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564A - 생체 삽입용 부재 - Google Patents

생체 삽입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564A
KR20200121564A KR1020190044275A KR20190044275A KR20200121564A KR 20200121564 A KR20200121564 A KR 20200121564A KR 1020190044275 A KR1020190044275 A KR 1020190044275A KR 20190044275 A KR20190044275 A KR 20190044275A KR 20200121564 A KR20200121564 A KR 2020012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body
body insertion
present
protrusion
inser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연
Original Assignee
박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연 filed Critical 박주연
Priority to KR102019004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564A/ko
Publication of KR2020012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삽입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에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가 생략 가능한 생체 삽입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 삽입용 부재{MEDICAL MEMBER FOR INSERTION INTO IN-VIVO}
본 발명은 생체 삽입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에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가 생략 가능한 생체 삽입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보형물은 불의의 사고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함몰 등 손상된 인체를 복원하거나 주름, 이마 등 미용적으로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인체조직에 삽입되어 조직거상과 볼륨회복을 위한 보형물 또는 그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종래의 보형물은 환자의 함몰부에 대해 조직(피부) 및 형태 특성과 경도 특성을 그대로 구현하면서 함몰부의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 보형물은 액상형 실리콘의 고형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 생성을 탈포과정으로 하여금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제작된 인조삽입물의 삽입 후에는 환자의 세포 조직이 자라나면서 미리 성형된 통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보형물이 함몰부에 정확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용 플레이트 또는 고정용 실과 같은 것을 이용한 부차적인 공수가 생략되어 번거로운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 신체의 피부 내부에 삽입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피부조직과 유착되고, 전체적으로 2차원 평면을 형성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망체 및 긴 실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체를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망체와 체결된 조절체를 포함하여 피부 내부에 삽입되어 늘어진 피부를 당겨 주름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형수술용 메쉬결합체가 제시된다.
그러나 상기 인조삽입물은 액상의 실리콘으로 인조삽입물을 성형함에 따라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따른 염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물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으며 함몰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조삽입물을 제작함으로서 비용이 증가하고 인조삽입물 성형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보형물(또는 삽입물)은 삽입기구를 통해 함몰부위에 삽입이 가능하여, 삽입기구 없이는 보형물을 인체조직에 삽입할 수 없어 시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주입 기구 없이 시술자가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는 생체 삽입용 부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16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37465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손쉽게 분리되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가 생략 가능한 생체 삽입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 부분에 의해 삽입부위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볼륨감을 줄 수 있으며,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의한 염증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 삽입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생체 삽입부; 및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는 상기 생체 삽입부가 생체 연부 조직에 삽입되면 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힘에 의해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를 분리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그립부 일측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삽입부는, 상기 돌기가 복수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단을 분리하는 보조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에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손쉽게 분리되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가 생략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돌기 부분에 의해 삽입부위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볼륨감을 줄 수 있으며,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의한 염증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의 A-A'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 삽입용 부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100)는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를 포함한다.
생체 삽입부(10)는 몸체(11)와 돌기(12)로 형성된다. 생체 삽입부(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11)의 외주면에 돌기(12)가 배열된다.
몸체(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돌기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십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12)는 일정 넓이를 가지고 있어 생체 삽입부(10)와 생체조직 사이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돌기(12)는 함몰부 혹은 볼륨감을 주고 싶은 부위 연조직에 공간을 형성형성하고, 연조직과의 유착력을 증가시켜 생체 삽입부(10)가 시술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시술 후 시간이 지나 중력 및 조직의 복원력에 의해 생체 연부 조직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돌기(12)는 중력 및 조직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생체 연부 조직의 볼륨감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12)는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형성할 수 있다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기(12)는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십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 몸체(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는 후술되는 그립부(20) 보다 지름이 넓은 관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를 내부에 인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돌기(12)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고, 몸체(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돌기(12)는 몸체(11) 외주면에 복수개의 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은 90도 간격으로 몸체 외주면의 같은 위치에 배열된 제1 내지 제4 돌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삽입부(10)가 5단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몸체(11)의 일측, 즉,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가 접촉하는 측의 반대측부터 제1 내지 제4 돌기가 5개가 배열되어 생체 삽입부(10)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삽입부(10)는 1단 돌기(12) 상부에 몸체(11)가 연장될 수 있고, 연장된 몸체(11) 상부에 고정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돌기(1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돌기(12)보다는 크기 및 넓이가 크게 형성되어, 생체 조직과 생체 삽입부(10)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조직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삽입부(10)는 단과 단 사이 보조 절단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절단부는 후술되는 절단부(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홈 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생체 삽입부(10)를 돌기(12)의 단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생체 삽입부(10)에 보조 절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 연부 조직 길이에 따라 생체 삽입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1 내지 제4 돌기(12)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내기 제4 돌기는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돌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넓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생체 연부 조직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립부(20)는 돌기(12)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생체 삽입부(10)의 몸체(11)와 같이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립부(20)는 생체 삽입부(10)의 타측에 접촉되어 위치되고, 사용자(혹은 시술자)가 생체 삽입부(10)를 생체 연부 조직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생체 연부 조직에 삽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삽입용 부재(100)는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생체 삽입용 부재(100)는 절단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30)는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외부힘에 의해 절단되어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를 분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부(30)는 그립부(20)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손쉽게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20) 일측은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가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부(30)는 절취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c)는 도 3의 A-A'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절취선은 그립부(20)를 관통하는 홀이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힘에 의해 용이하게 생체 삽입부(10)와 그립부(2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생체 삽입용 부재
10: 생체 삽입부
11: 몸체
12: 돌기
20: 그립부
30: 절단부

Claims (5)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생체 삽입부; 및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는 상기 생체 삽입부가 생체 연부 조직에 삽입되면 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힘에 의해 상기 생체 삽입부와 그립부를 분리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그립부 일측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삽입부는,
    상기 돌기가 복수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을 분리하는 보조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KR1020190044275A 2019-04-16 2019-04-16 생체 삽입용 부재 KR2020012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75A KR20200121564A (ko) 2019-04-16 2019-04-16 생체 삽입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75A KR20200121564A (ko) 2019-04-16 2019-04-16 생체 삽입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64A true KR20200121564A (ko) 2020-10-26

Family

ID=7300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75A KR20200121564A (ko) 2019-04-16 2019-04-16 생체 삽입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5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679B1 (ko) 2009-11-26 2010-06-09 이규식 액상형 실리콘을 이용한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
KR101337465B1 (ko) 2012-02-15 2013-12-06 백승준 성형수술용 메쉬결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679B1 (ko) 2009-11-26 2010-06-09 이규식 액상형 실리콘을 이용한 함몰부위 성형수술용 인조삽입물의 제조방법
KR101337465B1 (ko) 2012-02-15 2013-12-06 백승준 성형수술용 메쉬결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5846A1 (en)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20210220172A1 (en) Dry ey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CY1120147T1 (el) Βιοαποικοδομησιμο οφθαλμικο εμφυτευμα
CN109789250B (zh) 青光眼治疗装置和方法
JP2014128739A5 (ko)
JP2023512988A (ja) 鼓膜を通り中耳および内耳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低侵襲器具および方法
US20150305856A1 (en) Intraocular implant, intraocular implant set and intraocular lens
US8529495B1 (en) Middle ear ventilation tube
KR20200121564A (ko) 생체 삽입용 부재
JP4401412B2 (ja) 眼のインプラント
US20150126919A1 (en) Medical treatment device
JP5992922B2 (ja) 耳管鼓膜チューブ
JP2017023571A (ja) 医療用器具
JP3779859B2 (ja)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システム
CN104739545B (zh) 晶体推针浮动型人工晶体推注器
KR101300405B1 (ko) 생체 삽입용 부재 삽입 보조 기구
ES1091482U (es) Implante permanente para intervenciones quirúrgicas de glauc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