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821B1 -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21B1
KR101534821B1 KR1020150011502A KR20150011502A KR101534821B1 KR 101534821 B1 KR101534821 B1 KR 101534821B1 KR 1020150011502 A KR1020150011502 A KR 1020150011502A KR 20150011502 A KR20150011502 A KR 20150011502A KR 101534821 B1 KR101534821 B1 KR 10153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thread
engaging member
tissu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길섭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심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길섭 filed Critical 심길섭
Priority to KR102015001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61F2002/0068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having a special mesh pat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조직에 삽입되는 의료용 메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조직이나 피하조직에 삽입되는 메쉬에 실이 내삽되는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서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노화에 따른 피부처짐부분을 거상하며 깊어진 주름에 사용하여 볼륨감을 높여 주름을 제거하며, 미용상의 목적으로 기존 보형물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주름 깊이 정도에 따라 공간부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메쉬를 실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하여 부푼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거상 및 주름제거와 볼륨회복에 탁월한 기능을 구비한 메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MESH ASSEMBLY}
본 발명은 인체조직에 삽입되는 의료용 메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조직이나 피하조직에 삽입되는 메쉬에 실이 내삽되는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서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여 노화에 따른 피부처짐부분을 거상하며 깊어진 주름에 사용하여 볼륨감을 높여 주름을 제거하며, 미용상의 목적으로 기존 보형물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주름 깊이 정도에 따라 공간부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메쉬를 실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하여 부푼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거상 및 주름제거와 볼륨회복에 탁월한 기능을 구비한 메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체조직에 삽입되어 조직거상과 볼륨회복을 위한 보형물 또는 그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77292호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함몰된 부위에 석고 및 실리콘을 이용하여 환부모양을 실측하여 하부 환부모형 틀을 제작하는 공정과, 하부 환부모형 틀의 함몰부 상에 왁스 및 파라핀을 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하부 환부모형 틀에 대응되는 상부 환부모양 틀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하부 환부모형 틀의 제조 후 왁스 및 파라핀을 제거하여 하부 환부모형 틀에 함몰부를 형성시키는 공정 및 고형화 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61679호 『액상형 실리콘을 이용한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환자의 함몰부에 대해 조직(피부) 및 형태 특성과 경도 특성을 그대로 구현하면서 함몰부의 정확한 교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액상형 실리콘의 고형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 생성을 탈포과정으로 하여금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제작된 인조삽입물의 삽입 후에는 환자의 세포 조직이 자라나면서 미리 성형된 통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보형물이 함몰부에 정확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용 플레이트 또는 고정용 실과 같은 것을 이용한 부차적인 공수가 생략되어 번거로운 작업성이 개선되는 액상형 실리콘을 이용한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환자의 함몰된 환부에 삽입하기 위한 인조삽입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액상의 실리콘으로 인조삽입물을 성형함에 따라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따른 염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물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으며 함몰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조삽입물을 제작함으로서 비용이 증가하고 인조삽입물 성형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37465호 『성형수술용 메쉬결합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신체의 피부 내부에 삽입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피부조직과 유착되고, 전체적으로 2차원 평면을 형성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망체 및 긴 실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체를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망체와 체결된 조절체를 포함하여 피부 내부에 삽입되어 늘어진 피부를 당겨 주름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형수술용 메쉬결합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메쉬가 공간부를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인체조직내에 삽입되어도 볼륨회복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과 상기 실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실을 내삽하는 메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메쉬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여 피하조직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메쉬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됨에 따라 메쉬 외부에 접촉되는 인체조직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연조직 거상과 시술 후 메쉬가 시술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메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쉬의 일측 또는 양측은 실과 고정됨에 따라 팽창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처짐 정도 또는 미용목적에 따라 그 부피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메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쉬가 제1 메쉬 및 제2 메쉬로 구성됨에 따라 피부처짐부위가 굴곡이 있는 경우, 그 굴곡 정도에 따라 팽창정도를 다르게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메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는
실;
상기 실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실이 내삽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실을 감싸는 메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메쉬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의 일단은
상기 걸림부재는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는 실에 구비되는 메쉬에 공간부를 형성함에 따라 환자의 환부, 특히 피하조직에 삽입되어 늘어진 피부을 거상하고 주름진 부분에 선택적으로 볼륨감을 줄 수 있으며,
실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형물을 삽입하는 경우 보다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의한 염증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실에는 메쉬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더 구비하여 연조직의 거상과 인체조직과의 흡착력을 향상시켜 정확하게 치료부위에 삽입될 수 있어 시술의 안정성 및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쉬의 일측 또는 양측이 실과 고정됨에 따라 환부에 따른 공간부의 부피를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메쉬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간부의 부피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쉬를 제1 메쉬와 제2 메쉬로 구성하여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피부처짐과 주름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부피를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구현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메쉬와 제2 메쉬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A1)를, 도 3 내지 도 5는 제2 실시예(A2)를, 도 6 내지 도 8은 제3 실시예(A3)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10)과, 상기 실(1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0) 및 메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연조직, 특히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에 삽입되어 연조직을 지지하는 메쉬(30)에 실(1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실(10)의 외면에 연조직과의 유착력을 증가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걸림부재(2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3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처진 피부와 주름진 조직의 내부에서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직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조직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는 그물망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쉬에 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A)에는 실(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실(10)의 외면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10)은 상기 메쉬(30)에 내삽되어 있으며, 상기 실(1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실(1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기(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20′)는 실(10)로부터 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0′)는 상기 실(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성형될 수 있으며, 별도로 가공하여 실(10)에 부착을 하거나, 실(10)에 칼집을 내어 걸림부재(2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10) 표면에 칼집을 내면, 소정 깊이의 홈(21)이 형성되고, 이 홈(21)에 인접한 실(1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돌기(20′)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실(10) 외에 추가적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 없이 돌기(20′)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홈(21)의 깊이는 실(10) 직경의 1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홈(21)의 깊이가 실(10) 직경의 40%보다 크면 실(10)이 끊어질 위험이 있고, 홈(21) 깊이가 실(10) 직경의 10%보다 작은 경우에는 돌기(20′)가 충분이 돌출되지 않아 체내 조직과의 흡착률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돌기(20′)는 실(10)의 양측에 서로 어긋난 위치(지그재그 형태)에 구비되어 실(10)이 끊어질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실(10)에 홈(2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21)에 비스듬하게 칼집을 내어 실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사선부(211)를 형성하고, 이어 칼날을 수평하게 하여 사선부(211) 단부에서 실(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직선부(213)를 형성한다. 이후에 칼날을 들어 상기 돌기(20′)를 자연스럽게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실(10)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홈(21)으로 인하여 실(10)이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기 돌기(20′)를 형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A1)(A2)(A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실(10)의 양측면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지 않은 평탄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10)이 결합되는 메쉬(30)를 연조직이나 인체내에 투입하는 경우에 종래기술과 같이 사방에 불규칙적으로 구비되는 돌기(20′)에 의하여 투입 시 마찰력 등이 증가하게 되어 시술이 어려운 문제를 실(10)의 양측에 구비되는 평탄부(23)로 인하여 연조직이나 인체내에 투입이 보다 용이하여, 수술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실(10)의 상하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0)로 인하여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A)에는 처진 피부와 주름진 환부 또는 미용상의 이유로 연조직내에 내삽되어 인체세포의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를 복원하거나 확대시키기 위하여 메쉬(30)가 구비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31)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31)에 실(10)이 구비될 수 있도록 실(10)을 내삽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쉬(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10)이 내삽되어 실(10)을 감쌀 수 있도록 공간부(31)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31)의 형성에 따라 메쉬(30)는 부피를 갖게 되고, 이러한 부피를 처진 피부와 주름진 환부에 맞게 조절하여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를 다시 팽창시켜 시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쉬(30)에 구비되는 그물망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2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메쉬(30)를 관통하여 돌출된 걸림부재(20)가 연조직과 흡착하여 정확하게 환부에 거상 및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메쉬(30)를 실(10)에 결합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A1)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예로 걸림부재(20)가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메쉬(30)는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걸림부재(20)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 및 삽입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메쉬(30)를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 완료 한 후 메쉬(30)의 우측단부(30B) 및 좌측단부(30A)를 실(10)과 접착, 비닐튜브를 이용한 고정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서 메쉬(30)와 실(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20)는 실(10)의 전체에 고르게 분포 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메쉬(30)가 구비되지 않는 실에도 걸림부재(20)가 구비되어 조직내에 투입되는 경우, 조직과의 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조직내에서 견고하게 거상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메쉬(30)의 그물을 통하여 메쉬(3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걸림부재(20)가 메쉬(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지 않고, 메쉬 내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A2)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재(20)는 실(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는 각각 실(10)의 중심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돌기(20′)로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메쉬(30)는 상기 제1 걸림부재(25)를 내삽하는 제1 메쉬(33)와 제2 걸림부재(27)를 내삽하는 제2 메쉬(35)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1 메쉬(33)와 제2 메쉬(35)는 상기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의 양측 단부를 통해 각각 삽입되게 된다.
상기 메쉬(30)를 실(10)에 결합함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메쉬(33)가 구비되는 제1 걸림부재(25)는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메쉬(30)는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제1 걸림부재(25)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 및 삽입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메쉬(33)를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하면 좌측단부(333)에 위치하는 돌기(20′)가 제1 메쉬(33)를 지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 메쉬(33)의 우측단부(331)는 제1 걸림부재(25)의 우측 돌기가 고정하여 제1 메쉬(33)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걸림부재(27)의 우측에 구비되는 돌기(20′)에 의해 제1 메쉬(33)의 우측단부(331) 또한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1 메쉬(33)가 제1 걸림부재(25)를 내삽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쉬(35)와 제2 걸림부재(27)의 결합관계 또한 상기 제1 메쉬(33)와 제1 걸림부재(25)의 결합관계와 대향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A1)는 제1 메쉬(33)와 제2 메쉬(35)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에 맞게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를 도2 및 도3을 근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쉬(30)를 잡고 상기 실(10)을 좌측(도면을 기준으로)방향으로 당기면, 제1 걸림부재(25)의 돌기(20′) 형상에 의해 제1 메쉬(33)의 좌측단부(333)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되, 우측단부(331)는 제2 걸림부재(27)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아 제1 메쉬(33)의 공간부(31)만 팽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메쉬(35)를 팽창하기 위해서는 위와 반대로 실(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 메쉬(35)의 우측단부(35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걸림부재(25)의 돌기에 의해 제2 메쉬(35)의 좌측단부(353)는 이동하지 않아 제2 메쉬(35)의 공간부(31)가 팽창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제1 메쉬(33)와 제2 메쉬(35) 각각의 공간부(31)를 서로 다르게 팽창시켜 시술을 할 수 있으며, 부피에 따른 각기 다른 메쉬 어셈블리(A1)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A3)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A3)에는 실(10)이 구비되고, 상기 실(10)의 외면 일부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10)은 상기 메쉬(30)에 내삽되어 있으며, 상기 실(10)의 외주면 일부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는 걸림형성부(11)와, 걸림부재(20)가 구비되지 않는 걸림비형성부(13)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1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0)는 상기 걸림형성부(11)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기(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20′)는 실(10)로부터 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쉬(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10)이 내삽되어 실(10)을 감쌀 수 있도록 공간부(31)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메쉬(30)는 걸림형성부(11)를 내삽하는 비팽창부(313)와, 걸림비형성부(13)를 내삽하는 팽창부(311)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비팽창부(313)보다 팽창부(311)가 더 팽창이 용이함에 따라 처진 피부와 주름진 환부에 맞게 조절하여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를 다시 팽창시키도록 시술할 수 있으며, 환부의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가 균일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팽창부(313)와 팽창부(31)를 조절하여 팽창정도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환부에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메쉬(30)를 실(10)에 결합함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예로 걸림형성부(11)의 걸림부재(20)가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걸림비형성부(13)가 상기 걸림형성부(11)의 우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쉬(30)는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걸림부재(20)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 및 삽입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메쉬(30)를 실(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 완료 한 후 메쉬(30)의 좌측단부(33), 즉 비팽창부(313)의 좌측단부(33)를 실(10)와 접착, 비닐튜브를 이용한 열압착 고정 또는 열융착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서 메쉬(30)와 실(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는 시술하고자 하는 환부의 부피에 따라 팽창부(311)의 부피만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1)(팽창부(311))의 부피를 확장시키는 경우에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걸림비형성부(13)를 내삽하는 팽창부(311)의 부피를 확장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여 앞서 언급했던 비닐튜브를 이용한 고정, 열융착 방식 등의 다양한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서 환부에 따라 부피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처진 피부와 주름진 환부 내에서 공간부(31)의 부피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환부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20)가 구비되지 않고, 메쉬(30) 전체의 공간부(31)가 모두 팽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간부(31)의 부피를 변화 시킨 이후, 메쉬(30)의 양측을 상기 실(10)에 열융착 하여 고정함으로서 공간부(31)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쉬(30)의 그물망 형상에 의해 연조직과의 흡착력이 향상되어 환부 내에서 견고하게 거상 및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쉬(30)를 실(10)에 고정함에 있어, 일측을 실(10)에 열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메쉬(30)의 한 지점, 즉 경계부(B1)를 다시 실(10)과 고정시켜, 도면을 기준으로 메쉬(30)의 경계부(B1)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에는 비팽창부(313)를 형성하게 구성하고, 우측은 팽창부(311)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앞서 언급했던 메쉬(3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경계부(B1)에는 열융착이 아닌 소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메쉬(30)를 팽창부(311)와 비팽창부(313)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여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메쉬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메쉬 어셈블리
A1 : 제1 실시예 A2 : 제2 실시예
A3 : 제3 실시예 10 : 실
20 : 걸림부재
20′ : 돌기 21 : 홈
211 : 사선부 213 : 직선부
25 : 제1 걸림부재 27 : 제2 걸림부재
30 : 메쉬 31 : 공간부
30A : 좌측단부 30B : 우측단부
33 : 제1 메쉬
331 : 제1 메쉬의 우측단부 333 : 제1 메쉬의 좌측단부
35 : 제2 메쉬 351 : 제2 메쉬의 우측단부
353 : 제2 메쉬의 좌측단부

Claims (13)

  1. 실(10);
    상기 실(10)이 내삽되는 공간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실(10)을 감싸는 메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1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돌기(20′)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재(20)는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쉬(30)의 일측은
    상기 걸림부재(20)에 의해 지지되어 메쉬가 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쉬(3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이동시켜 팽창부(3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는 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돌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25)와 제2 걸림부재(27)는 상기 실의 중심을 향해 서로 대향되도록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30)는
    상기 제1 걸림부재(25)를 내삽하는 제1 메쉬(33)와 제2 걸림부재(27)를 내삽하는 제2 메쉬(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30)에는 비팽창부(3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30)의 일측은 상기 실(10)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11. 제 4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10)에는 복수개의 홈(21)이 구비되고,
    상기 홈(21)은
    상기 실(10)에 사선으로 형성되는 사선부(211)와,
    상기 사선부(211) 단부에 연장되어 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2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평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의 단부는 상기 메쉬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어셈블리.
KR1020150011502A 2015-01-23 2015-01-23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KR10153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2A KR101534821B1 (ko) 2015-01-23 2015-01-23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2A KR101534821B1 (ko) 2015-01-23 2015-01-23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821B1 true KR101534821B1 (ko) 2015-07-08

Family

ID=5379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502A KR101534821B1 (ko) 2015-01-23 2015-01-23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26B1 (ko) 2017-08-24 2018-01-30 심길섭 기능제 주입이 가능한 시술용 메쉬 어셈블리
KR101825736B1 (ko) 2017-06-15 2018-02-05 심재완 조직 수복용 메쉬 어셈블리
KR20220045599A (ko) * 2020-10-05 2022-04-13 김재훈 망체를 포함한 의료용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JP7415214B1 (ja) 2023-05-09 2024-01-17 サン-ジュン ユン 美容手術用メッシュアセンブ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17Y1 (ko) * 2004-01-09 2004-06-22 황연희 다측면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82337B1 (ko) *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KR101432500B1 (ko) * 2014-03-21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17Y1 (ko) * 2004-01-09 2004-06-22 황연희 다측면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82337B1 (ko) *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KR101432500B1 (ko) * 2014-03-21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736B1 (ko) 2017-06-15 2018-02-05 심재완 조직 수복용 메쉬 어셈블리
KR101812226B1 (ko) 2017-08-24 2018-01-30 심길섭 기능제 주입이 가능한 시술용 메쉬 어셈블리
KR20220045599A (ko) * 2020-10-05 2022-04-13 김재훈 망체를 포함한 의료용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0704B1 (ko) 2020-10-05 2022-08-09 김재훈 망체를 포함한 의료용 실의 제조 방법
JP7415214B1 (ja) 2023-05-09 2024-01-17 サン-ジュン ユン 美容手術用メッシュアセンブ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814B1 (ko)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KR101534821B1 (ko) 성형수술용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JP7063519B2 (ja) 負圧創傷閉鎖器具
JP5405484B2 (ja) 形状安定乳房インプラントサイザ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40258263A1 (en) Balloon-expandable hearing device fitting system and self-expanding hearing device
EP2903561B1 (en) Method of making a customized aortic stent device
EP3215067B1 (en) Percutaneous implantable nuclear prosthesis
JPH0569541B2 (ko)
KR20160127060A (ko) 색전 정형화 미세 코일
US20220370183A1 (en) Patient-Specific Breast Implant for Breast Reconstruction after Breast-Conserving Mastectomy
JP2022549717A (ja) 左心耳閉鎖デバイス
KR20170082246A (ko) 주름제거용 보형물
CN107624053B (zh) 鼻腔或鼻窦填塞
JP2022107060A (ja) 先天性狭窄のための成長ステント、成長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成長ステントの埋入方法
CN108697426B (zh) 医用可膨胀囊体
US10405960B2 (en) Textile-based prothesis for laparoscopic surgery
JP2022554007A (ja) 鼓膜切開チューブ
US20230058045A1 (en) Composite positive and negative poisson's ratio materials for medical devices
CN213963773U (zh) 髓内融合器及具有其的股骨假体组件
EP3552580A1 (en) Implant for implantation into huma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2053B1 (ko) 해면 모양의 뼈에 공동을 형성하는 기구
KR102153665B1 (ko) 외이도용 셀프 리테이너
WO2022020775A1 (en) Vaginal stent
KR20160038537A (ko) 의료용 임플란트
KR20200121564A (ko) 생체 삽입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