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934B1 -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934B1
KR101213934B1 KR1020110114296A KR20110114296A KR101213934B1 KR 101213934 B1 KR101213934 B1 KR 101213934B1 KR 1020110114296 A KR1020110114296 A KR 1020110114296A KR 20110114296 A KR20110114296 A KR 20110114296A KR 101213934 B1 KR101213934 B1 KR 10121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arch word
search
dat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Priority to KR102011011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방송 채널 정보 및 텔레비전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의 메뉴를 제공할 경우, 일반 메뉴 데이터를 연동하고,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일반 메뉴 데이터와 검색에 메뉴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전송 받은 일반 메뉴 데이터와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사는 이용자들이 검색을 많이 하는 단어나 구절을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의 메뉴와 함께 제공함으로서 이용자들의 검색 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고 이용자는 좀 더 편리하게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Method for Displaying Search Keywords with General Menus for Interactive Television Services}
본 발명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에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메뉴는 이용자가 리모콘을 선택할 때 이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메뉴로 채널 별 프로그램 방송 시간 및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메뉴를 포함한다.
일반 메뉴 데이터는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이다. 이용자 단말은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용자가 리모컨 버튼을 선택할 경우 상기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UI 형태로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한다.
검색어 메뉴는 검색어를 이용자 단말에 메뉴 UI 형태로 출력한 것이다.
검색어 데이터는 검색어를 이용자 단말에 메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이다. 이용자 단말은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시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이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검색어 메뉴를 선택한다.
검색어 목록은 이용자가 단말에 메뉴 형태로 출력된 검색어를 선택할 경우 하위 메뉴 형태로 출력되는 검색어의 목록이다.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는 디지털 케이블 망이나 인터넷 망에 연결된 텔레비전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케이블 망이나 인터넷 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이용자는 디지털 케이블 망이나 인터넷 망에 연결된 텔레비전을 통해 주문형 비디오, 홈쇼핑, 인터넷과 같은 양방향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용자 단말은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메뉴 형식으로 제공하며, 이용자는 주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선택해서 상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3640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키워드들을 생성하고,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출하며, 키워드들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컨텐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 기술은 방송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이 없는 키워드는 생성할 수 없다. 또한 키워드는 상기 키워드를 추출한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자가 시청 중일 경우에만 출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검색어를 사전에 입력하고 이용자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를 때 일반 메뉴와 상기 입력한 검색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키워드를 생성할 때 방송 편성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현재 이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상관이 없는 키워드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자는 이용자 단말은 메뉴 서버가 전송하는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자가 리모컨의 메뉴 버튼을 선택할 경우 상기 수신한 메뉴를 화면에 출력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검색어를 생성하고, 검색어 메뉴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이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색어 메뉴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일반 데이터와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에 함께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은 목적은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 검색어 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 수단,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이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메뉴 출력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메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ii) 검색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iv) 상기 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 상기 iii) 단계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i) 상기 iv) 단계에서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vii) 상기 v) 단계에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viii)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여 일반 메뉴를 출력하고 동시에,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 검색어 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 수단,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이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메뉴 출력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메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은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은 검색어와 검색어의 인기도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이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메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메뉴를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은 이용자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은 이용자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한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ii) 검색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iv) 상기 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 상기 iii) 단계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i) 상기 iv) 단계에서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vii) 상기 v) 단계에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viii)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여 일반 메뉴를 출력하고 동시에,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검색어와 검색어의 인기도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 상기 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v) 단계에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 단계에서 상기 iv) 단계에서 전송하는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 단계에서 상기 v) 단계에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에 위치한 메뉴 출력 수단은 검색어를 채널 정보와 같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메뉴와 함께 화면에 메뉴 형태로 출력한다. 따라서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사는 이용자가 리모콘의 메뉴 버튼만 선택할 경우에도 검색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검색 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이용자는 별도로 검색 서비스를 선택해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리모콘의 메뉴 버튼만 선택함으로서 최상단 메뉴에 출력되는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고 검색어 메뉴를 선택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 검색 서비스를 좀 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출력하는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를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메뉴의 하위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를 최상단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최상단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채널을 선택하거나 채널 정보 확인을 위해 해당 리모컨 버튼을 누를 경우 채널 정보와 검색어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방송 프로그램 시청 중 검색어를 트리거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안내와 관련된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할 때 검색어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검색어 목록에서 검색어를 선택할 경우 화면에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 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출력하는 서비스의 구성도로 일반 메뉴 서버 연동부(101), 검색어 입력부(102), 검색어 데이터 생성부(103),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부(104), 검색어 데이터 전송부(105),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 및 메뉴 출력부(108)로 구성된다.
일반 메뉴 서버 연동부(101)는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검색어 입력부(102)는 검색어와 검색어의 인기도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검색어 데이터 생성부(103)는 수단은 상기 검색어 입력 수단이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부(104)는 상기 일반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메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으로 전송한다.
검색어 데이터 전송부(105)는 수단은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메뉴를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로 전송한다.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는 이용자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한다.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는 이용자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한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메뉴 출력부(108)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가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가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201은 일반 메뉴 서버 연동부(101)가 메뉴 서버와 연동하여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용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단계 202는 검색어 입력부(102)가 검색어와 검색어의 인기도를 검색어 정보로를 입력 받는 과정이다.
단계 203은 검색어 데이터 생성부(103)가 상기 단계 202에서 상기 검색어 입력부(102)가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단계 204는 단계 203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의 갱신 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단계 205는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부(104)가 상기 단계 201에서 일반 메뉴 서버 연동부(101)가 메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일반 데이터 메뉴를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단계 206는 검색어 데이터 전송부(105)가 상기 단계 203에서 메뉴 데이터 생성부(103)가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단계 207은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106)가 상기 단계 205에서 전송한 일반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단계 208은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107)가 상기 단계 206에서 전송한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단계 209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단계 210은 상기 단계 209에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메뉴 출력부(108)가 상기 단계 207에서 수신한 일반 메뉴 데이터로부터 일반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일반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단계 208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일반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과정이다.
단계 211은 상기 단계 210에서 출력한 검색어 메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단계 212는 상기 단계 211에서 검색어 메뉴를 선택할 경우 상기 단계 203에서 생성한 검색어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이다.
단계 213은 상기 단계 211에서 선택한 검색어 메뉴의 출력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를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메뉴의 하위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01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주문형 비디오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할 경우 주문형 비디오 메뉴의 다른 하위 메뉴와 함께 "뿌리깊은 나무" 검색어가 메뉴로 출력된다. "뿌리깊은 나무"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하면 순위에 따라 지정된 검색어 목록이 출력된다.
302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주문형 비디오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할 경우 주문형 비디오 메뉴의 다른 하위 메뉴와 함께 "가을 영화" 검색어가 메뉴로 출력된다. "가을 영화"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하면 순위에 따라 지정된 검색어 목록이 출력된다.
303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주문형 비디오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할 경우 주문형 비디오 메뉴의 다른 하위 메뉴와 함께 "국제영화제" 검색어가 메뉴로 출력된다. "국제영화제"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하면 순위에 따라 지정된 검색어 목록이 출력된다.
304는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주문형 비디오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할 경우 주문형 비디오 메뉴의 다른 하위 메뉴와 함께 "세종대왕" 검색어가 메뉴로 출력된다. "세종대왕" 메뉴를 리모컨 커서로 선택하면 순위에 따라 지정된 검색어 목록이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를 최상단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01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국제영화제"가 출력된다. 401A는 "국제영화제"로 리모콘 커서를 옮겼을 때 출력되는 검색어 목록으로 순위가 높은 검색어부터 출력된다.
402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세종대왕"이 출력된다. 401B는 "세종대왕"으로 리모콘 커서를 옮겼을 때 출력되는 검색어 목록으로 순위가 높은 검색어부터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최상단 메뉴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01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뿌리깊은 나무" 메뉴를 리모콘 커서로 선택할 경우 검색어 목록이 높은 순위의 검색어부터 출력된 모습이다.
502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가을 영화" 메뉴를 리모콘 커서로 선택할 경우 검색어 목록이 높은 순위의 검색어부터 출력된 모습이다.
503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국제영화제" 메뉴를 리모콘 커서로 선택할 경우 검색어 목록이 높은 순위의 검색어부터 출력된 모습이다.
504는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누른 후 출력되는 메뉴로 제일 하단의 메뉴로 검색어 "세종대왕" 메뉴를 리모콘 커서로 선택할 경우 검색어 목록이 높은 순위의 검색어부터 출력된 모습이다.
도 6은 채널을 선택하거나 채널 정보 확인을 위해 해당 리모컨 버튼을 누를 경우 채널 정보와 검색어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화면(601) 위에 채널 정보(602)와 함께 검색어(603)가 출력된다.
도 7은 방송 프로그램 시청 중 검색어를 트리거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화면(701) 위에 검색어(702)가 트리거 형태로 출력된다.
도 8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안내와 관련된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할 때 검색어를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화면(801) 위에 서비스 안내 메시지(802)와 함께 검색어(803)가 출력된다.
도 9는 검색어 목록에서 검색어를 선택할 경우 화면에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검색어와 관련된 주문형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웹 페이지가 검색된 모습이다.
101: 일반 메뉴 서버 연동부
102: 검색어 입력부
103: 검색어 데이터 생성부
104: 일반 메뉴 데이터 전송부
105: 검색어 데이터 전송부
106: 일반 메뉴 데이터 수신부
107: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
108: 메뉴 출력부
601: 화면
602: 채널 정보
603: 검색어
701: 화면
702: 검색어
801: 화면
802: 채널 정보
803: 검색어

Claims (54)

  1.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의 메뉴 서버로부터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채널 정보 및 텔레비전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메뉴와 관련된 데이터인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뉴 서버 연동 수단,
    검색어를 필수적으로 입력하고 선택적으로 검색어 순위 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어 정보 입력 수단,
    상기 검색어 정보 입력 수단이 입력한 검색어를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의 화면에 메뉴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검색어를 상기 메뉴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변환하는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
    상기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수신한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에 위치하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이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 및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출력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메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메뉴 서버 연동 수단이 메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메뉴 데이터를 북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가 정의한 프로그램과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5.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검색어 데이터 생성 수단이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북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가 정의한 프로그램과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한 개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9.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각 검색어의 순위를 추출하고, 순위가 가장 높은 검색어부터 순위가 순위가 가장 낮은 검색어 순서로 한 개의 검색어를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0.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메뉴와 함께 최상단 메뉴와 동일한 단계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1. 제 10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검색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검색어 목록을 검색어 하단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2.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메뉴의 하위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3. 제 12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검색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검색어 목록을 검색어 하단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4.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이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리모콘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한 채널의 채널 정보가 출력될 경우,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상기 채널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5.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이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중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리모컨 버튼을 선택하고 채널 정보가 출력될 경우, 상기 채널 정보와 함께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6. 삭제
  17.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출력 수단은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광고, 서비스 안내, 혹은 공지사항 메시지와 함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i) 메뉴 데이터 수신부가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의 메뉴 서버로부터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채널 정보 및 텔레비전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메뉴와 관련된 데이터인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ii)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가 검색어를 필수적으로 입력하고 선택적으로 검색어 순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iii) 검색어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제 ii) 단계에서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iv) 메뉴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 i)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 검색어 데이터 전송부가 상기 제 iii) 단계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vi) 메뉴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제 iv) 단계에서 전송하는 메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vii) 검색어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제 v) 단계에서 전송하는 검색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viii) 메뉴 출력부가 상기 제 vi)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여 메뉴를 출력하고 동시에,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 상기 i) 단계에서 메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메뉴 데이터를 북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가 정의한 프로그램과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메뉴 데이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3.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 단계에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생성한 검색어 데이터를 북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가 정의한 프로그램과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4.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5.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각 검색어의 순위를 추출하고, 순위가 가장 높은 검색어부터 순위가 가장 낮은 검색어 순서로 한 개의 검색어를 메뉴와 함께 메뉴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6.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메뉴와 함께 최상단 메뉴와 동일한 단계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7. 제 36항의 방법에 있어서, 검색어가 선택될 경우 검색어 목록을 검색어 하단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8.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리모콘의 메뉴 버튼이 선택될 경우, 상기 vi)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데이터로부터 메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메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어 데이터 수신 수단이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와 검색어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메뉴의 하위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39. 제 36항의 방법에 있어서, 검색어가 선택될 경우 검색어 목록을 검색어 하단의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40.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이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리모콘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한 채널의 채널 정보가 출력될 경우,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상기 채널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41.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이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중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리모컨 버튼을 선택하고 채널 정보가 출력될 경우, 상기 채널 정보와 함께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42. 삭제
  43. 제 2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viii) 단계에서 상기 vii) 단계에서 수신한 검색어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어를 이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광고, 서비스 안내, 혹은 공지사항 메시지와 함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방법.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110114296A 2011-11-04 2011-11-04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21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96A KR101213934B1 (ko) 2011-11-04 2011-11-04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96A KR101213934B1 (ko) 2011-11-04 2011-11-04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934B1 true KR101213934B1 (ko) 2013-01-09

Family

ID=4784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96A KR101213934B1 (ko) 2011-11-04 2011-11-04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9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2291A1 (en) 2007-05-04 2008-11-13 Henty David L TV content search system and method with multi-field search and display
KR20100050067A (ko) * 2008-11-05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51437A (ko) *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해 통합 검색이 가능한 네트워크 tv 및 통합 검색 수행 방법
KR20110117900A (ko) * 2010-04-22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2291A1 (en) 2007-05-04 2008-11-13 Henty David L TV content search system and method with multi-field search and display
KR20100050067A (ko) * 2008-11-05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51437A (ko) *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해 통합 검색이 가능한 네트워크 tv 및 통합 검색 수행 방법
KR20110117900A (ko) * 2010-04-22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9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CN101803371B (zh) 用于因特网协议电视的遥控器的系统、设备和方法
US9250927B2 (en) Digit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00996B2 (en) Digital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rating thereof
KR10177020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CN106851368B (zh) 由远程控制器控制的电视
CN105379291B (zh) 内容提供方法和装置
KR20100066932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237254A (zh) 电视接收终端和电子节目菜单信息处理方法
CN102098548A (zh) Epg在数字电视上显示的实现方法及实现装置
EP276021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server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KR100856585B1 (ko) 양방향 텔레비전 시스템
KR20100050067A (ko)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78962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0803759B1 (ko) 케이블 tv 홈쇼핑방송에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1213934B1 (ko)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메뉴를 이용한 검색어 출력 장치 및 방법
JP5851844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の制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伝達方法及び装置
TW201038069A (en) Multimedia remote control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7018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실시간 검색 채널 목록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179121B1 (ko) 방송연동형 부가정보 처리방법
KR100616103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3683A (ko) 방송재생장치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0642129B1 (ko)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장치와 접근장치 및 그 방법및 그 기록매체와 전송신호
KR20110138698A (ko) Iptv tv브라우저 포커스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