향모터(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향데이터 획득부(130), 판단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동작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의 구성요소들은 버스(Bus, 12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122)는 장치 내부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노드, 모듈 등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로서,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필드 버스(Field Bus) 등의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고, 스타형, 망형, 링형, 메시형, 트리형 등의 유선 구조의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122)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RS485 버스, VME(Versa Module Eurocard) 버스, 멀티버스(Multibus) 등의 버스 시스템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버스 시스템 및 유무선의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oustic sensor 110, a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nd a steering motor 170. [ The steering motor control unit 120 includes an acoustic data acquisition unit 130, a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The components of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122. [ The bus 122 is a communication path for connecting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 node, a module, and the like in the apparatus to an address bus, a data bus, a control bus, a field bus Field bus,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a star type, a mesh type, a ring type, a mesh type, a tree type,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network structure. The bus 122 may be implemented with a bus system such as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an RS485 bus, a Versa Module Eurocard (VME) bus, a Multibus bus, have.

음향센서(110)는 차량 내에 구비되어 소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말한다. 음향센서(110)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여 생성된 음향데이터를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음향데이터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탑승자 음성, DMB, 오디오 등의 소리, 차량 소음, 브레이크 소리 등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The acoustic sensor 110 refers to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for measuring sound. The sound sensor 110 measures the magnitude of sound generat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data to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Here, the sound data refers to data on occupant voice, DMB, audio, etc., vehicle noise, break sound, etc. generated in the vehicle.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향센서(110)로부터 음향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결정된 운전자 집중도에 따라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내부소음 정도는 dB 단위로 측정된 음향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의미한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quires sound data from the sound sensor 110, measures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sound data,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er concentration. Here,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refers to a noise level generated by comparing sound data measured in dB units with predetermined criteria.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음향데이터 획득부(130)는 음향센서(110)로부터 음향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음향데이터 획득부(130)는 유선으로 음향센서(110)와 연결되어 음향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음향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The sound data acquisition unit 130 acquires sound data from the sound sensor 110. Here, the sound data acquisition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ound sensor 110 through a wired line to acquire sound data. However, the sound data acquisition unit 130 may acquire sound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have.

판단 처리부(140)는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단 처리부(140)는 음향데이터 획득부(130)로부터 음향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measures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based on the sound data and generates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ound data from the sound data acquisition unit 130 and measures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ound data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do.

판단 처리부(140)는 수신된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내부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판단 처리부(140)는 내부 소음 정도에 따라 '레벨 1', '레벨 2', '레벨 3' 등과 같이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한 소음', '중간 소음', '강한 소음' 또는 '약간 시끄러움', '매우 시끄러움' 등으로 구분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신된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50 dB'이고, 기 설정된 임계값이 '40 dB'인 경우, 판단 처리부(140)는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므로 '레벨 2'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compar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received sound data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volu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internal noise is generated and internal sound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Here,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generates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level 1', 'level 2', 'level 3'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iddle noise', 'strong noise', 'slight loudness', 'very noisy', and so on. For example, when the volume value of the received sound data is '50 dB' and the preset threshold value is '40 dB',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volume level of the sound dat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2 '. < / RTI >

제어부(15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기 설정된 소음 레벨과 비교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상이면,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조향 보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레벨 3'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소음 레벨(예: 레벨2)과 비교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레벨 이상이면,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의 10 %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보조력을 감소시키는 감소량은 기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소음 측정정보와 기 설정된 소음 레벨의 레벨 차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noise level and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if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Lt; / RTI > 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3' is received, th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noise level (e.g., level 2)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10% of the basic steering assist force can be generated. Here, the reduction amount for reduc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is preferably set beforeh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noise level.

한편, 제어부(15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하일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whe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동작 처리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처리부(160)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향모터로 출력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조향모터의 구동이 정규 동작 또는 저감 조정되도록 한다. 예컨대, 동작 처리부(160)는 조향 보조력의 10 %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90 %로 유지하도록 조향모터의 구동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performs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50. [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wer output to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is regulated or reduced.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 reducing 10% of the steering assist force,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so as to maintain the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normally driv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t 90% Can be reduced.

한편, 동작 처리부(160)는 조향모터(1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유압펌프 등으로 구동되는 조향모터인 경우, 유압, 유량 등도 조절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controls only the electric pow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170, in the case of a steering motor driven by a hydraulic pump or the like,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flow rate can also be adjusted.

조향모터(170)는 차량 조향시 운전자가 핸들에 가해야 하는 조작력의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다시 말해, 조향모터(170)는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핸들 조작력의 보조 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조향모터(170)는 전동식 조향장치(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에 포함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향을 보조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파워 조향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에 포함된 모터라면 그 어떤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Steering motor 170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part of the operating force that the driver has to apply to the steering wheel during steering of the vehicle. In other words, the steering motor 170 uses the electric power applied from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of the handle operating force. Here, the steering motor 170 is preferably a motor included in an electric motor-driven steering (MD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S (EPS), which provides power for assisting steering, Electric Power Steering) can be implemented in any form.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시스템은 음향센서(110), 조향모터 제어장치(120) 및 조향모터(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향데이터 획득부(130), 저장부(132), 음성 추출부(134), 판단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동작 처리부(160)를 포함한다.The steering mo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oustic sensor 110, a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nd a steering motor 170. [ The steering motor control unit 120 includes an acoustic data acquisi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32, a voice extraction unit 134, a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1B,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데이터 획득부(130)는 음향센서(110)로부터 음향데이터를 획득하는 구성 및 동작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cquiring sound data from the sound sensor 1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저장부(13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2 is a general data structure implemented in a storage space (hard disk or memory) of a computer system using a database management program (DBMS) Can be performed freel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2)는 획득한 음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32)는 음향데이터를 음향 측정시간, 음향데이터의 음량, 음향 측정위치 등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음향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and store the acquired sou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2 may store the sound data by classifying the sound data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such as an acoustic measurement time, a volume of sound data, and a sound measurement posi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추출부(134)는 저장부(132)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분석하여,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음성 추출부(134)는 음향데이터를 분석하여 음향데이터 중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DMB, 오디오 등의 소리, 차량 소음, 브레이크 소리 등을 제거하고, 탑승자의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성 추출부(134)는 생성된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내부 소음정보를 측정하도록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판단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The sound extracting unit 13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2 and extracts only the passenger voice among the sound data. More specifically, the voice extracting unit 134 analyzes the sound data to remove sound such as DMB, audio, etc. generated in the vehicle, vehicle noise, break sound, and the like from the sound data, extracts only the passenger's voice, And generates data. Here, the voice extraction unit 134 transmits the passenger voice data to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so as to measure the internal noise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passenger voice data.

판단 처리부(140)는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의 탑승자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단 처리부(140)는 음성 추출부(134)로부터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한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기로 차량 내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140 measures the degree of noise of the occupant in the vehicle based on the occupant voice data to generate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occupant voice data from which only the occupant's voice is extracted from the sound data from the voice extraction unit 134 and measures the degree of internal nois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occupant voice data Thereby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판단 처리부(140)는 수신된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과 비교하여,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내부 탑승자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판단 처리부(140)는 내부 탑승자 소음 정도에 따라 '레벨 1', '레벨 2', '레벨 3' 등과 같이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약한 소음', '중간 소음', '강한 소음' 등으로 구분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신된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40 dB'이고,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이 '20 dB'인 경우, 판단 처리부(140)는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 이상이므로 '레벨 2'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compar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received occupant voice data with a preset voice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internal occupant noise is generated when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ice volu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oice threshold value, . Here,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40 may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level 1', 'level 2', 'level 3', etc.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nal passenger noise, And 'strong noise', so that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received occupant voice data is '40 dB' and the predetermined voice threshold value is '20 dB',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140 judges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occupant voice data exceeds the predetermined voice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 및 동작 처리부(16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집중도에 따른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및 동작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음향데이터를 획득한다(S210). 여기서, 음향데이터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탑승자 음성, DMB, 오디오 등의 소리, 차량 소음, 브레이크 소리 등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cquires sound data for sound generated in the vehicle (S210). Here, the sound data refers to data on occupant voice, DMB, audio, etc., vehicle noise, break sound, etc. generated in the vehicle.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S220),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량 수치값을 기초로 차량의 내부 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S230). 예컨대, 수신된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50 dB'이고, 기 설정된 임계값이 '40 dB'인 경우,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므로 '레벨 2'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신규로 음향데이터를 획득하거나 기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mpar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volume of the sound data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step S220 and if th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volu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ternal noise level of the vehicle is measured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S230). For example, when the sound volume value of the received sound data is '50 dB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40 dB',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determines that the volum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2'. 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an acquire new sound data or update previously stored sound data when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상이면(S240),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조향 보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50). 예컨대,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레벨 3'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소음 레벨(예: 레벨2)과 비교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레벨 이상이면,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의 10 %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f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preset noise level (S240), the steering motor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S250).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3',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mpares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noise level (for example, level 2) ,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10% of the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can be generated.

한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하일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42). Meanwhile, whe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the steering motor control apparatus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S242).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S260). 예컨대,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조향 보조력의 10 %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90 %로 유지하도록 조향모터의 구동을 조정되도록 한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S260).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 reducing 10% of the steering assist force,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steering motor to maintain the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able motor at 90% So that the driving is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mo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음향데이터를 획득하고(S310), 획득한 음향데이터를 저장한다(S320). 여기서,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획득한 음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획득한 음향데이터를 음향 측정시간, 음향데이터의 음량, 음향 측정위치 등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음향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unit 120 acquires sound data for sound generated in the vehicle (S310), and stores the acquired sound data (S320). Here,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may classify and store the acquired sou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the obtained sound data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criterion such as an acoustic measurement time, a volume of sound data, And the sound data can be stored.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S33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분석하여 음향데이터 중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DMB, 오디오 등의 소리, 차량 소음, 브레이크 소리 등을 제거하고, 탑승자의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nalyzes the stored sound data and extracts the occupant voice data (S330). More specifically,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analyzes the stored sound data to remove sound of DMB, audio, etc., vehicle noise, brake sound, etc. generated in the vehicle from the sound data, extracts only the sound of the passenger And generates occupant voice data.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S340),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음량 수치값을 기초로 차량의 내부 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한다(S350). 예컨대, 수신된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40 dB'이고,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이 '20 dB'인 경우,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이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 이상이므로 '레벨 2'에 해당하는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mpares th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volume of the passenger voice data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step S340 and if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passenger voice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ternal noise level of the vehicle is measured based on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S350). For example, when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received occupant voice data is "40 dB" and the predetermined voice threshold value is "20 dB",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determines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occupant voice data is the voi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2'.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상이면(S360),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조향 보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70). If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noise level (S360), the steering motor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S370).

한편,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내부소음 측정정보가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하일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62).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S380).Meanwhile, whe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the steering motor control apparatus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S362).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S38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량 기반의 조향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olume-based steering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기 설정된 운전자 평균환경과 현재 차량 내부의 환경을 비교하여 내부 소음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40 dB'의 운전자 평균 환경정보와 '80 dB'의 현재 차량 내부의 환경정보(차량 내부에서 측정된 음향데이터)를 비교하여 시끄러운 정도를 판단하여 '매우 시끄러움'에 해당하는 내부 소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mpares the pre-set driver average environment with the environment inside the current vehicle to generate internal nois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ompares the driver average environment information of '40 dB'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ound data measured inside the vehicle) of '80 dB'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oise '.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생성된 내부 소음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 집중도를 추정한다. 예컨대,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매우 시끄러움'에 해당하는 내부 소음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운전자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estimates the driver concentration based on the generated internal nois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ery loud' is generated, the steering motor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concentration is low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면,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핸들의 조향을 무겁게 조정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경고 및 집중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모터 제어장치(120)는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면,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조향 보조력을 5 % 감소시키도록 조정하여 기 설정된 기본 조향모터의 구동에 따른 기본 조향 보조력에 비해 95 %의 조향 보조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2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to heavily adjust the steering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warning and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to the driver if the driver's concentration is estimated to be low. For example, when it is estim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the steering motor control apparatus 120 controls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so as to reduce the steering assist force by 5%, thereby controlling the basic steering assist force The steering assist force of 95% can be maintaine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음향센서 120: 조향모터 제어장치
130: 음향데이터 획득부 132: 저장부
134: 음성 추출부 140: 판단 처리부
150: 제어부 160: 동작 처리부
110: acoustic sensor 120: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130: Acoustic data acquisition unit 132:
134: voice extracting unit 140:
150: control unit 160:

Claims (15)

음향센서가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부;
상기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추출부;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상기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한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판단 처리부;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A sound data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sound data measured by a sound sensor in the vehicle;
A voice extracting unit extracting only the occupant's voice from the acoustic data to generate occupant voice data;
A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an internal noise level of the vehicle using the passenger voice data extracted based on the sound data;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Based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처리부는,
상기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data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처리부는,
상기 음량 수치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내부 소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개의 레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n internal noise has occurred and generates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one of a plurality of levels when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threshol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포함된 레벨을 기 설정된 소음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level included 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noise lev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포함된 레벨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상이면,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향 보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for decreas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when the level included 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향 보조력을 10 %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의 90 %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by 10% to maintain 90% of the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is low,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포함된 레벨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 이하이면, 기 설정된 기본 조향 보조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to operate with a predetermined basic steering assist force when the level included 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데이터를 소정의 기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성 추출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ou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od, wherein the sound extracting unit extracts only the occupant's voice from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the occupant's voice data,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처리부는,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상기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volume of the passenger voice data extracted based on the acoustic data with a predetermined voice threshold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처리부는,
상기 음량 수치값이 상기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내부 탑승자 소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 개의 레벨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one of a plurality of levels by determining that the internal passenger noise is generated when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oice threshold value.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음향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과정;
상기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추출과정;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상기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한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내부소음 판단과정;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과정;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
An acoustic data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sound data measured in the vehicle from an acoustic sensor;
Extracting only the passenger voice from the acoustic data to generate passenger voice data;
An internal nois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an internal noise level of the vehicle using the passenger voice data extracted based on the sound data;
A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ing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Based steering motor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음 판단과정은,
상기 음향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ternal noise determining process may include:
Where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of the sound data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과정은,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포함된 레벨을 기 설정된 소음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ignal generation process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level included 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a preset noise leve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데이터를 소정의 기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소음 판단과정은 상기 저장과정에서 저장된 상기 음향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상기 탑승자 음성 데이터의 음량 수치값을 기 설정된 음성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기반의 조향모터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ing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ou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od, wherein the internal nois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a sound volume numerical value of the occupant voice data extracted based on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storing step Wherei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noise threshold value with the voice threshold value.
차량의 내부 음량에 따라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내 소리를 측정하여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향센서;
상기 차량 내의 소리를 측정한 음향데이터를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음향데이터 획득부; 상기 음향데이터 중 탑승자 음성만을 추출하여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추출부; 상기 탑승자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내부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내부소음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판단 처리부; 상기 내부소음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조향모터의 조향 보조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조향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향모터 제어장치; 및
상기 조향모터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핸들 조작력의 보조 동력을 출력하는 조향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 A vehicle for controlling a steering motor according to an internal volume of a vehicle,
An acoustic sensor for measuring sound in the vehicle to generate acoustic data;
An acoustic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sound data measured in the vehicle from the acoustic sensor; A voice extracting unit extracting only the occupant's voice from the acoustic data to generate occupant voice data; A judg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internal sound level of the vehicle based on the occupant voice data and generating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teering assist force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internal nois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nd a steering motor for outputting an auxiliary power of steering wheel operating force by using electric power applied from the steering motor control device.
KR1020130159286A 2013-12-19 2013-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KR1015355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86A KR101535587B1 (en) 2013-12-19 2013-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86A KR101535587B1 (en) 2013-12-19 2013-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497A KR20150072497A (en) 2015-06-30
KR101535587B1 true KR101535587B1 (en) 2015-07-10

Family

ID=5351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286A KR101535587B1 (en) 2013-12-19 2013-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58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A (en) * 1995-06-16 1997-01-07 Fuji Heavy Ind Ltd Alarm device
JP2004217047A (en) * 2003-01-14 2004-08-05 Koyo Seiko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2008021177A (en) * 2006-07-13 2008-01-3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Dangerous cond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dangerous condition recorder
JP2010195072A (en) * 2009-02-23 2010-09-09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A (en) * 1995-06-16 1997-01-07 Fuji Heavy Ind Ltd Alarm device
JP2004217047A (en) * 2003-01-14 2004-08-05 Koyo Seiko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2008021177A (en) * 2006-07-13 2008-01-3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Dangerous cond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dangerous condition recorder
JP2010195072A (en) * 2009-02-23 2010-09-09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497A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4989B2 (en) Automotive audio equipment
JP5666383B2 (en) Sleepiness estimation apparatus and sleepiness estimation method
US10235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cel component noise using feedforward information
US9487060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4021913A (en) Driving support device
CN110059095B (en) Data updating method and device
JP2011143775A (en) Volume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5873964B2 (en) Vehicle approach notification device
EP2977986B1 (en) Audio command adaptiv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6956675B (en) Acoustically flexible fuel control regulator system
CN114215451B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wind vibration of vehicle window
KR101535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Motor Based on Volume
CN109544956A (en) A kind of car alarming audio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180229672A1 (en) Method for Operating Driver Assistance Systems in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72947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JP4977066B2 (en) Voice guidance device for vehicles
JP2009120013A (en) Equipment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59275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and method thereof
US20200198652A1 (en) Noise adaptive warning displays and audio alert for vehicle
KR1018426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arget sound using deep learning
EP3313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audio levels for car, home or public entertainment
KR20210073461A (en) Agent management device, program, and agent management method
SE145082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tinuous distance monitoring
KR2021006352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emergency bracking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JP2020158002A (en) Vehicle approach reporting device, vehicle, and vehicle approach repor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