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978B1 - 학습교재용 실로폰 - Google Patents

학습교재용 실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978B1
KR101532978B1 KR1020130150370A KR20130150370A KR101532978B1 KR 101532978 B1 KR101532978 B1 KR 101532978B1 KR 1020130150370 A KR1020130150370 A KR 1020130150370A KR 20130150370 A KR20130150370 A KR 20130150370A KR 101532978 B1 KR101532978 B1 KR 10153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rder
xylophone
plate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255A (ko
Inventor
황성철
Original Assignee
황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철 filed Critical 황성철
Priority to KR102013015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9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교재용 실로폰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울림통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흡음공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의 상부에 흡음공보다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크기별로 하나씩 조립 설치되어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음판 및 상기 음계 순서대로 조율된 음판이 하나씩 조립되는 복수의 울림통이 크기의 순서대로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용 케이스 본체로 구성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는 상면 저부에 흡음공을 가로지르도록 울림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하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음판을 받쳐주기 위한 고무스펀지가 장착되는 복수의 스펀지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펀지안착홈 각각의 일측에는 음판을 조립하기 위한 금속조립핀이 끼워지는 핀조립공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조립공은 울림통의 상면에서부터 지지돌부의 심부까지 깊게 형성되어 상기 음판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공을 관통하는 금속조립핀이 억지끼움식으로 견고하게 박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학습교재용 실로폰{Xylophone in use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교재용 실로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규격이 각기 다르게 제작되어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하기 위한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 하나씩 배열 설치되는 음판이 조율된 음을 정확하게 발생하면서 울림통에서 절대 이완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개선된 실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교재용 실로폰은 휴대용 케이스 내부에 크기가 각기 다르게 제작된 복수의 음판들을 두 줄 상으로 배열 설치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 일례로서, 본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53685호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한 선행기술은 휴대용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크기가 각기 다른게 제작된 복수의 음판이 음계순서대로 두 줄 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두 줄 상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음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판이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될 경우에는 그 분리된 음판이 분리되기 이전에 조율되었던 음을 정확하게 발생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로폰을 재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와서는 크기가 각기 다르게 제작되는 복수의 음판과 상기 복수의 음판들이 각각 조율된 음계순서대로 하나씩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울림통 및 상기 복수의 울림통들이 크기의 순서대로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로 구성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크기가 다른 복수의 울림통(100)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100) 각각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흡음공(110)과, 상기 흡음공(11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는 부착공(120)(130)과, 상기한 부착공(120)(130) 각각에 억지끼움씩으로 삽입되는 부착돌기(140)(150)가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2개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무판(160)(170)과, 상기 복수의 고무판 각각의 상면 중앙에 상향으로 조립돌기(180)(190)가 하나씩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돌기(180(190)가 삽입되는 조립공(210)(220)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음판(2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음판(200)이 조율된 음계순서대로 하나씩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울림통(100)이 휴대용 케이스 내부에 크기 순서대로 배열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울림통(100) 상면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고무판(160)(170)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조립돌기(180)(190) 각각에 복수의 음판(200)이 조율된 음을 발생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어린아이들이 실로폰 채(도시 없음)로 복수의 울림통(100) 상면에 하나씩 배열 설치되어 있는 음계에 맞추어 음판(200)을 선택적으로 두드리는 방법으로 음계에 알맞는 음을 발생시키면서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휴대용 케이스 본체에 크기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울림통(100) 각각은 삽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아이들이 사용도중 복수의 울림통(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울림통(100)을 분실하였을 때에는 그 분실된 울림통과 같은 음을 내는 새로운 울림통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휴대용 케이스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울림통(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복수의 울림통(100) 각각에 부착되어 음판(200)을 지지하는 고무판(160)(170) 각각의 일측 부착돌기(140(150)가 도 7의 도시와 같이 울림통(100)의 일측 부착공(120)(130)에서 빠지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상기 고무판(160)(170)의 일측 부착돌기(140)(150)가 울림통(100)의 일측 부착공(120)(130)에서 이완되었을 경우에는 음판(200)에서 조율된 음이 나오지(울리지) 않고 전혀 다른 음이 나오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울림통(100)의 부착공(120)(130)에서 빠진 고무판(160)(170)의 부착돌기(140)(150)를 다시 끼워야 하는데, 이때 상기한 부착돌기(140)(150)를 부착공(120)(130)에 끼우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들며, 더구나 사용자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아이일 경우에는 더더욱 끼울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때문에 상기와 같이 음판(200)을 지지하고 있는 고무판(160)(170)의 부착돌기(140)(150)가 울림통(100)의 부착공(120)(130)에서 빠졌을 때에는 음판(200)이 조율된 음을 발생할 수 없게 되어 상기한 부착공(120))(130)에서 부착돌기(14)(150)가 빠진 울림통(100) 및 음판(200)은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해 학습교재용 실로폰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학습교재용 실로폰의 휴대용 케이스에 삽탈가능하도록 크기 순서대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 조율된 음계의 순서대로 하나씩 장착되는 음판들은 사용도중 절대 울림통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항시 조율된 음을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각 음판들을 울림통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울림통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흡음공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의 상부에 흡음공보다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크기별로 하나씩 조립 설치되어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음판 및 상기 음계 순서대로 조율된 음판이 하나씩 조립되는 복수의 울림통이 크기의 순서대로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용 케이스 본체로 구성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는 상면 저부에 흡음공을 가로지르도록 울림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하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음판을 받쳐주기 위한 고무스펀지가 장착되는 복수의 스펀지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펀지안착홈 각각의 일측에는 음판을 조립하기 위한 금속조립핀이 끼워지는 핀조립공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조립공은 울림통의 상면에서부터 지지돌부의 심부까지 깊게 형성되어 상기 음판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공을 관통하는 금속조립핀이 억지끼움식으로 견고하게 박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판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공 각각에는 금속조립핀을 감싸주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무관이 끼워지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케이스 본체에 크기 순서별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 음계의 순서대로 하나씩 장착되는 음판이 상기 각 울림통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학생들이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사용하는 도중에 각 울림통에서 음판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어린학생들은 학습교재용 실로폰의 각 울림통에 장착되어 있는 음판에서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오랫동안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의 휴대용 케이스 본체에 울림통을 음계의 순서대로 배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구성하는 울림통과 음판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학습교재용 실로폰의 울림통과 음판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울림통과 음판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울림통과 음판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울림통에서 음판이 이완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학습교재용 실로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학습교재용 실로폰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1)은 휴대용 케이스 본체(2)와, 상기 휴대용 케이스 본체에 크기 순서대도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울림통(3)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에 음계의 순서대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음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케이스 본체(2)의 일측에는 힌지부(21)에 의해 뚜껑(22)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용 케이스 본체(2)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2)에도 휴대형 케이스 본체(2)에 형성된 손잡이(23)와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도시 없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31)의 중앙부분에는 흡음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31)에는 울림통(3)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흡음공(32)의 양측 각각에 스펀지안착홈(33)(34)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펀지안착홈(33)(34) 각각에는 단면이 마름모꼴 모양으로 된 고무스펀지(5)가 하나씩 착탈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에는 상면(31)의 저부에 하향을 향해 돌출하는 지지돌부(6)가 울림통(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부(6)는 상면(3)의 두께(T)보다 더 큰 치수(H)로 울림통(3)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울림통(3)의 상면(31)에는 스펀지안착홈(33)(34) 각각의 일측에는 상면(31)에서부터 지지돌부(6)의 심부까지 깊게 형성되는 핀조립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에는 각기 다른 크기의 복수의 음판(4)들이 하나씩 배열 설치되는데, 상기 복수의 음판(4)들 각각은 음판이 설치되는 해당 울림통(3)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복수의 음판(4)들은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음판(4)들이 각각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31)에 형성된 스펀지안착홈(33)(34)에는 단면이 마름모꼴 모양으로 안착되는 고무스펀지(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음판(4)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부착공(41)(42) 각각에는 고무관(7)이 하나씩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음판(4)들을 하나씩 울림통(3)에 부착시키는 금속조립핀(8)은 상기 복수의 음판(4) 각각에 형성된 부착공(41)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고무관(7)을 관통하여 울림통(3)에 형성된 핀조립공(61)에 억지끼움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음판(4) 각각에 형성되는 부착공(41)의 내경은 고무관(7)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음판(4)의 진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스펀지안착홈(33)(34)에 안착되는 고무스펀지(5) 역시 음판(4)의 진동이 잘 이루어질 수 마름모꼴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음판(4)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고무관(7)을 관통하는 금속조립핀(8)이 억지끼움되는 핀조립공(61)은 금속조립핀(8)이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핀조립공(61)의 내경은 금속핀(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31)에 형성된 핀조립공(61)에 금속조립핀(8)을 억지끼움하게 되면, 상기 핀조립공(61)에 억지끼움된 금속조립핀(8)은 그 핀조립공(61)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복수의 울림통(3)에 하나씩 장착되는 각 음판(4)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학습교재용 실로폰(1)은 휴대용 케이스 본체(2)에 크기의 순서에 맞추어 복수의 울림통(3)이 배열되는데, 이때 울림통(3)의 배열 순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제일 큰 울림통(3)에서부터 제일 작은 것까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크기 순서대로 배열되는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에는 음판(4)이 음계의 순서대로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에 하나씩 설치되는 각 음판(4)들은 울림통(3)의 상면(31) 양측에 형성된 스펀지안착홈(33)(34)에는 고무스펀지(5)가 도 3의 도시와 같이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도록 안착되는 것이며, 이렇게 마름모꼴 형상으로 안착되는 고무스펀지(5)는 상기 복수의 울림통(3)의 상면(31)에 안착되는 각 음판(4)을 안정된 상태로 받쳐줌과 동시에 각 음판(4)들이 조율된 음을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31)에 하나씩 조립 설치되는 음판(4)들은 부착공(41)에 삽입되는 고무관(7)을 관통하는 금속조립핀(8)에 의해 각 울림통(3)의 상면(3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각 음판(4)을 울림통(3)에 고정시키는 금속조립핀(8)은 울림통(3)의 상면(31)에서부터 지지돌부(6)의 심부까지 깊게 형성되어 있는 핀조립공(61)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므로 상기 금속조립핀(8)은 울림통(3) 각각에 견고하게 박힌 상태로 음판(4)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각 음판(4)들은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사용하는 도중에 울림통(3)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사용하는 어린학생들이 각 음판(4)을 손으로 음판(4)을 잡아당기게 되더라도 상기 금속조립핀(8)이 울림통(3)에 형성된 핀조립공(61)에서 빠지지 않고 각 음판(4)을 견고하게 붙잡아주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학생들은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간편하게 휴대하여 음악을 학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사용하는 도중에 실로폰채(도시없음)로 음판(4)을 세게 두드리게 되더라도 음판(4)이 울림통(3)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사용하는 어린학생들이 휴대용 케이스 본체(2)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울림통(3)들 중 하나 내지 그 이상의 울림통(3)을 꺼내어 울림통(3)을 흔들거나 또는 울림통(3)끼리 부딪치게 하는 등의 놀이로 울림통(3)을 심하게 다루게 되더라도 그 울림통(3)에 설치되어 있는 음판(4)은 금속조립핀(8)이 빠지지 않는 한 절대 움림통(3)에서 분리 또는 이완되지 않게 되므로 어린학생들은 안심하고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용 케이스 본체(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울림통(3) 각각에 하나씩 배열 설치되어 있는 음판(4)들이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학습교재용 실로폰(1)을 장기간 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학습교재용 실로폰 2 : 휴대용 케이스 본체
21 : 힌지 22 : 뚜껑
23 : 손잡이 3 : 울림통
31 : 상면 32 : 흡음공
33,34 : 스펀지안착홈 4 : 음판
41,42 : 부착공 5 : 고무스펀지
6 : 지지돌부 61 : 핀조립공
7 : 고무관 8 : 금속조립핀

Claims (2)

  1.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울림통(3)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흡음공(32)과, 상기 복수의 울림통 각각의 상부에 흡음공보다 상향으로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크기별로 하나씩 조립 설치되어 음계의 순서대로 조율된 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음판(4)과, 상기 복수의 음판들이 조율된 음을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각 음판의 양측을 받쳐주는 마름모꼴 형상의 고무스펀지(5)와, 상기 울림통의 상면 양측에 마름모꼴 형상의 고무스펀지의 하부가 삽입 안착되는 복수의 스펀지안착홈(33)(34)과, 상기 복수의 음판이 하나씩 울림통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금속조립핀(8)과, 상기 금속조립핀을 감싼 상태로 상기 각 음판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공(41)(42)을 관통하여 울림통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고무관(7) 및 음계 순서대로 조율된 음판이 하나씩 조립되는 복수의 울림통이 크기의 순서대로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용 케이스 본체(2)로 구성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울림통(3) 각각의 상면(31) 양측에 형성된 핀조립공(61)을 통해 억지끼움식으로 박아주는 금속조립핀(8)이 견고하게 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울림통(3)의 저부에서 울림통(3)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흡음공(32)의 저부를 가로지르도록 울림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돌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
  2. 삭제
KR1020130150370A 2013-12-05 2013-12-05 학습교재용 실로폰 KR10153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70A KR101532978B1 (ko) 2013-12-05 2013-12-05 학습교재용 실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70A KR101532978B1 (ko) 2013-12-05 2013-12-05 학습교재용 실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55A KR20150065255A (ko) 2015-06-15
KR101532978B1 true KR101532978B1 (ko) 2015-07-01

Family

ID=5350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370A KR101532978B1 (ko) 2013-12-05 2013-12-05 학습교재용 실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43B1 (ko) * 2018-01-19 2019-03-22 정선화 실로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635U (ko) * 1989-03-30 1990-10-05 조광호 공명 실로폰
JPH03110503U (ko) * 1990-02-27 1991-11-13
JP3110503B2 (ja) * 1991-08-08 2000-11-20 大塚製薬株式会社 哺乳びん用バッグ
KR200261199Y1 (ko) * 2001-08-09 2002-01-19 김병규 실로폰의 음판 받침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635U (ko) * 1989-03-30 1990-10-05 조광호 공명 실로폰
JPH03110503U (ko) * 1990-02-27 1991-11-13
JP3110503B2 (ja) * 1991-08-08 2000-11-20 大塚製薬株式会社 哺乳びん用バッグ
KR200261199Y1 (ko) * 2001-08-09 2002-01-19 김병규 실로폰의 음판 받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55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0705C (zh) 音调调制鼓
JP5630618B2 (ja) スネアドラム
US20080087159A1 (en) Musical instrument training device with multiple mouthpieces
US9424827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with enhanced playing area
KR101532978B1 (ko) 학습교재용 실로폰
US8969696B2 (en) Acoustic decoupling device
US9286867B1 (en) Bucket drum
KR20160112702A (ko) 멀티 파동 실험시스템
US4244267A (en) Percussion instrument
CN203631005U (zh) 一种中小学音乐教学板
JP5642308B1 (ja) 高低打音を発生可能な打楽器
CN205847577U (zh) 一种推挽式震动喇叭组件
US1803892A (en) Loud speaker
JP2016082369A (ja) ホーンスピーカ
CN212724434U (zh) 多功能声学实验盒
CN204090137U (zh) 高音喇叭的改良结构
KR200484391Y1 (ko) 카혼
US1200370A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KR102129940B1 (ko) 장방형 스피커 구조체
JP3191282U (ja) 縦式篠笛に着脱自在に設けた歌口具
Waltham The acoustics of harp soundboxes
CN108882102B (zh) 人声音箱
JP3193991U (ja) 高低打音を発生可能な打楽器
CN107274865A (zh) 一种三音箱鼓
Arbel et al. LeMo: an assembly kit for musical acoustics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