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545B1 - Elevator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545B1
KR101533545B1 KR1020147002500A KR20147002500A KR101533545B1 KR 101533545 B1 KR101533545 B1 KR 101533545B1 KR 1020147002500 A KR1020147002500 A KR 1020147002500A KR 20147002500 A KR20147002500 A KR 20147002500A KR 101533545 B1 KR101533545 B1 KR 10153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
receiver
elevat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1814A (en
Inventor
마사타카 아카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8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공용되는 각 승강장에 마련된 입력 장치와, 각 승강장에 마련된 제1 수신기와,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제2 수신기와, 이용 가능층이 대응지어진 태그와, 입력 장치에 입력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제1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 이외의 층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대응한 제2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이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층 또는 당해 행선층을 포함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당해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했다. Provided is an elevator contro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n elevator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To this end, an input device provided in each landing platform shared by a plurality of elevators, a first receiver provided in each landing platform, a second receiver provided in each of the elevator cars, a tag associated with the available layer, An elevator car for allocating a call corresponding to a traveling floor inputted to the device, the elevator car comprising: a first receiver of the platform where the input device is located; The available layer of the tag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iver is the one of the remaining elevator car except for the floor of the platform where the input device is located or the elevator car not including the traveling floor,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n elevator car to which the elevator car is assign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ELEVATOR CONTROL SYSTEM}[0001] ELEVATOR CONTROL SYSTEM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of an elevator.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이용자의 속성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당해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로 다른 속성의 이용자의 동승이 방지된다. 즉,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As a control system of an elevator, it has been propo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 accordance with a property of a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 of different attributes from being accompanied. That is, the user is prevented from moving on a layer not permitt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 345460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454601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속성마다 엘리베이터를 할당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이 저하된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o assign an elevator to each attribute of the user. As a resul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i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n elevator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공용되는 각 승강장에 마련된 입력 장치와, 상기 각 승강장에 마련된 제1 수신기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제2 수신기와, 이용 가능층이 대응지어진 태그와, 상기 입력 장치에 입력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제1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 이외의 층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대응한 제2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이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층 또는 당해 행선층을 포함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당해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put device provided at each landing platform shared by a plurality of elevators, a first receiver provided at each landing platform, a second receiver provided at each elevator car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And a layer corresponding to a layer other than the usable layer of the tag detected by the first receiver of the landing where the input device is located, Except for the elevator car which is not already occupied, the available layer of the tag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iver, except for the elevator car which does not include the floor or the floor where the input device is locate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n elevator car to which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is assigned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는 층상만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led by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mitting a user to move to only a layer permitted by the elevator control system in the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of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is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led by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다. 승강장(1)은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장이나 연구 시설 등, 높은 시큐리티가 요구되는 건축물의 각 층에 마련된다. 당해 건축물은, 3 ~ 5층상 정도로 비교적 적은 층상수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당해 건축물은 5층상 이상으로 비교적 많은 층상수를 가지고, 당해 건축물의 소유자 전용층 등, 특정 층상으로의 이동만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platform of an elevator. The platform 1 is provid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in which high security is required, such as a factory or a research facility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The building may have a relatively small layer constant of about 3 to 5 layers. The building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layer constants, such as five or more layers, and only the movement to a specific layer such as an owner-exclusive layer of the building may be restricted.

각 승강장(1)은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공용된다. 각 승강장(1)에는 입력 장치(2), 표시기(3), 제1 수신기(4)가 마련된다. 입력 장치(2)는 화상 출력부나 음성 출력부 등의 통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표시기(3)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수신기(4)는, 입력 장치(2)가 무선 통신 범위 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Each landing platform 1 is shared by a plurality of elevators. Each landing platform 1 is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2, a display device 3, and a first receiver 4. The input device 2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such as an image output unit or an audio output unit. The display device 3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The first receiver 4 is arranged so that the input device 2 is with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5는 엘리베이터 칸이다. 엘리베이터 칸(5)은 복수의 엘리베이터마다 마련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5)에는, 행선층을 입력하는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각 엘리베이터 칸(5) 내에는, 스피커(6), 제2 수신기(7)가 마련된다. 제2 수신기(7)는 엘리베이터 칸(5) 내의 대략 전체가 무선 통신 범위 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5 is an elevator car. The elevator car 5 is provid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elevators. In each of the elevator car 5, no device for inputting the destination lay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elevator car 5, a speaker 6 and a second receiver 7 are provided. The second receiver 7 is arranged so that substantially all of the inside of the car 5 is in the radio communication range.

8은 RF 태그이다. RF 태그(8)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다. 메모리에는, 당해 RF 태그(8)를 휴대하는 이용자(9)의 ID 정보가 식별 정보로서 기억된다. RF 태그(8)는 ID 정보로 식별되는 이용자(9)에게 휴대된다. 8 is an RF tag. The RF tag 8 incorporates a memory (not shown). In the memory, ID information of the user 9 carrying the RF tag 8 is stor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F tag 8 is carried to the user 9 identified by the ID information.

10은 기억 장치이다. 기억 장치(10)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다. 메모리에는 각 ID 정보에 대응지어져 이용 가능층 그룹이 기억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 A의 ID 정보 A에 대응지어져, 이용 가능층 그룹 A가 기억된다. 이용자 B의 ID 정보 B에 대응지어져, 이용 가능층 그룹 B가 기억된다. 이용자 C의 ID 정보 C에 대응지어져, 이용 가능층 그룹 C가 기억된다.10 is a storage device. The memory device 10 incorporates a memory (not shown). The available-layer group is stored in the memory in association with each I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vailable-layer group 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 information A of the user A. The available-layer group B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 information B of the user B. [ The available-layer group C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 information C of the user C.

11은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도시하지 않음)나 기계실(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된다. 제어 장치(11)는 입력 장치(2), 표시기(3), 제1 수신기(4), 스피커(6), 제2 수신기(7), 기억 장치(10)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1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한 그룹으로서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11 is a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11 is provided in a hoistway (not shown) or a machine room (not shown) of the elevator. The control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2, the display device 3, the first receiver 4, the speaker 6, the second receiver 7, and the storage device 10. The control device 11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vators as one group.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는 층상만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 method of permitting the user to move to only the permitted layer is expl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는 층상만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mitting a user to move to only a layer permitted by the elevator control system in the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있어서, 12는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 등록층이다. 13은 이용자 A의 이용 가능층 그룹 A이다. 14는 이용자 B의 이용 가능층 그룹 B이다. 15는 이용자 C의 이용 가능층 그룹 C이다. 2,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route registration layer of the elevator car 5. In Fig. 13 is the available floor group A of user A. 14 is the usable layer group B of the user B. 15 is the usable layer group C of the user C.

우선, 1층에 있는 이용자 A가 10층으로 가는 경우를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 등록층(12)은 1층, 3층, 7층, 10층이다. 이것에 반해, 이용 가능층 그룹 A(13)는 1층, 3층, 7층, 10층, 15층이다. 이 경우,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 등록층의 모두는, 이용 가능층 그룹 A(13)에 포함된다. 즉,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이 이용자 A에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에서 정지할 예정은 없다. 이 때문에, 이용자 A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하더라도, 이용자 A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제어 장치(11)는, 이용자 A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한다. First, the case where the user A on the first floor goes to the 10th floor will be explained. The entry registration layer 12 of the elevator car 5 is a 1-story, 3-story, 7-story, and 10-story building. On the other hand, the usable layer group A 13 is one layer, three layers, seven layers, ten layers and fifteen layers. In this case, all of the destination registration layers of the car 5 are included in the usable-layer group A13. That is, the car 5 is not intended to be stopped on the floor not permitted to the user A. Therefore, even if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A is assigned to the car 5, the user A is not moved to the unauthorized floor.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11 allocates the call to the elevator car 5 in response to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A.

다음으로, 1층에 있는 이용자 B가 3층으로 가는 경우를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 등록층은 1층, 3층, 7층, 10층이다. 이것에 반해, 이용 가능층 그룹 B(14)는 1층, 3층, 7층, 15층이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 등록층인 10층은, 이용 가능층 그룹 B(14)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용자 B의 행선층(3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하면, 이용자 B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10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1)는, 이용자 B의 행선층(3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으로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을 제외한다. Next, the case where the user B on the first floor goes to the third floor will be described. The entry registration layer of the elevator car 5 is the 1st floor, the 3rd floor, the 7th floor and the 10th floor. On the other hand, available layer group B (14) is one layer, three layers, seven layers, and fifteen layers. In this case, the ten-layer, which is the travel-registration layer of the car 5, is not included in the usable-layer group B14. Therefore, if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layer (third layer) of the user B is assigned to the car 5, the user B can move to the ten unauthorized layers.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11 is an elevator car 5 that allocates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third floor) of the user B, excluding the car 5 in question.

다음으로, 이용자 A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5)에 대해, 3층에 있는 이용자 C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이용자 C가 있는 층(3층)과 행선층(10층)은, 이용자 A의 이용 가능층 그룹(13)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용자 C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하더라도, 이용자 A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제어 장치(11)는 이용자 C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한다.Next, a case where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C on the third floor is assigned to the car 5 on which the user A is board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layer (third layer) and the traveling layer (layer 10) where the user C is present are included in the usable layer group 13 of the user A. Therefore, even if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C is assigned to the car 5, the user A is not moved to the unauthorized floor.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11 assigns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C to the car 5 in the car.

또한, 다른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 중에는, 이용자 C가 있는 층(3층) 또는 행선층(10층)을 포함하지 않는 이용 가능층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이용자 C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하면,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3층 또는 10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1)는, 이용자 C의 행선층(10층)에 대응하는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으로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을 제외한다. In some cases, a user who is boarding another elevator car 5 is set to an available floor group that does not include the floor (third floor) or the traveling floor (the 10th floor) where the user C is present. In this case, if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C is assigned to the car 5, the user can move to the third or 10th floor where the user is not permitted.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11 is an elevator car 5 that allocates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10th floor) of the user C, excluding the car 5 in question.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이용자(9)가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Next, the process when the user 9 rides in the car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of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당해 처리는, 3종의 처리로 이루어진다. 최초 처리는, 이용자(9)가 행선층을 입력할 때의 처리(입력 처리)이다. 다음 처리는, 이용자(9)에 대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5)을 결정할 때의 처리(결정 처리)이다. 마지막 처리는,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이용자(9)를 검사할 때의 처리(검사 처리)이다.This process consists of three processes. The initial process is a process (input process) when the user 9 inputs the destination layer. The following processing is processing (determination processing) when determining the assigned elevator car 5 for the user 9. The final process is the process (inspection process) when inspecting the user 9 in the car 5.

입력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에서는, 이용자(9)는 입력 장치(2)를 이용하여 행선층을 입력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하여, 제1 수신기(4)는, 이용자(9)가 휴대하고 있는 RF 태그(8)의 ID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판독한다. 그 후,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제어 장치(11)는, 당해 ID 정보에 대응지어진 이용 가능층 그룹을 기억 장치(10)로부터 취득한다. 그 후, 제어 장치(11)는, 입력된 행선층이 당해 이용 가능층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the input process, in step S1, the user 9 inputs the destination layer using the input device 2.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 where the first receiver 4 reads the ID information of the RF tag 8 carried by the user 9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 where the control device 11 acquires the available lay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ID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device 10. [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putted traveling layer is included in the available-layer group.

입력된 행선층이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입력 장치(2)의 통지부는, 입력 에러를 통지한 후, 행선층의 재입력을 요구하고, 스텝 S1로 돌아간다. 이때, 표시기(3)가 입력 에러 등을 통지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반해, 스텝 S3에서 입력된 행선층이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결정 처리로 진행한다. If the inputted traveling layer is not included in the usable layer group of the user 9,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In step S4, the notification unit of the input device 2 notifies the input error, requests re-entry of the destination layer, and returns to step S1.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3 may notify an input error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veling layer inputted in step S3 is included in the usable layer group of the user 9, the process proceeds to the determination process.

결정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1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이용자(9)가 입력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의 후보를 선택한다. 그 후, 스텝 S12로 진행하여, 제어 장치(11)는,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등록 완료된 행선층의 모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 the control device 11 selects a candidate of the car 5 to which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floor inputted by the user 9 is assigne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 where the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vailable floor group of the user 9 includes all of the registered traveling floor layers registered in the car 5 in question.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등록 완료된 행선층 중 어느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다음 후보의 엘리베이터 칸(5)을 선택하고, 스텝 S12로 돌아간다. If the usable floor group of the user 9 does not include any of the registered traveling floor layers in the car 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In step S13, the control device 11 selects the next candidate car 5 and returns to step S12.

이것에 반해,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이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등록 완료된 행선층의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제2 수신기(7)에 의한 RF 태그(8)의 검출 상황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 중인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의 공통 집합이 행선층을 입력한 이용자(9)의 승차층과 행선층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ble floor group of the user 9 includes all of the registered traveling floor layers in the car 5, the flow advances to step S14. In step S14, the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9 is in the car 5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tatus of the RF tag 8 by the second receiver 7 of the car 5, The common set of the usable layer group of the user 9 that has entered the destination layer includes the riding layer and the traveling layer of the user 9 who has entered the destination layer.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 중인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의 공통 집합이 행선층을 입력한 이용자(9)의 승차층 또는 행선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다음 후보의 엘리베이터 칸(5)을 선택하고, 스텝 S12로 돌아간다. If the common set of the usable floor group of the user 9 on board the car 5 does not include the occupant or traveling floor of the user 9 who has entered the floo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In step S13, the control device 11 selects the next candidate car 5 and returns to step S12.

이것에 반해, 스텝 S14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 중인 이용자(9)의 이용 가능층 그룹의 공통 집합이 행선층을 입력한 이용자(9)의 승차층과 행선층을 포함하는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제어 장치(11)는 이용자(9)가 입력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등록한다. 이때, 제어 장치(11)는, 이용자(9)의 ID 정보와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을 대응지은 정보를 유지한다. 그 후, 스텝 S16로 진행하여,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기(3)에 표시시키고,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5)을 이용자(9)에게 통지한다. 그 후, 검사 처리로 진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common set of the usable floor group of the user 9 on board the car 5 in the car 5 in step S14 includes the occupant layer and the traveling floor of the user 9 who entered the floor lay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In step S15, the control device 11 registers the call in the elevator car 5 in response to a call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floor inputted by the user 9.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11 hold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9 and information associating the car 5 with the ID information. The control device 11 displays a symbol representing the car 5 on the display device 3 and notifies the user 9 of the assigned car 5 in step S16.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the inspection process.

검사 처리에 있어서, 스텝 S21에서는, 이용자(9)가 엘리베이터 칸(5)에 탑승한다. 그 후, 스텝 S22로 진행하여, 제2 수신기(7)는, 이용자(9)가 휴대하고 있는 RF 태그(8)의 ID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판독한다. 그 후, 스텝 S23으로 진행하여,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9)의 ID 정보가 검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the inspection process, in step S21, the user 9 is carried on the elevator car 5.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 where the second receiver 7 reads the ID information of the RF tag 8 carried by the user 9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where the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whether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9 that is not assigned to the car 5 is detected.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9)의 ID 정보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스피커(6)에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6)가 알림 장치로서 경고를 음성으로 발생시킨다. 그 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제2 수신기(7)가 당해 ID 정보를 수신하지 않게 될 때까지,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주행을 정지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제2 수신기(7)가 당해 ID 정보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스텝 S22로 돌아간다. If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9 that is not allocated to the car 5 is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4. In step S24, the control device 11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speaker 6 in the car 5 in question. Based on the signal, the speaker 6 generates a warning as a warning device. Thereafter, until the second receiver 7 of the car 5 does not receive the ID information, the control device 11 maintains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running of the car 5 is stopped . Thereafter, when the second receiver 7 of the car 5 does not receive the ID informa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2.

이것에 반해, 스텝 S23에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5)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9)의 ID 정보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제어 장치(11)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을 발차시키고,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9 not assigned to the car 5 in question is not detected in step S2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5. In step S25, the control device 11 releases the car 5, and the series of processes is terminat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제어 장치(11)는,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으로서, 제1 수신기(4)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8)의 이용 가능층 그룹 이외의 층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5)을 제외한다. 제어 장치(11)는,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으로서, 대응한 제2 수신기(7)가 수신하고 있는 태그(8)의 이용 가능층 그룹이 승차층 또 행선층을 포함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5)을 제외한다. 이 때문에, 고의 과실에 관계없이, 이용자(9)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각 층의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11 is an elevator car 5 for assigning a call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layer,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vailable area of the tag 8 detected by the first receiver 4 The elevator car 5 in which the layers other than the group are already allocated is excluded. The control device 11 is an elevator car 5 for assign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layer so that the usable layer group of the tag 8 received by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iver 7 is the destination The elevator car 5 does not include the elevator car 5. F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9 from moving on the unauthorized layer, regardless of intentional negligence. That is, the security of each layer can be ensured.

또, 제어 장치(11)는 제외한 엘리베이터 칸 이외에서 남겨진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5)을 선택한다. 이 때문에, 이용 가능층 그룹이 완전 일치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끼리라도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 selects the elevator car 5 to which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is assigned, out of the car spaces remaining in the car except for the elevator car. Therefore, even users who do not completely match the usable floor group can board the same car 5. As a resul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can be improved.

상기 시큐리티의 확보와 운전 효율의 향상은, 이용자(9)의 이동을 제한하고 싶은 층상수가 비교적 한정되는 건축물에 특히 유효하다. The securing of the secur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efficiency are particularly effective for a building in which the number of layers to be limit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 9 is relatively limited.

또, 스피커(6)는,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5)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5)의 제2 수신기(7)가 당해 행선층을 입력한 이용자(9)의 RF 태그(8)의 ID 정보를 검출했을 경우에, 경고를 발한다. 이 때문에, 당해 이용자(9)에게 잘못 탑승했음을 알릴 수 있다. The speaker 6 is also connected to the RF tag 5 of the user 9 to which the second receiver 7 of the car 5 other than the car 5 to which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routing layer has been assigned, (8) is detected, a warning is issued. Therefore, the user 9 can be notified of the wrong boarding.

이때, 제어 장치(11)는, 당해 제2 수신기(7)가 당해 태그(8)의 ID 정보를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당해 엘리베이터 칸(5)의 주행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잘못 탑승한 이용자(9)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11 stops the running of the car 5 until the second receiver 7 does not detect the ID information of the tag 8 in ques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9, which has been mistakenly boarded,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또, 제어 장치(11)는 이용 가능층 그룹을 기억 장치(10)로부터 취득한다. 이 때문에, RF 태그(8)에 이용 가능층 그룹을 기억시킬 필요가 없다. 즉, 염가의 RF 태그(8)를 이용하여, 이용자(9)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1 acquires the usable layer group from the storage device 10.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the available layer group in the RF tag 8. That is, by using the inexpensive RF tag 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9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and to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또한, 기억 장치(10)의 이용 가능층 그룹은,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고쳐 써도 된다. 이 경우, RF 태그(8)를 변경하는 일 없이, 이용 가능층 그룹 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관리자는, 시간대에 따라서 각 층상의 입장 제한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비상시에 공동 탑승을 허가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이용자(9)를 신속히 구출할 수 있다. Further, the usable layer group of the storage device 10 may be arbitrarily rewritten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available layer group can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RF tag 8. That is, the manager of the elevator can change the entry restriction on each floor in accordance with the time zone. In addition, the user 9 can be quickly rescued using the elevator by permitting joint boarding in an emergency.

또, 도 3의 결정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2와 스텝 S14의 순서를 바꿔 넣어도 좋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이용자(9)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다른 수단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경우나 이용자(9)의 이동 제한이 없는 경우는, 결정 처리의 플로우 및 당해 처리에서 사용하는 구성을 생략해도 좋다.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Fig. 3, the procedure of steps S12 and S14 may be change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9 in the car 5 from moving to an unauthorized layer by other means, or whe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the user 9, The configuration used in the processing may be omitted.

또, 도 3의 검사 처리에 있어서, 스텝 S24의 경고는, 승강장(1)의 랜턴이나 표시기(3)로 행하여도 좋다. 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하는 이용자(9)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는, 검사 처리의 플로우 및 당해 처리에서 사용하는 구성을 생략해도 좋다. In the inspection process of Fig. 3, the warning in step S24 may be performed by the lantern of the landing platform 1 or the display device 3. Fig. In the case where the user 9 who rides in the unassigned elevator car 5 is not considered, the flow of the inspection process and the configuration used in the process may be omitt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이용자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that improves the operation efficiency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moving on an unauthorized layer.

1: 승강장
2: 입력 장치
3: 표시기
4: 제1 수신기
5: 엘리베이터 칸
6: 스피커
7: 제2 수신기
8: RF 태그
9: 이용자
10: 기억 장치
11: 제어 장치
12: 행선 등록층
13: 이용 가능층 그룹 A
14: 이용 가능층 그룹 B
15: 이용 가능층 그룹 C
1: platform
2: Input device
3: Indicator
4: first receiver
5: Elevator car
6: Speaker
7: second receiver
8: RF tag
9: User
10: storage device
11: Control device
12: Entry Registration Floor
13: available floor group A
14: available floor group B
15: available layer group C

Claims (5)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공용되는 각 승강장에 마련된 입력 장치와,
상기 각 승강장에 마련된 제1 수신기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제2 수신기와,
이용 가능층이 대응지어진 태그와,
상기 입력 장치에 입력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제1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 이외의 층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대응한 제2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의 이용 가능층이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층 또는 당해 행선층을 포함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당해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An input device provided at each landing platform shared by a plurality of elevators;
A first receiver provided at each platform,
A second receiver provided in each of the elevator cars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A tag to which the usable layer is associated,
An elevator car for allocating a call corresponding to a traveling floor inputted to the input device, excluding an elevator car in which a layer other than a usable layer of the tag detected by the first receiver of the landing with the input device is already allocated And the usable layer of the tag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iver corresponds to the traveling layer of the remaining elevator car except for the floor of the platform where the input device is located or the car which does not include the traveling layer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n elevator car to which a call is to be ass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장 또는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알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에 입력된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을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했을 때에 당해 입력 장치가 있는 승강장의 제1 수신기가 검출하고 있는 태그와 당해 행선층에 대응한 호출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을 대응지은 정보를 유지하고, 당해 승강장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수신기가 당해 태그를 검출했을 경우에, 당해 승강장 또는 당해 제2 수신기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알림 장치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tification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lifts or each of the elevator cars,
When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floor inputted to the input device is assigned to the car, the tag detected by the first receiver of the platform with the input device and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floor are assigned When the second receiver of the elevator car other than the elevator car detects the tag in the platform, the not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having the platform or the second receiver And a warning is issued to the elev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당해 제2 수신기가 당해 태그를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당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stops traveling of the car until the second receiver does not detect the ta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식별 정보와 이용 가능층을 대응지어 기억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신기 및 상기 제2 수신기는, 상기 태그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당해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이용 가능층을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and the usable layer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
Wherein the control device acquires an available lay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이용 가능층을 고쳐 쓸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rage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rewrite the usable layer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KR1020147002500A 2011-11-28 2011-11-28 Elevator control system KR1015335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7389 WO2013080277A1 (en) 2011-11-28 2011-11-28 Elevator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814A KR20140041814A (en) 2014-04-04
KR101533545B1 true KR101533545B1 (en) 2015-07-02

Family

ID=4853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500A KR101533545B1 (en) 2011-11-28 2011-11-28 Elevator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73859B2 (en)
KR (1) KR101533545B1 (en)
CN (1) CN103813971B (en)
WO (1) WO201308027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9626B2 (en) * 2015-10-28 2019-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JP6567074B2 (en) * 2015-11-27 2019-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CN109415181B (en) * 2016-07-08 2020-09-11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WO2018189767A1 (en) * 2017-04-10 2018-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N113291942B (en) * 2020-02-21 2023-04-21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Elevator with a motor
JP6901015B1 (en) * 2020-03-06 2021-07-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Call registr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call registr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97A (en) * 2004-09-08 2006-03-23 Hitachi Ltd Personal authentication means for elevator
JP2006117398A (en) * 2004-10-22 200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2011057322A (en) * 2009-09-07 2011-03-24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JP2011063417A (en) * 2009-09-18 2011-03-31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601B2 (en) * 1995-04-10 2003-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04123330A (en)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and server used for the same and elevator control device
JP4312516B2 (en) * 2003-06-19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rime prevention driving device
JP5191658B2 (en) * 2005-09-26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8280117A (en) * 2007-05-09 2008-11-20 Toshiba Elevator Co Ltd Security system for elevator
CN101980942B (en) * 2008-03-31 2014-06-04 奥蒂斯电梯公司 Elevator car assignment control strate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97A (en) * 2004-09-08 2006-03-23 Hitachi Ltd Personal authentication means for elevator
JP2006117398A (en) * 2004-10-22 200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2011057322A (en) * 2009-09-07 2011-03-24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JP2011063417A (en) * 2009-09-18 2011-03-31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13971A (en) 2014-05-21
WO2013080277A1 (en) 2013-06-06
JPWO2013080277A1 (en) 2015-04-27
KR20140041814A (en) 2014-04-04
CN103813971B (en) 2015-08-05
JP5673859B2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545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102548844B1 (en) Reassignment of elevators for mobile device users
KR101528692B1 (en)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WO2016142968A1 (e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KR101903315B1 (en) Elevator device
WO2009141901A1 (en) 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JP2009120348A (e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15020820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5969074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JP2011111253A (en) Group supervisory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group supervisory operation control method of elevator
US20210179385A1 (en) Method of prioritizing passenger travel in an elevator
JP6567074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JP2016055976A (en) Group control system of elevator
JP2014101187A (en)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JP572322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8037630A (en) Elevator group supervisory operation control device
JP6217534B2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JP2009120346A (e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9091097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f elevator
CN110745654A (en) Elevator allocation system, allocation method and elevator equipment
JP2020125189A (en) Group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JP2016183044A (en) Elevator system
JP2011046495A (en) Group supervisory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JP2012056700A (en) Elevator
JP2021138507A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