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90B1 - 수위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90B1
KR101532890B1 KR1020140182024A KR20140182024A KR101532890B1 KR 101532890 B1 KR101532890 B1 KR 101532890B1 KR 1020140182024 A KR1020140182024 A KR 1020140182024A KR 20140182024 A KR20140182024 A KR 20140182024A KR 101532890 B1 KR101532890 B1 KR 101532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control
overflow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최범준
김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14018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기립의 정도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및 에어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 및 상기 수위조절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강폭을 규정하는 언체를 포함하며, 상기 언체는,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부에 의한 수위 조절의 한계를 초과하여 월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위조절부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물을 하류측으로 방류시키는 경우,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낙차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부의 하류측 일면과,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 사이에 제공되는 비유수공간의 기압 저하에 따른 상기 수위조절부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상기 비유수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압저하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 조절 시스템{Water leve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수위 조절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월류 또는 방류되는 물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여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의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위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댐(Dam)의 경우에는, 강성이 강한 콘크리트로 댐을 건설함으로써, 유체의 유속에 의해 작용하는 댐의 표면 압력에 의해 댐의 구조적 변위가 거의 없으며, 또한 댐의 구조적인 변위가 유체로 전달되는 변위 전달량 역시 거의 무시 할만 하다.
그러나, 고무댐의 경우 내부가 공기압으로 채워진 튜브 형태이면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유체의 유속에 의해 작용하는 고무댐의 표면 압력에 의해서 고무댐의 구조적 변위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같이 발생되는 구조적인 변위는 내구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흐르는 강에 설치되는 고무댐의 경우에는, 정수압(正水壓)은 물론, 월류에 의한 고무댐의 유해진동도 고려해야 하며, 이에 따라 고무댐에서 발생되는 유해 진동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무댐에 다수의 통기핀을 착설하여, 상기 통기핀에 의해 월류수의 흐름을 분기하여 상기 고무댐에서 발생되는 유해 진동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통기핀의 크기가 작을 시에는 효과가 미비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확장할수록 월류수에 의한 저항력이 커져 수명이 길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통기핀에 의한 유해 진동을 완화시키는 방법에는 그 효과를 보장받을 수 없기에 새로운 방법이나 구조적인 개선점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 또는 에어백을 월류하는 유수가 낙하하면서 형성되는 공간의 압력 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진동하거나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기립의 정도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및 에어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 및 상기 수위조절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강폭을 규정하는 언체를 포함하며, 상기 언체는,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부에 의한 수위 조절의 한계를 초과하여 월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위조절부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물을 하류측으로 방류시키는 경우,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낙차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부의 하류측 일면과,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 사이에 제공되는 비유수공간의 기압 저하에 따른 상기 수위조절부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상기 비유수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압저하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기압저하방지부는,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유출구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되되, 각 열에 배치된 유출구의 수 또는 각 행에 배치된 유출구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전체적인 배치 방향이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연결구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통시킨 채, 상기 연결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 내에 이물질에 의한 공기의 유입 저하를 방지하는 공기유입저하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 또는 에어백을 월류하는 유수가 낙하하면서 형성되는 공간의 압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상기 압력 저하 현상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저하 현상에 의해 진동하는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이 설치된 수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이 설치된 수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은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및 에어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10)는 에어백만으로 구현된 다양한 고무보 등이거나, 에어백과 패널로 구현된 공압식 가동보 등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에어백(14)과 패널(12)로 구현되는 공압식 가동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수위조절부(10)는 외부로부터의 급기와 배기를 통해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에어백(14)의 상류측에 패널(12)이 부착되어 상기 에어백(14)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상기 패널(12)이 기립 또는 도복되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12)은 일종의 판의 형상으로 강폭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1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14)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기립 또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의 도복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12)의 기립 및 도복은 상기 에어백(14)에 의해 구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리니어모터, 유압모터, 전기모터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10)가 기립되는 경우에는 상류측의 물이 상기 수위조절부(10)에 의해 하류측으로의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를 미리 설정된 수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조절부(10)가 도복되는 경우에는 상류측의 물이 하류측으로 원활히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은, 기립의 정도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조절부(10) 및 상기 수위조절부(10)가 배치되도록 하는 강폭을 규정하는 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체(20)는, 강의 흐름에 의해 침식되는 강의 측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인공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언체(20)는, 상류측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부(10)에 의한 수위 조절의 한계를 초과하여 월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위조절부(10)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물을 하류측으로 방류시키는 경우,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낙차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부(10)의 하류측 일면과,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 사이에 제공되는 비유수공간의 기압 저하에 따른 상기 수위조절부(10)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상기 비유수공간(S)을 연통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압저하방지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월류 현상은 특정 기립상태에서의 상기 수위조절부(10)의 높이가 상기 상류측의 수위보다 낮게 되어 상기 상류측의 물이 상기 수위조절부(10)를 넘어 하류측으로 흐르는 비정상적인 현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방류는 상기 수위조절부(10)가 도복되도록 하여 상기 상류측의 수위보다 상기 수위조절부(10)를 낮게 하여 상기 상류측의 물이 하류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물의 흐름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월류 현상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부(10)를 월류하는 물이 월류수이며, 상기 방류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부(10)를 넘어 흐르는 물이 방류수이다.
또한,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는 상기 수위조절부(10)의 높이와 상기 하류측의 수위와의 낙차에 의해 낙하되면서 상기 수위조절부(10)와의 사이에 비유수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유수공간(S)은 상기 월류수 또는 방류수와 상기 수위조절부(10)의 상기 패널(12)에 의해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류측의 수위가 상기 패널(12)의 기립에 의한 수위 조절의 한계를 초과하게 되어 상류측의 물이 상기 패널(12)을 넘어 월류되거나, 기립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상기 패널(12)의 도복으로 인해 상류측의 물이 상기 패널(12)을 넘어 방류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2)과 월류수 또는 방류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소정의 공간이 상기 비유수공간(S)인 것이다.
이는, 월류 및 방류가 발생되는 경우, 판 형상의 상기 패널(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월류수 및 방류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의 유속에 의해 상기 패널(12)의 하류측 일면과 상기 월류수 및 상기 방류수 사이에는 상기 비유수공간(S)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압저하방지부(30)는, 상기 비유수공간(S)의 기압 저하에 따른 상기 수위조절부(10)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즉, 상기 기압저하방지부(30)는, 밀폐된 공간인 상기 비유수공간(S)이 대기압과의 기압 차이에 의해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기압저하방지부가 없는 상태에서의 비유수공간의 압력 상태와 문제점을 설명하면, 상기 월류수 또는 방류수의 물이 빠른 속도로 이동함에 따라 압력이 낮아져, 유수 내에서 물의 기화 현상이 일어나 수증기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증기가 상기 비유수공간으로 유입되면서 회복된 압력 차에 의해 액화되고, 유수 내의 수증기가 차지하였던 공간에 상기 비유수공간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비유수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이 때, 낮아진 상기 비유수공간의 압력은 외부 대기압보다 작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수위조절부(10)가 압력 차를 견디지 못하고 진동하여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이 강할 경우에는 상기 수위조절부(10)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10)를 넘어흐르는 월류수 또는 방류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내의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 공동현상(Cavitation)이란,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가 유체 내의 압력이 낮은 곳에 모이게 되어 물이 없는 빈 공간이 생긴 것을 가리키며, 이와 같이 생긴 일종의 물방울이 압력 상승 또는 장애물과 접촉되어 터지면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유체와 인접한 구조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32)는 대기압 상태로 노출된 일종에 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34)를 통해 상기 유출구(36)와 연통되어 상기 유출구(36)로 유출되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유입구(32)가 상기 언체(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대기압 상태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언체(20)의 어느 일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구(36)는 상기 연결구(34)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32)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 유출하는 일종의 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 유출된 공기는 상기 비유수공간(S)의 압력이 상기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00)은 기압저하방지부(3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1)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기압저하방지부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저하방지부(130)의 유출구(136)는, 월류수 또는 방류수의 유속에 기초한 비유수공간(S, 도 4 참조)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상기 비유수공간(S)에 존재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구(136)와 한 쌍을 이루는 연결구(134) 및 유입구(132) 또한 상기 유출구(136)의 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월류수 또는 방류수는 상기 수위조절부(110)에 진입하기 전의 속도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부(110)를 지나 하류측에 낙하되는 지점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월류수 또는 방류수의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수위조절부(110)로부터 멀어지는 지점에 낙하되고, 느릴수록 상기 수위조절부(110)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비유수공간(S)은 상기 월류수 또는 방류수의 속도에 의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압저하방지부(130)가 상기 비유수공간(S)의 기압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유출구(136)를 복수개 구비하여,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 상기 비유수공간(S)에 원활히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유출구가 단수 개라면, 축소 또는 확대된 상기 비유수공간(S)이 아닌 공간에 상기 유출구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의 원활한 공기의 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도 6 참조) 또는 비선형적(도 7 참조)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는 수평 방향으로의 진행 속도와 낙하에 따른 중력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의해 반포물선 운동을 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궤적에 따른 반포물선 형태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비유수공간(S, 도 4 참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는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유출구를 배치하여 상기 비유수공간(S)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유출구가 선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복수의 유출구(236)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반포물선 운동의 경사진 정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선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출구(236)와 쌍을 이루는 연결구(234) 및 유입구(232) 또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구(234) 및 유입구(232)는 상기 복수의 유출구(236)와 마찬가지로 선형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유출구가 비선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복수의 유출구(336)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반포물선 운동의 궤적과 대응되도록 비선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334) 및 유입구(332) 또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유출구는 적어도 일부가 아닌 전체적인 배치 방향이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유출구(436)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열에 배치된 유출구(436)의 수 또는 각 행에 배치된 유출구(436)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행이란 상기 언체(420)의 길이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열이란 상기 언체(420)의 높이방향 즉, 대략 중력방향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행은 수평면과 평행할 수 있으나, 상기 언체(420)가 설치되는 설치환경에 따라 수평면보다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열 중 하류측 방향에 위치한 열의 행이 상류측 방향에 위치한 열의 행보다 작게 배치되어 상기 비유수공간(S) 내에 상기 유출구(436)가 다수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출구(436)와 쌍을 이루는 연결구(434) 및 유입구(432) 또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기압저하방지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기압저하방지부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500)의 상기 유출구(536)는, 유입구(532)의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출구(536)와 상기 유입구(532)를 연결하는 연결구(534)가 적어도 하나의 분기(535)를 구비하여, 상기 유입구(53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구(534)를 이동하다가 상기 분기(535)에 의하여 복수의 유출구(536)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하나의 유입구(532)로부터 두 개의 유출구(536)로 분기된 경우의 연결구(534)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분기(535)는 하나의 유입구(532)로부터 2개 이상의 유출구(536)로 분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의 언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은 기압저하방지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기압저하방지부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시스템(600)은, 유입구(632)와 유출구(636)를 서로 연통시킨 채, 연결구(63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634) 내에 이물질에 의한 공기의 유입 저하를 방지하는 공기유입저하방지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저하방지부(640)는, 상기 연결구(634)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634)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은 조각의 콘크리트 또는 모래 등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분지어 서술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실시예 내에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실시예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공기유입저하방지부에 대한 구성은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고, 하지 않았으나, 어느 실시예에서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상으로는 기압저하방지부의 유출구 및 유입구의 형상이 원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출구 또는 유입구의 형상은 타원,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유출구 및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구 또한 상기 유출구 또는 유입구의 형상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 및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하는 연결 경로는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굴곡/절곡될 수도 있다.
1: 수위 조절 시스템
10: 수위조절부
20: 언체
30: 기압저하방지부
32: 유입구
34: 연결구
36: 유출구

Claims (9)

  1.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기립되거나 상기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하류측을 향하여 도복되어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판 형상의 패널을 구비하는 수위조절부; 및
    상기 수위조절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강폭을 규정하는 언체;를 포함하며,
    상기 언체는,
    상기 상류측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부에 의한 수위 조절의 한계를 초과하여 월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위조절부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상류측의 물을 하류측으로 방류시키는 경우,
    상기 월류 현상에 의한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에 의한 방류수의 상기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하류측으로의 유속에 의해,
    상기 하류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하류측 일면과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 사이에 제공되는 비유수공간의 기압 저하에 따른 상기 수위조절부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상기 비유수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압저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저하방지부는,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비유수공간으로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되되, 각 열에 배치된 유출구의 수 또는 각 행에 배치된 유출구의 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전체적인 배치 방향이 상기 월류수 또는 상기 방류수의 진행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류측을 향하여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통시킨 채, 상기 연결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 내에 이물질에 의한 공기의 유입 저하를 방지하는 공기유입저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수위 조절 시스템.
KR1020140182024A 2014-12-17 2014-12-17 수위 조절 시스템 KR101532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24A KR101532890B1 (ko) 2014-12-17 2014-12-17 수위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24A KR101532890B1 (ko) 2014-12-17 2014-12-17 수위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890B1 true KR101532890B1 (ko) 2015-07-09

Family

ID=5379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024A KR101532890B1 (ko) 2014-12-17 2014-12-17 수위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34Y1 (ko) * 1994-09-27 1997-04-16 여봉구 사이펀의 소음과 수격맥동 흡수장치
KR20060095923A (ko) * 2006-08-16 2006-09-05 (주)인텔리지오 댐 여수로의 매입관식 공기혼입장치
KR101435763B1 (ko) * 2014-02-20 2014-09-25 (주)천마기술단 폭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34Y1 (ko) * 1994-09-27 1997-04-16 여봉구 사이펀의 소음과 수격맥동 흡수장치
KR20060095923A (ko) * 2006-08-16 2006-09-05 (주)인텔리지오 댐 여수로의 매입관식 공기혼입장치
KR101435763B1 (ko) * 2014-02-20 2014-09-25 (주)천마기술단 폭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1896A (zh) 液体循环装置及液体喷出装置
JP201209152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供給機構及びインク供給方法
US9827777B2 (en) Liquid management system
KR101659474B1 (ko) 주조 설비, 압연 설비 또는 기타 스트립 처리 라인에서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2890B1 (ko) 수위 조절 시스템
KR101964064B1 (ko) 고무보
US11123845B2 (en) Vacuum tables
JP6236347B2 (ja) 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SE541197C2 (sv) Avluftningsanordning vid en reservoar för ett hydraulsystem
JP2003268749A (ja) 排水用シールピット
JP6347200B2 (ja) Rh真空脱ガス設備の上吹きランス装置
JP2016120613A (ja)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03236429A (ja) 周面浸漬型のグラビアコータ
KR102139139B1 (ko) 잉크젯 설비용 클러스터 헤드 모듈
JP7045154B2 (ja) 人工河川の改修方法
KR20220069130A (ko) 통기핀에 의한 진동 저감의 효과가 있는 고무보
JP4843330B2 (ja) 脱酸素装置
KR20120041011A (ko) 잉크 순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68563B1 (ko) 원 탱크 타입 잉크 순환 시스템
US20180043286A1 (en) Method for draining water from a tank
KR20210155140A (ko) 선박 공기윤활시스템의 공기공급시스템
FI120591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aperikoneen perälaatikon yhteydessä
JP5762210B2 (ja) 気体溶解装置および微細気泡生成装置
JP2018114736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の駆動方法
JP4299712B2 (ja) 脱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