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99B1 -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99B1
KR101533699B1 KR1020090015708A KR20090015708A KR101533699B1 KR 101533699 B1 KR101533699 B1 KR 101533699B1 KR 1020090015708 A KR1020090015708 A KR 1020090015708A KR 20090015708 A KR20090015708 A KR 20090015708A KR 101533699 B1 KR101533699 B1 KR 10153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content
service
e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696A (ko
Inventor
박호연
금지은
김준형
황승오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99B1/ko
Priority to CN2010800093260A priority patent/CN102334342A/zh
Priority to EP10746389.5A priority patent/EP2401864A4/en
Priority to JP2011551006A priority patent/JP5851844B2/ja
Priority to PCT/KR2010/001007 priority patent/WO2010098550A2/en
Priority to US12/712,815 priority patent/US20100218213A1/en
Publication of KR2010009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UI 정보의 처리 방법은 송신측에서 서비스/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어 UI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전송하며, 수신 측은 송신측에서 전송하는 EPG 및 서비스/컨텐츠를 랜더링하며 선택된 제어 UI에 따른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화면을 구성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된 제어 UI에 따라 컨텐츠를 제어한다.
CUI, Control UI, EPG.

Description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UI INFORMATION USING EPG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UI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EPG를 이용하여 컨트롤 UI 정보를 전송 및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를 기반으로 한 컨버전스 시대에 있어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시장성이 높은 차세대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서, 이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차세대 시장 선도 기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통방(통신과 방송) 융합 서비스의 가장 큰 축인 IPTV는 기존의 TV, 음성, 데이터 기술을 하나로 재조합 또는 결합한 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양방향성을 지원하여 더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기술이다. 특히, 이러한 IPTV 기술은 기존의 제한된 단말 환경에서 특화된 서비스 제공이 아닌 셋탑박스, PC, TV와 같은 고정형 단말,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형 단말 등, 유선 및 무선망 또는 방송망 등 단말 및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서비스를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 및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을 고려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발굴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단일 리모콘 UI를 통해서 성격이 다른 여러 컨텐츠들을 콘트롤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CoD 컨텐츠를 컨트롤할 수 있는 버튼들(Play, Stop, Pause, Fastfoward, Fastbackward)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실시간 방송들의 컨텐츠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버튼들(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실시간 방송(1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Play 버튼(201), Pause 버튼(202), Stop 버튼(203), Fast Reverse 버튼(200), Fast Forward 버튼(204) 등과 같은 특성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실시간 방송(101)은 특성 상 멈추거나 뒤로 돌릴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CoD(102)와 같은 경우는 도 2에서 제공하는 버튼들은 기본적으로 모두 제공이 되어야 한다. 상기 CoD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과 다르게 미리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로써, 사용자가 원할 때 CoD 컨텐츠(102)가 재생(201)되어야 하며, 뒤로 감기(200)나 앞으로 감기(204), 잠시 멈추기(202) 등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들을 리모콘에서 지원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CoD 컨텐츠(102)는 도 3에 도시된 숫자(300)나 문자(301) 버튼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시스템(digital convergence system)은 통신과 방송이 결합되는 추세이며, 이런 경우 방송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컨텐츠를 디지털 방송장치에서 서비스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 방송 컨텐츠를 처리할 때, 제한된 키입력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기기의 제어 UI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각각의 컨텐츠(101, 102, 103, 104)에 대해서 특화된 컨트롤 할 수 있는 Control UI (이하, CUI라 칭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가 컨텐츠에 맞는 CUI 정보를 컨텐츠와 같이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컨텐츠 별로 특화된 CUI를 제공하기 위해서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와 EPG를 받는 디바이스에게 컨텐츠 별로 특화된 CUI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프로토콜 TV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 즉 EPG에 각각의 컨텐츠에 특화된 CUI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 EPG에 컨텐츠와 특화된 CUI 정보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EPG를 받고 처리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추출된 특화된 CUI 정보를 기반으로 CUI를 만드는 방법 및 과정을 정의한다. 또한 만들어진 CUI를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과정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UI 정보 처리 장치는,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바이더와, 상기 서비스/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서비스/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어 UI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전송되는 EPG 및 서비스/컨텐츠를 랜더링하며, 선택된 제어 UI에 따른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화면을 구성하는 랜더링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UI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처리부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UI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된 제어 UI 에 따라 컨텐츠를 제어하는 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EPG는 서비스/컨텐츠의 EPG 정보 및 서비스/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키코드들로 구성되는 제어 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더링부는 상기 EPG에서 제어 UI를 구분하여 상기 디폴트 제어 UI 페이지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처리부에서 컨텐츠 선택시 해당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 UI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어처리부에 전달하여 제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UI 정보 처리 방법은, 컨텐츠 및 컨텐츠의 제어 UI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EPG 정보에서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컨텐츠 선택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에서 해당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선택되는 제어 UI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EPG는 컨텐츠의 EPG 정보 및 서비스/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키코드들로 구성되는 제어 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UI 정보는 하나의 키코드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복수의 키코드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에서 해당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특화된 제어 UI 정보를 EPG에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제어 UI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특화된 제어 UI 페이지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에서 해당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위 카테고리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제어 UI 정보에 따라 카테고리 제어 UI 페이지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된 EPG 정보 수신시 상기 EPG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처리중인 컨텐츠의 제어 UI 정보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UI 정보의 업데이타가 있으면,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갱신된 제어 UI 페이지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서 각각의 컨텐츠에 맞는 특화된 CUI 정보를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service/contents provider)가 구성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사용자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전송한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에 특화된 CUI 정보를 통해서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가 렌더링되는 제1 디바이스 (예를들면 TV 등)를 통해서 컨트롤하거나, 혹은 제2 디바이스(예를들면 모바일, Portable 디바이스 등)를 통해서 컨트롤하고자 할 때, 필요하지 않은 컨트롤 기능들은 뺀 채 필요한 컨트롤 기능들만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보고 컨트롤할 수 있으며,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부가적인 정보까지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및 방송 기술이 결합되는 디지털 컨버전스 시스템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각각의 컨텐츠 별로 특화된 CUI를 포함시켜 제공하며,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와 EPG를 받는 디바이스는 컨텐츠 별로 특화된 CUI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프로토콜 TV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 즉 EPG에 각각의 컨텐츠에 특화된 CUI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 EPG에 컨텐츠와 특화된 CUI 정보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EPG를 받고 처리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추출된 특화된 CUI 정보를 기반으로 CUI를 만드는 방법 및 과정을 정의한다. 또한 만들어진 CUI를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과정을 정의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EPG 정보와 CUI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402)는 서비스 및 컨텐츠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및 컨텐츠는 상기 도 1의 참조번호 101 - 104 등이 될 수 있다. 정보생성부(411)은 상기 서비스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EPG 정보 및 CUI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EPG(electronic program guide)는 시청자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규격으로써,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시스템 관련 정보 및 서비스 컨텐츠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EPG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CUI(control UI)를 포함하며, 상기 CUI는 서비스/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될 수 있다. 상기 CUI는 예를들면 CoD 컨텐츠인 경우 상기 도 2와 키들을 정의하며(이때 도 3과 같은 문자 및 숫자 키들은 제외시킴),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도 3과 같은 문자 및 키들을 정의한다(이때 상기 도 2와 같은 기능키들은 제외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컨텐츠 및 CUI를 포함하는 EPG는 수신측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402) 및 정보생성부(411)는 송신측의 구성이 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경우 디지털 방송 송신기가 될 수 있다.
렌더링부(401)는 상기 서비스/컨텐츠 및 CUI가 포함된 EPG를 수신하며, 상기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rendering)한다. 즉, 상기 렌더링부(401)는 상기 EPG에서 CUI를 분리하여 제어처리부(400)에 전달한다. CUI 저장부(410)은 상기 CUI 정보(또는 CUI page)를 저장한다. 제어처리부(400)은 상기 렌더링부(401)에서 구분된 CUI 정보를 상기 CUI 저장부(410)에서 확인하며, 상기 렌더링부(401)에서 렌더링되는 서비스/컨텐츠를 상기 CUI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화면을 도시하지 않은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현재 처리되는 서비스/컨텐츠를 제어처리부(400)에 의해 표현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더링부(401), CUI저장부(410), 제어처리부(400) 및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는 수신기가 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television receiver) 및 모바일 기기(mobile equipment, 예를들면 휴대전화기 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4a와 같은 구성을 살펴보면,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402)는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401)에 EPG와 EPG 안에 담겨 있는 각각의 컨텐츠에 특화된 CUI 정보(411)를 함께 묶어서 전송한다. 즉, 서비스/컨텐츠 송신측은 서비스/컨텐츠에 대응되는 CUI를 생성하여 EPG에 포함시키고, 상기 서비스/컨텐츠와 CUI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401)은 전송된 EPG(+CUI 정보) 정보에서 기본 EPG 정보와 CUI 정보를 구분하여 분리한다. 그리고 현재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보고 있다면, 해당 컨텐츠를 컨트롤할 수 있는 CUI 정보를 제어처리부(Control Function, 4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랜더링부(401)는 수신되는 EPG에서 CUI를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CUI에서 현재 재생되는 서비스/컨텐츠의 CUI를 제어처리부(4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처리부(400)는 CUI 저장부(410)에서 상기 랜더링부(4010)에서 전달되는 CUI의 CUI 정보 혹은 CUI 페이지(410)를 받아서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402)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처리부(400)는 상기 CUI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제어화면(Control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렌더링된 CUI를 통해서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컨텐츠를 컨트롤할 수 있다. 만약, CUI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이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랜더링부(401)에 있으면, 상기 랜더링부(401)는 추출된 CUI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처리부(400)에 CUI 페이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b는 제어처리부(400)와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랜더링부(401)가 실제 물리적으로 하나의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랜더링부(401)가 제어처리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랜더링부(401)는 송신측에서 전송되는 서비스/컨텐츠와 EPG를 랜더링하며, 이때 상기 EPG에 포함된 CUI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컨텐츠의 CUI에 따라 CUI정보(또는 CUI 페이지)를 제어처리(control function)하여 CUI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제어화면(Control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 4b와 같은 구성의 장치는 상기 도 4a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은 구성으로 CUI를 참조하여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는 전용 리모컨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표시장치 또는 모바일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V와 같은 장치는 전용 리모컨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모든 서비스/컨텐츠들을 제어하기 위한 UI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wireless equipment)는 서비스/컨텐츠들 을 제어하기 위한 UI 명령을 발생하는데 제한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가 EPG에 포함된 CUI를 분리하여 제어화면을 구성하고, 제어화면에 따라 서비스/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는 장치이면 CUI에 의해 제어화면을 표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EPG와 함께 전송되는 Default CUI(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5와 같은 EPG 정보를 전달할 때, 채널, 프로그램,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EPG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아볼 때 사용되는 기본적인 디폴트 CUI(default CUI)(500)에 대한 메타데이타가 함께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디폴트 CUI는 EPG 안에 들어 있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 기본 UI를 말한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EPG와 디폴트 CUI 도면을 실제 전송되는 메타데이타 형식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메타데이타는 TV AnyTime 스펙을 바탕으로 작성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타의 TVAMainType 엘리먼트(600) 밑에 DefaultCUI(601)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DefaultCUI(601)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다. DefaultCUI(601) 엘리먼트 밑에는 컨트롤할 수 있는 키들에 대한 집합인 KeyCodeList(602)와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정보 즉, AdditionalInfo(604)가 위치해 있다.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는 AdditionalInfo 엘리먼트(604)를 통해서 광고 URL이나 정의되어 있지 않은 컨트롤 액션 값들을 추가적으로 EPG 처리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디바이스(401)에게 보낼 수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보내주는 부가적인 정보(604)를 통해서 향상된 컨트롤 액션들을 행할 수가 있다. KeyCodeList(602) 엘레멘트 밑에는 각각의 컨트롤할 수 있는 개별 KeyCode(603)가 들어가 있다.
상기 도 6에서 상기 KeyCode 값들은 하기 <표 1>과 같이 미리 정의된 Key Code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하나씩 Key Code 값이 들어갈 수도 있고,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개 Key Code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나의 navigationkeys 라는 그룹 키가 5개의 개별 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9011667880-pat00001
Figure 112009011667880-pat00002
도 7은 본 발명의 각각의 개별 컨텐츠마다 특화된 CUI 정보를 주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터의 ProgramLocationType 엘리먼트(700) 밑에 SpecializedCUI 엘리먼트(701)를 위치시킨다. ProgramLocationType 엘리먼트는 각각의 프로그램, 즉 컨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ProgramLocationType 엘리먼트(700) 밑에 놓인 SpecializedCUI 엘리먼트(701)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SpecializedCUI 엘리먼트(701) 하위에는 각각의 컨텐츠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화된 CUI 정보들이 놓인다. 특화된 CUI 정보는 KeyCodeList 엘리먼트(702)와 AdditionalInfo 엘리먼트(704)를 통해서 표현될 수 있다. KeyCodeList 엘리먼트(702) 현재 컨텐츠를 컨트롤할 수 있는 컨트롤 액션 키들에 대한 모음, 즉 KeyCode 엘리먼트(703)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KeyCode 값들은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하나씩 Key Code 값이 들어갈 수도 있고,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개 Key Code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AdditionalInfo 엘리먼트(704)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정의된 컨트롤 액션 이외의 부가적인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DefaultUI 엘리먼트(601) 밑에 있는 AdditionalInfo 엘리먼트(604)와의 차이점은 현재 속해 있는 컨텐츠에 특화된 부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렌즈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해당 드라마에 출연하는 배우가 입고 있는 의상이라던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이 무엇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좀 더 확장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쇼핑몰 링크를 다이렉트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Open IPTV Forum에서 정의한 IPTV 구조에 맞춘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Control Function(800)은 사용자가 TV나 셋탑박스를 컨트롤할 수 있는 논리적 객체이다. OITF/AG(801)는 Control Function(800)에 의해 컨트롤 당하는 TV 혹은 셋탑박스에 포함되는 논리적 객체이다. 실제적으로 EPG 데이터와 CUI 정보를 받아서 파싱(parsing)하고, 컨텐츠를 렌더링(rendering)하는 역할은 OITF/AG (801)에서 맡고 있다.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는 컨텐츠와 EPG 데이터, 그리고 EPG 데이터와 포함된 CUI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Control Function(800)은 상기 도 4a 및 도 4b의 제어처리부400이 될 수 있으며, OITF/AG(801)는 상기 도 4a 및 도 4b의 랜더링부(401)가 될 수 있고,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는 도 4a 및 도 4b의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402) 및 정보생성부(411)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이렇게 생성된 정보가 실제적으로 OITF/AG(801), Control Function(800)에 전송되기 이전에, Control Function(800), OITF/AG(801),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810단계에서 상기 Control Function(800), OITF/AG(801),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들은 링크된 상태라고 가정한다(assume connection setup). 3개의 엔터티 간에 연결이 되어 있으면, 먼저 OITF/AG(801)은 811단계에서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로부터 EPG 정보를 받기 위해서 E-BCG discovery를 한다. 즉, 811단계에서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는 E-BCG를 OITF/AG(801)에 전달하며, OITF/AG(801)는 상기 E-BCG를 수신한다(E-BCG discovery). 여기서, E-BCG에서 BCG는 Broadband Content Guide의 약자이며, EPG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E-BCG에서 앞의 E는 Enhanced라는 뜻이며 기존 BCG를 확장하여 CUI 정보를 담고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상기 OITF/AG(801)는 EPG 정보를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로부터 수신하면, 812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받은 EPG 정보 분석하여 Default Control UI Page를 구성한 후, 이를 화면으로 보여준다. 이 때, OITF/AG(801)는 자신이 직접 UI를 구성하여 Control Function(80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UI를 구성할 수 있는 정보만을 구성하여 Control Function(800)에게 전달하고, Control Function(800)은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Default Control UI Page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OITF/AG(801)가 DefaultCUI 정보를 바탕으로 Default Control UI Page를 구성하여 Control Function(800)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813단계에서 상기 OITF/AG(801)가 Control Function(800)에 Default Control UI Page가 전달하면, Control Function(80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OITF/AG(801)에서 렌더링하고 EPG 화면에 나타난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Control Function(800)은 814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OITF/AG(801)에 전달한다.
그러면 OITF/AG(801)는 815단계에서 해당 컨텐츠를 렌더링하며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특화된 CUI 정보를 EPG 메타데이터로부터 파싱하여 추출하고, 816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OITF/AG(801)에서 렌더링되고 있는 컨텐츠에 특화된 CUI 페이지를 구성한다. 페이지가 구성되면, OITF/AG(801)는 817단계에서 Control Function(800)에 구성된 CUI 페이지를 전달하고, 사용자는 전달된 CUI 페이지를 통해서 현재 OITF/AG(801)에서 렌더링되고 있는 컨텐츠를 컨트롤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 8을 응용한 흐름도로, 개별 컨텐츠에 연관된 CUI 정보를 통해 각각의 개별 컨텐츠를 컨트롤한다는 개념을 확장하여, 공통적인 속성을 가진 개별 컨텐츠를 묶고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CUI 개념을 적용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OITF/AG(801)가 Default CUI를 Control Function(800)에게 전달하는 810단계 - 813단계의 동작은 상기 도 8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후 Control Function(800)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한 정보가 814단계에서 OITF/AG(801)에게 전달되고, OITF/AG(801)는 900단계에서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통해서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카테고리 CUI 정보를 추출한다. 카테고리 개념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D, Linear TV (실시간 방송), Communication Service 등이 될 수도 있고, 컨텐츠 프로바이더 별(Ex: MBC, KBS, MTV 등)로도 묶을 수 있다. 추출된 카테고리 CUI 정보를 바탕으로 OITF/AG(801)는 901단계에서 카테고리 CUI 페이지를 구성하고, 902단계에서 구성된 카테고리 CUI 페이지를 Control Function(800)에게 전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는 도중에 E-BCG 메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와 연관된 CUI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 및 1001단계는 상기 Control Function(800), OITF/AG(801),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들은 링크된 상태이며, E-GCG 정보를 근거로 CUI를 생성하여 OITF/AG(801)가 Control Function(800)에 전송하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된 CUI 페이지를 통해서 현재 OITF/AG(801)에서 렌더링되고 있는 컨텐츠를 컨트롤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OITF/AG(801)가 1002단계에서 IPTV 서비스 프로바이더(802)로부터 업데이트된 E-BCG를 받으면, OITF/AG(801)는 1003단계에서 업데이트된 E-BCG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OITF/AG(801)는 분석한 결과 현재 사용자가 소비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CUI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견하면 1003단계에서 갱신된 ECG 및 해당 CUI 정보를 E-BCG로부터 추출하며, 1004단계에서 새로운 CUI 페이지를 구성한다. 이후 상기 OITF/AG(801)는 1005단계에서 구성된 CUI 페이지를 Control Function(8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새로 전달된 CUI 페이지를 바탕으로 현재 소비되고 있는 컨텐츠를 컨트롤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단일 리모콘 UI를 통해서 성격이 다른 여러 컨텐츠들을 콘트롤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CoD 컨텐츠를 컨트롤할 수 있는 Play, Stop, Pause, Fastfoward, Fastbackward 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EPG 정보와 CUI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EPG와 함께 전송되는 Default CUI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EPG와 Default CUI 도면을 실제전송되는 메타데이타 형식으로 구성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각각의 개별 컨텐츠마다 특화된 CUI 정보를 주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Open IPTV Forum에서 정의한 IPTV 구조에 맞춘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통적인 속성을 가진 개별 컨텐츠를 묶고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CUI 개념을 적용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는 도중에 E-BCG 메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와 관련 있는 CUI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하나의 navigationkeys 라는 그룹 키가 5개의 개별 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컨텐츠 프로바이더와,
    각 서비스/컨텐츠마다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에 포함되도록 생성하는 정보생성부와,
    상기 서비스/컨텐츠와 상기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UI 정보는 해당하는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는,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는 상기 EPG 정보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컨텐츠들의 선택을 위한 제어 UI 정보와,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4.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컨텐츠 및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EPG 정보에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특정 서비스/컨텐츠 선택 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에서 해당 서비스/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제어 UI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어 UI들 중 하나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제어 UI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는 해당 서비스/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키코드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키코드들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는, 상기 EPG 정보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컨텐츠들의 선택을 위한 제어 UI 정보와,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마다 해당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에서 해당 서비스/컨텐츠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컨텐츠를 포함하는 상위 카테고리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카테고리 제어 UI 정보에 따라 카테고리 제어 UI 정보를 페이지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업데이트된 EPG 정보 수신 시 상기 EPG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처리중인 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업데이트된 상기 제어 UI 정보가 있으면, 업데드트된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 UI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 처리 방법.
  10.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 서비스/컨텐츠마다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EPG 정보에 포함되도록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상기 제어 UI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키코드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상기 제어 UI 정보는, 복수의 키코드들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컨텐츠 및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컨텐츠의 랜더링하고 상기 EPG 정보에서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를 구분하여 분리하는 랜더링부와,
    상기 서비스/컨텐츠 및 제어 UI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디폴트 제어 UI 정보로부터 각 서비스/컨텐츠마다 상기 서비스/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UI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컨텐츠에 대응한 제어 UI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부와,
    상기 제어처리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UI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수신 및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상기 제어 UI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키코드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수신 및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컨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상기 제어 UI 정보는, 복수의 키코드들의 묶음에 대한 그룹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수신 및 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는,
    업데이트된 EPG 정보 수신 시 상기 EPG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컨텐츠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UI만으로 구성된 제어 UI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검사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제어 UI 정보가 있으면, 상기 업데드트된 제어 UI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를 수신 및 처리 장치.
KR1020090015708A 2009-02-25 2009-02-25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3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08A KR101533699B1 (ko) 2009-02-25 2009-02-25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CN2010800093260A CN102334342A (zh) 2009-02-25 2010-02-18 在数字广播系统中控制用户界面递送的方法和装置
EP10746389.5A EP2401864A4 (en) 2009-02-25 2010-02-18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ONTROL USER INTERFACE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JP2011551006A JP5851844B2 (ja) 2009-02-25 2010-02-18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の制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伝達方法及び装置
PCT/KR2010/001007 WO2010098550A2 (en) 2009-02-25 2010-02-18 Control user interface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 system
US12/712,815 US20100218213A1 (en) 2009-02-25 2010-02-25 Control user interface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08A KR101533699B1 (ko) 2009-02-25 2009-02-25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696A KR20100096696A (ko) 2010-09-02
KR101533699B1 true KR101533699B1 (ko) 2015-07-03

Family

ID=4263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08A KR101533699B1 (ko) 2009-02-25 2009-02-25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18213A1 (ko)
EP (1) EP2401864A4 (ko)
JP (1) JP5851844B2 (ko)
KR (1) KR101533699B1 (ko)
CN (1) CN102334342A (ko)
WO (1) WO20100985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532A1 (en) * 2018-12-11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420A (en) * 2012-11-30 2014-06-04 Sony Corp System generating user indication based on availability of future scheduled broadcast programme for catch-up (streamed) viewing after broadcast
US9680689B2 (en) * 2013-02-14 2017-06-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Fragmenting media con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8751A1 (en) * 2003-11-17 2005-05-19 Sony Corporation TV remote control with display
JP2005160041A (ja) * 2003-10-27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端末
KR2007002102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구조 및 통지 메시지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80284907A1 (en) * 2007-05-15 2008-11-20 Hsin-Ta Chiao System And Method Of Dual-Scree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837A (en) * 1996-03-29 2000-02-15 Micrsoft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hyperlinks to target resources
US6172677B1 (en) * 1996-10-07 2001-01-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tegrated content guide for interactive selection of content and services on personal computer systems with multiple sources and multiple media presentation
US5996015A (en) * 1997-10-31 1999-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elivering seamless and continuous presentation of multimedia data files to a target device by assembling and concatenating multimedia segments in memory
US7178161B1 (en) * 2001-01-18 2007-02-13 Tentoe Surf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onnection speed detecting movie and rich media player customization on the fly
US7907220B2 (en) * 2002-01-22 2011-03-15 Canon Kabushiki Kaish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JP4366038B2 (ja) * 2002-01-22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放送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445133B2 (en) * 2002-07-10 2016-09-13 Arris Enterprises, Inc. DVD conversion for on demand
JP2004056462A (ja) * 2002-07-19 2004-02-19 Sony Corp 映像検索支援方法及び映像検索支援装置、並びに放送受信装置
CN1846455B (zh) * 2003-08-29 2010-12-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886988B (zh) * 2003-10-22 2012-07-04 视频网络Ip控股有限公司 非线性交互式视频导航
JP2006059076A (ja) * 2004-08-19 2006-03-02 Toshiba Corp コンテンツ閲覧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閲覧方法
US20060168291A1 (en) * 2005-01-05 2006-07-27 Van Zoest Alexander Interactive multichannel data distribution system
CN101120334A (zh) * 2005-01-05 2008-02-06 Divx公司 交互式多信道数据分发系统
KR100653490B1 (ko) * 2005-01-12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별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20070087898A (ko) * 2006-01-26 2007-08-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컨텐츠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7305277A (ja) * 2006-05-15 2007-11-2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コンテンツ閲覧用プログラム及び再生装置
KR100788696B1 (ko) * 2006-06-2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브라우즈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05010A (ja) * 2007-06-20 2009-01-08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89489A1 (en) * 2008-01-09 2009-07-16 Harmonic Inc. Browsing and viewing video assets using tv set-top box
KR100976446B1 (ko) * 2008-05-02 2010-08-17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인터넷 티브이 방송의 적응적 메뉴 구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041A (ja) * 2003-10-27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端末
US20050108751A1 (en) * 2003-11-17 2005-05-19 Sony Corporation TV remote control with display
KR2007002102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구조 및 통지 메시지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80284907A1 (en) * 2007-05-15 2008-11-20 Hsin-Ta Chiao System And Method Of Dual-Scree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532A1 (en) * 2018-12-11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20200071262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503369B2 (en) 2018-12-11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102631405B1 (ko) * 2018-12-11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51844B2 (ja) 2016-02-03
WO2010098550A2 (en) 2010-09-02
CN102334342A (zh) 2012-01-25
EP2401864A2 (en) 2012-01-04
EP2401864A4 (en) 2014-04-30
WO2010098550A3 (en) 2010-12-02
JP2012518938A (ja) 2012-08-16
KR20100096696A (ko) 2010-09-02
US20100218213A1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5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 channel arrangements in a programming guide
KR101832463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752002B1 (ko) 웹브라우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763593B1 (ko)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MX2008002599A (es) Metodo de suministro de modelos de mensajeria en guia de servicio de radiodifusion digital.
CN101742173A (zh) 一种支持观看两路视频的方法及网络互动电视系统
KR2012011819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20120071652A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CN111726664A (zh) 通过移动终端控制显示设备功能操作的方法及显示设备
KR101533699B1 (ko) EPG를 이용한 Control UI 정보 전송 및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726674B (zh) 一种HbbTV应用启动方法及显示设备
KR20100050067A (ko)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2907112A (zh) 用户界面提供方法及使用该方法的系统
KR20120028744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CN1432254A (zh) 用视频内容提供广告信息
KR100787787B1 (ko) 채널메뉴 ui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96468B (zh) 一種影音選取播放方法與系統
JP5603752B2 (ja) 映像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06527B2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control and an advertising source
KR101838198B1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9154729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72073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20089972A (ko) 복수개의 컨텐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213934B1 (ko)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10145867A1 (en) Method for providing widget according to broadcast service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