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70B1 -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2370B1 KR101532370B1 KR1020140011706A KR20140011706A KR101532370B1 KR 101532370 B1 KR101532370 B1 KR 101532370B1 KR 1020140011706 A KR1020140011706 A KR 1020140011706A KR 20140011706 A KR20140011706 A KR 20140011706A KR 101532370 B1 KR101532370 B1 KR 101532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organic vapor
- machine tool
- exhaust pipe
- exhau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의 절삭 가공시 사용되는 절삭유의 기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증기를 강하고 빠르게 흡입하여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공작기계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 상기 부배기관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팬구동부; 및 상기 제1팬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의 절삭 가공시 사용되는 절삭유의 기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증기를 강하고 빠르게 흡입하여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절삭구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금속의 절단, 절삭, 보링, 드릴링, 나사절삭, 연삭 등 기타 방법을 통해서 금속 및 기타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드는 기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과 함께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공구와 피절삭물과의 마찰이 그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발생된 열은 가공하는 과정이나 가공 후에 공작물이나 공구 그리고 공작기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공작물 표면에 열로 의한 손상이 일어나고 가공면이 거칠어 지게 되는 것과 공구가 열에 의하여 그 강도가 약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공작기계가 절삭공정을 수행할 경우 절삭유를 절삭면에 공급하여 윤활의 역할과 동시에 절삭부의 온도를 낮추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대부분의 공작기계는 이러한 절삭유 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절삭유는 기름, 기름과 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공작기계는 작업중 발생하여 비산되는 칩과 절삭유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공작기계의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을 구비한 개폐가능한 도어를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의 절삭공정시, 절삭유가 절삭면에 공급되면 절삭공정시 발생된 열에 의해 절삭유가 연소되거나 기화되어 불연소 상태의 유독 가스를 포함하는 유기 증기가 발생하고 공작기계 내부가 유기증기로 채워져 시야가 가려지므로 투시창을 통해 가공 정도를 확인하기 어렵게 되고, 공작기계의 도어를 열 때 유기증기가 한꺼번에 작업자에게 배출되어 작업자가 유해 가스에 노출되는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절삭공정시 발생하는 유기 증기를, 강하고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기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절삭공정시 발생하는 유기 증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유기 증기를 외부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유기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공작기계의 절삭공정시 발생하는 유기 증기를, 한번의 배기동작을 통해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공작기계 수에 따라 외부 배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절삭공정이 수행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로서, 각 공작기계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 상기 부배기관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팬구동부; 및 상기 제1팬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절삭공정이 수행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로서, 각 공작기계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 상기 부배기관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팬구동부; 및 각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의 개방과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상기 제1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배기제어부;를 포함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각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치가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가스센서, 기압센서, 습도센서 및 연무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주배기관과 상기 제1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배기관을 통해 흐르는 유기 증기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기 증기의 유량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주배기관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주배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팬; 및 상기 제2팬을 구동시키는 제2팬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각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상기 제2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주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액화된 유기 증기를 토출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기계 내부의 유기 증기를 제거하여 작업 진행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기계 내부의 유기 증기를 제거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공작기계를 하나의 주배기관에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공작기계 내부의 유기 증기를 한 번에 빠르게 제거할 수 있어 공작기계별로 증기 제거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기계에 설치된다.
각 공작기계는, 측면을 덮는 덮게 형태로 개폐가능한 도어가 장착되며, 도어에는 공작기계의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 및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닫힐 경우 밀폐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절삭공정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절삭공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절삭공정을 수행할 때 절삭유를 절삭면에 공급하며 절삭유는 공구와 공작물의 마찰에 의한 열로 연소 되거나 기화되어 불연소 상태의 유독 가스, 수증기 및 기름 등을 포함하는 고온의 유기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한 유기 증기에 의해 공작기계의 내부가 뿌옇게 흐려져 투시창을 통해 공작물의 가공 정도를 확인하기 어렵고, 공작기계의 도어를 열었을 때 유기 증기가 작업자에게 한꺼번에 토출되므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유기 증기에 포함된 기름에 의해 작업장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1실시예는, 각 공작기계(1, 2, 3)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 21, 31)와, 배출구(11, 21, 31)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12, 22, 32)과, 부배기관(12, 22, 32)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13, 23, 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12, 22, 32)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4)과, 주배기관(4)에 연결되어 유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와, 배기부(5)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부(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공작기계(1, 2, 3)는 배출구(11, 21, 31)와, 개폐밸브(13, 23, 33)가 구비된 부배기관(12, 22, 32)이 설치되며, 각 공작기계(1, 2, 3)에 설치된 부배기관(12, 22, 32)의 일단이 공통으로 하나의 주배기관(4)에 연결될 수 있다.
각 공작기계(1, 2, 3)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1, 21, 31)는,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발생된 유기 증기를 부배기관(12, 22, 32)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부배기관(12, 22, 32)은 개폐밸브(13, 23, 33)를 구비하며, 배출구(11, 21, 31)를 통해 배출된 유기 증기를 주배기관(4)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개폐밸브(13, 23, 33)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작기계가 절삭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개폐밸브(13, 23, 33)가 자동인 경우에는, 스위치부(6)가 온되어 배기구(5)의 동작이 개시되면,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는 개방상태가 되고 동작하지 않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는 폐쇄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개폐밸브(13, 23, 33)가 수동인 경우에는, 스위치부(6)가 온되어 배기구(5)의 동작이 개시되면, 마찬가지로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를 개방상태로, 동작하지 않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는 폐쇄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동작중인 공작기계에 한해서 유기 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져 일정한 배출 강도로 배기구(5)가 동작할 경우 유기 증기의 배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기부(5)는, 주배기관(4)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팬(51)과, 제1팬(51)을 구동시키는 제1팬구동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팬(51)은 제1팬구동부(52)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흡기 또는 배기가 가능하도록 여러 개의 날개를 구비한 전기기구이며, 하나 또는 다수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팬구동부(52)는, 스위치부(6)가 온되면,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로 제1팬(51)을 구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공작기계 일측에 연결된 배출구 및 부배기관을 하나의 주배기관에 연결시킴으로써 다수의 공작기계 내부의 유기 증기를 한 번의 배기 동작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각 공작기계별로 증기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스위치부 대신에, 개폐밸브의 개폐 및 배기구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조절하는 배기제어부를 구비한 구성만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는, 각 공작기계(1, 2, 3)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 21, 31)와, 배출구(11, 21, 31)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12, 22, 32)과, 부배기관(12, 22, 32)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13, 23, 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12, 22, 32)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4)과, 주배기관(4)에 연결되어 유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와,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의 개방과 배기구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제어하는 배기제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3, 23, 33)는, 부배기관(12, 22, 32)에 설치되고, 자동 개폐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기제어부(7)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제어부(7)는, 각 공작기계(1, 2, 3)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제어부(7)는, 공작기계의 동작 여부를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 공급 여부, 공작기계에 설치된 절삭구의 구동 여부 등을 감지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기제어부(7)는,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배기구(5)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증기 배출 강도는 제1팬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즉, 배기제어부(7)는,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제1팬(51)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1팬(51)의 회전속도로 상기 제1팬(51)이 회전하도록 제1팬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팬의 회전속도가 1단계, 2단계, 3단계 등과 같이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배기제어부(7)는,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단계로 제1팬(51)이 회전하도록 제1팬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수가 증가할수록 유기 증기의 배출 강도가 세지도록 제어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은 수의 공작기계가 동작중이라도 빠른 유기 증기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유기 증기의 배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수에 비례하여 유기 증기의 배출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유기 증기를 강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3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의 개폐 및 배기구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조절하는 배기제어부의 구성만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공작기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공작기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3실시예는, 각 공작기계(1, 2, 3)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 21, 31)와, 배출구(11, 21, 31)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12, 22, 32)과, 부배기관(12, 22, 32)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13, 23, 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12, 22, 32)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4)과, 주배기관(4)에 연결되어 유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와, 공작기계의 동작 여부를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의 개방과 상기 배기구(5)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제어하는 배기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각 공작기계(1, 2, 3)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8)는, 가스센서, 기압센서, 습도센서 및 연무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센서는 유기 증기 내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기압센서는 유기 증기에 의한 공작기계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습도센서는 유기 증기에 의한 공작기계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연무센서는 공작기계의 절삭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연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팬의 회전속도는 기압, 유독가스량, 습도 및 연무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배기제어부(9)는 가스센서, 기압센서, 습도센서 및 연무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가스 농도, 기압 및 습도가 감지되거나 연무가 감지되면 해당 동작기계의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고, 해당 동작기계의 수에 따라 유기 증기의 배출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각종 센서부를 통해 공작기계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유기 증기의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공작기계 내부의 유기 증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6 및 7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주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를 더 구비하고,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여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흡입구의 공기 흡입 강도를 조절하는 배기제어부의 구성만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는, 각 공작기계(12, 22, 32)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 21, 31)와, 배출구(11, 21, 31)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12, 22, 32)과, 부배기관(12, 22, 32)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13, 23, 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12, 22, 32)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4)과, 주배기관(4)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와,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의 개방과 상기 배기구의 유기 증기 배출 강도를 제어하는 배기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배기구(5)가 연결된 주배기관(4)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주배기관(4)으로 공급하는 흡입구(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입구(100)는, 주배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팬(101)과, 제2팬(101)을 구동시키는 제2팬구동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팬(101)은, 제2팬구동부(102)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흡기 또는 배기가 가능하도록 여러 개의 날개를 구비한 전기기구이며, 하나 또는 다수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팬의 회전속도는 1단계, 2단계, 3단계 등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고, 단계적인 회전속도로 제2팬을 구동시키는 제2팬구동부(102)는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00)를 통해 배기구(5)의 반대측에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주배기관(4) 내 유기 증기의 유속을 높일 수 있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0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주배기관(4)으로 공급됨으로써 주배기관(4) 내 유기 증기가 냉각되어 액화될 수 있다. 이로써 유기 증기에 포함된 유해 가스 및 기름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배기관(4)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팬(10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액화된 유기 증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토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제어부(110)는, 각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제2팬(101)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2팬(101)이 회전하도록 제2팬구동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는, 주배기관(4)과 제1팬(51) 사이에 설치되어 주배기관을 통해 흐르는 유기 증기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기제어부(110)는, 유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기 증기의 유량 정도에 따라 제1팬(51)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회전속도로 제1팬(51)이 동작하도록 제1팬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증기 배출 장치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를 주배기관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유기 증기의 배출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 증기의 액화를 유도하여 유기 증기 내 포함된 유해가스 및 기름을 제거할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2, 3. 공작기계 11, 21, 31. 배출구
12, 22, 32. 부배기관 13, 23, 33. 개폐밸브
4. 주배기관 5. 배기구
51. 제1팬 52. 제1팬구동부
6. 스위치부 7, 9, 110. 배기제어부
8. 센서부 100. 흡입구
101. 제2팬 102. 제2팬구동부
120. 유량감지센서
12, 22, 32. 부배기관 13, 23, 33. 개폐밸브
4. 주배기관 5. 배기구
51. 제1팬 52. 제1팬구동부
6. 스위치부 7, 9, 110. 배기제어부
8. 센서부 100. 흡입구
101. 제2팬 102. 제2팬구동부
120. 유량감지센서
Claims (7)
- 삭제
- 삭제
- 절삭공정이 수행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로서,
각 공작기계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의 유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어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부배기관;
상기 부배기관에 설치되어 유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개폐밸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배기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팬구동부; 및
각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개폐밸브의 개방과 동작중인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상기 제1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배기제어부;를 포함하되,
각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치가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공작기계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스센서, 기압센서, 습도센서 및 연무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관과 상기 제1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배기관을 통해 흐르는 유기 증기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기 증기의 유량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관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주배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팬; 및
상기 제2팬을 구동시키는 제2팬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제어부는, 각 공작기계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하는 공작기계의 수에 따라 상기 제2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액화된 유기 증기를 토출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증기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706A KR101532370B1 (ko) | 2014-01-29 | 2014-01-29 |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706A KR101532370B1 (ko) | 2014-01-29 | 2014-01-29 |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2370B1 true KR101532370B1 (ko) | 2015-06-30 |
Family
ID=5352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1706A KR101532370B1 (ko) | 2014-01-29 | 2014-01-29 |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237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7324A (ko) * | 2007-11-07 | 2009-05-12 | 주식회사 포스코 | 석탄 가스 배출장치 |
KR101030679B1 (ko) * | 2010-05-19 | 2011-04-22 | 김학득 | 유해가스 배출 장치 |
KR20120120297A (ko) * | 2010-01-14 | 2012-11-01 |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 환기 가스 관리 시스템 및 공정 |
JP2014009933A (ja) * | 2012-07-03 | 2014-01-20 | Tokyo Gas Co Ltd | ガスメータ監視装置、換気制御システム、および、換気制御方法 |
-
2014
- 2014-01-29 KR KR1020140011706A patent/KR1015323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7324A (ko) * | 2007-11-07 | 2009-05-12 | 주식회사 포스코 | 석탄 가스 배출장치 |
KR20120120297A (ko) * | 2010-01-14 | 2012-11-01 |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 환기 가스 관리 시스템 및 공정 |
KR101030679B1 (ko) * | 2010-05-19 | 2011-04-22 | 김학득 | 유해가스 배출 장치 |
JP2014009933A (ja) * | 2012-07-03 | 2014-01-20 | Tokyo Gas Co Ltd | ガスメータ監視装置、換気制御システム、および、換気制御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0194B1 (ko) |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 |
JP6309939B2 (ja) | ワークが加工される空間を画定するエンクロージャを備える加工システム | |
JP4708966B2 (ja) | 切削装置 | |
KR100925383B1 (ko) | Oled용 글러브 박스 | |
US20080113599A1 (en) | Safety workbench with blower performance controllable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front pane | |
JP5510386B2 (ja) | ガスクロマトグラフ | |
WO2012060125A1 (ja) | ショット処理装置 | |
KR101532370B1 (ko) | 공작기계의 유기 증기 배출 장치 | |
TW201722537A (zh) | 集塵機的控制系統及控制方法 | |
US20230001538A1 (en) | Electric power tool having a rotating tool | |
EP1406748A1 (en) | Extraction apparatus | |
JP2005334771A (ja) | 清浄作業台 | |
JP4238861B2 (ja) | 遠心分離機を組み込んだ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バイオクリーンベンチ | |
JP4055150B2 (ja) | 廃棄物容器を備えた安全キャビネット | |
CN212122614U (zh) | 精密零件加工数控机床 | |
JP6689436B1 (ja) | 工作機械 | |
CN106738125A (zh) | 精密裁板锯收尘装置 | |
KR20220099226A (ko) | 공작기계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 |
KR101443319B1 (ko) | 산업설비 안전용 유해가스 원격 제어시스템 | |
JP2005279575A (ja) | クリーンベンチ | |
JP2986834B2 (ja) | 清浄作業台 | |
KR101666146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배출장치 | |
KR20100007185A (ko) | 흄 배기장치 | |
KR20160041334A (ko) | 골절기 및 골절기의 제습 살균 방법 | |
JP5778322B1 (ja) | アスファルト抽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