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260B1 - Girder for temporary bridge - Google Patents

Girder for temporary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260B1
KR101532260B1 KR1020140056523A KR20140056523A KR101532260B1 KR 101532260 B1 KR101532260 B1 KR 101532260B1 KR 1020140056523 A KR1020140056523 A KR 1020140056523A KR 20140056523 A KR20140056523 A KR 20140056523A KR 101532260 B1 KR101532260 B1 KR 10153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oncrete
temporary bridge
hollow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태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4005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2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which is structurally safe and easily constructed by easily checking the horizontality of a girder installed between strut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comprises: a tendon arranged inside concrete while having a concrete part in which steel bars are arranged and a hollow part formed inside the concrete part; and a plurality of inclination sensors installed in the concrete part. The girder comprises: a plate part forming a bottom surface; side wall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art; and a finishing part finishing the plate part and the side wall parts and having mounting parts to which both ends of the tendon are coupled. The concrete part is deposited in an internal space comprising the plate part, the side wall parts, and the finishing part.

Description

가설교량용 거더 {GIRDER FOR TEMPORARY BRIDGE}{GIRDER FOR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거더의 수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시공이 수월한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which is structurally safe and easy to install becaus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girder will be.

콘크리트는 타설시기에 따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분류된다.Concretes are classified as on-site concrete and precast concrete depending on the time of casting.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라고도 한다)는 공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몰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말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을 완성하는 현장타설공법과 달리 기둥, 보, 벽체, 슬래브와 같은 구조부재들을 기후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천후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 아래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 조립하여 시공하는 공법이다.Precast concrete (also called 'PC') refers to concrete placed in molds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t a factory. Precast concrete is installed in a construction site, reinforced concrete is laid, concrete is laid Unlike the casting method that completes the building, the structural members such as pillars, beams, walls, and slabs are manufactured under strict quality control at factories equipped with all-weather facilitie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climate or seasons,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라고도 한다)란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긴장재를 긴장하는 시기에 따라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구분한다.Prestressed concrete (PSC) is a concrete that gives strength by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the stress in advance to artificially offset the stress caused by external force to a predetermined limit. The prestressed concrete It is divided into pretension method and post tension method depending on the time of tension.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SC 거더)는 일반적으로 긴장재(통상 PS강연선)에 미리 긴장력을 주어 긴장해 놓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한 후에 긴장재를 릴리즈 하면 긴장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의해 콘크리트 단면에 긴장력이 도입되는 방식이다.Prestress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girder) is generally constructed by applying tensile force to tensile material (usually PS strand) and then tensioning concrete. After curing, tensile material is released and the concrete It is a method in which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a cross section.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단면 내부에 걸쳐 쉬스(Sheath)관이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쉬스관에 PS긴장재를 삽입하고 거더의 양 단부에 정착하여 긴장시켜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이다.In the post tension method, a sheath tube is disposed over the inside of the concrete section,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a PS tensil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and the tension is introduced by being fix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이러한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부재를 받침으로 하여 긴장재를 인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쉽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PS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post-tensioning method can easily introduce the prestress in the field because the tension member is used as a support to tension the tension member, and it is advantageous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precast PS member.

긴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시공 방법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5401호에 구속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이 기재되었다.As a construction method for generating a tensile force,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strained concret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55401.

위 기술은 강재 거더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 힘을 인가하여, 강재 거더의 상부에는 인장응력을 발생시키고, 강재 거더의 하부에는 압축응력을 발생시키는 프리스트레스 힘 인가단계; 프리스트레스 힘을 인가한 강재 거더의 상부에 구속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구속 콘크리트 형성단계; 구속 콘크리트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단계; 슬래브 콘크리트의 양생 후 프리스트레스 힘을 제거하는 프리스트레스 힘 제거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거더의 상부는 인장력이 발생하여 거더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더는 콘크리트 무게에 의한 평행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하중을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 prestressing force applying step of applying a prestressing force to the steel girder to generate a tensile stress i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girder and a compressive stress in the lower part of the steel girder; A restrained concrete forming step of forming a restrained concrete on a steel girder having a prestressed force; A slab concrete casting step in which a mol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strained concrete and a slab concrete is laid; A prestressing force removing step of removing a prestressing force after curing of the slab concrete; . Therefore, when tensile force is gener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the girder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parallelism due to the weight of the concrete and to receive a firm load.

한편,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의 장점만을 취합한 거더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384호에 복합 긴장방식을 적용한 PSC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었다.On the other hand, a girder which merely merits the advantages of the pre-tension method and the post tension method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68384, which describes a PSC girder applying the composite tension metho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위 기술은 내부에 프리텐션 방식으로 1차 PC강선이 긴장된 PSC 거더와; PSC 거더의 외측 복부 또는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2차 PC강선 및 연속화 PC강선이 내장된 2차 긴장 및 연속화 긴장용 PC강선정착부와; 2차 긴장 및 연속화 긴장용 PC강선정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지관리용 쉬스로 구성된다.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includes a PSC girder in which a primary PC steel wire is tensioned in a pre-tensioned manner; A PC steel wire fix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abdomen or end of the PSC girder and equipped with a secondary PC steel wire and a sequential PC steel wire in a post tension manner; And a maintenance sheath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C steel wire fixing portion for secondary tension and continuous tension.

프리텐션 방식 또는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제작된 거더(PSC 거더)는 제작 현장에서 제작되고 운반 이송되어 현장에서 지주 사이에 설치된다. 설치된 거더의 상부에 다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공 방법에서 PSC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활하중에 의한 사용하중이 증가하는 데, 이에 따라 PSC 거더의 중심부는 하부로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e pre-tensioned or post-tensioned girder (PSC girder) is manufactured at the manufacturing site, transported and transpo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s in the field. Concrete is again pour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ed girder. However, in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 load applied by the live load increases due to the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which causes the center part of the PSC girder to be deflected downward.

이에, 무게 하중에 따라 하부로 처지는 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상부로 만곡된 형태로 PSC 거더를 제작하여 시공하는데, 이 경우에 PSC 거더 상부에 처짐 정도를 보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조절한다.Therefore,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by curving the upper part in advance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sagging according to the weight loa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poured concrete is adjusted while viewing the degree of sagging on the PSC girder.

또한,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제작된 PSC 거더의 경우에는 강선을 긴장시키는 정도에 따라 처짐 정도가 달라지므로, 처짐을 살펴보면서 강선의 인장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Also, in the case of PSC girder manufactured by the post tension method, the degree of defle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steel wire, so that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steel wire can be controlled by checking the deflection.

그런데, 이러한 시공 방법의 경우, PSC 거더의 휨 정도(수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여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re is no method for easily confirming the degree of bending (horizontal state) of the PSC girder,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construction while observing with the naked eye is the main.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5401호(2013. 05. 28.)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55401 (Feb.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384호(2013. 06. 26.)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68384 (Feb.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더의 휨 정도(수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the degree of bending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필요에 따라 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capable of confirming the degree of bending as required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위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가설교량용 거더는 그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는 콘크리트부와 콘크리트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로 포함하며, 콘크리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긴장재; 및 콘크리트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울기 센서; 를 포함하는 거더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 플레이트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측벽부; 및 플레이트부와 측벽부를 마감하며 긴장재의 양 단이 결합되는 정착부가 설치되는 마감부로 구성되며, 플레이트부, 측벽부 및 마감부로 형성된 내측 공간에 콘크리트부가 타설되어 배치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includes a concrete part in which a reinforcing steel is laid and a hollow part formed in an inner side of the concrete part, and a tens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concrete; And a plurality of inclina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concrete portion; A plate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And a finishing portion having a plate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 are coupled. The concrete portion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plate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finishing portion.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그 내부에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공간부에 설치되며, 기울기에 따라 모서리로 움직이는 이동체;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가 설치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광소자;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tilt sensor includes: a housing having therein a spac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rners; A moving body installed in the space and moving at an edge according to a tilt; A light emitting element provided at a selected one of the corner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provided at the other corner except the corner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installed; .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가설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은 플레이트부, 측벽부 및 마감부를 조립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조립단계; 조립된 외형의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는 배치단계; 배근된 철근의 내측에 중공체를 설치하는 중공체 설치단계; 조립된 외형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기울기센서를 수평맞춤하여 복수 개 설치하는 기울기센서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ls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an assembling step of assembling a plat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and a finishing portion to form an outer shape; A disposing step of disposing a reinforcing bar inside the assembled outer shape; A hollow body installation step for installing a hollow body on the inner side of the reinforced bar; A concrete pouring step for pouring concrete inside the assembled outer shape; And a tilt senso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tilt sensors horizontally on top of the laid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시공 방법은 지면을 따라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거더를 올려놓은 후, 올려진 거더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확인하면서 타설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거더의 양 단부와 중앙부를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타설할 수 있어 균형 잡힌 가설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irder for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an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after placing the girder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installed along the ground and check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uniformly and uniformly pour both ends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girder, thereby providing a balanced construction of a temporary bridge.

또한, 가설 교량이 완공된 후에도 필요에 따라 거더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가설교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can be confirmed as necessa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mporary brid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temporary brid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중앙부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지점부 종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의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의 기울어짐에 따라 이동체의 위치에 대응된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enter portion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 plan view side sectional view of a tilt sensor included in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is a view show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moving object in accordance with an inclination of a tilt sensor included in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거더의 수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시공이 수월한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which is structurally safe and easy to install,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10)는 콘크리트부(100), 긴장재(200),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마감부(500) 및 정착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girder 10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art 100, a tension member 200, a plate part 300, a side wall part 400, a finishing part 500 and a fixing part 600 do.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중앙부 종 단면도, 지점부 종 단면도 및 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s. 3 to 5 are a vertical sectional view,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transverse 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center portion of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크리트부(100)의 내부는 철근(110)이 배근되며, 그 중심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20)가 형성된다.Inside the concrete part 100, a reinforcing bar 110 is laid, and a hollow part 120 is formed at a center part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중공부(120)는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센터 중공부(121)와 센터 중공부(121)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사이드 중공부(122, 123)로 구성된다.The hollow portion 120 is composed of a center hollow portion 121 and side hollow portions 122 and 1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hollow portion 121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상기 중공부(120)는 양쪽 끝면이 막힌 파이프를 콘크리트부(100) 내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hollow portion 120 can be formed by installing a pipe with both end faces closed inside the concrete portion 100.

센터 중공부(121)와 사이드 중공부(122, 123) 사이는 콘크리트로 충진되는 격벽(도면 부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이 격벽에는 헌치(haunch)가 구성될 수 있다.Between the center hollow portion 121 and the side hollow portions 122, 123, barrier ribs (not shown) filled with concrete are formed. A haunch can be constructed on this partition wall.

여기서 헌치는 단면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 측면으로의 응력을 용이하게 전달하고, 거더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설계시 계산상으로 헌치 없이도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경우 헌치는 생략 가능하다.Here, the hunting is to disperse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cross-section, so that stresses on both sides can easily be transmitted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girder can be increased. At this time, the hunting can be omitted if the load can be tolerated without calculation in the design.

또한, 중공부(120)는 발포 스타이렌 수지(스티로폼(styrofoam)) 또는 발포 우레탄 수지 등의 충진재로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에 의해서 거더의 자체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기 않으면서 그 내부가 더욱 견고한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120 may be filled with a filler such as foamed styrene resin (styrofoam) or foamed urethane resin. This filling material can provide a more rigid girder inside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elf-loading of the girder.

센터 중공부(121)는 좌우 단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되며, 사이드 중공부(122, 123)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을 좁게 구성하여, 거더가 받는 휨모멘트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center hollow portion 121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side hollow portions 122 and 123 are configured to have a narrow cross sectional area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moment received by the girder can be suitably accommodated .

긴장재(200)는 콘크리트부(100)의 하부측 내부에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긴장에 따라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성 방식에 따라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 중 선택된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양 방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nsion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section 100 to improve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bending moment according to the tension. The tension member 200 may be formed of one selected from a pre- O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both schemes at the same time.

즉,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을 미리 수행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며,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에 긴장시키는 방식으로, 설계조건에 따라서 하나의 방식 또는 복합 방식을 통해 긴장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tension method is to pour concrete in a state where tension is performed in advance, and the post-ten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concrete is laid, cured and then tensioned. have.

다만, 포스트텐션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양생된 콘크리트 내부로 긴장재(200)를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해서 쉬스관(sheath-관, 210)이 콘크리트부(100)에 매설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ost tension method, a sheath pipe 21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100 in order to pass the tensile material 200 through the cured concre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는 콘크리트부(100)의 하부 및 측면을 보호하는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portion 300, a side wall portion 400 and a finishing portion 500 for protecting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portion 100.

플레이트부(300)는 콘크리트부(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측벽부(400)는 플레이트부의 양 측면에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입설되는 것이고, 마감부(500)는 플레이트부(300)와 측벽부(400)의 양 단부를 마감한다.The plate portion 30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portion 100 to form a bottom surface. The side wall portion 4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he both ends of the portion 300 and the side wall portion 400 are closed.

이때, 마감부(500)에는 긴장재의 양 단이 결합되는 정착부(60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unit 500 is provided with a fixing unit 600 to which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 are coupled.

이러한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측벽부(400)는 I 빔 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자형 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300, the side wall portion 400, and the finishing portion 5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the side wall portion 400 may be formed of an I beam or a T beam,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t; / RTI >

이에 더하여, 측벽부(400)의 측면을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측벽부(400)의 외측에는 리브(41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rib 41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400 to further strengthe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400.

이 리브(410)는 링크(40)와 결합되며, 링크(40)는 거더와 거더 사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ib 410 is engaged with the link 40, and the link 40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위의 구성에서 정착부(600)는 인력에 의해 긴장재(200)를 긴장시키는 것으로, 종래 실시되고 있는 정착부(600)와 동일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unit 600 tensions the tension member 200 by the force, and the same fixing member as that of the fixing unit 600 can be employed.

이에 따라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를 구성하는 것으로, 거더(10)의 겉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즉, 거더를 제작,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 파손 및 파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girder 10 can be protected by forming the plate portion 300, the side wall portion 400, and the finishing portion 500.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tect from scratches, breakage and rupture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ransporting and installing the girde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rigid girder.

상기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는 거더의 전체 길이 중 일정 길이씩 제조한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ate portion 300, the side wall portion 400, and the finishing portion 500 may be fastened with bolts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entire length of the girders is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length.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10)는 지주(20, 또는 교각)의 상부에 거더(10)의 양단이 걸치게 되며, 거더(10)와 지주(20) 사이에는 교좌(橋座, 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girder 10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girder 10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20 or a pier and a bridge 30 is provided between the girder 10 and the column 20. [ Can be installed.

또한, 이웃하는 거더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링크(40)가 리브(410)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각의 거더(10)에는 작업가가 이동하는 작업보도(50)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nk 40 for connecting neighboring girders to each other is coupled and connected to the ribs 410, and the outer girder 10 may be formed with a work footway 50 on which the worker moves.

이러한 거더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종래 문제점으로 부각된 거더(1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된다.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10 which has been raised a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such a girder.

즉, 수평 정도에 따라서 교량의 안전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평 확인은 교량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과정이다.
That is, since the safety condition of a bridg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horizontal, horizontal confirm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for constructing a bridge.

기울기 센서(700)는 본 발명에서 수평 확인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ilt sensor 700 is installed for horizontal recogn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value according to a tilting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700)는 이동체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의 평면측 단면도이이며, 도 8은 도 7에서 A-A'의 단면도이다.
7 is a plan side sectional view of a tilt sensor included in a girder for a suspended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l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는 하우징(710), 이동체(720), 발광소자(730) 및 수광소자(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ilt sensor installed on the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710, a moving body 720, a light emitting element 730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740.

하우징(710)은 그 내부에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는 공간부(7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711)에 기울기에 따라 모서리로 움직이는 이동체(720)가 설치된다. The housing 710 has a space portion 711 having a plurality of corners therein and a moving body 720 moving at an edge along the inclination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711.

위의 구성에서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의 모서리에 발광소자(730)가 설치되며, 발광소자가 설치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광소자(740)가 설치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730 is installed at one selected corner of the corner,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40 installed at the other corner except for the corner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installed.

발광소자(730)에서 발광되는 광원은 수광소자(740)로 입력되는데, 광원이 수광소자(740)에 입력되는 경로는 이동체(720)의 표면 반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Th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730 is inpu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40.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is inpu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40 is caused by the surface reflection of the moving body 720.

이때, 발광소자(730)와 마주보는 수광소자(742)는 이동체(720)의 표면 반사에 의해서도 광원이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710) 내부의 공간부(711)는 반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742 fac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730 may not receive a light source due to reflection of the surface of the moving body 720. The space 711 in the housing 710 may be a reflector have.

발광소자(730)에서 발광되는 광원은 적외선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광소자(740)는 적외선이 입력되는 경우에 포지티브(positive) 신호가 출력되고, 이동체(720)의 이동에 의해서 적외선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네거티브(negative)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서 그 반대의 출력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730 may be an infrared light source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40 outputs a positive signal when the infrared ray is input and transmits an infrared ray signal And a negative signal is outputted if it is not inputted. Of course, the opposite output may also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또한, 기울어짐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체(720)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공간부(711)의 저면(712)은 중심부 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이루거나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712 of the space portion 711 is formed to be depressed toward the center side or curved downward so that the moving body 7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without tilting.

이에 따라,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짐이 발생하더라도 기울기 센서(700)는 정상값을 출력한다.Accordingly, even when inclination occurs within an allowable range, the tilt sensor 700 outputs a steady valu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서 사용된 기울기 센서(7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기울기 센서의 초기 수평 설치를 위해서 이동체(720)의 상부는 투명 재질의 투명부(713)가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tilt sensor 700 used in the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portion 71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720 for initial horizontal installation of the tilt sensor have.

이러한 기울기 센서(700)의 구성에서 기울기 센서(700)에 인가되는 각각의 케이블(전원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은 도면에 미표시하였으며, 케이블은 콘크리트부(100)에 매설되어 거더(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cables (power cable and data cable) applied to the tilt sensor 70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ilt sensor 7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cabl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100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girder 10 Lt; / RTI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의 기울어짐에 따라 이동체의 위치에 대응된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moving object in accordance with an inclination of a tilt sensor included in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에서 도 9의 (a)는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이동체(720)가 공간부(711)의 중간에 위치된 상태이며, (b)는 x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좌측보다 우측이 낮은 상태), (c)는 -x축으로 기울어진 상태(우측보다 좌측이 낮은 상태), (d)는 y축으로 기울어진 상태(전방보다 후방이 낮은 상태), (e)는 -y축으로 기울어진 상태(후방보다 전방이 낮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9A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72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space 711 because no tilting occurs and FIG. 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720 is inclined in the x-axis direction (D) is tilted in the y-axis (the rear is lower than the front), (e) is -y And a tilted state (lower front than rear).

이에 각 상태에 따른 출력값을 표를 통해 설명한다.
The output values according to each stat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table.

아래의 표-1은 포지티브 방식으로 기울어짐 상태에 따른 출력되는 값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output values according to the tilting state in the positive manner.


도 7

7

제1 수광소자

The first light-

제2 수광소자

The second light-

제3 수광소자

The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기울어진 방향

Tilted direction

(a)

(a)

1

One

1

One

1

One

수평

level

(b)

(b)

1

One

1

One

0

0

x축

x axis

(c)

(c)

0

0

1

One

1

One

-x축

-x axis

(d)

(d)

1

One

0

0

1

One

y축

y axis

(e)

(e)

0

0

0

0

0

0

-y축

-y axis

즉, 기울어짐이 발생되면 이동체가 이동되어 발광소자(730) 또는 수광소자(74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광원이 출력되지 못하거나 출력된 광원을 입력받지 못하게 되어 수광소자들은 각각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된다.That is, when inclination occurs, the moving body is moved and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30 or the light receiving device 740, so that the light source is not outputted or the output light source is not received, .

이에 따라, 출력되는 값을 통하여 기울어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Thus, the tilted direc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output value.

이와 같이 구성된 기울기 센서(700)는 콘크리트부(100)에 복수 개 설치되어 설치된 각각의 기울기 센서(700)에서 출력되는 값을 통해 기울어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The tilt sensor 7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detect a tilted direction based on a value output from each tilt sensor 700 installed in a plurality of the concrete units 100.

즉, 설계 조건에 따라서 복수 개의 기울기 센서(700)는 거더(10)의 중심을 기준의 좌우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plurality of tilt sensors 700 may be configur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irder 10 as a reference.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기 센서(700)를 4개 구성한 경우, 좌측부터의 기울기 센서를 701, 702, 703 및 704로 도면 부호를 지정하고, 각각의 기울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을 확인하면 기울어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When four tilt sensors 700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the tilt sensors from the left side are designated by reference numerals 701, 702, 703, and 704, and when the values output from the respective tilt sensors are identified, Can be detected.

일 실시예로, 제1 기울기 센서(701)부터 제4 기울기 센서(704)에서 출력되는 값이 순차적으로, (0, 1, 1), (0, 1, 1), (1, 1, 0) 및 (1, 1, 0)이라면, 이는 거더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솟아있는 상태이다.In one embodiment, the values output from the first tilt sensor 701 to the fourth tilt sensor 704 are sequentially (0, 1, 1), (0, 1, 1) ) And (1, 1, 0), this means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is convexly raised.

반대로, 기울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이 순차적으로 (1, 1, 0), (1, 1, 0), (0, 1, 1) 및 (0, 1, 1)이라면, 이는 거더의 중심부가 하방으로 처진 함몰된 상태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s output from the tilt sensor are sequentially (1, 1, 0), (1, 1, 0), (0,1,1) and (0,1,1) As shown in FIG.

한편, 가설교량은 점진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이 (1, 1, 0) 또는 (0, 1, 1)로 동일하다면, 이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었음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hypothetical bridge can be construct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For example, if the value output from the tilt sensor is equal to (1, 1, 0) or (0, 1, 1), this means that the tilt sensor is tilted in eithe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에 사용된 기울기 센서는 좌우뿐만 아니라 전후 기울어짐도 검출할 수 있어 거더의 수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sensor used in the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not only the left and right but also the back and forth inclination, so tha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can be easily confirmed.

이에 더하여 각각의 기울기 센서(700)와 연결된 케이블(도면에 미표시)을 통해 필요시 기울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되는 값을 확인하여 가설교량이 시공이 완료된 이후 언제라도 거더의 기울어짐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tilt sensor through a cable (not shown in the figure) connected to each tilt sensor 700, and the output value can be confirmed, so that the tilt of the girder can be confirmed at any time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re is also an effect.

다음으로, 이와 같은 가설교량용 거더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process of manufacturing such a girder for a suspended bridg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의 제작 과정은 조립단계(S10), 배치단계(S20), 중공체 설치단계(S30), 콘크리트 타설단계(S40), 기울기센서 설치단계(S50) 및 양생단계(S60)를 포함한다.
FIG. 1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girder for a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embling step (S10), a placing step (S20) S30), a concrete pouring step S40, a tilt sensor installing step S50, and a curing step S60.

1. 조립단계(S10)1. Assembly step (S10)

조립단계(S10)는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를 조립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이다.The assembling step S10 is a step of assembling the plate part 300, the side wall part 400 and the finishing part 500 to form an outer shape.

즉,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부(100)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면서 거더의 겉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plate portion 300, the side wall portion 400, and the finishing portion 500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girder while acting as a form of the concrete portion 100 to be laid.

2. 배치단계(S20)2. Placement step (S20)

배치단계(S20)는 조립된 외형의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이다.The placing step S20 is a step of disposing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assembled outer shape.

이때, 설계 조건에 따라서 프리텐션 방식의 거더인 경우 긴장된 상태의 긴장재(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포스트텐션 방식인 경우 쉬스관이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tension type girder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tension member 200 can be installed in a tension state, and in the case of the post tension type, the sheath pipe can be disposed.

3. 중공체 설치단계(S30)3. Hollow body installation step (S30)

중공체 설치단계(S30)는 거더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중공체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실시예에 따라 중공체는 중공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발포 스타이렌 수지 또는 발포 우레탄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llow body installation step S30 is for forming a hollow portion inside the girder, and a hollow hollow body is installed in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llow body may be composed of foamed styrene resin or foamed urethane resi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llow portion.

여기서 철근의 배치와 중공체의 설치는 상호 연관되어 실시된다.Here, the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installation of the hollow body are mutually related.

예를 들어, 플레이트부(300)의 상부에 바닥층의 철근이 배치되면, 그 상부에 중공체가 안착되고, 중공체의 주변으로 다시 철근을 배치하는 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bottom reinforcing ba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300, a hollow body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300, and a reinforcing bar is disposed around the hollow body.

따라서 중공체의 설치는 철근이 배치되면서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hollow body can be performed while the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4. 콘크리트 타설단계(S40)4. Concrete pouring step (S40)

콘크리트 타설단계(S40)는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로 구성된 외형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The concrete pouring step S40 is a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outer shape composed of the plate portion 300, the side wall portion 400 and the finishing portion 500. [

5. 기울기센서 설치단계(S50)5. Tilt sensor installation step (S50)

기울기센서 설치단계(S50)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기울기 센서(700)를 수평맞춤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The tilt sensor installation step S50 is a step of horizontally aligning the tilt sensor 700 with the concrete placed.

이때,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700)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개수는 거더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ilt sensors 700 to be installed can be installed, and the number of tilt sensors 700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girder.

또한,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700)는 수평 맞춤하여 설치되어야 거더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수평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710)의 공간부(711)에 위치한 이동체(72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710)의 상부는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sensor 700 to be installed should be horizontally aligned so that the level of the girder can be detec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girder.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7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moving body 720 located in the space 711 of the housing 710 can be visually recognized.

6. 양생단계(S60)6. Curing step (S60)

양생단계(S60)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굳히는 단계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최적의 강도를 가지도록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공급하여 양생시킨다.The curing step (S60) is a step of hardening the poured concrete, and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by supplying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at the poured concrete has the optimum strength.

설계에 따라서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 기울기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기울기 센서가 설치되는 공간을 미리 확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확보된 위치에 기울기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design, a tilt sensor may be installed after the poured concrete has cured.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tilt sensor is secured in advance, the concrete can be cured and the tilt sensor can be installed at the secur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용 거더 및 그의 시공 방법은 지면을 따라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거더를 올려놓은 후, 올려진 거더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확인하면서 타설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거더의 양 단부와 중앙부를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타설할 수 있어 균형잡힌 가설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irder for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an confirm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after placing the girder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installed along the ground and check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uniformly and uniformly pour both ends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girder, thereby providing a balanced construction of a temporary bridge.

또한, 가설 교량이 완공된 후에도 필요에 따라 거더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가설교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irder can be confirmed as necessa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mporary brid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temporary bridge.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to 10 are mere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10 It is self-evident.

10: 거더 20: 지주
30: 교좌 40: 링크
50: 작업보도 100: 콘크리트부
110: 철근 120: 중공부
121: 센터 중공부 122, 123: 사이드 중공부
200: 긴장재 210: 쉬스관
300: 플레이트부 400: 측벽부
500: 마감부 600: 정착부
700, 701, 702, 703, 704: 기울기 센서
710: 하우징 711: 공간부
712: 저면 713: 투명부
730: 발광소자 740: 수광소자
741: 제1 수광소자 742: 제2 수광소자
743: 제3 수광소자
10: girder 20: holding
30: Professor 40: Link
50: Work pavement 100: Concrete part
110: reinforcing bar 120: hollow part
121: center hollow portion 122, 123: side hollow portion
200: Tension material 210: Sheath tube
300: plate portion 400: side wall portion
500: finish part 600: fixing part
700, 701, 702, 703, 704: tilt sensor
710: housing 711:
712: bottom surface 713: transparent part
730: light emitting element 740: light receiving element
741: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742: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743: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Claims (5)

그 내부에 철근(110)이 배근되는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콘크리트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긴장재(200); 및 콘크리트부(10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울기 센서(700); 를 포함하는 거더(10)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300);
상기 플레이트부(3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측벽부(400); 및
상기 플레이트부(300)와 측벽부(400)를 마감하며 상기 긴장재(200)의 양 단이 결합되는 정착부(600)가 설치되는 마감부(500); 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300), 측벽부(400) 및 마감부(500)로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콘크리트부(100)가 타설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120)는,
양쪽 끝면이 막힌 파이프를 상기 콘크리트부(100)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발포 스타이렌 수지 또는 발포 우레탄 수지로 내부가 충진되며 상기 거더(1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설치되는 센터 중공부(121)와, 각각 양쪽 끝면이 막힌 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발포 스타이렌 수지 또는 발포 우레탄 수지로 내부가 충진되며 상기 거더(10)의 양 사이드에 상기 센터 중공부(121)와 콘크리트로 충진되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중공부(122, 123)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중공부(121)는 좌우 단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중공부(122,123)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을 좁게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400)는,
T자형 빔으로 구성되며, 외측에는 거더(10)와 거더(1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링크(40)와 결합되는 리브(410)가 설치되고,
상기 기울기 센서(700)는,
그 내부에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는 공간부(711)가 형성된 하우징(710); 상기 공간부(711)에 설치되며, 기울기에 따라 상기 모서리로 움직이는 이동체(720); 상기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발광소자(730); 및 상기 발광소자(730)가 설치된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광소자(740);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711)에서 상기 이동체(720) 면접하여 움직이는 저면(712)은 그 중심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설교량용 거더.
And a hollow part 12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crete part 100, A tensile material 200 disposed inside the concrete part 100; And a plurality of tilt sensors (700) installed on the concrete part (100). A girder (10) comprising:
A plate portion 300 forming a bottom surface;
Side walls 4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art 300; And
A finishing part 500 having a fixing part 600 to which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 200 are connected by closing the plate part 300 and the side wall part 400; Lt; / RTI >
The concrete part 100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plate part 300, the side wall part 400 and the finishing part 500,
The hollow part (120)
A center hollow portion 121 which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concrete portion 100 and filled with foamed styrene resin or foamed urethane resin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10, And is filled with a foamed styrene resin or a foamed urethane resin, and the center hollow portion 121 and the partition wall filled with concret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irder 10, And the side hollow portions 122 and 123 are form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hollow portions 122 and 123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as the left and right side hollow portions 122 and 123, Sectional area is narrow,
The side wall part (400)
And a rib 410 coupled to a link 40 for connecting between the girder 10 and the girder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e tilt sensor (700)
A housing 710 in which a space portion 711 having a plurality of corners is formed; A movable body 720 installed in the space 711 and moving at the corn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 light emitting element 730 installed at a selected one of the corner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740 installed at the corners other than the corner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730 is installed. And a bottom surface (712) that moves in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720) in a space (711)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6523A 2014-05-12 2014-05-12 Girder for temporary bridge KR101532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23A KR101532260B1 (en) 2014-05-12 2014-05-12 Girder for temporary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23A KR101532260B1 (en) 2014-05-12 2014-05-12 Girder for temporary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260B1 true KR101532260B1 (en) 2015-06-29

Family

ID=5351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23A KR101532260B1 (en) 2014-05-12 2014-05-12 Girder for temporary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26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6844A (en) * 2008-10-01 2010-04-15 Rohm Co Ltd Tilt sensor
KR20120140386A (en) * 2011-06-21 2012-12-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mposite girder using inner mold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with
KR101242564B1 (en) * 2012-10-23 2013-03-19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System of safety diagnostic with telescope-camera for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6844A (en) * 2008-10-01 2010-04-15 Rohm Co Ltd Tilt sensor
KR20120140386A (en) * 2011-06-21 2012-12-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mposite girder using inner mold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with
KR101242564B1 (en) * 2012-10-23 2013-03-19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System of safety diagnostic with telescope-camera fo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579B1 (en)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using pipe rack or beam colum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012402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KR101973240B1 (en) Construction methods inducing compressive stress in slab of negative moment area for type of rahmen bridge using precast girder
KR101585594B1 (en) Dual-prestressing composite bea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053087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incrementally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a fiber bragg grating optical stress measuring sensor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32260B1 (en) Girder for temporary bridge
KR101615407B1 (en) Prestressed slab element
KR20190010357A (en) Precast PSC beam girder that can be made long-term by step construction
KR101807234B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 slab of a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the same
KR20170043687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 slab of a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the same
KR101344822B1 (en) Precast concrete unit beam
KR20110019623A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1578637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Continuous Composi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reof
KR101785722B1 (en) Insulation Integrated Deck Plate
KR10173430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fficien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s using such Composite Girder, and Continuous Bridges constructed by such Method
KR101954387B1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10442B1 (en) Framework for Prestressed concrete girder
KR100506573B1 (en)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58862B1 (en) Continuous concrete girder and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90022139A (en) Pretension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32085B1 (en)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KR200291793Y1 (en) Pssc complex girder
KR101057409B1 (en) Hollow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