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61B1 -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61B1
KR101532361B1 KR1020130124350A KR20130124350A KR101532361B1 KR 101532361 B1 KR101532361 B1 KR 101532361B1 KR 1020130124350 A KR1020130124350 A KR 1020130124350A KR 20130124350 A KR20130124350 A KR 20130124350A KR 101532361 B1 KR101532361 B1 KR 10153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ase
usb
termi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792A (ko
Inventor
이창훈
황호훈
최욱현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3012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장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결합부가 타단에 형성되며 제1단자홀이 중단에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제1단자홀을 통해 돌출된 접지단자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용 삽입공이 형성된 노브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제2단자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단자홀을 통해 돌출된 입력단자와, 상기 기판과 상기 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입력단자를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USB ADAP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생산되는 차량에는 차량용 외부 전자기기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파워아울렛이 설치된다. 이러한 파워아울렛은, 장착 공간의 효율성 및 원가 절감을 위하여 시가라이터와 일체인 형태로 설치되거나, 전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시가라이터와 분리된 형태로 설치된다.
차량용 외부 전자기기 중 내비게이션과 블랙박스는 시가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용 케이블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반면, 휴대폰은 충전 케이블 외에 별도의 충전용 어댑터를 이용해야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4005(2009.04.29.)에는 차량용 멀티충전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차량용 멀티충전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충전장치가 내장된 케이스와, 충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거라이터 소켓에 삽입된 플러그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충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5핀 소켓과 24핀 소켓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차량용 멀티충전기는 5핀 소켓 및 24핀 소켓을 포함하는 구조이므로, 5핀 커넥터 또는 24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충전용 케이블을 이용할 경우에만 휴대폰의 충전이 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특히, 최근 생산되는 스마트폰은 유에스비 케이블을 통해 충전을 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술한 차량용 멀티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4005호(2009.04.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유에스비 소켓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우수한 호환성을 가진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는, 장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결합부가 타단에 형성되며 제1단자홀이 중단에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제1단자홀을 통해 돌출된 접지단자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용 삽입공이 형성된 노브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제2단자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단자홀을 통해 돌출된 입력단자와, 상기 기판과 상기 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입력단자를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일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의 반원통 형상인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인 제2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커버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와,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조립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홈과, 상기 조립돌기와 대응되는 조립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접촉되는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래칫(ratchet)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폴(pawl)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U자 형상의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U자 형상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하나의 선재로 벤딩된 일체형 구조이다.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를 감싸는 ∩자 형상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2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홀을 통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2부재는 외력 인가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며, 외력 제거시 변형 전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제2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부재의 변형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유에스비 커넥터의 사용으로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노브와 커버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체결수단이 생략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충분한 설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브와 커버가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를 손쉽게 분해할 수 있어 내장된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을 기판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삽입부재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삽입부재와 지지부재가 하나의 선재로 벤딩된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는바, 탄성수단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탄성수단의 취급시 고정부에 의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접지단자의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접지단자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지단자와 기판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접지단자에 부여되는 탄성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스토퍼의 위치 조정을 통해 어댑터와 소켓 사이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케이스의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노브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접지단자의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입력단자와 탄성수단의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중 탄성수단의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USB) 어댑터(1, 이하 ‘어댑터’라 함)는, 차량용 시거라이터 소켓(도 11의 3) 또는 파워아울렛 소켓(도 11의 3)에 장착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전단에 장착된 노브(200)와, 케이스(100)의 후단에 결합된 커버(3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400), 접지단자(500), 입력단자(600), 탄성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100)에 대해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케이스(1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110)은 상부로 볼록한 반원통 형상이고, 제2하우징(120)은 하부로 볼록한 반원통 형상이되, 전단 측(노브(20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의 반원통 형상이다.
상술한 형상의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 케이스(100)는 전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의 원통 형상이 된다. 즉, 케이스(100)의 전단은 중단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노브(200)와의 결합을 위한 장착부(112,122)의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100)의 후단은 중단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커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4,124)의 역할을 한다.
케이스(100)의 중단은 장착부(112,122)와 결합부(114,124)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이고, 중단 외주면에는 제1단자홀(도 5의 130)이 형성된다. 제1단자홀(130)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에 각각 형성된 제1단자홈(132)과 제2단자홈(134)으로 구성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시 제1단자홈(132)과 제2단자홈(134)에 의해 슬롯 형상을 이룬다.
제1하우징(110)의 전단 측 내부에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가이드바(142)가 형성되고, 제2하우징(120)의 전단 측 내부에는 가이드바(14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0)의 후단 측 내부에는 접지단자(500)의 변형(탄성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152)가 형성된다. 스토퍼(152)는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2부재(520) 사이에 위치되되 제2부재(52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도 3 참조).
어댑터(1)를 소켓(도 11의 3)에 장착할 경우 접촉돌기(530)가 소켓(3)의 접촉되며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즉, 어댑터(1)의 양측에서 인가된 외력(F1)은 접촉돌기(530)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제2부재(520)가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이때, 스토퍼(152)는 제2부재(520)의 내측에 위치되어 제2부재(520)의 휨량, 즉 제2부재(520)의 변형을 제한한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와 같이, 스토퍼(152)를 이용하여 제2부재(520)의 변형을 제한할 경우 제2부재(520)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부재(520)와 기판(400)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스토퍼(152)로 인하여 제2부재(520)에 부여된 탄성을 통해 어댑터(1)와 소켓(3)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스토퍼(152)의 위치에 따라 제2부재(520)에 부여되는 탄성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스토퍼(152)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 어댑터(1)와 소켓(3) 사이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스토퍼(152)에는 연장부(154)가 형성된다. 연장부(154)는 스토퍼(152)의 강성을 향상시켜 열에 의한 스토퍼(152)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연장부(154)는 스토퍼(152)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각각 형성되며 스토퍼(152)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장착부(112,122)와 결합부(114,124), 그리고 장착부(112,122)와 결합부(114,124)에 각각 설치되는 노브(200)와 커버(3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장착부(112,122)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전단에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제1장착부(112)와 제2장착부(122)로 구성되고,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장착부(112,12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돌기(162)가 형성된다. 또한, 제1장착부(112)의 중앙에는 장착부(112,122)의 길이방향(노브(20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조립돌기(164)가 형성되며, 제2장착부(122)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공(166)이 형성된다.
노브(200)는 장착부(112,122)를 감싸는 컵 형상이다. 노브(200)의 전면에는,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공(210)과,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프리즘(180)이 설치되는 안착공(220)이 형성된다. 또한, 노브(200)의 내주면 중 고정돌기(16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홈(230)이 형성되고, 조립돌기(16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조립홈(240)이 형성된다.
상술한 고정돌기(162)와 고정홈(230)은 노브(200)를 장착부(112,122)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노브(200)가 장착부(112,122)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장착부(112,122)에 결합된 노브(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립돌기(164)와 조립홈(240)은 노브(20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노브(20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과공(166)은 램프(도 2의 420)에서 발생된 빛이 노브(200)의 내주면에 반사되어 확산되게 함으로써 프리즘(도 2의 18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노브(200)의 전면은 헤어라인(hairline) 가공되고, 노브(200)의 외주면은 널링(knurling) 가공된다. 이처럼 노브(200)의 전면에 헤어라인 가공을 할 경우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고, 노브(200)의 외주면에 널링 가공을 할 경우 어댑터(1)를 소켓(도 11의 3)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114,124)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4)로 구성되고,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을 이룬다. 결합부(114,124)는 케이스(100)의 중단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후단면(접촉면) 중앙에서 돌출된다. 결합부(114,124)의 외주면에는 커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72)이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후단면에는 커버(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폴(pawl, 174)이 형성된다.
커버(300)는 결합부(114,124)를 감싸는 반구 형상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둘레에 플랜지(310)가 마련된 반구 형상이다. 커버(300)의 중앙에는 입력단자(도 2의 600)가 관통되는 제2단자홀(320)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부(114,124)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330)이 형성된다. 플랜지(310)의 일면(케이스(100)의 후단면과 접촉되는 일면)에는 래칫(ratchet, 340)이 형성된다. 래칫(340)은 다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며 플랜지(310)의 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래칫(340)은 폴(158)과 함께 커버(300)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래칫(340)의 톱니는 한쪽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커버(300)의 정방향(결합방향) 회전을 허용하지만 역방향(분리방향)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부(114,124)에 결합된 커버(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폴(158)을 형성할 경우 역방향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의 구성 중 케이스(100)와 커버(300)의 표면을 방식 처리할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식, 변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판(400)은 접지단자(500)와 입력단자(6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전자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체회로가 표면에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00)의 상면에는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410)가 설치되고, 기판(400)의 하면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420)가 설치된다. 또한, 기판(400)의 후단에는 탄성수단(70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430)이 형성된다.
접지단자(500)는 소켓(도 11의 3)을 통해 차량의 음극과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어댑터(1)를 소켓(3)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지단자(500)는,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410)를 감싸는 ∩자 형상의 제1부재(510)와, 제1부재(510)에서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부재(520)와, 제2부재(520)를 따라 연장되며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통 형상의 접촉돌기(530)를 포함한다. 접촉돌기(530)는 제1단자홀(130)을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어댑터(1)를 소켓(도 8의 3)에 장착했을 때 소켓(3)의 내벽에 접촉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부재(520)는 후단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V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제2부재(520)를 V자 형상으로 배치할 경우 제2부재(520)에 탄성이 부여되어, 외력(도 3의 F1) 인가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되 외력 제거시 변형 전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한 쌍의 제2부재(520) 사이의 각도(α)를 10~20°, 바람직하게는 16°로 제작할 경우 제2부재(520)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입력단자(600)는 소켓(도 11의 3)을 통해 차량의 양극과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단자(6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력단자(600)의 전단에는 플랜지(610)가 형성되어 커버(도 3의 300)의 제2단자홀(도 6의 320)을 통해 입력단자(6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입력단자(600)의 후단은 소켓(3)의 바닥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수단(700)은 기판(400)과 입력단자(6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입력단자(600)를 커버(300)의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탄성수단(700)은 입력단자(60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이 기판(400)을 통해 유에스비 커넥터(410)에 전달되도록 하고, 입력단자(600)가 소켓(3)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탄성수단(7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어댑터(도 2의 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코일스프링(710)과, 코일스프링(710)의 전단에 형성된 고정부(720)로 구성된다. 코일스프링(710)은 입력단자(600)를 탄성 지지하는 부분이고, 고정부(720)는 코일스프링(710)을 기판(도 2의 400)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고정부(720)는, 기판(400)의 설치공(도 2의 430)에 결합되는 U자 형상의 삽입부재(722)와, 삽입부재(72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판(400)과 접촉되어 지지하는 U자 형상의 지지부재(7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부재(722)는 일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수단(700)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재(722)와 지지부재(724)가 하나의 선재로 벤딩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탄성수단(700)의 취급시 다른 탄성수단과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제1하우징
120: 제2하우징 130: 제1단자홀
200: 노브 210: 삽입공
220: 안착공 230: 고정홈
240: 조립홈 300: 커버
400: 기판 410: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420: 램프 430: 설치공
500: 접지단자 510: 제1부재
520: 제2부재 530: 접촉돌기
600: 입력단자 700: 탄성수단

Claims (16)

  1. 차량용 시거라이터 소켓 또는 파워아울렛 소켓에 장착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 유에스비(USB) 어댑터에 있어서,
    일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의 반원통 형상인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대응되는 반원통 형상인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일단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원주방향으로 고정돌기가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조립돌기가 연장되며, 상기 장착부에 투과공이 형성되고, 제1단자홀이 중단에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램프가 일단에 설치되며,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가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를 감싸는 ∩자 형상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2부재와, 상기 소켓의 내벽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2부재를 따라 연장된 반원통(semicylinder) 형상이며 상기 제1단자홀을 통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제2부재가 외력 인가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외력 제거시 변형 전 상태로 복귀되는 접지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장착부를 감싸도록 장착된 컵 형상이고,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홈 및 상기 조립돌기와 대응되는 조립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용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면이 헤어라인(hairline) 가공되며, 외주면이 널링(knurling) 가공된 노브;
    상기 결합부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는 반구 형상이며, 제2단자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단자홀을 통해 돌출된 입력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U자 형상의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U자 형상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기판과 상기 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입력단자를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부재는 단부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부재 사이의 각도가 10~20°이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접촉되는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래칫(ratchet)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폴(pawl)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표면이 방식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124350A 2013-10-18 2013-10-18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KR10153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50A KR101532361B1 (ko) 2013-10-18 2013-10-18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50A KR101532361B1 (ko) 2013-10-18 2013-10-18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792A KR20150046792A (ko) 2015-05-04
KR101532361B1 true KR101532361B1 (ko) 2015-06-30

Family

ID=5338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350A KR101532361B1 (ko) 2013-10-18 2013-10-18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886B1 (ko) 2016-12-05 2018-01-11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Usb 단자 구비형 배터리
KR20230003677A (ko) * 2021-06-29 2023-01-06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819B1 (ko) * 2015-11-13 2017-10-19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CN106684619A (zh) * 2017-01-18 2017-05-17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关于车载的充电usb接口设备
KR102169202B1 (ko) * 2019-07-30 2020-10-23 와이넷(주) 접지 전용 플러그
KR102395078B1 (ko) 2020-05-25 2022-05-10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KR102395084B1 (ko) 2020-05-25 2022-05-10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KR102395380B1 (ko) 2020-05-25 2022-05-10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730A (ja) * 1998-02-06 1999-08-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源アダプタ及び直流交流変換装置
KR200277986Y1 (ko) * 2001-10-08 2002-06-14 권대웅 유에스비포트와 멀티잭을 내장한 멀티퍼포스 시가라이트인터페이스
CN202474298U (zh) * 2011-10-24 2012-10-03 唐扬模具股份有限公司 车用取电插座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730A (ja) * 1998-02-06 1999-08-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源アダプタ及び直流交流変換装置
KR200277986Y1 (ko) * 2001-10-08 2002-06-14 권대웅 유에스비포트와 멀티잭을 내장한 멀티퍼포스 시가라이트인터페이스
CN202474298U (zh) * 2011-10-24 2012-10-03 唐扬模具股份有限公司 车用取电插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886B1 (ko) 2016-12-05 2018-01-11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Usb 단자 구비형 배터리
KR20230003677A (ko) * 2021-06-29 2023-01-06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KR102610401B1 (ko) * 2021-06-29 2023-12-07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792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361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US10511123B2 (en) Industrial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US20160028169A1 (en) Electric Terminal Assembly
KR101786819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CN107154545B (zh) 具有低轮廓帽的圆形端子
US20120320546A1 (en) Single-Pull Multi-Function Device for Conveying Signal and/or Supplying Power
US8960973B1 (en) Splice enclosure for luminaires
US10511129B1 (en) Power connector
US6988907B2 (en) Sectional adapter of clamping holder for automobiles
JP2018063814A (ja) 電源接続システム
US10141701B2 (en) Lamp socket adapter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US9048566B2 (en)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strain relief
EP2953209B1 (en) Terminal attachment base, terminal, and audio apparatus
JP2020004630A (ja) 充電コネクタ
KR20180020366A (ko) 충전용 커넥터
KR101426256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KR101551488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어댑터
US20140016339A1 (en) Interior illuminating apparatus for vehicle
JP6037850B2 (ja) グロメット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CN109120042B (zh) 一种桌面无线充电器
TW201637301A (zh) 連接器
CN216624501U (zh) 连接器及电池包
KR102610401B1 (ko)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