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57B1 -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 Google Patents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57B1
KR101535257B1 KR1020130169095A KR20130169095A KR101535257B1 KR 101535257 B1 KR101535257 B1 KR 101535257B1 KR 1020130169095 A KR1020130169095 A KR 1020130169095A KR 20130169095 A KR20130169095 A KR 20130169095A KR 101535257 B1 KR101535257 B1 KR 10153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ead center
profile
friction
fricti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097A (ko
Inventor
염정국
문경섭
김호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캠 작용을 적용한 구동 메커니즘과 마찰디스크를 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모든 바퀴들에 대해 확실한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바퀴의 내측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출시 복수의 바퀴 내측면에 동시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바퀴가 자전 및 공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켜주는 마찰디스크와; 상기 마찰디스크의 내측면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마찰디스크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후단부에는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이동캠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이동캠의 후단부와 마주하되, 그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캠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회전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MULTI-WHEEL CARRIER FOR STAIRS WITH BREAKING FUNCTION}
본 발명은 계단 운반이 가능한 계단용 다륜 케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 작용을 적용한 구동 메커니즘과 마찰디스크를 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모든 바퀴들에 대해 확실한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바퀴의 구동에 의하여 하중이 큰 물건을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캐리어는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한 쌍의 바퀴가 달린 것으로 평지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계단을 오르내릴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평지는 물론 계단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캐리어에 관한 기술들이 실용신안공고 제1991-0005206호 및 특허출원 제1995-000039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의 프레임(1)에는 손잡이(2), 적재대(3), 굴림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굴림수단은 지지축(4), 지지판(5), 3개의 바퀴(6) 그리고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4)은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축(4)의 양단에는 2개의 지지판(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5) 사이에는 3개의 바퀴(6)가 지지축(4)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지지축(4)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4)은 체인(미도시)에 의하여 모터(미도시)의 축에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캐리어는 사람이 상기 손잡이(2)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 평지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면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 물류이송장치는 급하게 정지시킬 경우에는 즉시 정지되어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지는 물론 계단을 오르내리는 종래의 캐리어에는 브레이크가 없으므로 원하는 장소에서 즉시 정지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시중에 나와 있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경우 제동장치가 있는 제품도 있기는 하지만 이들에 장착된 제동장치의 경우 각 바퀴 하나하나에 대하여 일일이 제동을 거는 방식이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6-0029181호(1996.08.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캠 작용을 적용한 구동 메커니즘과 마찰디스크를 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모든 바퀴들에 대해 확실한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는, 본체 프레임 하단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 배치되어 공전 및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바퀴의 내측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출시 복수의 바퀴 내측면에 동시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바퀴가 자전 및 공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켜주는 마찰디스크와; 상기 마찰디스크의 내측면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마찰디스크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후단부에는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이동캠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이동캠의 후단부와 마주하되, 그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캠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회전캠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이 가해질 때 이동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이 상기 이동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을 벗어나서 경사라인을 따라 상기 이동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캠이 회전캠에 의해 밀려 진출하면서 상기 마찰디스크를 바퀴를 향하여 밀어 마찰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디스크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들을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찰디스크의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바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주는 마찰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디스크의 안착홈은 상기 마찰디스크의 대향면에 일정 폭을 갖고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되, 안착홈의 중간에는 상기 마찰패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캠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구속키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이동캠의 구속키에 대응하여 끼워져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캠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구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캠에는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모터 샤프트에 설치된 구동기어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바퀴 각각의 내측면에는 원판형태로 돌출된 제동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돌기들을 둘러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바퀴가 함께 회전 또는 정지하도록 유도하는 제동벨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는 캠 작용을 적용한 구동 메커니즘과 마찰디스크를 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모든 바퀴들에 대해 확실한 제동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서 캠 작용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서 캠 작용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는, 캠 작용을 적용한 구동 메커니즘과 마찰디스크를 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모든 바퀴들에 대해 확실한 제동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서 캠 작용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서 캠 작용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는 종래기술에 포함되는 통상의 계단용 다륜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본체 프레임 하단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 회전축(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 배치되어 공전 및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바퀴(120)를 구비한다(도면에는 편의상 회전축(110)의 일단에 3개의 바퀴(12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됨). 하지만 그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는 복수의 바퀴(120)를 동시에 접촉하여 제동시켜주는 마찰디스크(141)와, 상기 마찰디스크(141)를 진퇴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회전캠(144)과, 이동캠(145)과, 그리고 종동기어(146) 및 구동기어(147)를 구비하며, 제동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동벨트(150)를 더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110)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회전판(1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130)에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바퀴(120)들이 등간격 배치된 상태로 위치하는 가운데 자전축(120a)에 의해 회전(자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면과 같이 상기 바퀴(120)들은 회전축(110)의 일단부에 3개, 타단부에 3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캐리어의 이동시 평지에서는 바퀴(120)들이 주로 자전축(120a)을 중심으로 회전(자전)하지만 계단 등의 돌출 지형에서는 상기 회전판(130)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도 하면서 바퀴(120)들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상기 바퀴(120)들의 자전축(120a)은 캐리어의 용도 및 사용하중에 따라 바퀴 구동용 모터(미도시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찰디스크(141)는 상기 회전축(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11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바퀴(120)의 내측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마찰디스크(141)가 진출하면 복수의 바퀴(120) 내측면에 동시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바퀴(120)가 자전 및 공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켜 준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마찰디스크(141)가 바퀴(120)들을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착홈(141c)이 형성되며 상기 마찰디스크(141)의 안착홈(141c)에 마찰패드(142)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마찰패드(142)는 바퀴(12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간단하게 안착홈(141c)에 안착시킨 상태로 접착할 수 있으면서도 구입 및 교체가 용이한 샌드패이퍼(sandpaper)를 절단한 것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마찰디스크(141)의 안착홈(141c)은 상기 마찰디스크(141)의 대향면에 일정 폭을 갖고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되, 안착홈(141C)의 중간에는 상기 마찰패드(142)가 안착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41d)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캠(145)은 상기 마찰디스크(141)의 내측면(바퀴(120)에 대향하는 대향면의 반대면임)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마찰디스크(141)와 함께 상기 회전축(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이동캠(145)의 후단부에는 상사점(145a)과 하사점(145b)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145b)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캠(145)의 프로파일은 상사점(145a)과 하사점(145b)이 180도 주기로 교번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캠(145)의 관통구(145d)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구속키(145e)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0)에는 상기 이동캠(145)의 구속키(145e)에 대응하여 끼워져서 상기 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캠(145)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구속홈(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디스크(141)의 대향면 쪽에는 상기 이동캠(145)을 상기 회전캠(144)이 있는 쪽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143)이 설치된다. 이 압축스프링(143)은 상기 이동캠(145)이 회전캠(144)에 의해 밀려 있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하다.
상기 회전캠(144)은 회전축(11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이동캠(145)의 후단부와 마주한다. 그리고 그 선단부에는 상사점(144a)과 하사점(144b)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144c)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캠(145)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캠(144)의 프로파일은 상기 이동캠(145)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상사점(144a)과 하사점(144b)이 180도 주기로 교번하여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회전캠(144) 및 이동캠(145)이 구비되면, 상기 회전캠(144)에 회전력이 가해질 때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하사점(145b)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144) 프로파일의 상사점(144a)이 상기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하사점(145b)을 벗어나서 경사라인(145c)을 따라 상기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상사점(145a)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캠(145)이 회전캠(144)에 의해 밀려 진출하면서 상기 마찰디스크(141)를 바퀴(120)를 향하여 밀어주게 된다. 이로써 상기 마찰디스크(141)는 바퀴(120)와 마찰접촉되며 상기 바퀴(120)를 회전하던 상태에서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캠(144)은 상기 회전축(1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144d)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캠(144)은 이 관통구(144d)에 의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146)는 상기 회전캠(144)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147)는 바퀴(120)의 구동용으로 구비된 모터와 별도로 바퀴의 제동전용으로 구비된 모터의 샤프트(148)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146)와 치합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146)의 크기를 구동기어(147)에 비해 훨씬 크게 함으로써 강한 제동력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캐리어의 핸들에 제동전용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스위치나 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바퀴(120)에 제동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벨트(150)는 상기 복수의 바퀴(120)가 함께 회전 또는 정지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바퀴(120) 각각의 내측면에는 원판형태로 돌출된 제동돌기(1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벨트(150)는 제동돌기(121)들을 둘러 하나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제동벨트(150)가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마찰디스크(141)가 복수의 바퀴(120) 중 어느 하나에만 상대적으로 강하게 접촉하여 회전을 정지시켜주게 되면 상기 제동벨트(150)에 의해 나머지 다른 바퀴(120)들에도 제동력이 전달되어 효과적인 제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7a는 바퀴(120)가 제동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허용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이같은 상태는 상기 이동캠(145)이 회전캠(144)에 의해 전진하지 않은 상태로서 마찰디스크(141)가 바퀴(120)들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이때는 회전캠(144) 프로파일의 상사점(144a), 하사점(144b), 경사라인(144c)이 각각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하사점(145b), 상사점(145a), 경사라인(145b)과 대응하여 접촉하여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제동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레버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바퀴 제동전용의 모터를 구동시켜주면, 상기 바퀴 제동전용의 모터 샤프트(148)가 회전하여 구동기어(147)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147)와 치합된 종동기어(146)가 상기 구동기어(14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캠(144)을 회전시켜준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회전캠(144)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하사점(145b)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144) 프로파일의 상사점(144a)이 상기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하사점(145b)을 벗어나서 경사라인(145c)을 따라 상기 이동캠(145) 프로파일의 상사점(145a)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캠(145)이 회전캠(144)에 의해 밀려 진출하면서 상기 마찰디스크(141)를 바퀴(120)를 향하여 밀어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마찰디스크(141)는 바퀴(120)와 마찰접촉되며 상기 바퀴(120)를 회전하던 상태에서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회전축 120 : 바퀴
121 : 제동돌기 130 : 회전판
141 : 마찰디스크 142 : 마찰패드
143 : 압축스프링 144 : 회전캠
145 : 이동캠 146 : 종동기어
147 : 구동기어 150 : 제동벨트

Claims (6)

  1. 본체 프레임 하단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 배치되어 공전 및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바퀴의 내측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출시 복수의 바퀴 내측면에 동시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바퀴가 자전 및 공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켜주는 마찰디스크와;
    상기 마찰디스크의 내측면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마찰디스크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후단부에는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이동캠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이동캠의 후단부와 마주하되, 그 선단부에 상사점과 하사점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둘레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캠의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회전캠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이 가해질 때 이동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던 상기 회전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이 상기 이동캠 프로파일의 하사점을 벗어나서 경사라인을 따라 상기 이동캠 프로파일의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캠이 회전캠에 의해 밀려 진출하면서 상기 마찰디스크를 바퀴를 향하여 밀어 마찰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디스크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들을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찰디스크의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바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주는 마찰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디스크의 안착홈은 상기 마찰디스크의 대향면에 일정 폭을 갖고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되, 안착홈의 중간에는 상기 마찰패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캠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구속키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이동캠의 구속키에 대응하여 끼워져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캠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구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는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모터 샤프트에 설치된 구동기어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바퀴 각각의 내측면에는 원판형태로 돌출된 제동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돌기들을 둘러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바퀴가 함께 회전 또는 정지하도록 유도하는 제동벨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다륜 캐리어.
KR1020130169095A 2013-12-31 2013-12-31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KR10153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95A KR101535257B1 (ko) 2013-12-31 2013-12-31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95A KR101535257B1 (ko) 2013-12-31 2013-12-31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097A KR20150079097A (ko) 2015-07-08
KR101535257B1 true KR101535257B1 (ko) 2015-07-09

Family

ID=5379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95A KR101535257B1 (ko) 2013-12-31 2013-12-31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976A (ja) * 1994-12-02 1996-06-18 Suzuki Gokin Kk 段差走行輪を備えた走行車
JPH08198118A (ja) * 1995-01-24 1996-08-06 Akira Imazato 手押運搬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976A (ja) * 1994-12-02 1996-06-18 Suzuki Gokin Kk 段差走行輪を備えた走行車
JPH08198118A (ja) * 1995-01-24 1996-08-06 Akira Imazato 手押運搬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097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613B2 (en) Cart braking device
CN106555547B (zh) 具有锁止机构的门机
CN107284134B (zh) 带有刹车装置的万向脚轮
JP6779427B2 (ja) 遠心力ブレー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手動推進車両
GB974772A (en) A self-braking driving device for the operating shaft of a venetian blind, rolling-shutter or similar closure means
CA3140152A1 (en) Brake operating arrangement
JP2011046483A (ja) 乗客コンベアの主軸ブレーキ
KR101535257B1 (ko) 제동 가능한 계단용 다륜 캐리어
CA2633831A1 (en) Motor brake
CN104308259B (zh) 一种手持切入式电圆锯
KR101633496B1 (ko)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CN102415667A (zh) 手刹式箱包
JP2017226390A (ja) ブレーキキャリパー及びブレーキ装置
CN107837150B (zh) 轮毂电机驱动状态调整装置
CN106572936B (zh) 制动装置及轮椅
KR20170022475A (ko) 이동장치용 브레이크 시스템
CN101927661B (zh) 一种双向刹车脚轮
CN204545577U (zh) 带锯机的碟刹装置
NL8203864A (nl) Van banddruk onafhankelijke reminrichting voor rolstoelen.
CN210821652U (zh) 新型防滑刹车脚轮
CN207467987U (zh) 自动扶梯
CN201484068U (zh) 滑轮侧向制动装置
CN206318598U (zh) 轻型手动提升机械手摇传动装置
TWI735827B (zh) 腳輪
RU2092323C1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