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52B1 -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 Google Patents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52B1
KR101533452B1 KR1020140116569A KR20140116569A KR101533452B1 KR 101533452 B1 KR101533452 B1 KR 101533452B1 KR 1020140116569 A KR1020140116569 A KR 1020140116569A KR 20140116569 A KR20140116569 A KR 20140116569A KR 101533452 B1 KR101533452 B1 KR 10153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fferential pressure
valve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동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동테크
Priority to KR102014011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와 차압밸브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으로는 분배기의 공급관에 직접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설치공간의 상측으로는 차압밸브에 연결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차압밸브를 통해 분배기의 환수관으로 순환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와 대향되는 하측에는 배수파이프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밸브몸체;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밸브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밸브몸체의 유입구에 대응되는 유입홀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유출구에 대응되는 유입홀을 형성하며, 하측에는 배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배출구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구성된 개폐볼;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설치되어 개폐볼을 회동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개폐볼이 회동되면, 개폐볼의 밀폐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개폐볼의 개구가 밸브몸체의 유출구 및 배출구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공급관과 환수관 및 차압밸브를 순환하는 배관 내의 유체가 배수파이프를 통해 퇴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The drain ball valve for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밸브의 개폐볼에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와 유입홀과 유출홀 및 밀폐부가 구성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른 개폐볼의 회동시에도 밸브몸체의 유출홀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순환이동 및 퇴수 조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겨울철 배관 내의 유체가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관 내의 이물질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것에 의해 소형화를 이룸으로써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구조는 관로의 도중에 소정길이의 드레인파이프의 일단을 견고하게 연결하고 상기 드레인파이프의 타단에 드레인밸브를 체결한 구조로서, 관로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관로를 비우고자 하거나, 관로 내에 침적된 각종 슬러지나 오물 등을 배출하거나, 또는 겨울철에 관로 내에 고여있는 유체의 동결로 관로나 관로에 설치된 밸브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드레인 구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478호인 "퇴수밸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퇴수밸브는 분배기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어 난방수를 제거하는 구성이므로, 분배기 및 배관 내의 난방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난방수가 강한 압력에 의해 멀리 까지 튀는 문제가 있어 작업환경이 좋지 못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의 공급관(101) 일측에 ㅓ자 형상의 연결관(102)을 설치한 후, 상기 연결관(102)의 상측에는 통상의 소켓 등을 통해 차압밸브(103)를 연결하여 상기 차압밸브(103)가 통상의 동관(104) 및 엘보(107)에 의해 분배기의 환수관(108)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연결관(102)의 하측에는 화장실의 배수파이프(105)에 연결되어 배관의 내의 유체를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 밸브(106)를 설치함으로써 배관 내의 드레인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방법은 분배기(101)에 직접 연결되는 ㅓ자 형상의 연결관(102)과, 볼 밸브(106)를 같이 사용해야만 배관 내의 드레인을 이룰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연결관(102)과 볼 밸브(106)을 모두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두 가지 부품 사용에 의한 제작 및 설치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분배기(101)가 설치되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부피차지로 인해 제품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제작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밸브의 개폐볼에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와 유입홀과 유출홀 및 밀폐부가 구성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른 개폐볼의 회동시에도 밸브몸체의 유출홀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순환이동 및 퇴수 조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겨울철 배관 내의 유체가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관 내의 이물질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것에 의해 소형화를 이룸으로써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으로는 분배기의 공급관에 직접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설치공간의 상측으로는 차압밸브에 연결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차압밸브를 통해 분배기의 환수관으로 순환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와 대향되는 하측에는 배수파이프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밸브몸체;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밸브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밸브몸체의 유입구에 대응되는 유입홀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유출구에 대응되는 유입홀을 형성하며, 하측에는 배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배출구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구성된 개폐볼;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설치되어 개폐볼을 회동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개폐볼이 회동되면, 개폐볼의 밀폐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개폐볼의 개구가 밸브몸체의 유출구 및 배출구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공급관과 환수관 및 차압밸브를 순환하는 배관 내의 유체가 배수파이프를 통해 퇴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는,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볼밸브의 개폐볼에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와 유입홀과 유출홀 및 밀폐부가 구성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른 개폐볼의 회동시에도 밸브몸체의 유출홀이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유체의 순환이동 및 퇴수 조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겨울철 배관 내의 유체가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관 내의 이물질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와 볼밸브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것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제작 및 설치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배기에 드레인을 위한 연결구와 볼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 7은 발명의 유출구가 암나사 또는 수나사로 형성된 밸브몸체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볼에 구성된 밀폐부에 의해 밸브몸체의 배출구가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개폐볼의 개구가 밸브몸체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유체의 퇴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의 공급관(1)과 차압밸브(3)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배관 내의 유체를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를 통해 순환시킴과 동시에, 필요 시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배관(미도시) 내의 유체를 화장실과 이어지는 통상의 배수파이프(5)로 퇴수시키기 위한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100)에 관한 것으로, 밸브몸체(10)와, 개폐볼(20)과, 핸들(30)로 이루어진다.
첫째, 밸브몸체(10)는 본 발명을 분배기의 공급관(1)과 차압밸브(3) 및 배수파이프(5)에 각각 연결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 개폐볼(2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19)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에는 분배기의 공급관(1)에 직접 연결되는 유입구(11)가 설치공간(19)의 일측에 형성되고, 소켓(7) 또는 동관(4)을 통해 차압밸브(3)에 연결되는 유출구(13)가 설치공간(19)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급관(1) 내의 유체가 유출구(13)를 통해 차압밸브(3)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압밸브(3)는 통상의 동관(4) 및 엘보(6)를 통해 분배기의 환수관(2)에 연결되거나, 차압밸브(3)가 환수관(2)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배관 내의 유체 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압밸브(3)의 연결하여 유체의 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차압밸브(3)의 연결을 위한 암나사 또는 수나사를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유출구(13)와 대향되는 방향인 하측으로는 배수파이프(5)에 연결되는 배출구(15)가 형성됨으로써, 분배기의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를 순환하는 배관 내의 유체를 퇴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몸체(10)에는 유입구(11)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폐볼(20)의 회동조작을 위한 핸들(30)이 설치되는 연결부(17)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17)의 외주에는 핸들(30)의 회전반경을 제약하기 위한 통상의 멈출돌기(17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개폐볼(2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의 설치공간(19)에 설치되어 밸브몸체(1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15)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29)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볼(20)에는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에 대응되는 유입홀(21)이 일측 즉, 좌측방향에 형성되고, 유출구(13)에 대응되는 유출홀(23)이 상측방향에 형성되며, 배출구(15)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배출구(15)를 밀폐하는 밀폐부(25)가 하측에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볼(20)에 의하면, 분배기의 공급관(1)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홀(21)과 유출홀(23)을 통해 차압밸브(3)로 유동되어 환수관(2)으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으며, 핸들(30)의 조작에 따른 개폐볼(20)의 90°회동시에는 상기 개폐볼(20)의 개구(29)가 밸브몸체(10)의 유출구(13) 및 배출구(15)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분배기의 공급관(1)을 통과하는 유체와 차압밸브(3)를 통해 환수관(2)을 순환하던 유체가 개구(29) 및 배출구(15)를 통해 배수파이프(5)로 퇴수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볼(20)에는 유입구(21)와 대향되는 방향 즉, 우측방향에는 개폐볼(20)의 회동을 위해 핸들(30)이 연결되는 통상의 홈부(27)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10)의 하부에는 설치공간(19)에 설치된 개폐볼(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수파이프(5)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결합구(J)가 연결설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결합구(J)에는 통상의 오링(O) 및 고정클립(C)이 등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배수파이프(5)로 퇴수되는 유체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핸들(3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연결부(17)에 결합설치되어 개폐볼(20)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통상의 나사축(31)과 너트(32)결합을 통해 연결부(17)의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설치되는 통상의 손잡이(33)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나사축(31)의 일측에는 개폐볼(20)의 홈부(27)에 연결되는 통상의 돌부가 구성되며, 밸브몸체(10) 및 개폐볼(20)을 통과하는 유체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나사축(31)의 외주에는 오링(34)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를 분배기의 공급관(1)에 직접 연결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출구(13)를 소켓(7)이나 동관(4)을 통해 차압밸브(3)에 연결한 후, 상기 차압밸브(3)의 타측을 동관(4) 및 엘보(6)를 통해 환수관(2)에 연결하거나 환수관(2)에 직접연결하고, 배출구(15)를 배수파이프(5)에 연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밸브몸체(10)와 개폐볼(20) 및 핸들(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소형화되어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어려운 없이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의 절감을 통해 제작 및 설치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밸브몸체(10)의 설치공간(19)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볼(20)의 밀폐부(25)가 밸브몸체(10)의 배출구(15)와 대응되는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관(1)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와 배출구(15)를 통해 차압밸브(3)로 공급되어 유체가 환수관(2)으로 순환되는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개폐볼(20)의 밀폐부(26)에 의해 밸브몸체(10)의 배출구(15)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폐볼(2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3)를 통해서만 유체가 유동되어 지며, 이를 통해, 공급관(1) 내의 물이 차압밸브(3)로 유동되어 환수관(2)으로 순환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겨울철 난방을 하지 않아 동파 될 위험이 있거나, 배관 내에 이물질이 끼어 있어 청소가 요구될 때에는, 분배기의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를 포함한 배관 내의 물이 전부 퇴수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핸들(3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핸들(30)을 90°회전시키면, 핸들(30)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볼(20)이 회동되어 개폐볼(20)의 밀폐부(25)가 밸브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개구(29)의 일측과 타측이 밸브몸체(10)의 유출구(11)와 배출구(15)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공급관(1)을 통과하는 유체가 개폐볼(20)의 하측에 위치된 개구(29)를 통해 밸브몸체(10)의 배출구(15)로 퇴출되는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압밸브(3)를 통해 환수관(2)으로 순환되던 유체가 동관(4) 등을 거쳐 개폐볼(20)의 상측에 위치된 개구(29)로 유입되므로, 상기 분배기의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를 순환하던 배관 내의 모든 유체가 밸브몸체(10)의 배출구(15)를 통해 배수파이프(5)로 퇴수되어 지며, 이를 통해 겨울철의 동파 방지는 물론, 이물질의 청소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0)을 전술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개폐볼(20)이 초기 상태로 복귀되어 개폐볼(20)의 밀폐부(25)를 통해 밸브몸체(10)의 배출구(15)가 밀폐되므로, 재난방을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1 : 공급관 2 : 환수관 3 : 차압밸브 4 : 동관 5 : 배수파이프 6 : 엘보 7 : 소켓
10 : 밸브몸체 11 : 유입구 13 : 유출구 15 : 배출구 17 : 연결구 17a : 멈춤돌기 19 : 설치공간
20 : 개폐볼 21 : 유입홀 23 : 유출홀 25 : 밀폐부 27 : 홈부 29 : 개구
30 : 핸들 31 : 나사축 32 : 너트 33 : 손잡이 34 : 오링
100 :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Claims (1)

  1. 내부에 설치공간(19)을 형성하되, 상기 설치공간(19)의 일측으로는 분배기의 공급관(1)에 직접 연결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설치공간(19)의 상측으로는 차압밸브(3)에 연결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차압밸브(3)를 통해 분배기의 환수관(2)으로 순환시키는 유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13)와 대향되는 하측에는 배수파이프(5)에 연결되는 배출구(15)가 형성된 밸브몸체(10);
    전후를 관통하는 개구(29)를 형성하여 밸브몸체(10)의 설치공간(19)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에 대응되는 유입홀(21)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유출구(13)에 대응되는 유입홀(23)을 형성하며, 하측에는 배출구(15)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배출구(15)를 밀폐하는 밀폐부(25)가 구성된 개폐볼(20);
    상기 밸브몸체(10)에 결합설치되어 개폐볼(20)을 회동시키는 핸들(30);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개폐볼(20)이 회동되면, 개폐볼(20)의 밀폐부(25)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개폐볼(20)의 개구(29)가 밸브몸체(10)의 유출구(13) 및 배출구(15)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공급관(1)과 환수관(2) 및 차압밸브(3)를 순환하는 배관 내의 유체가 배수파이프(5)를 통해 퇴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KR1020140116569A 2014-09-03 2014-09-03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KR10153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69A KR101533452B1 (ko) 2014-09-03 2014-09-03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69A KR101533452B1 (ko) 2014-09-03 2014-09-03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52B1 true KR101533452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569A KR101533452B1 (ko) 2014-09-03 2014-09-03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846U (ja) * 1991-11-07 1993-06-11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トツプエントリ形三方切換ボールバルブ
KR200226694Y1 (ko) * 2001-01-17 2001-06-15 정학모 배관용 밸브
JP2003042317A (ja) * 2001-07-31 2003-02-13 Kowa:Kk 流体通過装置
JP2007139010A (ja) * 2005-11-16 2007-06-07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846U (ja) * 1991-11-07 1993-06-11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トツプエントリ形三方切換ボールバルブ
KR200226694Y1 (ko) * 2001-01-17 2001-06-15 정학모 배관용 밸브
JP2003042317A (ja) * 2001-07-31 2003-02-13 Kowa:Kk 流体通過装置
JP2007139010A (ja) * 2005-11-16 2007-06-07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216B2 (ja) 排出部内の弁を備えた分離弁
CA2629149C (en) Valve for tankless water heater
CN201306497Y (zh) 可拆卸清洗水阀
US9404241B1 (en) Waste water diverter apparatus
GB2561764A (en) Boiler service and maintenance valve
KR101533452B1 (ko) 차압센서용 드레인 볼밸브
KR101090519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JP493862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CN109027340A (zh) 一种单向阀门
KR101830396B1 (ko) 친환경 관붙이 앵글밸브
CN207661167U (zh) 曲脚结构及冷热水龙头
KR200273561Y1 (ko) 다용도 혼합수전
KR20160002521U (ko)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KR20150087167A (ko)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20070065764A (ko) 다용도 코크
KR101244206B1 (ko) 동파 방지용 유니온 볼 밸브
CN203516854U (zh) 一种单向角阀
CN210800141U (zh) 防冻分流式水嘴
TWM510999U (zh) 可使壓力桶保持安全壓力之閥裝置
CN203115226U (zh) 公用水龙头
CN211259784U (zh) 防冻阀
JP4971110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JP2007247195A (ja) 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