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262B1 - 압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262B1
KR101534262B1 KR1020140004862A KR20140004862A KR101534262B1 KR 101534262 B1 KR101534262 B1 KR 101534262B1 KR 1020140004862 A KR1020140004862 A KR 1020140004862A KR 20140004862 A KR20140004862 A KR 20140004862A KR 101534262 B1 KR101534262 B1 KR 10153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hol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4000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6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742 - B29C66/744
    • B29C66/7463Concre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92Pressure sensor associated with other sensors, e.g. for measuring acceleration or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측압, 유압, 토압 등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압력계측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이나 비균질한 물질의 압력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판재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판재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압력공을 폐쇄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어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 내로 팽창 가능한 탄성막; 상기 탄성막 내에 채워지는 액체;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막 내측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 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막은 일부가 판재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판재 외측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
본 발명은 판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측압, 유압, 토압 등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압력계측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이나 비균질한 물질의 압력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외력에 대해서 콘크리트의 압축력과 철근의 인장력이 일체로 되어 서로의 결점을 보완하는 구조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보, 벽, 기둥 등 각 구조 부재의 철근 및 거푸집을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 순서로 시공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어서 소요의 강도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서 거푸집을 탈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중 거푸집 공정은 공기 및 공사비 측면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으로 인하여 거푸집의 변형 또는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 거푸집에 가해지는 콘크리트 측압을 지지하는 지지장치 등 다양한 관련 기술이 출원된바 있다(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4166호 등).
그러나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의 측압은 이론적인 계산에 의존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측압의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거푸집 지지구조의 설계나 콘크리트 1회 타설 높이 산정 등에 한계가 있다. 실제로 다짐 작업의 어려움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끊어치는 대신 유동 콘크리트나 슬럼프치가 큰 콘크리트 활용하여 10여 미터 높이까지 한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도 한다.
이에 압력계 등을 직접 거푸집 등 판재에 연결하여 콘크리트의 측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통상적인 압력계의 단부 단면이 작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압력계 측정 단부의 크기가 콘크리트 굵은골재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굵은골재가 압력 측정 부위를 막을 경우 측압을 제대로 측정하기 어렵다. 특히, 기둥이나 벽체 등 수직부재에서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제자리에 위치되어 이동하지 않으므로, 굵은골재가 압력 측정 부위를 막을 경우 해결할 방법이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이외에도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콘크리트와 같이 비균질할 경우 측정값이 부정확할 우려가 있으며, 독성 물질이나 유해 물질의 압력을 측정할 경우 압력계측기의 손상 우려가 있다.
한편, 지하실 바닥이나 벽체는 토압 및 지하수에 의한 수압이 크게 작용한다.
특히, 지하실의 깊이가 깊고 지하수량이 많을수록 토압 및 수압의 영향이 크고, 토질이나 지반 형상 등의 주변 여건에 따라 토압 및 수압의 크기가 다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실제 지하구조물 설계시 이들 크기 산정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해당 구조물이 과다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외벽 설계용 토압 및 수압 측정시 모래 등의 이물질이나, 지하실 바닥 내수판 설계용 수압 측정시 지하수와 더불어 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하여 계측기 입구가 막혀 측정값이 부정확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압력계측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굵은골재와 같이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콘크리트 등 측정물이 비균질한 경우에도 이물질의 크기와 관련 없이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측압뿐만 아니라 지하 외벽 설계용 토압이나 수압 등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어, 기존에 정확한 압력 측정이 어려웠던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판재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판재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압력공을 폐쇄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어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 내로 팽창 가능한 탄성막; 상기 탄성막 내에 채워지는 액체;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막 내측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 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막은 일부가 판재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판재 외측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판재 측 일단에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을 판재에 고정하여 하우징이 판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 및 압력공의 지름은 유동 콘크리트 중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판재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에 압력공이 형성되고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채워지는 액체; 및 상기 하우징의 압력공에 결합되어 하우징 내측의 액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고무 또는 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압력공이 형성된 일측이 판재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판재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계측부는 판재 외측에 결합되고 판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압력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압력공 둘레 외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관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판재 외측에서 너트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는 판재 외부로 연결된 그라우트주입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액체는 부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액체의 주입을 위한 액체주입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판재 내부 또는 외부에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를 결합하여 콘크리트 측압, 유압, 토압 등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둘째, 판재와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 및 압력공의 지름을 조절하거나 탄성막 일부 또는 하우징을 판재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물 중에 포함된 굵은골재 최대치수 등 이물질의 크기와 무관하게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셋째, 판재 내 공간에 채워지는 유체의 압력이 하우징 내 액체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간접 측정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압력측정장치가 측정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기계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압력계측장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의 압력 측정도 가능하다.
넷째, 간단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계측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측압뿐만 아니라 지하 외벽 설계용 토압이나 수압 등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섯째, 콘크리트 타설 중 측압이 과하게 작용하는 경우 또는 타설 속도나 타설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측정된 측압에 따라 1회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측정된 측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단위 구조 부재의 가설자재 두께, 지지대 간격 등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거푸집 등 판재의 경량화를 통한 시공성 향상 및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거푸집의 변형이나 파괴를 예방할 수 있어 시공 정밀도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압력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판재에 결합된 압력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판재에 결합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판재에 결합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구조물의 천공홀 내에 설치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압력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판재에 결합된 압력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는 거푸집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 지하 외벽 설계용 토압이나 수압 등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는 판재(2)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2)의 외측에 결합되어 판재(2)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공(111a)이 형성된 하우징(11a); 상기 하우징(11a)의 압력공(111a)을 폐쇄하도록 하우징(11a)에 결합되어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1a) 내로 팽창 가능한 탄성막(12); 상기 탄성막(12) 내에 채워지는 액체(F); 및 상기 하우징(11a)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막(12) 내측의 액체(F)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1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1a)은 판재(2)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판재(2)에는 도 2의 (b)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관통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에 연통되도록 하우징(11a)에는 상기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공(111a)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판재(2)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물질이 유동 콘크리트이면 판재(2)는 거푸집에 해당된다.
그리고 유체는 물, 기름 등 유동성이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상기 하우징(11a)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는 판재(2)에 미리 부착하여 판재(2)와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막(12) 내부에는 액체(F)가 채워지는데, 상기 액체(F)는 동절기에 동결되어 측압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동액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a)의 일측에는 액체(F)의 주입을 위한 액체주입구(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액체(F)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액체주입구(15)는 가급적 하우징(11a) 상단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액체주입구(15)는 액체(F) 주입뿐 아니라 하우징(11a) 내의 공기를 빼내는 구성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막(12)은 하우징(11a)의 압력공(111a)을 폐쇄하도록 하우징(11a)에 결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C) 타설에 의한 타설압이나 유체 또는 토사 등의 압력에 의하여 하우징(11a) 내로 팽창 가능하다.
도 2의 (b)의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C) 타설시 판재(2)의 관통공(21)을 통해 외측으로 유출되는 콘크리트(C)가 하우징(11a)의 탄성막(12)에 측압을 가하면, 탄성막(12)이 하우징(11a) 내부로 팽창되면서 하우징(11a) 내부의 액체(F)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압력계측부(13)로 하우징(11a) 내부 액체(F)의 압력 상승치를 측정하여 콘크리트(C)의 측압을 측정한다.
유체 또는 토사의 압력도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 측정 과정과 같다.
상기 압력계측부(13)는 하우징(11a)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막(12) 내측의 액체(F)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압력계측부(13)는 아날로그 압력계, 디지털 압력계, 압력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로거나 PC에 연결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압력계측부(13)는 고무호스일 수도 있다. 즉, 고무호스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탄성막(12) 내의 압력 상승에 따라 액체(F)가 고무호스를 타고 상승할 수 있는데, 고무호스 내 액체(F)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유동 콘크리트나 유체 또는 토사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계측부(13)는 하우징(11a) 외부 어느 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나,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압력공(111a)과 반대 위치에 결합하였다.
상기 하우징(11a)의 판재(2) 측 일단에는 결합판(14)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14)을 판재(2)에 고정하여 하우징(11a)을 판재(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판(14)은 하우징(11a)과 별개의 플레이트일 수도 있고, 하우징(11a)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판(14)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재(2)에 볼트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판(14)에는 다수의 볼트체결공을 미리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상기 관통공(21) 및 압력공(111a)의 지름은 유동 콘크리트 중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C)의 굵은골재가 관통공(21)을 막아 콘크리트(C)의 측압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토압이나 수압을 측정할 경우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최대 크기 이상으로 관통공(21) 및 압력공(111a)의 지름 크기를 구성한다.
콘크리트의 경우,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콘크리트(C) 타설시 탄성막(12)의 팽창에 의하여 압력계측부(13)에서 실시간으로 콘크리트(C)의 측압을 측정할 수 있어, 콘크리트 측압 크기에 따라 1회 타설 높이, 타설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화 후에는 판재(2)와 함께 또는 판재(2)와 별도로 떼어내어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를 전용할 수 있으며, 거푸집 등 판재(2) 제거시 판재(2)의 관통공(21) 외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콘크리트 부분은 그라인딩 작업으로 제거하여 평탄면이 되도록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압력측정장치(10)는 하우징(11a)이 판재(2) 외부에 위치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등 구조체 내 단면손실이 없다.
도 4는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판재에 결합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탄성막(12)은 일부가 판재(2)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판재(2) 외측의 하우징(11a) 내에 위치하는 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공과 같이 생긴 탄성막(12)의 반은 판재(2) 내에 나머지 반은 판재(2) 외부로 걸치도록 설치하여, 판재(2) 내부에서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유동 콘크리트나 유체 또는 토사의 압력에 의해 탄성막(12)이 자유롭게 변형되고 판재(2) 외부에서는 하우징(11a)이 탄성막(12) 외측에 밀착되도록 지지하여 탄성막(12)이 외부로 팽창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하우징(11a)은 구 형상인 탄성막(12) 형상에 따라 반구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력계측부(13)는 탄성막(12)이 변형하면서 하우징(11a) 내부의 액체(F)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유동 콘크리트나 유체 또는 토사의 압력을 측정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압력측정장치(10)는 판재(2) 내부에 위치한 탄성막(12) 부분의 변형에 의하여 압력을 측정하므로, 굵은골재 등 이물질이 구멍을 막아 압력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압력측정장치(10)도 따로 떼어내어 전용이 가능하고, 하우징(11a) 일측에는 액체주입구(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1a)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F)를 부동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계측부(13), 결합판(14) 등의 구성 및 역할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판재에 결합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와 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2)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2)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에 압력공(111b)이 형성되고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하우징(11b); 상기 하우징(11b) 내에 채워지는 액체(F); 및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에 결합되어 하우징(11b) 내측의 액체(F)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1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판재(2) 내부에 하우징(11b)을 설치함으로써, 유동 콘크리트나 유체 또는 토사에 의해 하우징(11b)이 변형될 때 하우징(11b) 내부에 가해지는 액체(F)의 압력을 압력계측부(13)로 측정하여, 측정물의 압력을 측정한다.
도 7 내지 도 9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판재(2) 내부에 위치한 구조 부재에 단면 손실이 생겨 추가 그라우팅 작업을 할 필요가 있는 반면, 판재(2)의 관통공(21)을 크게 뚫을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관통공(21)은 압력계측부(13)와 연결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상기 하우징(11b)은 고무 소재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하우징(11b)은 액체(F)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면서 유동 콘크리트나 유체 또는 토사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다른 소재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압력계측부(13)는 거푸집 등 판재(2)나 철근 등에 부착할 수 있으나, 철근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압력계측부(13)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바람직하게는 판재(2)에 부착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1b)은 압력공(111b)이 형성된 일측이 판재(2)에 형성된 관통공(21)과 연통되도록 판재(2)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계측부(13)는 판재(2) 외측에 결합되고 판재(2)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에 결합되도록 판재 부착형으로 구성하여 하우징(11b) 외의 구성은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 둘레 외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7)가 관통공(21)에 삽입 관통되어 판재(2) 외측에서 너트부재(N)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판재(2) 외측에서 간단하게 너트부재(N)를 조이는 과정만으로 하우징(11b)을 판재(2)에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부(17) 내측에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압력계측부(13)의 단부 외주면에도 이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결합부(17) 내측에 압력계측부(13)를 나사 결합하여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는 하우징(11b)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1b)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b)에는 판재(2) 외부로 연결된 그라우트주입구(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 측압 측정이 완료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하우징(11b) 내의 액체(F)를 제거하고 하우징(11b) 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여 단면 손실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압력공(111b)과 관통공(21)을 통하여 하우징(11b) 내부의 액체(F)를 제거하고 관통공(21)을 폐쇄한 다음, 그라우트주입구(16)를 통하여 하우징(11b) 내부에 그리우팅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트주입구(16)는 하우징(11b)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공(111b)을 통해 별도의 그라우팅용 호스 등을 외부로 연결하여 하우징(11b) 내부를 그라우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1b)에는 그라우트주입구(16)와 액체주입구(15)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라우트주입구(16)를 액체주입구(15)로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도 7 내지 도 9의 압력측정장치(10)도 하우징(11b) 부분을 제외하고 떼어내어 전용할 수 있고, 하우징(11b) 일측에 액체주입구(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11b)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F)를 부동액으로 할 수 있다.
도 10은 구조물의 천공홀 내에 설치된 본 발명 압력측정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10)는 지하실 바닥 내수판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1)을 관통하는 천공홀 내에 설치하여, 지하수(W)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1: 구조물 2: 판재
10: 압력측정장치 11a, 11b: 하우징
111a, 111b: 압력공 12: 탄성막
13: 압력계측부 14: 결합판
15: 액체주입구 16: 그라우트주입구
17: 결합부 21: 관통공
C: 콘크리트 F: 액체
N: 너트부재 S: 지반
W: 지하수

Claims (11)

  1. 판재(2)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2)의 외측에 결합되어 판재(2)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공(111a)이 형성된 하우징(11a);
    상기 하우징(11a)의 압력공(111a)을 폐쇄하도록 하우징(11a)에 결합되어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1a) 내로 팽창 가능한 탄성막(12);
    상기 탄성막(12) 내에 채워지는 액체(F); 및
    상기 하우징(11a)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막(12) 내측의 액체(F)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13); 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막(12)은 일부가 판재(2)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판재(2) 외측의 하우징(11a) 내에 위치하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1a)의 판재(2) 측 일단에는 결합판(14)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14)을 판재(2)에 고정하여 하우징(11a)이 판재(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관통공(21) 및 압력공(111a)의 지름은 유동 콘크리트(C) 중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4. 삭제
  5. 판재(2)로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2)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에 압력공(111b)이 형성되고 유동 콘크리트, 유체 또는 토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하우징(11b);
    상기 하우징(11b) 내에 채워지는 액체(F); 및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에 결합되어 하우징(11b) 내측의 액체(F)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측부(1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11b)은 고무 또는 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11b)은 압력공(111b)이 형성된 일측이 판재(2)에 형성된 관통공(21)과 연통되도록 판재(2)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계측부(13)는 판재(2) 외측에 결합되고 판재(2)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11b)의 압력공(111b) 둘레 외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7)가 관통공(21)에 삽입 관통되어 판재(2) 외측에서 너트부재(N)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11b)에는 판재(2) 외부로 연결된 그라우트주입구(1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0.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액체(F)는 부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1.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11a, 11b)의 일측에는 액체(F)의 주입을 위한 액체주입구(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KR1020140004862A 2014-01-15 2014-01-15 압력측정장치 KR10153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862A KR101534262B1 (ko) 2014-01-15 2014-01-15 압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862A KR101534262B1 (ko) 2014-01-15 2014-01-15 압력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262B1 true KR101534262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862A KR101534262B1 (ko) 2014-01-15 2014-01-15 압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72B1 (ko) 2018-02-19 2018-04-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 라이닝 배면 공동 계측 장치
US11402287B2 (en) * 2019-09-10 2022-08-02 Structural Group, Inc. Mechanical formwork pressure sensor for in-situ measurement of fluid pressure during concrete matertal plac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40061941A (ko) 2022-11-01 2024-05-0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거푸집 측압 및 상향 압력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900B2 (ja) * 2002-06-05 2007-05-23 独立行政法人北海道開発土木研究所 大型土圧計
KR101113784B1 (ko) * 2009-11-02 2012-0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금속용기 내압성 실험장치 및 그 실험장치를 이용한 금속용기 내압성 실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900B2 (ja) * 2002-06-05 2007-05-23 独立行政法人北海道開発土木研究所 大型土圧計
KR101113784B1 (ko) * 2009-11-02 2012-0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금속용기 내압성 실험장치 및 그 실험장치를 이용한 금속용기 내압성 실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72B1 (ko) 2018-02-19 2018-04-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 라이닝 배면 공동 계측 장치
US11402287B2 (en) * 2019-09-10 2022-08-02 Structural Group, Inc. Mechanical formwork pressure sensor for in-situ measurement of fluid pressure during concrete matertal plac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40061941A (ko) 2022-11-01 2024-05-0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거푸집 측압 및 상향 압력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9493B (zh) 用于升起建筑物结构的方法和系统
RU2626101C9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несу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льцевого датчика
AU2013357138A1 (en) Rock anchor bolt
KR101534262B1 (ko) 압력측정장치
KR101725330B1 (ko)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된 그라우팅 장치
CN209372553U (zh) 一种隧道围岩压力盒的辅助埋设装置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CN104863108A (zh) 一种地连墙侧向土压力盒埋设装置
KR101710304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세굴 이격부 보수 보강 공법
JP4898233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構造
CN201334678Y (zh) 土压力盒埋设装置
CN108414362B (zh) 一种多用途模型试验平台
KR101222071B1 (ko) 설계 지지력 발현 확인과 즉각적인 선단지지력 발현이 가능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선단 맴브레인 덮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JP5608300B1 (ja) 成形止水材の止水検査装置又は止水検査方法
CN206289678U (zh) 一种带内部注浆的基桩自平衡检测装置
JP3585567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埋込インサート
CN204662373U (zh) 一种用于面板堆石坝的脱空变形监测装置
KR101425511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DK3228757T3 (en) REINFORCING INTERIOR
CN100547173C (zh) 一种浆砌石坝扬压力观测孔的封孔装置及其封孔方法
Cirone Geotechnical modelling of CPR Grouting
CN204875878U (zh) 桶式基础结构上土压力计和渗压计一体式安装装置
KR20170001402U (ko) 구조물 수압측정 및 수압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출장치
CN113155698B (zh) 大型堤防管涌险情演化机理物理模拟装置
KR100820596B1 (ko) 트렌치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