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01B1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01B1
KR101533401B1 KR1020130116414A KR20130116414A KR101533401B1 KR 101533401 B1 KR101533401 B1 KR 101533401B1 KR 1020130116414 A KR1020130116414 A KR 1020130116414A KR 20130116414 A KR20130116414 A KR 20130116414A KR 101533401 B1 KR101533401 B1 KR 10153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transmission medium
ultrasonic
valv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801A (ko
Inventor
손건호
강국진
김대승
김명덕
Original Assignee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01B1/ko
Priority to PCT/KR2013/008749 priority patent/WO2015046654A1/ko
Publication of KR2015003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3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closed, i.e. without wound contact by the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은 순환부와, 냉각탱크와, 공급부와, 배출부와,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포함한다. 순환부는 수용공간의 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1 순환유로와 수용공간의 출구 포트에 연결된 제2 순환유로 및 제1 순환유로와 제2 순환유로에 연결된 제3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일정량으로 순환시키면서 냉각 및 탈기 처리한다. 냉각탱크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해서 냉각시킨다. 공급부는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를 통해 제1 순환유로로 공급한다. 배출부는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배출유로를 통해 냉각탱크로 배출한다. 제1 밸브는 제1,3 순환유로 및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2 밸브는 제2,3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Ultrasound coupling medium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of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강도의 초음파에너지를 한 곳에 모을 때 초점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이용해서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에 구비되는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는 고강도의 초음파에너지를 한 곳에 모을 때 초점에서 발생하는 섭씨 65~100도의 고열을 이용해서 신체 속의 병변 조직을 태워 없애는 시술이다. 즉, 진단할 때 사용하는 초음파의 세기보다 약 십만 배 정도로 강한 초음파를 한곳에 집속시키면 초점 부위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을 이용해서 신체 속의 병변 조직을 태워 없앨 수 있다.
초음파 자체는 인체에 무해하고 초음파가 집중되는 초점에서만 열이 발생하므로, 비침습성(non-invasive)으로 신체 속의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는 췌장암, 자궁근종, 간암 등에 가능하며, 전립선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유방암, 연조직 종양, 뼈종양 등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헤드는 단부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구비한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방사면은 멤브레인(membrane)에 의해 덮인다. 그리고, 초음파 방사면과 멤브레인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된다. 초음파 전달매질로는 탈기된 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탈기되지 않은 물이 사용되면,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방사할 때 물에서 기포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헤드는 환자 상부에 위치되어 멤브레인을 환자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방사면을 통해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방사한다. 그러면,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수용공간 내의 물을 거쳐 환자의 병변 부위로 전달된다.
한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에는 수용공간 내의 물의 온도가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초음파의 높은 에너지가 조사되면 환자 피부에도 에너지가 축적이 되며, 환자의 치료 부위에서 전달되는 열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내의 물과 멤브레인은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의해 환자 피부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할 수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멤브레인은 환자 피부와 계속 접촉된 상태이므로, 환자의 피부는 고온의 물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는 수용공간 내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물 순환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따른 물 순환시스템은 배출펌프에 의해 수용공간 내의 가열된 물을 냉각탱크로 배출하고, 공급펌프에 의해 냉각탱크 내의 냉각된 물을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서, 공급펌프와 배출펌프는 개별 구동하므로, 동일 양의 물을 수용공간에 대해 공급하고 배출해 수용공간 내의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공급펌프와 배출펌프에 의한 물 공급량과 물 배출량을 측정해서 제어한다고 하더라도,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에는 멤브레인을 통해 수용공간 내의 물이 압력을 받기 때문에, 물의 공급과 배출 과정에서 수용공간 내의 물이 일정하지 않아서 헤드의 위치가 틀어져 치료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수용공간 내의 물이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물의 공급과 배출에 의해 수용공간에 대해 물을 순환시킬 때, 물 공급량과 물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해서 물 순환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에 대해 물을 순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물 공급량과 물 배출량을 증가시킬수록 물 공급량과 물 배출량의 차이가 커지게 되므로, 물 공급량과 물 배출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물 순환량이 적어 물 순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냉각탱크는 외부 공기가 통하는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냉각탱크와 수용공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수용공간 내의 물의 양이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수용공간에 대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초음파 전달매질을 신속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은,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으로서, 순환부와, 냉각탱크와, 공급부와, 배출부와,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포함한다. 순환부는 수용공간의 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1 순환유로와, 수용공간의 출구 포트에 연결된 제2 순환유로, 및 제1 순환유로와 제2 순환유로에 연결된 제3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일정량으로 순환시키면서 냉각 및 탈기 처리한다. 냉각탱크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해서 냉각시킨다. 공급부는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를 통해 제1 순환유로로 공급한다. 배출부는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배출유로를 통해 냉각탱크로 배출한다. 제1 밸브는 제1,3 순환유로 및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2 밸브는 제2,3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은, 제1,2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펌프와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해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채운다. 그 다음, 제1,2 밸브의 제1,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와 공급펌프 및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에 채운다. 그 다음, 제1 밸브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수용공간과 제1,2,3 순환유로에 채워진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배출량과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공급량이 동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이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초음파 전달매질의 순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공간과 순환유로에는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고, 동일한 양의 초음파 전달매질이 공급 및 배출되기 때문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멤브레인을 통해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이 압력을 받더라도,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의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냉각탱크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냉각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은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에 있어서 수용공간(13)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는 환자의 상측에서 환자의 치료 부위에 맞게 위치 조정될 수 있는 헤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헤드(10)는 단부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11)가 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11)는 하단에 초음파 방사면(11a)을 가질 수 있다. 초음파 방사면(11a)은 상방으로 오목하거나 편평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음파 방사면(11a)은 멤브레인(1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방사면(11a)과 멤브레인(12) 사이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전달매질은 탈기된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공간(13)의 일측에 초음파 전달매질 유입을 위한 입구 포트가 형성되고, 수용공간(13)의 타측에 초음파 전달매질 배출을 위한 출구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12)은 초음파 전달매질과 유사한 음향 임피던스를 갖고 초음파 전달손실이 적으며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멤브레인(12)은 수용공간(13)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설정 양으로 채워지면, 하방으로 볼록하게 대략 반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헤드(10)는 환자 상부에 위치되어 멤브레인(12)을 환자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11)의 초음파 방사면(11a)을 통해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방사한다. 그러면,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거쳐 환자의 병변 부위로 전달된다.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은 순환부(110)와, 냉각탱크(120)와, 공급부(130)와, 배출부(140)와, 제1 밸브(150), 및 제2 밸브(160)를 포함한다.
순환부(110)는 수용공간(13)의 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1 순환유로(111a)와, 수용공간(13)의 출구 포트에 연결된 제2 순환유로(111b), 및 제1 순환유로(111a)와 제2 순환유로(111b)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순환유로(111a)와 제2 순환유로(111b)에 연결된 제3 순환유로(111c)를 포함한다. 순환부(110)는 수용공간(13)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를 통해 일정량으로 순환시키면서 냉각 및 탈기 처리한다.
예컨대, 순환부(110)는 제1,2,3 순환관(112a)(112b)(112c)과, 순환펌프(113)와, 냉각장치(114), 및 탈기기(degasser, 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3 순환관(112a)(112b)(112c)은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를 각각 형성한다. 제1,2,3 순환관(112a)(112b)(112c)은 체적 탄성률이 높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금속 재질 또는 경질고무(hard rubber)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부(110)에 의한 초음파 전달매질의 순환시 수용공간(13)에 수용된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순환펌프(113)는 제3 순환관(112c)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3)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킨다. 순환펌프(113)는 제3 순환관(112c)에 입출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순환펌프(113)는 제3 순환관(112c)을 통해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 매질을 흡입해서 수용공간(13) 내로 송출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13)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식 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100) 전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냉각장치(114)는 제3 순환관(112c)에 설치되어 제3 순환관(112c)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킨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냉각장치(114)에 의해 냉각된 초음파 전달매질은 순환펌프(113)에 의해 수용공간(13) 내로 공급되어 수용공간(13) 내의 가열된 초음파 전달매질과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3) 내의 가열된 초음파 전달매질이 냉각될 수 있다. 수용공간(13)으로부터 순환관(112)으로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환펌프(113)가 냉각장치(114)보다 먼저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냉각장치(114)가 순환펌프(113)보다 먼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탈기기(115)는 제1 순환관(112a)에 설치되어 제1 순환관(112a)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 처리한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 속에 기포가 발생되더라도,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공간(13)으로부터 제1,2,3 순환관(112a)(112b)(112c)으로 배출되어 흐르는 과정에서 초음파 전달매질 속의 기체 성분이 탈기기(115)에 의해 제거된 후, 수용공간(13) 내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의해 초음파 전달매질 속에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기포는 초음파 전달을 방해하고 초음파 전달 경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초음파 방사면(11a)에 달라붙어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11)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 처리하면, 전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탈기기(115)는 진공 탈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속의 용존 기체의 증발량은 끓는점에서 최대가 되므로 진공을 이용해서 끓는점을 저하시키면, 저온에서 탈기를 실행할 수가 있다. 진공 탈기기는 전술한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탈기기는 진공 상태를 유지한 진공용기 내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유입시켜 초음파 전달매질 속의 용존 기체 성분을 진공펌프 등에 의해 진공용기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냉각탱크(120)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해서 냉각시킨다.
공급부(130)는 냉각탱크(120)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 순환유로(111a)와 제3 순환유로(111c)에 연결된 공급유로(131)를 따라 제1 순환유로(111a) 또는 제3 순환유로(111c)로 공급한다. 예컨대, 공급부(130)는 공급관(132) 및 공급펌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132)은 공급유로(131)를 형성한다. 공급관(132)은 제1 순환관(112a)와 제3 순환관(112c)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순환관(112a)와 제3 순환관(112c)에 연결된다. 공급펌프(133)는 공급관(132)에 입출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급펌프(133)는 공급관(132) 내를 따라 냉각탱크(120)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 순환관(112a) 또는 제3 순환관(112c)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펌프(133)는 전동식 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배출부(140)는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2 순환유로(111b)와 제3 순환유로(111c)에 연결된 배출유로(141)를 따라 냉각탱크(120)로 배출한다. 예컨대, 배출부(140)는 배출관(142) 및 배출펌프(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42)은 배출유로(141)를 형성한다. 배출관(142)은 제2 순환관(112b)과 제3 순환관(112c) 사이에 위치되어 제2 순환관(112b)과 제3 순환관(112c)에 연결된다. 배출펌프(143)는 배출관(142)에 입출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펌프(143)는 배출관(142) 내를 따라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탱크(12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펌프(143)는 전동식 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밸브(150)는 제1,3 순환유로(111a)(111c) 및 공급유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1 밸브(150)는 제1,3 순환관(112a)(112c)과 공급관(132)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150)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삼방 밸브는 3개의 홀들 중 하나가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가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2)로 기능하며, 나머지 하나가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밸브(160)는 제2,3 순환유로(111b)(111c) 및 배출유로(1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2 밸브(160)는 제2,3 순환관(112b)(112c)과 배출관(142)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밸브(160)도 삼방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삼방 밸브는 3개의 홀들 중 하나가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1)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가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2)로 기능하며, 나머지 하나가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로 기능할 수 있다. 제1,2 밸브(150)(160)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에 의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화살표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밸브(150)(160)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162)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펌프(133)와 배출펌프(14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120)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유로(131)와 배출유로(141)를 통해 수용공간(13)과 제1,2 순환유로(111a)(111b)에 채운다.
이때, 제2 밸브(160)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유로(131)를 통해 수용공간(13)과 제1,2 순환유로(111a)(111b)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한 후, 제1 밸브(150)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3)과 제1,2 순환유로(111a)(111b)로 공급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배출유로(14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하면, 제1 밸브(150)에 의해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를 차단한다. 제2 밸브(160)에 의해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2) 및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냉각탱크(120)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펌프(133)에 의해 공급유로(131)로 흡입한 후, 개방된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와 개방된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2)를 통해 제1 순환유로(111a)로 송출한다. 그러면, 제1 순환유로(111a)로 송출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기(115)를 거쳐 탈기 처리시킨 후 수용공간(1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수용공간(13) 내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제1 밸브(150)에 의해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를 차단한다. 제2 밸브(160)에 의해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162)는 제1,2 밸브(150)(160)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배출펌프(143)에 의해 흡입한 후, 개방된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1)와 개방된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통해 배출유로(141)로 송출한다. 그러면, 배출유로(141)로 송출된 초음파 전달매질은 냉각탱크(12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용공간(13)과 제1,2 순환유로(111a)(111b)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채워질 때까지 수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탈기기(115) 내에도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밸브(150)(160)의 제1,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2)(161)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113)와 공급펌프(133) 및 배출펌프(14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120)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111c)에 채운다.
예컨대, 개방된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와 개방된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를 통해 공급유로(131)로부터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펌프(113)에 의해 제3 순환유로(111c)로 흡입한 후, 개방된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2)와 개방된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통해 배출유로(141)로 송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제3 순환유로(111c)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채워질 때까지 수행한다. 이때, 냉각장치(114) 내에도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계를 거치게 되면, 초음파 전달매질은 수용공간(13)과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에 기포 없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전달매질은 공급유로(131)와 배출유로(141) 내에도 기포 없이 채워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계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전에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을 초기화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단계를 수행한 후, 도 2에 도시된 단계를 수행해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을 초기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헤드(10)에 의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는 다음과 같은 예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헤드(10)의 멤브레인(12)을 환자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병변 부위를 프리-스캔(Pre-scan)한다. 이때, 제1,2 밸브(150)(160)에 의해 제3 순환유로(111c)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부(130)와 배출부(140)에 의해 수용공간(13) 내에 수용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3)에 수용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멤브레인(12)이 환자의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방사면(11a)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밸브(150)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153)와 제2 밸브(160)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163)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113)를 이용하여 수용공간(13)과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에 채워진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킨다.
상술하면, 개방된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1)와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62)를 통해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펌프(113)에 의해 흡입시킨 후, 개방된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1)와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152)를 통해 수용공간(13) 내로 송출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3 순환유로(111c)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장치(114)에 의해 냉각시키고, 제1 순환유로(111a)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기(115)에 의해 탈기 처리할 수 있다. 냉각되고 탈기 처리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수용공간(13)으로 공급시킨 후 배출시킴에 따라, 수용공간(13) 내의 가열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전달매질은 기포 없이 수용공간(13)과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에 채워진 상태이므로, 수용공간(13)으로부터 배출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배출량과 수용공간(13)으로 공급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공급량이 동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를 따라 일정량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전달매질의 순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3)과 제1,2,3 순환유로(111a)(111b)(111c)에는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므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중 멤브레인(12)을 통해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이 압력을 받더라도, 수용공간(13)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초음파 전달매질의 순환량은 수용공간(13) 내에서 초음파 전달매질의 유동이 심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11)에 의해 환자의 병변 부위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1회 이상 더 조사할 경우,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1회 조사한 후 휴식 시간을 둘 수 있다. 휴식 시간에는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단계와 같이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휴식 시간에 도 4에 도시된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고강도 집속 초음파 조사시 도 4에 도시된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을 초기화할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계 수행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후, 환자의 병변 부위를 프리-스캔(Pre-scan)할 수 있다.
도 5는 냉각탱크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냉각탱크(120)는 내부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냉각탱크(120)는 일측에 공급관(132)이 장착되어 저장공간과 공급유로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 배출관(142)이 장착되어 저장공간과 배출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탱크(120)의 상부는 저장공간에 대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냉각탱크(12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130)에 의해 냉각탱크(120)로부터 수용공간(13)으로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하고, 배출부(140)에 의해 수용공간(13)으로부터 냉각탱크(120)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냉각탱크(120)의 저장공간에 대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으므로, 제1,2,3 순환관(112a)(112b)(112c)과, 공급관(132), 배출관(142), 냉각탱크(120)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탱크(120)는 저장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칠러(chiller, 122) 등의 냉각수단을 가질 수 있다. 칠러(122)는 냉매를 초음파 전달매질과 열교환시켜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냉각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냉각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냉각장치(114)는 저장용기(114a) 및 냉각기(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114a)는 내부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한다. 저장용기(114a)는 제3 순환관(112c)에 연결된 입출구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제3 순환관(112c) 내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채워질 때, 저장용기(114a) 내에도 초음파 전달매질이 기포 없이 가득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114a)와 수용공간(13)의 압력 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수용공간(13)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이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장용기(114a)는 체적 탄성률이 높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기(114b)는 저장용기(1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킨다. 냉각기(114b)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저장용기(114a) 내에 위치되어 저장용기(1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과 접촉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냉매가 저장용기(1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열을 빼앗음에 따라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냉각기는 열전소자(thermo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란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 또는 발생이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Peltier) 효과를 이용하여 흡열 또는 발열을 일으킬 수 있는 소자이다. 열전소자는 저장용기(114a)에 설치되어 저장용기(114a)의 열을 흡수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저장용기(1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저장용기(114a) 내에 얼음을 담아서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냉각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냉각장치(214)는 열교환관(214a) 및 냉각용 열교환기(2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관(214a)은 내부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흐르며 제3 순환관(112c)에 입출구가 연결된다. 열교환관(214a)은 지그재그로 수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용 열교환기(214b)는 열교환관(214a)과 열교환을 통해 열교환관(2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킨다. 냉각용 열교환기(214b)는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다. 냉각용 열교환기(214b)는 내부에 열교환관(214a)을 위치시켜 냉매가 열교환관(214a)과 접촉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냉각용 열교환기(214b) 내의 냉매가 열교환관(214a)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의 열을 빼앗음에 따라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200)에서, 순환펌프(113)는 제2 순환관(112b)에 설치된다. 냉각장치(114)는 제3 순환관(112c)에 설치된다. 탈기기(115)는 제1 순환관(112a)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부(240)는 제2 순환관(112b)과 제3 순환관(112c) 사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냉각탱크(120)에 타단부가 연결된 배출관(24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100)의 배출펌프(143)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멤브레인 13..수용공간
110..순환부 111a..제1 순환유로
111b..제2 순환유로 111c..제3 순환유로
112a..제1 순환관 112b..제2 순환관
112c..제3 순환관 113..순환펌프
114,214..냉각장치 115..탈기기
120..냉각탱크 130..공급부
131..공급유로 132..공급관
133..공급펌프 140,240..배출부
141..배출유로 142,242..배출관
143..배출펌프 150..제1 밸브
160..제2 밸브

Claims (17)

  1. 삭제
  2.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수용공간의 출구 포트에 연결된 제2 순환유로 및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2 순환유로에 연결된 제3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일정량으로 순환시키면서 냉각 및 탈기 처리하는 순환부;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해서 냉각시키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배출유로를 통해 냉각탱크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 및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2,3 순환유로를 각각 형성하는 제1,2,3 순환관과, 상기 제3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제3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순환관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및 상기 제1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순환관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 처리하는 탈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순환관과 제3 순환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내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냉각탱크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순환관과 제3 순환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유로를 형성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 내를 따라 상기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1 순환관 또는 제3 순환관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하며 상기 제3 순환관에 연결된 입출구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초음파 전달매질이 흐르며 상기 제3 순환관에 입출구가 연결된 열교환 관, 및
    상기 열교환 관과 열교환을 통해 상기 열교환 관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7.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수용공간의 출구 포트에 연결된 제2 순환유로 및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2 순환유로에 연결된 제3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일정량으로 순환시키면서 냉각 및 탈기 처리하는 순환부;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해서 냉각시키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배출유로를 통해 냉각탱크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 및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 및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2,3 순환유로를 각각 형성하는 제1,2,3 순환관과, 상기 제2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제3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순환관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및 상기 제1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순환관 내를 흐르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 처리하는 탈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순환관과 제3 순환관 사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탱크에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순환관과 제3 순환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유로를 형성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상기 제1 순환관 또는 제3 순환관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는,
    초음파 전달매질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공간에 대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11.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에 있어서,
    제1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펌프와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해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제1 밸브의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및
    제1 밸브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와 공급펌프 및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용공간과 제1,2,3 순환유로에 채워진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전달매질을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는:
    제2 밸브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유로를 통해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한 후, 제1 밸브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로 공급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는:
    제3 순환유로에 설치된 순환펌프를 이용해서, 공급유로로부터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로 공급하고 제3 순환유로로 공급된 초음파 전달매질을 배출유로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에 있어서,
    제1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펌프와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해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제1 밸브의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와 공급펌프 및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및
    제1 밸브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수용공간과 제1,2,3 순환유로에 채워진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전달매질을 수용공간과 제1,2,3 순환유로에 채운 후 순환시키기 전에,
    제1,2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초음파 전달매질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
  15. 초음파 전달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에 있어서,
    제1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3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펌프와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해 수용공간과 제1,2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제1 밸브의 제1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제2 순환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와 공급펌프 및 배출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냉각탱크 내의 초음파 전달매질을 제3 순환유로에 채우는 단계; 및
    제1 밸브의 공급유로 쪽의 연결구와 제2 밸브의 배출유로 쪽의 연결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수용공간과 제1,2,3 순환유로에 채워진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에 의해 환자의 병변 부위를 프리-스캔할 때, 또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에 의해 환자의 병변 부위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할 때, 또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한 후 휴식 시간일 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단계는,
    제3 순환유로에 설치된 냉각장치에 의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냉각시킨 후, 제1 순환유로에 설치된 탈기기에 의해 초음파 전달매질을 탈기 처리해서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제1 순환유로가 수용공간의 입구 포트에 연결되고 제2 순환유로가 수용공간의 출구 포트에 연결되며 제3 순환유로가 제1 순환유로와 제2 순환유로에 연결된 순환부와, 공급유로가 제1 밸브에 의해 제1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공급부, 및 배출유로가 제2 밸브에 의해 제2 순환유로와 제3 순환유로에 연결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을 이용하여, 초음파 전달매질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방법.
KR1020130116414A 2013-09-30 2013-09-3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KR10153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14A KR101533401B1 (ko) 2013-09-30 2013-09-3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PCT/KR2013/008749 WO2015046654A1 (ko) 2013-09-30 2013-09-3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14A KR101533401B1 (ko) 2013-09-30 2013-09-3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01A KR20150038801A (ko) 2015-04-09
KR101533401B1 true KR101533401B1 (ko) 2015-07-06

Family

ID=5274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414A KR101533401B1 (ko) 2013-09-30 2013-09-3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3401B1 (ko)
WO (1) WO2015046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2517B (zh) * 2017-06-05 2023-03-17 中惠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相控阵列聚焦超声子宫肌瘤治疗系统水处理系统
KR102598515B1 (ko) * 2023-04-17 2023-11-07 (주)아이엠지티 초음파 치료 헤드의 초음파 전달 매질 순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4121A1 (en) * 1989-06-21 1990-12-27 Kabushiki Kaisha Toshiba Acoustic wave therapy apparatus
JPH06237993A (ja) * 1993-02-17 1994-08-30 Terumo Corp 流体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139B2 (ja) * 2002-09-06 2008-04-30 株式会社東芝 超音波照射装置
FR2909885B1 (fr) * 2006-12-18 2009-02-06 Theraclion Soc Par Actions Sim Tete de traitement therapeutique, appareil de traitement therapeutique, procede de sequencement des phases d'activation de la tete et procede de determination indirecte de la temperature de la peau
KR101348349B1 (ko) * 2011-12-07 2014-01-09 원텍 주식회사 비만 치료용 핸드피스 및 비만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4121A1 (en) * 1989-06-21 1990-12-27 Kabushiki Kaisha Toshiba Acoustic wave therapy apparatus
JPH06237993A (ja) * 1993-02-17 1994-08-30 Terumo Corp 流体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654A1 (ko) 2015-04-02
KR20150038801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2997C (en) Hifu probe for treating tissue with in-line degassing of fluid
US8611189B2 (en) Acoustic coupler using an independent water pillow with circulation for cooling a transducer
JP4912390B2 (ja) 撮影用トランスデューサを治療用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に内蔵した体腔内治療用プローブ
US20090082837A1 (en) Hand-held Thermal Ablation Device
JP2010526581A (ja) カップリング液体の温度をhifu治療中に上昇させる装置
JP2014516620A (ja) 流体補助アブレーション装置において脱気液体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7144225A (ja) 超音波治療装置
AU2011304048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heat treatment
US20140243677A1 (en) Probe tip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533401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의 초음파 전달매질 순환시스템 및 순환방법
JP2016517790A (ja) 冷却機構を有する高密度焦点式超音波治療システム
KR20150006212A (ko) 초음파 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KR20160109390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헤드
JP4044182B2 (ja) 超音波治療装置
KR101645211B1 (ko) 초음파 의료기기용 유체공급장치, 트리트먼트헤드 및 그를 포함한 초음파 의료기기
KR101643884B1 (ko) 초음파 카트리지
KR102154691B1 (ko) 전립선 질환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술 시 직장벽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
KR102154695B1 (ko) 경직장 고강도 집속 초음파 전립선 치료 시술 시 집속초음파 발생장치의 고정과 상대적 위치를 정밀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20160139517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를 위한 초음파 카트리지
KR102598515B1 (ko) 초음파 치료 헤드의 초음파 전달 매질 순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87378A (zh) 脱气水循环装置及高强度聚焦超声治疗仪
KR102550158B1 (ko) 선형 이동 가능한 초음파 프로브를 구비하는 체강 삽입형 초음파 장치
JP7443619B2 (ja) 超音波治療のための変換自在な患者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