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189B1 - 침전조 - Google Patents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189B1
KR101533189B1 KR1020140019906A KR20140019906A KR101533189B1 KR 101533189 B1 KR101533189 B1 KR 101533189B1 KR 1020140019906 A KR1020140019906 A KR 1020140019906A KR 20140019906 A KR20140019906 A KR 20140019906A KR 101533189 B1 KR101533189 B1 KR 10153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tank
water
pipe
exc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996A (ko
Inventor
유병화
김인배
Original Assignee
유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화 filed Critical 유병화
Priority to KR102014001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1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침전조(400)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어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유입되도록 한 유입구; 상기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집수되어 배출되도록 한 배출유도구(440);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침전조(400)의 수위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상기 높이까지 유도 안내하는 배설물배출관(410); 및 상기 배설물 배출관(410)을 동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하부 일부 테두리에 홀(432)이 형성된 배설물포집관(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는, 침전조로 유입된 배출수에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모따기홀을 통해 침전조 바닥으로 서서히 소량씩 배출하여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 내에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고 침전조의 윗물에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섞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는, 에어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계속적으로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켜 사육되는 어류에 최적의 생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전조{SEDIMENTATION TANK}
본 발명은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조에 배설물배출관을 둘러싸는 배설물포집관을 배치하고 배설물포집관의 하부 일부 테두리에 모따기홀을 형성하여 배설물배출관을 통해 침전조로 유입된 배출수에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모따기홀을 통해 침전조 바닥으로 서서히 소량씩 배출시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 내에 부유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침전조의 윗물에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없는 윗물을 다시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에어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계속적으로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켜 사육되는 사육종에 최적의 생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어장은 지리적 여건 등에 의해 양어장의 수면적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적은 면적에 대량의 어류를 생산할 수 있는 고밀도 양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의 재순환과 다양한 수처리 공정을 통해 안정적인 수질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이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와 고밀도로 어류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설의 사육수조에서 발생하는 사료찌꺼기, 배설물 등의 고형 오물이 신속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사육수에 풀려 수질을 고도로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여과조로 유입되면 여과기능에 큰 부담을 주게 되고 여과층을 막아 자주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내에서는 생물학적 여과조와 현탁 고형 오물 제거장치로 고형 오물을 제거하게 되며, 이러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는 중력침전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15761호에서는 오,폐수로 부터 고형물의 분리가 일어나는 원통형의 분리부 몸체가 있고, 분리부 몸체의 상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오,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설치되며, 분리부 몸체 상단에는 고형물이 분리된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한 원통형의 토출구가 장착된 분리부와,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이송관이 설치되고, 이송관으로 부터 이송된 고형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가 구비되며, 침전조 하단에는 침적된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고형물 배출구가 장착되고, 침전조 상면에는 다공질의 분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침전부와, 침전부의 분사판을 통해 유입된 물을 탈질화시키기 위한 매질이 충진된 탈질부 몸체가 있고, 탈질부 몸체상부 일측면에는 탈질화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사육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질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은 중력침전조에서의 고형질 오물의 비중이 물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완전히 침전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느린 유속으로 흐르는 큰 규모의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산업적인 형태로 사용하기에는 가용면적에서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은 원심력을 일으켜 고형물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고형물이 녹아 내리거나 풀려나가면서 침전조의 물이 혼탁해지고, 별도의 침전조의 물을 탈질화하는 과정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물을 순환수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용존산소량이 부족해지므로 별도의 보충수를 공급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은 양식 어류가 배설하는 배설물 및 사료 찌꺼기를 재활용하지 못하여 배출하여 버려야 함에 따라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처리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의 고밀도 집적 양식에 따른 항생제의 과다 투여로 인한 식품 안전성에 문제가 있음과 아울러, 사료 이용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전조에 배설물배출관을 둘러싸는 배설물포집관을 배치하고 배설물포집관의 하부 일부 테두리에 모따기홀을 형성하여 배설물배출관을 통해 침전조로 유입된 배출수에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모따기홀을 통해 침전조 바닥으로 서서히 소량씩 배출시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 내에 부유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침전조의 윗물에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없는 윗물을 다시 순환시킬 수 있는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에어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전력 사용량을 줄이면서 기계장치의 유지 보수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윤활유의 유출에 의한 사육장과 사육수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켜 사육되는 어류에 최적의 생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어류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탁한 해수나 민물에서 서식하는 사육종을 사육하여 배설물을 재활용하며, 배설물을 통해 바이오플락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 찌꺼기를 그대로 배출함이 없이, 이를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미생물플락을 증식시킴으로써 이를 탁한 해수나 민물에서 서식하는 제 2사육종의 먹이로 활용함으로써 사료 이용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미생물플락의 섭식에 따른 양식 어류의 면역성 증대로 인한 무항생제 양식을 통하여 식품 안전성을 제고할 수가 있는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는, 침전조(400)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어 사육조(300)에서 사육되는 사육종의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한 유입구; 상기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고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집수되어 배출되도록 한 배출유도구(440);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침전조(400)의 수위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상기 높이까지 유도 안내하는 배설물배출관(410); 상기 배설물배출관(410)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내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배설물 배출관(410)을 동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하부 일부 테두리에 홀(432)이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배출관(410)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상기 하부 일부 테두리에 형성된 홀(432)을 통해 상기 침전조(400)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배출유도구(44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 안내하기 위한 배설물포집관(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도구(440)에는, 상기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배출개폐관(450)이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유도구(44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바이오플락을 이용하여 생물을 사육하는 사육조로 공급되어 바이오플락의 먹이로 활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는 상기 침전조(400)의 윗물을 제3수로(160)로 배출시키기 위한 윗물배출기(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윗물배출기(420)는 상부에서 윗물유입관(421)을 통해 하향 연장한 다음 수평연결관(423)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후 상승유도관(425)으로 상향 연장하고 상기 상승유도관(425)의 상부에서 윗물분기관(427)을 통해 상기 침전조(400)의 윗물을 제3수로(160)로 배출하는데, 상기 상승유도관(425) 내부 하측에 에어스톤(424)을 배치하여 공기공급호스(426)를 통해 상기 에어스톤(424)에 공기를 공급하여 윗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는, 침전조에 배설물배출관을 둘러싸는 배설물포집관을 배치하고 배설물포집관의 하부 일부 테두리에 모따기홀을 형성하여 배설물배출관을 통해 침전조로 유입된 배출수에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모따기홀을 통해 침전조 바닥으로 서서히 소량씩 배출시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 내에 부유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침전조의 윗물에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없는 윗물을 다시 순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에어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전력 사용량을 줄이면서 기계장치의 유지 보수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윤활유의 유출 등에 의한 사육장과 사육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침전조 윗물을 순환시켜 사육되는 어류에 최적의 생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 찌꺼기를 그대로 배출함이 없이, 이를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미생물플락을 증식시킴으로써 이를 탁한 해수나 민물에서 서식하는 제 2사육종의 먹이로 활용함으로써 사료 이용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미생물플락의 섭식에 따른 양식 어류의 면역성 증대로 인한 무항생제 양식을 통하여 식품 안전성을 제고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를 구비하는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에어리프트 송수조의 메쉬망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여과조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조에서 상등수를 배출하는 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상등수 유입측 개폐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사육수 배출측 개폐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에 설치되는 배설물포집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출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사육장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사육장끼리를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를 구비하는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에어리프트 송수조의 메쉬망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여과조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조에서 상등수를 배출하는 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상등수 유입측 개폐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조의 사육수 배출측 개폐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에 설치되는 배설물포집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의 출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사육장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사육장끼리를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는 해수(海水)나 민물을 무배수 순환[no drain circulation]시키며 어류와 같은 제 1사육종을 사육하는 시스템으로서, 상등수 사육장(100) 및 순환 사육장(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등수 사육장(100)은 상등수에서 서식하는 도미, 연어 등의 제 1사육종을 사육하는 설비이다.
그리고, 순환 사육장(200)은 상등수 사육장(100)에서 순환되는 해수에 포함되는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먹이원으로 하는 바이오플락을 섭식하는 새우 등의 갑각류 및 탁한 물에서 서식할 수 있는 광어 등의 제 2사육종을 사육하는 설비이다.
상등수 사육장(100)과 순환 사육장(200)은 최소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해수나 민물이 무한(無限) 순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해수 및 민물에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해수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민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해수가 상등수 사육장(100)과 순환 사육장(200)으로 순환함에 따라, 제 1사육종과 제 2사육종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성 가스와, 사료 찌꺼기의 미생물 분해에 의해 형성되는 암모니아 가스는 질화에 의해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변환되고, 이는 바이오플락에 의해 균체 단백질로 변환된 다음, 제 2사육종의 먹이가 되며, 이 과정의 순환에 의해 자연 정화된다.
상등수 사육장(100)은 최초로 공급되는 해수와 순환 사육장(200)에서 배출되며 순환되는 해수를 유동시킨다.
특히, 상등수 사육장(100)은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스키머조(120), 여과조(140), 사육조(300), 및 출어장(170) 등을 구획하여 형성한다.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최초로 공급되는 해수와 순환되며 회수되는 해수를 자연 흐름에 가깝도록 임시 저장하며 송수(送水)하는 기능을 하고, 스키머조(120)는 송수되는 해수에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여과조(140)는 해수에 포함된 오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계속적으로 해수를 순환시킴에 따라 순환되며 회수되는 해수만을 임시 저장하게 된다. 그래서,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에는 순환되는 해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사육조(300)는 필터링되며 정화된 해수를 이용하여 해수에서 서식하는 제 1사육종을 사육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아울러, 출어장(170)은 사육조(300)에서 사육된 제 1사육종을 모아 출하가 가능하도록 상등수 사육장(100)에 마련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특히,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스키머조(120), 여과조(140), 사육조(300), 및 출어장(170) 등은 상등수 사육장(100)에 포함된다. 즉, 상등수 사육장(100)은 순환되는 해수의 흐름을 허용한 채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스키머조(120), 여과조(140), 사육조(300), 및 출어장(170) 등으로 구획한다.
상등수 사육장(10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등수 사육장(100)은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사공간[dead zone)을 줄여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스키머조(120), 여과조(140), 사육조(300), 및 출어장(170) 등으로 구획되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순환되는 해수를 저장하도록 상등수 사육장(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저장되는 해수가 유동되면서 상등수 사육장(100)에서 순환 사육장(2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설비를 구비한다.
이때, 상등수 사육장(100)에서부터 유동되는 해수의 흐름이 너무 빠를 경우, 제 1사육종이 급한 물살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제 1사육종이 배설하는 배설물이 침전되지 않고 유동되면서 전체 상등수 사육장(100)이 혼탁해 질 수 있다.
그래서,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송수용 에어리프트기(111)를 구비한다. 송수용 에어리프트기(111)는 물 속에 에어(air)를 공급하여 폭기시킴으로써 에어에 의해 부양되는 해수를 스키머조(120)로 월류 및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내의 순환되며 임시 저장되는 해수가 유동되도록 펌프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는 전기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처럼, 송수용 에어리프트기(111)는 에어공급부재(112), 에어공급호스(113), 송수유도부재(114), 및 송수에어스톤(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공급부재(112)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air)를 이송 안내하는 것으로서, 편의상 파이프로 도시된다. 에어공급부재(112)는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스키머조(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에어공급부재(11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에어공급호스(113)는 에어공급부재(112)에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연결된다. 그래서, 에어공급호스(113)는 에어공급부재(112)를 따라 유동되는 에어를 배분하여 분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에어공급호스(113)의 직경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수유도부재(114)는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또는 스키머조(120)에 거치 고정되며, 에어공급호스(113)를 개방된 상측으로 삽입한다. 편의상, 송수유도부재(114)는 스키머조(120)의 일측벽에 거치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특히, 송수유도부재(114)는 해수상승관(114a), 및 해수이송관(11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수상승관(114a)은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에 저장된 해수에 일부 잠기며,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해수상승관(114a)의 개방된 상측으로는 에어공급호스(113)와 송수에어스톤(115)이 삽입되며, 해수상승관(114a)의 개방된 하측으로는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내의 해수가 유입되어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해수상승관(114a)에 삽입되는 에어공급호스(113)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송수유도부재(114)는 복수 개가 나란하게 구비되며, 스키머조(120)로 송수되어야 하는 해수의 양에 따라 개수가 정해진다.
그리고, 해수이송관(114b)은 해수상승관(114a) 각각의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상승되는 해수를 스키머조(120)로 월류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해수이송관(114b)은 스키머조(120)의 일측벽에 삽입되어 거치 고정된다.
또한, 송수에어스톤(115)은 각 에어공급호스(113)의 단부에 구비되어 분출되는 에어로써 해수를 폭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송수에어스톤(115)을 통해 폭기되는 해수가 상승되면서 해수이송관(114b)을 통해 스키머조(120)로 이송된다. 즉, 상등수 사육장(100)과 순환 사육장(200)을 순환하는 해수는 송수에어스톤(115)에 의해서만 유동하게 된다.
한편,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스키머조(120)로 월류되는 해수만큼 순환되는 해수가 유입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3에서처럼,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출어장(170)과 연결된다. 그리고, 출어장(170)에서 출하 대기 중인 제 1사육종이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출어장(170) 방향으로 개방된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는 제 1메쉬망(116)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한다.
제 1메쉬망(116)은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의 개방측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메쉬망(116)은 순환되는 해수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제 1사육종의 통과를 차단하는 메쉬(mesh)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송수에어스톤(115)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는 해수는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에 의해 혼탁해진 상태로 상승하면서 거품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스키머조(120)는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에서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4에서처럼, 스키머조(120)는 해수이송관(114b)을 통해 거품을 갖는 해수를 공급받는다. 거품은 비중의 차이로 인해 스키머조(120)로 유입된 해수의 수면에 떠 있게 된다.
이때, 스키머조(120)의 타측벽은 에어리프트 송수조(110)의 일측벽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에어리프트 송수조(1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키머조(120)가 구비된다.
특히, 스키머조(120)는 일측이 제 1수로(130)와 연결된다. 즉, 스키머조(120)는 제 1수로(130) 방향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스키머조(120)는 거품이 제 1수로(13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거품 제거용 덮개(124)를 구비된다. 거품 제거용 덮개(124)는 제 1수로(130)로 유동되려는 거품만을 유동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스키머조(120)의 해수만이 개방된 제 1수로(130)로 유동하게 된다.
스키머조(120)는 거품 제거용 덮개(124)를 지지하기 위해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에 지지턱(122)을 구비한다. 지지턱(122)의 높이는 거품 제거용 덮개(124)가 거품의 제 1수로(130) 방향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때, 거품 제거용 덮개(124)에 의해 걸러진 거품은 거품 제거용 덮개(124)의 개방측을 통해 자연 배출된다. 특히, 거품 제거용 덮개(124)의 거품 배출측은 제 1수로(130)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순환되는 해수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 유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키머조(120)를 통해 거품이 제거된 해수는 제 1수로(130)로 유동된다.
그리고, 제 1수로(130)의 측부위에는 해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여과조(140)가 구획되어 배치된다. 그래서, 제 1수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해수는 각각의 여과조(140)로 유입된다.
이때, 제 1수로(130)의 타측벽은 여과조(140) 각각의 일측벽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수로(13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여과조(140)가 구비된다.
특히, 제 1수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해수 중 상부의 해수에는 거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제 1수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해수 중 제 1수로(130) 바닥면에 가까운 하부의 해수가 여과조(140)로 유입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여과조(140) 각각과 대응되는 제 1수로(130)의 타측벽에는 제 1연결관부재(132)가 구비된다. 제 1연결관부재(132)는 제 1수로(130)의 타측벽에 삽입 고정되고, 가장자리가 여과조(14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는, 제 1수로(130)를 유동하는 하부의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조(140)의 바닥면에 가라앉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여과조(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6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한편, 여과조(140)는 제 1수로(130)를 통해 하측 내부로 유입된 해수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여과조(140) 각각은 바닥에 받침대(142)를 구비하고, 받침대(142)는 여과부재(144)를 적층한다.
받침대(142)는 여과조(140) 바닥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여과조(140) 내부 하부로 공급된 해수가 여과부재(144) 하부로 유동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받침대(142)는 여과조(140) 바닥과 소정 유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받침대(142) 하부로 유입된 해수는 상승 유동되면서 여과부재(144)를 통과하게 된다. 그래서, 해수는 정화된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44)를 통과한 해수는 상등수가 된다.
물론, 받침대(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여과부재(144)는 여과포나 골판 등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송수에어스톤(115)에 의해 해수가 여과조(140)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여과부재(144)를 통과한 상등수는 제 2수로(150)로 배출되어야 한다.
그래서, 여과조(140)의 타측벽에는 제 2연결관부재(146)가 구비된다.
이때, 여과조(140)의 타측벽은 제 2수로(150)의 일측벽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여과조(14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수로(150)가 구비된다.
특히, 제 2연결관부재(146)는 여과조(140)의 상등수를 제 2수로(150)로 흐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 2수로(150)는 제 1수로(13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 2수로(150)는 각각의 여과조(14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2연결관부재(146)는 여과조(140)의 상등수를 제 2수로(150)로 흐름 안내한다. 그래서, 제 2연결관부재(146)는 여과조(140)의 타측벽 상측에 삽입 설치된다.
아울러, 제 2연결관부재(146)는 제 2끼움관부재(145), 및 제 2절곡관부재(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끼움관부재(145)는 여과조(140) 각각의 타측벽 상측에 억지 끼움되는 파이프이고, 제 2절곡관부재(147)는 제 2끼움관부재(145)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특히, 제 2절곡관부재(147)는 수직선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α) 경사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제 2절곡관부재(147)는 제 2수로(150)에서 상등수의 흐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된다. 이는, 제 2절곡관부재(147)를 통해 배출되는 상등수가 제 2수로(150)를 따라 유동되는 상등수에 흐름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물론, 제 2연결관부재(146)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수로(150)를 흐르는 상등수는 사육조(300)로 유입된다. 사육조(300)는 상등수에서 서식하는 제 1사육종을 사육하는 공간이다.
이때, 사육조(300)는 제 1사육종을 최대한 많이 사육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데, 편의상, 6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특히, 사육조(300) 각각은 제 2수로(15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2수로(150)의 타측벽은 사육조(300) 각각의 일측벽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2수로(15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여과조(140)가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사육조(300) 각각은 제 2수로(150)를 흐르는 상등수를 유입받게 된다. 그래서, 제 2수로(150)의 타측벽에 해당되는 사육조(300) 각각의 일측벽에는 유입개폐부(3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사육조(300) 각각의 타측벽에는 배출개폐부(320)를 구비한다. 배출개폐부(320)를 통해 배출 유동되는 배출수는 제 3수로(160)로 이동하게 된다.
유입개폐부(310)는 사육조(300) 각각의 일측벽의 일단부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이 유입개폐부(310)를 통해 상등수가 유입될 때 사육조(300) 내의 물을 자연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등수가 사육조(300)에 유입되는 즉시 사육조(300) 내의 물이 자연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 수차와 같은 별도의 회전 구동 수단이 필요 없다고 하는 장점, 사육조(300)로 들어가는 제2 수로에 흐르는 물이 일정하므로 사육조(300) 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 등이 있다.
이때, 도 9에서처럼, 유입개폐부(310)는 유입메쉬망(312), 및 유입단속판(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메쉬망(312)은 제 2수로(150) 방향으로 개방된 사육조(300)의 해당 테두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입메쉬망(312)은 메쉬(mesh)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 2수로(150)에서 사육조(300)로의 상등수 유입을 허용하면서 사육조(300) 내의 제 1사육종의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입단속판(314)은 제 2수로(150) 방향으로 개방된 사육조(300)의 해당 테두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입단속판(314)은 하측에 유입홀(316)을 통공한다. 그래서, 제 2수로(150)를 흐르는 상등수 중 하부의 상등수가 유입홀(316)을 통해 사육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등수는 사육조(300) 내부 하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는, 사육조(300) 저부로 상등수가 유입되어 사육조(300) 내부의 사육수를 밀어 올림에 따라 사육수의 원주 방향 유동을 발생시켜 사육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배출개폐부(320)는 배출메쉬망(322), 및 배출단속판(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메쉬망(322)은 제 3수로(160) 방향으로 개방된 사육조(300)의 해당 테두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메쉬망(322)은 메쉬(mesh)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육조(300)에서 제 3수로(160)로의 사육수 배출을 허용하고, 사육조(300) 내의 제 1사육종의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출단속판(324)은 제 3수로(160) 방향으로 개방된 사육조(300)의 해당 테두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단속판(324)은 상측에 배출홀(326)을 통공한다. 그래서, 사육조(300) 내부의 사육수 중 상부의 사육수가 배출홀(326)을 통해 제 3수로(160)로 배출된다.
제 2수로(150)의 사육수가 사육조(300)의 내부 하부로 유입 후 사육조(300) 내부 상부를 통해 제 3수로(160)로 배출됨으로써, 사육조(300) 내부에서 사육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상등수에 포함된 산소를 충분히 제 1사육종에 공급할 수 있게된다.
즉, 사육조(300)의 유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단속판(314)은 하부에 유입홀(316)이 있고 사육조(300)의 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단속판(324)은 상부에 배출홀(326)이 있는 것은, 상등수가 사육조(300)의 유입구를 통해 사육수의 하부 부분의 물을 밀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이전에 사육수 안에 있던 사육수 상부 부분의 물이 들어올려져서 이 상부 부분의 물을 배출홀(326)로 먼저 배출시키기 위함이고, 사육수 하부 부분의 물을 밀고 들어간 상등수는 사육수 하부 부분의 물을 계속 밀면서 사육조 하부 내면을 따라 한 바퀴 돌아와서, 이후 유입홀(316)을 통해 계속해서 들어오는 상등수 위를 타고 올라가 다시 사육조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여 다시 한바퀴 돌아와서 앞서와 같은 과정을 따라 최종적으로 배출홀(326)을 통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단 유입홀(316)로 들어온 상등수는 반대쪽에 있는 배출홀(326)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사육조 내를 수 바퀴를 회전한 후 사육수 상부 부분에 이르러서야 배출홀(326)로 배출될 수 있어, 상등수에 함유된 풍부한 산소를 충분히 사육종에 공급한 후에야 사육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여, 종전과 같이 하부에 유입홀(316)이 있는 유입단속판(314)과 상부에 배출홀(326)이 있는 배출단속판(324)이 없는 경우에는, 유입구에서 사육조에 들어온 많은 산소를 함유한 사육수가 사육조 내를 충분히 회전하지 못하고 풍부한 산소를 생물에 공급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그대로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어서, 상등수를 비효율적으로 낭비하는 일이 있을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라 하부에 유입홀(316)이 있는 유입단속판(314)과 상부에 배출홀(326)이 있는 배출단속판(324)을 배치하면, 유입구에서 사육조에 들어온 많은 산소를 함유한 사육수가 사육조 내를 충분히 수 회 회전하며 산소를 충분한 시간에 걸쳐 공급할 수 있어 상등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육조(300) 내부에는 제 1사육종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도록 유입된 사육수에 지속적인 흐름을 발생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사육조(300)는 회전수류 발생기(330)를 구비한다.
특히, 사육조(300)는 평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한정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육조(300)가 평면상 사각 형상일 경우, 제 1사육종이 배설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등이 평면상 사각 형상인 사육조(300)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부분 즉, 사육조(300)의 각 코너(corner)에 퇴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육조(300)는 코너 부위가 모따기된다. 편의상, 사육조(300)는 평면상 7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된다.
최초 사각 형상의 사육조(300) 각 코너 중 하나의 코너는 모따기되지 않게 되고, 해당 코너에 인접한 사육조(300)의 테두리에는 유입개폐부(310)가 구비된다.
그래서, 유입개폐부(310)에 인접한 사육조(300)의 코너는 상대적으로 센 물살에 의해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등이 퇴적되지 않고 유동하게 되고, 사육조(300)는 모따기되지 않은 코너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회전수류 발생기(330)는 유입개폐부(310)를 통해 유입된 상등수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제 1사육종의 사육 환경을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수류 발생기(330)는 사육조(300) 내부에 복수 개 구비하고, 유입한 사육수를 원 궤적을 따라 토출시킨다.
특히, 회전수류 발생기(330)는 사육조(300) 각각의 코너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육조(300) 각 코너에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전수류 발생기(330)는 사육수유도부재(332), 및 사육수에어스톤(3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육수유도부재(332)는 사육조(300)에 있는 사육수 중 하부의 사육수를 유입하여 상승 안내한 후 사육조(300) 바닥 부위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육수유도부재(332)는, 사육수상승관(331), 사육수분기관(333), 사육수하부절곡관(335), 및 사육수하부배출관(3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육수상승관(331)은 사육수에 일부 잠기도록 사육조(300) 각각의 코너에 설치된다. 이때, 사육수상승관(331)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개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사육수상승관(331)의 개방된 하측은 사육조(300) 내부 하부의 사육수를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사육수상승관(331)의 개방된 상측은 사육수에어스톤(334)을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육수상승관(331)을 포함하는 사육수유도부재(332)는 클램프 등에 의해 사육조(300) 내측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육수상승관(331)의 직경 및 높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사육수분기관(333)은 사육수상승관(331)의 둘레면에서 분기되어 사육수상승관(331)을 통해 상승하는 사육수를 분기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사육수분기관(333)은 사육조(300)의 사육수에 잠기도록 사육수상승관(331)의 둘레면에서 연장된다. 이는, 상승시켜 분기하도록 사육수에 제공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육수하부절곡관(335)은 사육수분기관(333)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즉, 사육수하부절곡관(335)은 사육수분기관(333)에서 사육조(30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는, 사육수분기관(333)을 통해 유동되는 사육수를 낙하시킴으로써 운동에너지를 증가시켜 사육수의 흐름속도를 향상 또는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육수하부배출관(337)은 사육수하부절곡관(335)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사육수하부절곡관(335)을 통해 낙하되는 사육수의 흐름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육조(300)에 있는 사육수는 사육수하부배출관(337)의 방향에 의해 평면상 원 궤적을 따라 흐름이 발생된다.
한편, 사육수에어스톤(334)은 분출되는 에어로써 사육수를 폭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육수에어스톤(334)을 통해 폭기되는 사육수는 공기 방울과 함께 상승되면서 사육수분기관(333)과 사육수하부절곡관(335) 및 사육수하부배출관(337)을 통해 배출된다.
특히, 사육수에어스톤(334)은 에어를 유동 안내하는 에어주입호스(336)에 연결된다.
또한, 사육조(300) 각각에 사육되는 제 1사육종은 배설물을 배설하게 된다. 이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한 곳으로 모아 배출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사육조(300) 각각은 바닥 중앙으로 모이도록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사육조(300)는 바닥에 경사면(3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사육조(300)의 경사면(340) 중앙에 집수구(350)를 형성한다. 집수구(350)는 사육조(300) 바닥에 모인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등수 사육장(100)은 집수구(350)에 연결되는 배설물배출통로(352)를 형성한다. 배설물배출통로(352)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포함하는 배출수를 순환 사육장(200)으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육조(300)에 사육되는 제 1사육종이 집수구(35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그래서, 집수구(350)의 유입측에는 망부재(360)가 구비된다.
한편, 도 1에서처럼, 상등수 사육장(100)은 사육조(300) 각각의 배출개폐부(320) 측에 제 3수로(160)를 형성한다. 제 3수로(160)는 사육조(300) 각각에서 배출개폐부(32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출어장(170)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육조(300) 각각의 타측벽은 제 3수로(160)의 일측벽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사육조(30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3수로(160)가 구비된다.
아울러, 제 3수로(160)는 출어장(170)과 연결된다.
특히, 어느 하나의 사육조(300)에 사육되는 제 1사육종이 제 3수로(160)를 통해 출어장(170)으로 모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3수로(160)는 각각의 사육조(300)에 대응되는 개폐망(162)을 구비한다. 개폐망(162)은 메쉬(mesh) 타입으로 이루어져 배출수만이 출어장(170)으로 유동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도 14는 임의의 사육조(300)에서 사육되는 제 1사육종을 출어장(170)으로 모이도록 제 3배출개폐부와 해당 개폐망(162)을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출어장(170)은 제 3수로(1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 1사육종의 출하를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출어장(170)의 배출수는 제 1메쉬망(116)을 통해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로 유입된다.
따라서, 해수는 송수용 에어리프트기(111)의 작동만으로 에어리프트 송수조(110), 스키머조(120), 제 1수로(130), 여과조(140), 제 2수로(150), 사육조(300), 제 3수로(160), 및 출어장(170)을 순서대로 순환하게 된다.
한편, 사육조(300)에서 사육되는 제 1사육종에서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처리되어야 한다.
그래서, 사육조(300)에서 집수구(350)를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배출수와 함께 침전조(400)로 배출된다.
침전조(400)는 사육조(30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집수구(350)로 모이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등의 고형 오물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침전조(400)는 배설물배출통로(352)와 연결되는 배설물배출관(410)을 구비한다. 편의상, 하나의 침전조(400)에는 이웃한 한 쌍의 사육조(300)의 배설물배출통로(352) 각각에 연결되는 배설물배출관(41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사육조(300)의 사육수와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400)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침전조(400)의 배출수가 제 3수로(160)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침전조(400)에는 윗물배출기(420)가 구비된다. 윗물배출기(420)는 침전조(400)에서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걸러낸 배출수를 제 3수로(160)로 배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도 11, 도 12 및 도 13에서처럼, 윗물배출기(420)는 윗물유도부재(422), 및 윗물에어스톤(4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윗물유도부재(422)는 침전조(400)에 있는 배출수 중 상부의 배출수 즉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가라앉은 상태의 윗물을 제 3수로(16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윗물유도부재(422)는 윗물유입관(421), 수평연결관(423), 상승유도관(425), 및 윗물분기관(4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윗물유입관(421)은 배출수에 잠겨지도록 침전조(400)에 세워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윗물유입관(421)은 상측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침전조(400) 내의 상부 배출수인 윗물이 윗물유입관(42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수평연결관(423)은 윗물유입관(421)의 하측에서 침전조(400)에 대략 나란하게 절곡 형성된다.
아울러, 상승유도관(425)은 수평연결관(423)에서 침전조(400)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승유도관(425)은 윗물에어스톤(424)을 설치하여 윗물을 상승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승유도관(425)은 상측을 개방 형성한다.
또한, 윗물분기관(427)은 상승유도관(425)의 둘레면에서 분기되고, 제 3수로(160)와 경계짓는 침전조(400)의 타측벽에 삽입된다.
그래서, 윗물분기관(427)은 배출수의 윗물을 제 3수로(16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윗물배출기(420)를 침전조(4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윗물에어스톤(424)은 공기공급호스(426)에 연결되며, 상승유도관(425)에 삽입된다.
윗물에어스톤(424)이 공기를 분출하게 되고, 분출되는 공기는 상승유도관(425) 내부의 윗물을 끌어올려 윗물분기관(427)으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침전조(400)의 윗물은 윗물유입관(421)으로 유입된다.
즉, 윗물배출기(420)가 침전조(400)의 윗물을 제 3수로(160)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육조(300)에서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사육수가 배설물배출관(410)을 통해 침전조(400)로 유입된다.
이때, 배설물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침전조(400)에서 부유시 제 3수로(160)로 유입됨에 따라, 오염된 배출수가 제 3수로(160)로 배출된다.
그래서, 배설물배출관(410)은 배설물포집관(430)이 덧씌워진다. 즉, 배설물포집관(430)은 배설물배출관(410)을 축 삽입한다. 이에 따라, 배설물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배출수는 배설물포집관(430) 내부에 모이게 되고, 배설물은 배설물포집관(430)으로 둘러싸인 침전조(40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이때, 배설물포집관(430) 내부의 배출수는 침전조(400)로 배출되어 윗물유도부재(422)로 유입되어야 한다. 배설물포집관(430)의 하측 테두리가 침전조(400)의 바닥에 모두 접할 경우, 배출수는 침전조(400)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배설물포집관(430)은 배설물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침전조(400)로 배출 유도하기 위해 하측 일부 테두리에 모따기홀(432)을 형성한다.
이때,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배설물배출관(410)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유동 후 서서히 가라앉기 때문에 모따기홀(432)을 통해 침전조(400) 바닥으로 소량씩 배출된다.
침전조(400)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바닥 중앙 부위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전조(400)는 바닥 중앙에 배출유도구(44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등수 사육장(100)은 배출유도구(440)와 연결되는 배출통로(442)를 형성한다. 즉, 침전조(400) 바닥에 쌓이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포함하는 배출수의 아랫물은 배출유도구(440)를 통해 배출통로(442)로 이동하게 되면서 저류조(180)에 저장된다.
특히, 배출통로(442)를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순환 사육장(200)에서 사육되는 제 2사육종 중 갑각류의 먹잇감으로 활용되는 바이오플락의 먹잇감으로 제공된다. 그래서, 제 2사육종의 사육을 위한 사료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제 2사육종이 섭취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의 양은 한정된다.
이에 따라, 배출유도구(440)를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단속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유도구(440)는 배출개폐관(450)에 에워싸이게 된다. 즉, 배출유도구(440)는 배출개폐관(450)에 축 삽입된다.
작업자가 배출개폐관(450)을 들어올릴 경우, 배출유도구(440)는 노출되면서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아랫물을 유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배출개폐관(450)의 하측 테두리가 침전조(400) 바닥에 접하도록 배출개폐관(450)을 놓게 되면, 배출유도구(440)는 노출 방지되면서 배출물과 아랫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때, 저류조(180)는 이송순환관(184)을 통해 순환 사육장(20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송순환관(184)에는 펌핑부재(182)가 구비된다. 즉, 에어리프트 또는 펌프와 같은 펌핑부재(182)가 가동시, 저류조(180)에 저장된 배출물(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과 침전조(400)의 배출수 중 아랫물은 순환 사육장(200)으로 공급된다. 그래서, 침전조(400)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아랫물은 배출유도구(440)로 유입된다.
이때, 배출유도구(440)로부터 배출개폐관(450)이 들어올려질 때, 펌핑부재(182)가 가동됨이 바람직하다.
배출유도구(440)가 배출개폐관(450)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펌핑부재(182)가 가동될 경우, 펌핑부재(182)는 공동화현상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된다.
한편, 순환 사육장(200)은 상등수 사육장(100)에서 공급되는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먹이원으로 하는 바이오플락을 섭식하는 새우 등의 갑각류 및 탁한 물에서 서식하는 광어 등의 제 2사육종을 사육한다. 그래서,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최대한 재활용된다.
특히, 순환 사육장(200)은 상등수 사육장(100) 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편의상 상등수 사육장(100)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아울러, 순환 사육장(200)은 탁한 해수가 필요함에 따라 별도의 정화시설이 필요치 않게 된다.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순환 사육장(200)은 사육조(205) 및 유동발생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순환 사육장(200)의 사육조(205)는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편의상, 원형인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순환 사육장(200)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구비되는데, 편의상 5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아울러, 순환 사육장(200) 각각은 독립적으로 저류조(180)에 저장된 배출수를 사육수로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순환 사육장(200)의 사육조(205)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며, 어느 하나의 사육조(205)가 저류조(180)로부터 사육수를 공급받고, 나머지의 사육조(205)가 어느 하나의 사육조(205)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육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편의상, 사육조(205)는 서로 연결되어 사육수가 순서대로 유동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사육조(205)는 공급된 사육수에 흐름을 발생시켜 제 2사육종에 최적의 사육 환경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순환 사육장(200) 각각은 유동발생부(210)를 구비한다.
유동발생부(210)는 사육조(205)에 담긴 사육수에 흐름을 발생시켜 제 1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제 2사육종의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 등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바이오플락(bio-floc)의 활동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사육수에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사육조(205) 내의 사육수는 바이오플락의 활동으로 인해 자체 정화된다.
이를 위해 바이오플락이 가라앉지 않도록 물을 순환시키며 생장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유동발생부(210)를 포함하는 순환 사육장(2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플락은 폭기 시에도, 사육조(205) 바닥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의해서도 바이오매스 등과 같이 부유하여 침전이 방지될 수 있으나, 유동발생부(210) 등에 의해 물(사육수)이 순환 시, 바이오플락의 활동성이 더욱 증가하고, 사육수의 산소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유동발생부(210)는, 파이프(212), 및 유동에어스톤(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나의 순환 사육장(200)에는 유동발생부(21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파이프(212)는 상측과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파이프(212)의 개방된 하측은 사육조(205)에 있는 사육수를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파이프(212)의 개방된 상측은 유동에어스톤(214)을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이프(212)는 하측을 개방하고 사육조(205) 바닥면으로부터 유격된 채 고정될 수도 있고, 사육조(205)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된 채 하측 둘레면에 홀(hole)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파이프(212)는 상측 둘레면에 분기배출관(213)을 형성한다. 분기배출관(213)은 파이프(212)의 하측을 통해 상승되는 사육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육조(205)에서 사육수가 평면상 원형 궤적을 따라 흐름 발생되도록, 분기배출관(213)은 개방측의 방향이 설정된다.
이때, 파이프(21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사육조(205)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유동에어스톤(214)은 파이프(21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파이프(212) 내부에 삽입되고, 공기공급관(215)에 연결되어 미세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래서, 파이프(212) 내부에 구비된 유동에어스톤(214)을 통하여, 파이프(212)는 내부 하측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지속적으로 분출되고, 파이프(212) 내부의 사육수는 상승하는 공기방울에 의해 상승되며 분기배출관(213)을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해, 파이프(212)의 개방된 하측으로는 사육조(205) 내부의 사육수가 유입된다.
아울러, 사육조(205)는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원형 궤적을 따라 사육수가 유동됨에 따라, 유입된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사육조(205)의 바닥 중앙 부위에 모여 퇴적된다.
바닥 중앙에 모인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사육조(205) 상부로 재공급하여 퇴적됨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계속해서 유동하도록 하여 바이오플락의 먹잇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제 2사육종에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육조(205)는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바닥 중앙 부위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사육조(205) 바닥 중앙에는 피드백관(220)이 구비된다. 피드백관(220)은 사육조(205)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사육조(205)의 둘레면에 나란하도록 연장된다.
그래서, 사육조(205)의 바닥 중앙 부위에 모인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피드백관(220)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 2사육종이 피드백관(2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피드백관(220)의 유입측에는 메쉬스크린(222)이 구비된다. 메쉬스크린(222)은 제 2사육종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드백관(220)에 유입된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사육수는 사육조(205) 상부로 강제 이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드백관(220)에는 폭기부재(230)가 구비되고, 피드백관(220)은 사육조(205) 둘레면에 삽입되는 피드분기관(224)을 구비한다.
피드분기관(224)이 사육조(205)에 삽입됨에 따라, 피드백관(220)은 흔들림 방지된다.
피드백관(220)에 삽입된 폭기부재(230)는 미세 공기를 분출시키게 되고, 미세 공기는 피드백관(220) 내부의 사육수,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폭기부재(230)는 에어스톤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피드백관(220) 내부에서 상승하는 사육수,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제 2사육종의 배설물 및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피드분기관(224)을 통해 사육조(205) 내부 상부로 피드백(feed-back)된다.
이에 의해, 순환 사육장(200)은 사육수의 회전에 의해 오물이 중앙으로 (바닥이 중앙으로 경사져서) 용이하게 중앙으로 모인 오물이 배출된 후 이 오물을 폐기하지 않고 다시 원형 수조 상으로 폭기부재(230) 또는 다른 펌핑 수단에 의하여 공급하여 바이오플락(=미생물총)의 먹이(바닥에 가라앉아 퇴적된 오물은 바이오플락이 먹지 않는다)로 재공급하는 구조를 구비하여서, 이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은 오물을 폐기하지 않고 다시 바이오플락의 먹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잇점, 이에 따라 원형 수조에 사료를 공급하는 횟수나 양 및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잇점, 폭기 부재로 에어리프트(에어스톤)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기계 장치(모터, 기어, 동력 발생 및 동력 전달 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고장(물이 있어서 녹이 스는 것과, 윤활 기름의 유출에 의한 오염, 이에 따른 여러 결함과 유지보수로 인한 비용들)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잇점, 바이오플락을 이용하여 생물이 공생하는 것으로 별도의 여과조를 만들 이유가 없어 별도의 여과조를 만드는 공간과 장비와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상등수 사육조(300)는 깨끗한 물에서 사는 생물을 기르는 제1 사육종을 양식하는 곳이고, 순환 사육조(200)는 바이오플락에서 생존할 수 있는 제2 사육종을 양식하는 곳이어서, 이 2개의 수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양식 방식이 서로 상이한 구조의 2개의 사육조를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사육조(300)에서 배출된 오물이 종전과 같이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제 2사육종에서 생존하는 바이오플락의 먹이로 소비될 수 있게 결합됨에 따라, 종전과 같은 오물 폐기에 따른 오물 폐기 장치 및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 사육장(200)의 바이오플락에서 생존하는 제 2사육종에 사육조(300)에서 배출된 오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사육조(300)의 오물을 순환 사육장(200)의 바이오플락의 활성화를 위해 공급하고, 순환 사육장(200)의 바이오플락은 제 2사육종의 먹이로 활용하는 것에 의해 제 2사육종의 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사육조(300)와 순환 사육장(200)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자연 증발이나 어종을 반출할 때 배수되는 물의 양을 제외하고는, 순환 과정에서 감소되는 사육수가 거의 없어 새로이 투입해야 하는 사육수 또한 거의 없어서 사육수의 공급 횟수나 양, 및 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육조(300)와 순환 사육장(200)을 함께 사용하면, 통상 많은 물을 매일 갈아주거나 공급하기 위해 사육조(300)나 순환 사육장(200)을 통상 바닷가나 하천 부근에 설치해서 제 1 및 제 2사육종을 양식해야 한다는 제한조건이 제거되므로, 도심이나 내륙에 이들 수조를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사육종을 양식할 수 있어서 싱싱한 생물을 신속히 소비자에 배달하여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순환 사육장(200)의 사육조(205)끼리는 연결되어 사육수를 이송 안내하여야 한다. 이는, 최종적으로 순환 사육장(200)의 사육수를 상등수 사육장(100)으로 순환시키기 위함이다.
도 17에서처럼, 순환 사육장(200)은 수직관(232), 폭기수평연결관(234), 및 폭기에어스톤(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관(232)은 상측과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직관(232)의 개방된 하측은 사육조(205)에 있는 사육수를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수직관(232)의 개방된 상측은 폭기에어스톤(240)을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직관(232)의 상측은 사육조(205)에 있는 사육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관(232)은 하측을 개방하고 사육조(205) 바닥면으로부터 유격된 채 고정될 수도 있고, 사육조(205)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된 채 하측 둘레면에 홀(hole)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수직관(232)은 상측 둘레면에 폭기수평연결관(234)을 형성한다. 폭기수평연결관(234)은 수직관(232)의 하측을 통해 상승되는 사육수를 이웃한 사육조(205)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직관(232)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사육조(205)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폭기에어스톤(240)은 수직관(23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수직관(232) 내부에 삽입되고, 미세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래서, 수직관(232) 내부에 구비된 폭기에어스톤(240)을 통하여, 수직관(232)은 내부 하측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지속적으로 분출되고, 수직관(232) 내부의 사육수는 상승하는 공기방울에 의해 상승되며 폭기수평연결관(234)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순환 사육장(200) 각각은 공급된 사육수를 가열하기 위해 내측면에 보일러배관(25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보일러배관(250)은 가온된 온수를 유동시킴으로써 사육조(205)에 있는 사육수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순환 사육장(200)은 사육수를 가열하기 위해 다양한 히팅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사육수가 무한 순환하게 됨으로써, 제 1사육종과 제 2사육종은 계절에 관계없이 최적의 수온에서 사육될 수 있다.
마지막의 사육조(205)의 바닥에 모인 제 1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제 2사육종의 배설물과 그 미섭식 사료찌꺼기 및 사육수는 피드백관(220)에 의해 순환도 되고, 배출되어 원심분리기(500)로 유입된다.
도 1, 도 18 및 도 19에서처럼, 원심분리기(500)는 사육수에서 증식된 바이오플락군과 잔존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분리 후 상등수는 상등수 사육장(100) 특히,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로 순환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증식된 바이오플락군과 잔존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래서, 원심분리기(500)는 본체(510), 인렛포트(512), 제 1아웃렛포트(514), 및 제 2아웃렛포트(5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510)는 원심분리기(5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인렛포트(512)는 마지막의 순환 사육장(200) 또는 각각의 순환 사육장(200)으로부터 잔존하는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와 사육수를 본체(510) 내부로 공급받는 것으로서, 본체(510)의 접선에 수직한 임의의 선에 대해 경사지게(θ) 형성된다. 이는, 본체(510) 내부로 유입되는 사육수와 잔존하는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잔존하는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본체(510) 하부로 이동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등수는 제 2아웃렛포트(516)를 통해 에어리프트 송수조(110)로 이송된다.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제 1아웃렛포트(514)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제 1아웃렛포트(514)를 선택적으로 개방 후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배출하게 된다.
배출된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식물의 영양분 등 다양하게 재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상등수 사육장 110: 에어리프트 송수조
111: 송수용 에어리프트기 120: 스키머조
124: 거춤 제거용 덮개 130: 제 1수로
140: 여과조 150: 제 2수로
160: 제 3수로 170: 출어장
180: 저류조 200: 순환 사육장
210: 유동발생부 220: 피드백관
230: 폭기부재 240: 폭기에어스톤
300: 사육조 310: 유입개폐부
320: 배출개폐부 330: 회전수류 발생기
400: 침전조 410: 배설물배출관
420: 윗물배출기 430: 배설물포집관
500: 원심분리기

Claims (4)

  1. 침전조(400)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어 사육조(300)에서 사육되는 사육종의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한 유입구;
    상기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고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집수되어 배출되도록 한 배출유도구(440);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침전조(400)의 수위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를 상기 높이까지 유도 안내하는 배설물배출관(410);
    상기 배설물배출관(410)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내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배설물 배출관(410)을 동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하부 일부 테두리에 홀(432)이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배출관(410)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설물과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상기 하부 일부 테두리에 형성된 홀(432)을 통해 상기 침전조(400)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배출유도구(44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 안내하기 위한 배설물포집관(430); 및
    상기 침전조(400)의 윗물을 제3수로(160)로 배출시키기 위한 윗물배출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윗물배출기(420)는 상부에서 윗물유입관(421)을 통해 하향 연장한 다음 수평연결관(423)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후 상승유도관(425)으로 상향 연장하고 상기 상승유도관(425)의 상부에서 윗물분기관(427)을 통해 상기 침전조(400)의 윗물을 제3수로(160)로 배출하는데, 상기 상승유도관(425) 내부 하측에 에어스톤(424)을 배치하여 공기공급호스(426)를 통해 상기 에어스톤(424)에 공기를 공급하여 윗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구(440)에는, 상기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가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배출개폐관(45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구(44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설물 및 미섭식 사료찌꺼기는 바이오플락을 이용하여 생물을 사육하는 사육조로 공급되어 바이오플락의 먹이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
  4. 삭제
KR1020140019906A 2014-02-20 2014-02-20 침전조 KR10153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906A KR101533189B1 (ko) 2014-02-20 2014-02-20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906A KR101533189B1 (ko) 2014-02-20 2014-02-20 침전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97A Division KR101408850B1 (ko) 2013-06-17 2013-06-17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96A KR20140146996A (ko) 2014-12-29
KR101533189B1 true KR101533189B1 (ko) 2015-07-02

Family

ID=5267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906A KR101533189B1 (ko) 2014-02-20 2014-02-20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1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94A (ko) * 2001-09-14 2003-03-20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100889497B1 (ko) * 2007-09-13 2009-03-19 박주형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94A (ko) * 2001-09-14 2003-03-20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100889497B1 (ko) * 2007-09-13 2009-03-19 박주형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96A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KR101363623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순환 사육장
KR101837549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7109B1 (ko) 쌍각류 등의 저서 생물의 양식 장치
KR101795171B1 (ko) 바이오플락 양식수조용 부상슬러지 제거장치
JP5629288B2 (ja) 魚介類養殖装置並びに養殖方法
KR101847695B1 (ko) 슬러지 제거용 트랩과 침전조가 형성된 바이오플락시스템
CN107072181B (zh) 水产养殖设施和培养方法
US9380766B2 (en) Aquaculture system
KR101587772B1 (ko) 침전조 분리형 바이오플락 시스템
KR100915037B1 (ko)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어류와 해삼의 복합 양식 방법 및 그장치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NO342765B1 (en) System for selective waste removal from aquaculture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KR102101440B1 (ko) 어류전용 바이오플락 슬러지제거 시스템
KR101441825B1 (ko) 수로식 뱀장어 양식장
KR101730409B1 (ko) 양만장용 수처리 시스템
WO2006029481A2 (en) Modular aquaculture system
JP3955192B2 (ja) 水産物の養殖装置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Yoo et al. An in-pond raceway system incorporating removal of fish wastes
JP4327368B2 (ja) 魚介類等の飼育装置
KR101580435B1 (ko) 트랩을 이용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어 장치
CN217136487U (zh) 一种提高水产种苗开口成活率的饲养装置
KR102070594B1 (ko)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