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99B1 -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99B1
KR101532399B1 KR1020150019888A KR20150019888A KR101532399B1 KR 101532399 B1 KR101532399 B1 KR 101532399B1 KR 1020150019888 A KR1020150019888 A KR 1020150019888A KR 20150019888 A KR20150019888 A KR 20150019888A KR 101532399 B1 KR101532399 B1 KR 10153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pcb
contac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현
Original Assignee
김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현 filed Critical 김나현
Priority to KR102015001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본 발명은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SMD(Surface Mount Device) 장비 또는 SMD 라인을 통해 인쇄 회로기판 상에 장착(땜 접합 또는 융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고집적 핀 구조 형태(예컨데, 120Pin 이상)를 이루더라도 융착 면적 확대용 단턱면과 연장부를 갖는 하부 접촉핀의 접지니들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합시 냉땜 불량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Male 또는 Female 구조에 해당하는 상,하부 접촉핀은 통전을 위한 체결 조립시 탄성 구조의 컨텍터 또는 접속구로 하여금 통전 접속성(전기적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결국 목적된 장비에 PCB기판으로서 장착되어 사용시 고성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된 고품질의 커넥팅을 조장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 등에 의한 장비 다운(단락)을 방지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성이 만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Co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SMD(Surface Mount Device) 장비 또는 SMD 라인을 통해 인쇄 회로기판 상에 장착(땜 접합 또는 융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고집적 핀 구조 형태(예컨데, 120Pin 이상)를 이루더라도 융착 면적 확대용 단턱면과 연장부를 갖는 하부 접촉핀의 접지니들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합시 냉땜 불량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Male 또는 Female 구조에 해당하는 상,하부 접촉핀은 통전을 위한 체결 조립시 탄성 구조의 컨텍터 또는 접속구로 하여금 통전 접속성(전기적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결국 목적된 장비에 PCB기판으로서 장착되어 사용시 고성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된 고품질의 커넥팅을 조장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 등에 의한 장비 다운(단락)을 방지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성이 만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산업 분야에서는 각종 제품 및 부품의 소형화, 간략화, 고성능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인쇄 회로기판 상에 정밀하게 장착시키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전자 제품은 부품 선정, 인쇄 회로기판 설계, 인쇄 회로기판 제작 및 SMD(Surface Surface Mount Devices)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종래의 부품 선정은 전자 제품의 회로 설계 후 진행될 수 있으며, 전자 제품에 실제로 사용할 부품의 사양을 선정하는 과정이다.
또한, 종래의 인쇄 회로기판 설계는 설계된 회로를 전자 캐드 프로그램(CAD Program)을 이용한 피씨비 아트웍(Printed Circuit Board Artwork)을 통하여 기판에 옮기는 작업이다.
이때, 전자 제품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은 비아(Via), 삽입 홀(Thru-hole)을 통하여 연결된 여러 개의 레이어(Layer)로 설계된다.
이에, 인쇄회로기판 제작은 아트웍을 통하여 설계된 기판을 실제로 제작하는 과정이다.
이때, SMD 공정은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안착하여 솔더링하는 과정으로서, SMD 부품(Surface Mounting Devices Part)이 안착되어 리플로우 솔더링되고, 수삽 부품이 안착되어 웨이브 솔더링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웨이브 솔더링은 리플로우 솔더링 이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리플로우(reflow) 솔더링 중 수삽 부품의 랜드 표면에 기 도포된 플럭스(Flux)가 휘발되어 땜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더구나, 웨이브 솔더링은 거의 최종 공정이므로 전자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공정 최적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 각종 전자제품의 고기능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회로기판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회로기판 내,외부의 주요 기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용 커넥터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일 예로서 웨이퍼 검사장비, UMPC, 넷북, 기타 연성회로기판을 탑재한 제품 등에 적용되는 ZIF(Zero Insertion Force) 커넥터는 작은 공간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반면에 전기적 접속성과 기구적 결합성 측면의 곤란함이 있는 약점을 보인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ZIF 커넥터의 약점을 보완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행특허의 일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7호의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전기전자 부품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접지전극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복수의 신호단자가 형성된 전기부품;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기부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전극과 상기 신호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포저; 상기 전기부품을 가압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접촉되도록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기적 신호 경로를 최소화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좁은(협) 피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연결의 편이성을 높이고, 저비용으로 대응하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인터포저를 매개하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제품에 따라서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의 확보에 한계가 나타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특허의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89789호의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과 접속핀이 구비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신호를 전달하는 시그널 터미널과 접점을 형성하는 그라운드 터미널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일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되,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감싸도록 벤딩된 벤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의 하측은 탄성을 갖도록 1차 절곡되며, 끝단이 벤딩면을 갖도록 2차 절곡되게 형성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또 다른 선행기술은 하우징과 접속핀의 성형이 간단하여 자동화에 유리하고, 접지가 안정화되어 시그널 전송률을 증대하며, 기판에 대한 밀착 고정력을 증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는 하나, 리벳을 가압하여 마찰력으로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높은 고정력을 유지하기 곤란하여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적용성에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007817호(2011.01.05.등록)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089789호(2011.04.11.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SMD(Surface Mount Device) 장비 또는 SMD 라인을 통해 인쇄 회로기판 상에 장착(땜 접합 또는 융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고집적 핀 구조 형태(예컨데, 120Pin 이상)를 이루더라도 융착 면적 확대용 단턱면과 연장부를 갖는 하부 접촉핀의 접지니들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합시 냉땜 불량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Male 또는 Female 구조에 해당하는 상,하부 접촉핀은 통전을 위한 체결 조립시 탄성 구조의 컨텍터 또는 접속구로 하여금 통전 접속성(전기적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목적된 장비에 PCB기판으로서 장착되어 사용시 고성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된 고품질의 커넥팅을 조장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 등에 의한 장비 다운(단락)을 방지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성이 만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전기 접속용 컨텍터(110)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땜용 접지니들(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지니들(120)은 회로기판에 대한 융착율이 높게 형성되도록 융착 면적 확대를 위한 단턱면(131)을 갖는 연장부(130)가 구비되도록 하는 하부 접속핀(100)과; 상기 컨텍터(110)에 대응되면서 삽탈되도록 일측에 접속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21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커넥팅 니들(220)이 분기되어 목적하는 전자부품의 도전체와 전기적 통전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상부 접속핀(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외주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오목한 끼움홈(111)을 갖는 넥(Neck) 또는 절구 구조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상부 접속핀의 접속구(210)는 끼움홈(111)과 대응되도록 집게 형상의 접속핑거(211)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속핑거(211)의 단부에는 원형의 접속단(2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내주 측에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좌우 폭방향 신축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상부 접속핀의 접속핑거(211)는 집게 형상이 한 쪽은 '(' 형상이고, 다른 한 쪽은 ')'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 1조의 접속핑거(211)가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다른 실시예로서, 볼록한 구배면이 서로 대칭되면서 만곡점이 맞닿는 ')(' 형상의 복수의 탄성소켓(115)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탄성소켓(115)은 위 다른 실시예의 탄성소켓과 대응되도록 몸체로부터 연장된 연결점(116)으로부터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접속핀(200)의 접속구(210)는 일자형 나이프 엣지(217)로 형성되어 탄성소켓(115)의 접점(만곡점) 사이로 인입되어 전기적인 통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 회로기판 상에 장착(땜 접합 또는 융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고집적 핀 구조 형태(예컨데, 120Pin 이상)를 이루더라도 융착 면적 확대용 단턱면과 연장부를 갖는 하부 접촉핀의 접지니들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합시 냉땜 불량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Male 또는 Female 구조에 해당하는 상,하부 접촉핀은 통전을 위한 체결 조립시 탄성 구조의 컨텍터 또는 접속구로 하여금 통전 접속성(전기적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 이는 결국 목적된 장비에 PCB기판으로서 장착되어 사용시 고성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된 고품질의 커넥팅을 조장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 등에 의한 장비 다운(단락)을 방지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성이 만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측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컨텍터가 넥(Neck) 구조 형태로 형성되고, 접속구가 접속핑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로서, 컨텍터의 외측 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접속핑거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텍터가 탄성소켓 구조 형태로 형성되고, 접속구가 나이프 엣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접속핀(100)과 상부 접속핀(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하부 접속핀(100)은 상부 일측에 전기 접속용 컨텍터(110)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땜용 접지니들(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지니들(120)은 회로기판에 대한 융착율이 높게 형성되도록 융착 면적 확대를 위한 단턱면(131)을 갖는 연장부(130)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부 접속핀(200)은 컨텍터(110)에 대응되면서 삽탈되도록 일측에 접속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21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커넥팅 니들(220)이 분기되어 목적하는 전자부품의 도전체와 전기적 통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일 실시예로서,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외주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오목한 끼움홈(111)을 갖는 넥(Neck)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넥(Neck) 구조 형상의 끼움홈(111) 구조는 절구 형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에, 상부 접속핀의 접속구(210)는 끼움홈(111)과 대응되는 실시예로서, 손가락 엄지와 검지 역할을 하는 집게 형상의 접속핑거(211)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속핑거(211)의 단부에는 원형의 접속단(2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접속핀(100)이 하부 접속핀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집게 형상의 접속핑거(211)는 개구부(213)를 통해 넥(Neck) 구조 형상 컨텍터(110)의 일자형 단부를 향해 진입하게 되고, 이후 원형의 접속단(212)은 끼움홈(111)에 대응되면서 전기적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속핑거(211)는 탄성에 의해 좌우 폭방향으로 집게 형상이 신축되도록 하되, 탄성 지점은 몸판(214) 측에서부터 연장된 연결부(215)를 기준으로 신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접속단(212)을 사이에 둔 접속핑거(211)의 개구부(213)는 넥(Neck) 구조 컨텍터(110)의 일자형 단부 보다 좁은 간격을 갖도록 하면서 접속핑거(211)가 서로를 바라보는 측을 향해 탄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전 접촉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11)은 접속단(212)과 대응되는 원호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넥(Neck) 구조 형상의 컨텍터(110) 외측단은 각진 모서리 없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부(213)를 통해 진입하는 접속단(212)이 부드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다른 실시예로서,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내주 측에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좌우 폭방향 신축성이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접속핑거(211)는 서로를 향해 조여지도록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이고, 넥(Neck) 구조 형상 컨텍터(110)의 절개홈(112)은 서로 반대되는 외측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접속핑거(211)와 넥(Neck) 구조 형상의 컨텍터(110) 간에 삽탈은 용이하나 전기적 접촉 성능이 우수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부 접속핀의 접속핑거(211)는 선택적인 일 실시예로서, 집게 형상이 한 쪽은 '(' 형상이고, 다른 한 쪽은 ')' 형상과 같이 휘어져 2개 1조의 접속핑거(211)가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연결부(215)로부터 접속단(212)까지의 탄성 내구성이 배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위에서 상술한 넥(Neck) 구조 형상의 컨텍터와 다른 실시예로서, 볼록한 구배면이 서로 대칭되면서 만곡점이 맞닿는 ')(' 형상의 복수의 탄성소켓(115)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탄성소켓(115)은 몸체로부터 연장된 연결점(116)으로부터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접속핀(200)의 접속구(210)는 일자형 나이프 엣지(217)로 형성되어 탄성소켓(115)의 접점(만곡점) 사이로 인입되어 전기적인 통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접속핀(100)과 상부 접속핀(200)은 각각의 하부 프레임(300)과 상부 프레임(400)에 각각 조립되어 임의 설계된 핀 조립체(예컨데, 120Pin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300)의 바닥면에는 PCB보드에 조립되도록 고정축(310)이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전기적 통전을 위해 융착되는 하부 접속핀의 단턱면(131)은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320)보다 더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장부(130)와 함께 융착 면적이 확대되어 융착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300)과 상부 프레임(400)은 하부 접속핀(100)과 상부 접속핀(200)이 견고한 고정을 이루면서 상호 간 간섭없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관통홈(330,430)과 결합홈(340,44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하부 접속핀(100)과 상부 접속핀(200)은 하부 프레임(300)과 상부 프레임(400)의 관통홈(330,430)을 경유하면서 켄텍터와 접속구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340,440)에는 고정용 돌기(150,250)이 형성되어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밀해,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관통홈과 결합홈은 삽입되는 상하부 접속핀들의 갯수(예컨데, 120Pin)에 대응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등간격(피치간격)으로 연설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부 접속핀 110 ... 컨텍터
120 ... 접지니들 130 ... 연장부
200 ... 상부 접속핀 210 ... 접속구
220 ... 커넥팅 니들

Claims (5)

  1. 상부 일측에 전기 접속용 컨텍터(110)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땜용 접지니들(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지니들(120)은 회로기판에 대한 융착율이 높게 형성되도록 융착 면적 확대를 위한 단턱면(131)을 갖는 연장부(130)가 구비되도록 하는 하부 접속핀(100)과; 상기 컨텍터(110)에 대응되면서 삽탈되도록 일측에 접속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21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커넥팅 니들(220)이 분기되어 목적하는 전자부품의 도전체와 전기적 통전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상부 접속핀(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는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외주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오목한 끼움홈(111)을 갖는 넥(Neck) 또는 절구 구조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상부 접속핀의 접속구(210)는 끼움홈(111)과 대응되도록 집게 형상의 접속핑거(211)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접속핑거(211)의 단부에는 원형의 접속단(212)이 형성되며, 하부 접속핀의 컨텍터(110)의 외측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한 방향 중 선상 내주 측에는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좌우 폭방향 신축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접속핀의 접속핑거(211)는 집게 형상이 한 쪽은 '(' 형상이고, 다른 한 쪽은 ')'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 1조의 접속핑거(211)가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19888A 2015-02-10 2015-02-10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KR10153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888A KR101532399B1 (ko) 2015-02-10 2015-02-10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888A KR101532399B1 (ko) 2015-02-10 2015-02-10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399B1 true KR101532399B1 (ko) 2015-06-29

Family

ID=5352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888A KR101532399B1 (ko) 2015-02-10 2015-02-10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99Y1 (ko) * 1989-12-20 1992-05-30 한국몰렉스주식회사 기판연결용 코넥터
JPH10312868A (ja) * 1997-05-13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2000251983A (ja) * 1999-02-25 2000-09-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KR20050119926A (ko) * 2004-06-17 2005-12-22 최영대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99Y1 (ko) * 1989-12-20 1992-05-30 한국몰렉스주식회사 기판연결용 코넥터
JPH10312868A (ja) * 1997-05-13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2000251983A (ja) * 1999-02-25 2000-09-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KR20050119926A (ko) * 2004-06-17 2005-12-22 최영대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695289B1 (en) Connector
US9276342B2 (en) Connector
US20190305457A1 (en) 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JP63493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US20110217883A1 (en) Press-fit terminal
JP2011181200A (ja) 雌側回路基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ー
JP2006269169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20180175525A1 (en) Connector device
US20100323564A1 (en) Bifurcated Electrical Contact
US20180159255A1 (en) Connector having increased contact area for power transmission and related power supply
CN102204025B (zh) 印刷电路板用插接连接器
JP7144099B2 (ja) ハウジング一体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この製作方法
KR101532399B1 (ko) 땜 품질개선과 통전 접속성이 개선된 회로기판용 커넥터
JP2009129561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接続部の検査方法
KR20030041796A (ko) 핀-그리드-어레이 전기 커넥터
JP2010232155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4843807A (zh) 基板连接用连接器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KR101589056B1 (ko) 인쇄 회로기판용 커넥터
JP6610309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4358269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
KR101927335B1 (ko) 커넥터
JP4472721B2 (ja) 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を用いた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