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180B1 -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 Google Patents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180B1
KR101535180B1 KR1020120023161A KR20120023161A KR101535180B1 KR 101535180 B1 KR101535180 B1 KR 101535180B1 KR 1020120023161 A KR1020120023161 A KR 1020120023161A KR 20120023161 A KR20120023161 A KR 20120023161A KR 101535180 B1 KR101535180 B1 KR 101535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post
concrete
concre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163A (ko
Inventor
민지훈
황용선
유재석
Original Assignee
아이씨비 주식회사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비 주식회사, 한국씨엠이엔지(주) filed Critical 아이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1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부재와;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앵커판의 저면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기둥과 상기 볼트홈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체결기둥에 결합된 앵커볼트를 가지고,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가 상기 콘크리트부재의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재에 매립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인장 보강작업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단계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선택할 수 있고, 포스트인장보강재의 부식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설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Concrete Girder for Upper Structure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단계에서 인장을 보강할 때 인장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에서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하나로 거더가 사용되고 있으며, 거더의 재질로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재료가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으며 진동에 유리하고 압축에 강한 반면 인장에는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더(이하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라고 함)와 같이 압축과 인장이 함께 발생하는 휨을 받는 구조의 경우에는 인장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대한 인장보강방법의 하나로 콘크리트부재의 인장영역에 미리 압축의 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인장 측의 콘크리트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12는 종래 프리인장보강부의 상세도이다.
종래의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재(111)와, 콘크리트부재(111)에 설치된 프리인장보강부(120) 및 포스트인장보강부(140)를 갖고 있다.
콘크리트부재(111)는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프리인장보강부(120)는 콘크리트부재(111)의 양단에 동일개수로 분산되고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와, 콘크리트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콘크리트부재(111)에 매립된 프리인장보강보호관(122)과, 프리인장보강보호관(122)을 통과하고 양단이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에 긴장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된 프리인장보강재(123)를 갖고 있다.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는 프리인장정착구바디부(121a), 프리인장쐐기(121b)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의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리인장보강보호관(122)으로는 쉬스관(Sheath Pi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리인장보강재(123)로는 피씨(PC)강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씨(PC)강선은 종단에서 다수개의 가닥으로 나뉘어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리인장보강재(123)는 잭(Jack) 등을 사용하여 긴장시킨 후, 프리인장보강보호관(122)의 내부에 시멘트페이스트(Cement Paste) 등을 설치하는 그라우팅작업에 의해 프리인장보강보호관(122)의 내부에서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부재(111)를 형성할 때 프리인장보강재(123)를 긴장시킨다는 의미로 프리인장(Pre-Tens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포스트인장보강부(140)는 콘크리트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콘크리트부재(111)에 매립된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과,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갖고 있다.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으로는 쉬스관(Sheath Pi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스트인장보강재로는 피씨(PC)강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포스트인장보강재는 콘크리트부재(111)를 형성한 후 유지보수단계에서 사후적으로 필요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긴장시킨다.
먼저 프리인장보강정착구(12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포스트인장보강정착구를 콘크리트부재(111)의 양단에 설치한다.
다음에 잭(Jack) 등을 사용하여 포스트인장보강재를 긴장시킨다.
다음에 긴장상태로 포스트인장보강재의 양단을 포스트인장보강정착구에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의 내부에 시멘트페이스트(Cement Paste) 등을 설치하는 그라우팅작업에 의해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의 내부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의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부재(111)를 형성한 후 유지보수단계에서 사후적으로 필요할 때 포스트인장보강재을 긴장시킨다는 의미로 포스트인장(Post-Tens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따르면,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의 내부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부재(111)에 대한 인장 보강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스트인장보강재가 콘크리트부재(111)를 형성될 때 설치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단계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선택할 수 없고 포스트인장보강재의 부식에 따른 강도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부재(111)가 형성될 때 포스트인장보강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초기설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인장 보강작업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단계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선택할 수 있고, 포스트인장보강재의 부식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설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부재와;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앵커판의 저면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기둥과 상기 볼트홈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체결기둥에 결합된 앵커볼트를 가지고,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가 상기 콘크리트부재의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재에 매립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콘크리트부재를 제작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진동다짐에 의해 앵커볼트의 헤드를 덮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홈은 상기 앵커볼트의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에 접촉하도록 상기 볼트홈에 설치된 지수팽창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앵커판의 상면에 결합된 스터드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판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앵커판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콘크리트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체결기둥은 상기 앵커판의 각 모서리영역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앵커판의 각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씩 연장 형성된 철근지지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근지지암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철근지지암에는 콘크리트안내홈이 종단으로부터 상기 볼트체결기둥을 향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판과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앵커판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기둥과 볼트체결기둥에 결합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를 콘크리트부재에 매립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인장 보강작업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단계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를 선택할 수 있고, 포스트인장보강재의 부식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설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인장보강부의 상세도,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의 전체 구성도,
도12는 종래 프리인장보강부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인장보강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재(11)와, 콘크리트부재(11)에 설치된 프리인장보강부(20) 및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를 갖고 있다.
콘크리트부재(11)는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프리인장보강부(20)는 콘크리트부재(11)의 양단에 동일개수로 분산되고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프리인장보강정착구(21)와, 콘크리트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콘크리트부재(11)에 매립된 프리인장보강보호관(22)과, 프리인장보강보호관(22)을 통과하고 양단이 프리인장보강정착구(21)에 긴장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된 프리인장보강재(23)를 갖고 있다.
프리인장보강정착구(21)는 프리인장정착구바디부(21a), 프리인장쐐기(21b)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인장보강정착구(21)의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리인장보강보호관(22)으로는 쉬스관(Sheath Pi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리인장보강재(23)로는 피씨(PC)강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씨(PC)강선은 종단에서 다수개의 가닥으로 나뉘어 프리인장보강정착구(2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리인장보강재(23)는 잭(Jack) 등을 사용하여 긴장시킨 후, 프리인장보강보호관(22)의 내부에 시멘트페이스(Cement Paste) 등을 설치하는 그라우팅작업에 의해 프리인장보강보호관(22)의 내부에서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는 앵커판(31)과, 앵커판(31)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기둥(32)과, 볼트체결기둥(32)에 결합된 앵커볼트(33)와, 볼트체결기둥(32)에 설치된 지수팽창재(34)와, 앵커판(31)의 상면에 결합된 스터드볼트(35)와, 앵커판(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철근지지암(36)을 갖고 있다.
앵커판(3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콘크리트안내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안내공(31a)은 앵커판(31)이 직사각형 창문틀 형태를 이루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에는 정사각형도 포함된다.
볼트체결기둥(32)은 앵커판(31)의 각 모서리영역에서 앵커판(31)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앵커판(31)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체결기둥(32)은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홈(32a)은 앵커볼트(33)의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앵커볼트(33)는 볼트홈(32a)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체결기둥(32)에 결합된다.
지수팽창재(34)는 앵커볼트(33)의 헤드에 접촉하도록 볼트홈(32a)에 설치된다.
지수팽창재(34)로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물과 접촉할 때 자기체적팽창이 일어나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스터드볼트(35)는 앵커판(31)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앵커판(31)의 상면에 결합된다.
철근지지암(36)은 앵커판(31)의 각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씩 연장 형성된다.
철근지지암(36)에는 콘크리트안내홈(36a)이 종단으로부터 볼트체결기둥(32)을 향해 절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볼트체결기둥(32)에 앵커볼트(33)를 설치한다.
다음에 콘크리트부재(11)를 위한 거푸집(230)을 설치한다.
다음에 철근지지암(36)과 앵커판(31)이 철근(11a, 도면에는 일부만 표시됨)에 지지되고 볼트체결기둥(32)이 거푸집(230)에 접촉하도록 앵커판(31), 볼트체결기둥(32) 및 철근지지암(36)을 설치한다.
다음에 스터드볼트(35)를 앵커판(31)에 결합한다.
다음에 지수팽창재(34)를 앵커볼트(33)의 헤드와 거푸집(230) 사이에 설치한다.
다음에 콘크리트를 거푸집(230)에 타설하고 양생한다.
마지막으로 거푸집(230)을 해체한다. 거푸집(230)을 해체할 때 지수팽창재(34)도 함께 제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를 사용하여 인장 보강하는 방법을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착구지지블럭(210)을 준비한다.
정착구지지블럭(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재통과공(211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블럭바디부(211)와, 지지블럭바디부(211)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212)과, 앵커볼트(33)보다 긴 길이구간을 가지고 고정판(212)에 설치된 고정볼트(213)를 갖고 있다(도7 및 도8 참조).
다음에 고정볼트(213)를 사용하여 정착구지지블럭(210)을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인장재통과공(211a)과 포스트인장정착구바디부(220a)를 통과하도록 포스트인장보강재(42)를 설치한다.
다음에 잭(Jack) 등을 사용하여 포스트인장보강재(42)를 긴장시킨다. 여기서, 포스트인장보강재(42)로는 피씨(PC)강선, 강봉, 탄소섬유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긴장상태의 포스트인장보강재(42)의 양단을 포스트인장쐐기(220b)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판(31)과 앵커판(31)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앵커판(31)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기둥(32)과 볼트체결기둥(32)에 결합된 앵커볼트(33)를 포함하는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를 콘크리트부재(11)에 매립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11)에 대한 인장 보강작업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단계에서 포스트인장보강재(42)를 선택할 수 있고, 포스트인장보강재(42)의 부식에 따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설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앵커볼트(33)의 헤드에 접촉하도록 지수팽창재(34)를 볼트홈(32a)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11)를 제작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진동다짐에 의해 앵커볼트(33)의 헤드를 덮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판(31)의 상면에 스터드볼트(35)를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11)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판(31)을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앵커판(31)에 콘크리트안내공(31a)을 형성하는 한편 앵커판(31)의 각 모서리영역에 볼트체결기둥(32)을 하나씩 형성함으로써, 앵커판(31)과 거푸집(230) 사이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콘크리트부재(11)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판(31)의 각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의 철근지지암(36)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11)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철근지지암(36)에 콘크리트안내홈(36a)을 절취 형성함으로써, 철근지지암(36)과 거푸집(230) 사이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콘크리트부재(11)에 대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1 :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20, 120 : 프리인장보강부
21, 121 : 프리인장보강정착구 22, 122 : 프리인장보강보호관
23, 123 : 프리인장보강재 30 :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
31 : 앵커판 32 : 볼트체결기둥
33 : 앵커볼트 34 : 지수팽창재
35 : 스터드볼트 36 : 철근지지암
140 : 포스트인장보강부 141 : 포스트인장보강보호관
210 : 정착구지지블럭
211 : 지지블럭바디부 212 : 고정판
213 : 고정볼트 220 : 포스트인장보강정착부

Claims (6)

  1. 콘크리트부재와;
    직사각형의 콘크리트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창문틀 형태의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앵커판의 저면 중 각 모서리영역에 하나씩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기둥과 상기 볼트홈에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볼트체결기둥에 결합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판의 각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씩 연장 형성되고 각각 콘크리트안내홈이 종단으로부터 상기 볼트체결기둥을 향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철근지지암을 가지고,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가 상기 콘크리트부재의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재에 매립된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홈은 상기 앵커볼트의 길이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는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에 접촉하도록 상기 볼트홈에 설치된 지수팽창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인장보강용 앵커는 상기 앵커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앵커판의 상면 중 중 각 모서리영역에 결합된 스터드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23161A 2012-03-07 2012-03-07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KR10153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161A KR101535180B1 (ko) 2012-03-07 2012-03-07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161A KR101535180B1 (ko) 2012-03-07 2012-03-07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163A KR20130102163A (ko) 2013-09-17
KR101535180B1 true KR101535180B1 (ko) 2015-07-08

Family

ID=4945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161A KR101535180B1 (ko) 2012-03-07 2012-03-07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88B1 (ko) * 2016-03-02 2017-01-17 길준욱 거더 하면에 보강재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734B1 (ko) * 2006-11-14 2007-02-16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 교량의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 앵커
KR20100037696A (ko) * 2008-10-02 2010-04-12 이근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734B1 (ko) * 2006-11-14 2007-02-16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 교량의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 앵커
KR20100037696A (ko) * 2008-10-02 2010-04-12 이근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163A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34B1 (ko)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5781139B (zh) 承载力不够的楼板加固方法
KR101170922B1 (ko) 텐던과 연결지지대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JP2013530322A (ja) フロア及びルーフのフレーム構造を補強及び軽量化するための補強方法及び補強装置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152444B1 (ko)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및 그 제조방법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KR101251118B1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101119050B1 (ko)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KR101013009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535180B1 (ko) 교량상부구조용 콘크리트거더
KR101358878B1 (ko)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200302128Y1 (ko)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KR101522390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101374701B1 (ko) 바이프레스 압축재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빔 제작방법
KR200439750Y1 (ko) 피에쓰씨 빔용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구조
KR101664165B1 (ko) 임시보강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02681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외부강선 정착장치
KR20090003807A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구비한 연속 지점부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1223268B1 (ko) 교량의 보수 및 보강 방법
CN107558733B (zh) 伸缩后浇带下模架体系与周边支模架同步拆除的施工方法
KR101754301B1 (ko) 순차 결속식 복합 트러스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22

Effective date: 201506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