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85B1 -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 Google Patents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2085B1 KR101432085B1 KR1020140046655A KR20140046655A KR101432085B1 KR 101432085 B1 KR101432085 B1 KR 101432085B1 KR 1020140046655 A KR1020140046655 A KR 1020140046655A KR 20140046655 A KR20140046655 A KR 20140046655A KR 101432085 B1 KR101432085 B1 KR 101432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gid
- support
- fixed
- horizontal beam
- steel beam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7 prefabr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436 steel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복수 개의 강형이 병렬 거치되도록 한 후 굽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강형의 하부에 케이싱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강형에 대해 동시에 프리플렉션 재하가 가능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efraction loader and a method of loading multiple reflections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efraction loader having a plurality of rigid supports mounted in parall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prefabricat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preflighting for a plurality of rigid objects, and a method for loading multiple prefabricated objects using the same.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교각 사이에 배치되는 강형의 하부에 케이싱콘크리트가 타설된 합성빔은 강형의 강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하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Composite beam with casing concret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placed between the piers of the bridge or overpass is used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steel,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교량을 지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교각의 경우,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상, 교각 수를 줄이기 위해 길이가 긴 강형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강형의 길이가 길수록 교량 상부의 하중으로 인해 굽힘 변형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강형의 상부의 상판슬라브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case of piers installed to support bridge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by using long steel typ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iers. However, as the length of the bridges increases, So that cracks may be generated in the slab of the upper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late.
상기 케이싱콘크리트를 통해 강형의 굽힘 변형을 일부 억제할 수는 있으나,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 비해 인장응력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에 균열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Although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rigid bending can be partially suppressed through the casing concrete, the concrete is vulnerable to tensile stress compared with the compressive stress,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ing concrete can easily crack.
케이싱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프리플렉션 공법이 이용되게 되며, 도 1은 상기 프리플렉션 공법의 원리를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플렉션 공법은 먼저 강형(1)을 상부로 만곡되도록 제작한 다음, 강형(1)의 상부에 하중(P)을 가해 굽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강형(1)의 하부에 케이싱콘크리트(2)를 양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다음 상기 하중(P)을 제거하면 강형(1)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케이싱콘크리트(2)에 압축응력(σ)이 상존하는 상태가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casing concrete from cracking, the pre-refracting method is generally used.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pre-refining method. 1, the preform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rigid mold 1 is first bent so as to be bent upward, and then a load P is appli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igid mold 1 to cause a bending deformation, And the casing concrete 2 is cured at the bottom of the casing concrete 2. When the load P is removed after curing of concrete is completed, a compressive stress (?) Remains in the casing concrete (2) through the restoring force of the rigid mold (1).
따라서, 상기 강형(1)이 교각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통행 등의 상부 하중이 가해지거나 사라지면서 굽힘 변형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싱콘크리트(2)의 내부에서는 압축응력(σ)이 일부 감소하게 되거나 인장응력의 발생이 미미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케이싱콘크리트(2)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bending deformat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due to the application of an upper load such as a vehicle running or the disappearance in the state where the rigid mold 1 is installed on the bridge pier, the compressive stress? And the generation of tensile stress is kept to be insignificant. Thus, cracking of the casing concrete 2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은 프리플렉션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재하장치는 거치대에 강형의 양단을 거치한 상태에서 유압장치를 통해 강형의 양단에 하중을 가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량체인 블럭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강형의 굽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A conventional load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above-mentioned float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both ends of a rigid body through a hydraulic device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a rigid body are mounted on a cradle, So that a rigid bending deformation is achieve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재하장치는 하나의 강형에 대해 개별적으로 프리플렉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공기간이 다소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리플렉션 작업이 각 강형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완성된 케이싱콘크리트 합성빔 상호간의 굽힘변형에 차이가 발생하는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강형이 상호 병렬 거치된 상태에서, 인접된 강형 사이에 나타나는 굽힘 변형의 차이로 인해 차량통행 등으로 발생되는 상부 하중에 대해 안정된 지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판슬라브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load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becomes somewhat longer because the preliminary work is separately performed for one rigid form. Also, since the pre-refining operation is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steel type, there may be a situation where a difference occurs in the bending deformation between the finished cas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upper load caused by vehicle traffic or the like due to the difference in bending deformation between adjacent steel types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teel shapes are mutually parallelly mounted. As a result, cracks And the like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강형을 상호 이웃하여 연속으로 거치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리플렉션 재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기간 단축 및 시공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동시에 수행되는 재하작업을 통해 이웃하여 연속 형성되는 강형의 굽힘 변형이 상호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판 슬라브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짐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period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steel bending deformation continuously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simultaneous loading operation is made equal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of the slab of the slab is stabilized and the maintenance cost is reduced And a method for loading multiple reflections us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은, 양단에 한 쌍의 강형이 각각 거치되는 고정수평빔 및 상기 강형의 단부를 고정하는 강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평빔의 일단이 상기 강형의 단부 일측을 거치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고정되는 내측 유동수직빔 및 상기 내측 유동수직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내측 유동수평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은 일단이 상기 강형의 단부 타측을 거치하며, 상기 내측 유동수직빔과 내측 유동수평빔의 좌우 양측에는 강형을 추가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외측 유동수직빔과 외측 유동수평빔이 더 구비되는 유동지지대; 상기 강형의 이음부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도방지 지지대; 상기 강형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강형의 상면에 안치되고, 상기 강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배열되는 장선지지대; 및 상기 강형과 장선지지대가 중첩되는 곳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적층되되, 하나의 장선지지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수로 적층되는 재하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bed apparatus and a pref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xed horizontal beam and a rigi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d of the rigid shape, A fixed support having one end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for receiving one end of the rigid end; An inner flow vertical beam fixed to the fixed support and an inner flow horizontal beam detachably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wherein one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rigid end, A fluid support having both an outer flow vertical beam and an outer flow horizontal beam to additionally receive rigiditi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and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And a pair of side support plates for supporting the rigid joints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support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id body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body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body; And a loading block stacked on at least one site where the rigid form and the long line support are overlapped, wherein one long line support is stacked in the same nu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는, 한 쌍의 상기 측면지지판 중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가능한 상기 측면지지판을 전후진시키는 지지판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하며, 재하블록은 박스형상의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배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층돌기 및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돌기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ti-collision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upport plate moving means for moving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support plates to move the movable side support plate back and forth, A lamin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back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a protrusion receiv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corresponding to the lamination protrusion, wherein the lamin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of an upper light- .
한편, 본 발명의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은, 프리플렉션 작업이 이루어질 부지를 평탄화한 다음 한 쌍의 고정지지대가 상기 부지에 안치되는 고정지지대 설치단계; 복수 개의 강형이 만곡부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로 고정수평빔과 유동수평빔에 병렬로 거치되는 강형 병렬거치단계; 측면지지판이 강형의 이음부 좌우 양측을 가압하고, 재하블록이 안치될 강형의 지점에 장선지지대가 안치되는 부속지지대 설치단계; 상기 강형과 장선지지대가 중첩되는 곳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재하블록이 선택적으로 적층되는 재하블록 적층단계; 및 상기 재하블록에 의해 굽힘 변형된 강형의 하부에 케이싱콘크리트를 형성한 다음 상기 재하블록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케이싱콘크리트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In the meantime, the multi-refraction loader and the multi-reflec- tion load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tep of installing a fixed support, in which a pair of fixed supports is laid on the site after flattening site for pre- A rigid parallel mounting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rigid bodies are mounted in parallel to the fixed horizontal beam and the flowing horizontal beam with the curved part facing upward; A step of mounting an auxiliary support which press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of the rigid side support plate and the joint support is placed at the point where the load block is to be placed; A load block stacking step in which at least one load block is selectively stacked where the rigid type and the long-line support are superimposed; And a casing concrete forming step of forming compressive stress in the casing concrete by forming a casing concrete at a lower part of the rigid bending-deformed by the load block and then removing the load block.
또한, 본 발명의 강형 병렬거치단계는, 고정지지대의 고정수평빔 양단에 한 쌍의 강형을 각각 거치하는 고정빔 거치단계; 내측 유동수평빔의 일단에 상기 강형의 외측단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을 내측 유동수직빔에 고정하는 내측유동빔 거치단계;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의 타단에 강형을 추가고 거치한 다음 상기 강형의 외측단을 외측 유동수평빔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유동수평빔을 외측 유동수직빔에 고정하는 외측유동빔 거치단계; 및 상기 고정수평빔과 유동수평빔의 상면에 강형고정수단이 고정되는 강형단부 고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rigid parallel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eam mounting step of mounting a pair of rigid supports on both ends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of the fixed support; An inner flow beam mounting step of fixing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to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in a state where the outer end of the rigid type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An outer flow beam mounting step of fixing and fixing the outer flow horizontal beam to the outer flow vertical beam in a state in which a rigid portion is added to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and the outer end of the rigid is mounted on the outer flow horizontal beam; And a rigid end fixing step in which the rigid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and the flow horizontal beam.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강형을 상호 이웃하여 연속으로 거치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재하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 단축 및 시공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prefabricate work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teel shapes are mutually adjacently mounted continuously,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수행되는 재하작업을 통해 이웃하여 연속 형성되는 강형의 굽힘 변형이 상호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판 슬라브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짐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el bending deformation continuously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simultaneous loading operation, the support of the slab of the upper plate can be stabiliz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형이 거치되는 고정수평빔과 유동수직빔을 통해 복수 개의 강형을 거치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시공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liminarily refin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lurality of rigid shapes straddling the fixed horizontal beam and the flowing vertical beam,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형의 단부를 고정하는 강형고정수단 및 강형의 상면에 안치되는 장선지지대를 통해 강형의 굽힘 변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igid bending deformation is uniformly performed through the rigi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member and the longitudinal support bas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프리플렉션 공법의 원리를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고정지지대와 유동지지대에 복수 개의 강형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고정지지대와 유동지지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전도방지 지지대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재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refraction metho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refraction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igid supports are mounted on a fixed support and a floating support, among the multiple refraction loa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support and a fluid support in an apparatus for multiple re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nti-reflection support among the multiple refraction loa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 block of a multi-refraction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ulti-refraction loading method using a multi-refraction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고정지지대와 유동지지대에 복수 개의 강형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방으로 만곡된 강형(100)의 양단이 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10), 상기 고정지지대(10)와 함께 상기 강형(100)의 양단을 거치하는 유동지지대(20), 상기 강형(100)의 이음부(130) 양측을 지지하는 전도방지 지지대(30), 상기 강형(100)의 상부 플랜지(110)에 안치되는 복수 개의 장선지지대(40) 및 상기 장선지지대(40)의 상면에 적층되는 재하블록(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10)와 유동지지대(20)의 사이에 복수 개의 강형(100)이 병렬배치된 상태에서 프리플렉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refraction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rigid supports are mounted on a fixed support and a fluid support among multiple refraction loa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ed supports 10 to which both ends of an upwardly curved rigid 100 are fixed, a pair of fixed supports 10, A plurality of long support rods 40 positioned in the upper flange 110 of the rigid 100. The plurality of long support rods 40 are mounted on the upper flange 110 of the rigid body 100, And a load block 50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 line support 40. The plurality of rigid lines 100 ar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stationary support 10 and the floating support 20, And a ref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고정지지대와 유동지지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지대(10)는 강형(100)의 길이방향 양단을 유동지지대(20)의 유동수평빔(23)과 함께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하중의 강형(100)을 지지해야 하는 특성상, 예를 들면 I빔 또는 H빔의 철제강을 이용하여 지지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지반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 상기 바닥프레임(1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수직빔(13), 상기 고정수직빔(13)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수평빔(15) 및 상기 고정수평빔(15)의 상부에 배치되는 강형고정수단(17)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ed support and a floating support in the apparatus for multiple re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the fixed support 10 supports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rigid member 100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horizontal beam 23 of the flow support 20,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upporting strength by using iron steel of, for example, I beam or H beam,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bottom frame 11 installed on the ground, A fixed horizontal beam 1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vertical beam 13 and a rigid fixing means 17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
30m 내외의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강형(100)의 양단을 고정지지대(10)가 지지해야 하는 특성상, 상기 바닥프레임(11)의 경우 강형(100) 지지시 전복됨이 없도록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강형(100)과 재하블록(50)이 복수 개 거치되는 특성상, 강형(100)과 재하블록(50)의 하중으로 인한 지반 침하 등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부에 하중분산을 위한 보강빔(11a)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0 must support both ends of the relatively long rigid frame 100 having a length of about 30 m so that the bottom frame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so as not to be rolled when the rigid frame 100 is supported Respectively. Since the plurality of rigid blocks 100 and the load blocks 50 are mounted on the rigid block 100, problems such as subsidence due to the load of the rigid block 100 and the load block 50 may occur. A reinforcing beam 11a for dispersing the load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in.
강형(100)이 거치되는 경우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상기 고정수직빔(13) 및 상기 바닥프레임(11)과 유동지지대(20)의 유동수직빔(21)의 경계부위(E)에는 구조적으로 최대 굽힘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고정지지대의 경우 바닥프레임의 내측면과 고정수직빔의 측면 사이, 유동지지대의 경우 바닥프레임의 내측면과 유동수직빔의 측면 사이를 상호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보강경사빔(12)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rigid mold 100 is mounted, the boundary E between the bottom frame 11 and the fixed vertical beam 13 and between the bottom frame 11 and the flow vertical beam 21 of the flow support 20 is structurally The maximum bending load is applied to the bending portion, which may cause breakage. 2 to 4, in the case of the fixed support,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frame and the side of the fixed vertical beam, in the case of the flow support,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frame and the side of the flow vertical beam And a reinforcing tilting beam 12 capable of mutually inclining can be further provided.
상기 고정수직빔(13)은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외측단에 위치한 빔(11b)의 길이방향 중앙에 배치 고정되게 되며, 강도 및 강성 강화를 위해 복수 개로 상호 병렬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ed vertical beam 13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11b located at the outer end of the bottom frame 11 and can be dispos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to enhance strength and rigidity.
상기 고정수평빔(15)은 양단에 강형(100)의 상부 플랜지(1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좌우 균형된 거치를 위해 길이방향의 중심이 상기 고정수직빔(13)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ed horizontal beam 15 is a member for allowing the upper flange 110 of the rigid body 100 to b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As shown in Fig.
상기 강형고정수단(17)은 복수로 구비되는 강형(100)의 굽힘 변형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평빔(15)과 유동지지대(20)의 유동수평빔(23)에 거치되는 복수 개의 강형(100)을 동시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rigid fixing means 17 includes a plurality of rigid fixing members 17 fixed to the horizontal horizontal beams 23 of the fixed horizontal beams 15 and the flow supports 20 to uniformly bend the rigid members 100, (100) at the same time.
즉, 본 발명의 재하장치에 거치되는 복수 개의 강형(100)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굽힘 변형되기 위해서는, 강형(100)들이 상호 평행을 이루고 단부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술할 재하블록(50)의 적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적층작업중 균형 불일치, 바람 등의 원인으로 강형(100)의 일부가 어긋나게 배치되거나 원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강형들마다 굽힘 변형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강형고정수단(17)이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수평빔(15)과 유동수평빔(23)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재하블록의 적재 등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강형(100)의 이탈 등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order for the plurality of rigid members 100 to be bent and de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the rigid members 10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end portions of the rigid members 100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Should be stacked. At this time, part of the rigid member 100 may be displaced or re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unevenness in balance, wind, or the like during the laminating operation. As a result, a difference in bending deformation may occur between the rigid member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horizontal beam 23 through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the like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rigid member 100, .
유동지지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평빔(1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강형(100)의 단부 외측을 거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바닥프레임(11)에 고정되는 유동수직빔(21), 상기 유동수직빔(21)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동수평빔(23)으로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w support 20 is a member for mounting the outside of the end of the rigid body 100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21), and a flow horizontal beam (23) rotatably or removably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flow vertical beam (21).
상기 유동지지대(20)는 최소 2개 이상이 상기 고정지지대(10)의 좌우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프레임(11)에 고정되는데, 2개의 이상의 강형(100), 예를 들어 4개의 강형(100)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0)와 내측 유동지지대(21a, 23a)의 좌우 양측에 외측 유동지지대(21b, 23b)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4개의 강형을 거치할 때, 고정지지대의 좌우에 구비되는 유동지지대의 좌우에 다시 고정지지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지지대와 좌우에 구비되는 유동지지대의 좌우에는 상황에 따라 별도의 외측 유동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연속된 구성을 통해 교량 폭의 길이에 따라 가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luid support 20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11 in a state where at least two of the fluid supports 2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support 10. The fluid support 20 includes two or more rigid members 100, The outer fluid support rods 21b and 23b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upport rods 10 and the inner fluid support rods 21a and 23a. On the other hand, when four rigid molds are mounted, a fixed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luid support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xed support. The outer suppor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fixed support and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support. .
30m 내외의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상부로 만곡된 형태를 갖는 강형을 일시에 제작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10m 내외의 길이를 갖는 강형을 용접 등으로 연속하여 이어붙여 전체 길이를 갖는 강형이 제작되게 된다. 상기 전체 길이의 강형에 프리플렉션 재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좌굴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리플렉션 재하작업시 이음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방지 지지대(30)를 사용하도록 한다.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a steel mold having a shape curved at the upper part in a state of having a length of about 30 m at a time. Generally, a steel mold having a length of about 10 m is continuously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 When the pre-loading work is performed on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sheet, the joint may be twisted or buckle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anti-collision support (30) to prevent buckling that may occur in the joint during preloading work.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전도방지 지지대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도방지 지지대(30)는 재하작업 중 강형(100)의 이음부(130)가 뒤틀리거나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각 골격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도방지 바닥프레임(31), 상기 전도방지 바닥프레임(3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빔(32), 상기 측면지지빔(32)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빔(33), 상기 측면지지빔(32)의 내벽에 구비된 상태에서 강형(100)의 이음부(130)를 지지하는 측면지지판(35) 및 상기 측면지지판(35)을 전후진시키는 지지판 이동수단(37)으로 이루어진다.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nti-warpage support among multiple refraction loa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anti-collision supporter 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joint portion 130 of the rigid member 100 from being twisted or buckled during the work, A pair of side support beams 3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rn-off prevention floor frame 31, an upper support beam 33 provided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side support beams 32, A side support plate 35 for supporting the joint portion 130 of the rigid member 100 and a support plate moving means 37 for moving the side support plate 35 forward and backward while being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eam 32.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전도방지 지지대(30)가 강형(100)의 이음부(130)를 가압 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강형(100)이 비교적 길게 형성되거나 좌굴 또는 뒤틀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강형의 이음부(130) 이외의 부위에도 상기 전도방지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도방지 지지대는 강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부마다 가압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되, 좌굴 또는 뒤틀림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음부 이외의 부위에도 1개 이상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collision supporter 30 presses and supports the joint portion 130 of the rigid member 100.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rigid member 100 from being relatively long or buckling or distorting more effectively, So that the underside of the joint 130 can be installed. That is, each of the anti-colliding support rods is provided with a pressing support support for each joint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member so as to prevent buckling or warping more effectively. do.
상기 측면지지판(35)은 상기 이음부(130)의 상부 플랜지(110)를 지지하게 되는데, 일측은 상기 측면지지빔(32)에 일체로 고정되게 되고, 타측은 폭이 다른 이종의 강형(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The side support plate 35 supports the upper flange 110 of the joint 130. One side of the side support plate 35 is integrally fixed to the side support beam 32 and the other side is a different type of steel 100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ends.
즉, 상기 측면지지판(35)이 측면지지빔(32)에 슬라이드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 또는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 이동수단(37)을 통해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이음부(13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That is, the side support plate 3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moving means 37 made of a screw or a gear so a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joint 130 in a state where the side support plate 35 is slidably fixed to the side support beam 32 do.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중 재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장선지지대(40)는 본 발명의 재하장치에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강형(100)이 동일한 형상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재하블록(50)이 적재될 강형(100)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ing block of the multi-refraction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long beam support 40 is configured to bend and deform a plurality of rigid members 10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o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ame shape, in which the load block 50 is loaded So that it can be placed at the point of the rigid mold 100.
장선지지대(40)가 없는 상태에서 재하블록(50)이 강형(100)에 직접 안치되게 되면, 상기 재하블록(50)의 무게 오차 또는 작업 중 이동 등으로 인해 강형(100)의 굽힘 변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장선지지대(40)를 이용하게 되면 해당 재하블록(50)의 하중이 이웃 강형(100)들에 적층되는 재하블록들과 함께 복수로 구비된 강형(100)들에 일정 하중이 안정되게 가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형들의 굽힘 변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load block 50 is directly placed on the rigid body 100 in the state where the long rigid support rods 40 are absen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rigid rig 100 is not uniform due to a weight error of the load block 50, The load blocks 50 may be stacked on the neighboring slabs 100. When the load blocks 50 are stacked on the adjacent slabs 100,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rigidities can be uniformly performed.
2톤 내외의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인 재하블록(50)이 상면에 적층되는 특성상, 좌굴 변형 등의 방지를 위해 상기 장선지지대(40)의 단면은 'ㄷ' 자의 채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도가 강화되도록 한다. 또한, 중장비 등을 이용하여 재하블록(5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하블록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재하블록이 위치되는 장선지지대 주변에 나사 또는 클램프 등의 안내수단(미도시)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안내수단을 통해 재하블록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되게 안내된 상태에서 적층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deformation or the like due to the fact that the relatively heavy weight chain block 50 of about 2 tons or more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cross-section of the long cable supporter 40 is formed to have a channel shape of 'C' do. A guid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screw or a clamp is provided around the long supporting posts on which the loading blocks are positioned so that the loading blocks can be maintained in their original positions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loading blocks 50 using heavy equipment, The load block can be stacked in a state where the load block is stably gu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재하블록(50)은 강형(100)의 굽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량체로서, 굽힘 변형의 요구치에 따라 복수 개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인 박스형상의 블록본체(51), 상기 블록본체(51)의 배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층돌기(53) 및 상기 블록본체(5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돌기(5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수용홈(55)으로 이루어진다. The load block 50 is a weight body for allowing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rigid structure 100 to be made, and a plurality of blocks can be stacked according to a demand for bending deformation. The block block body 51, which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lamination protrusion 53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body 51 and a protrusion receiving recess 5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51 and corresponding to the lamination protrusion 53 .
상기 적층돌기(53)와 돌기수용홈(55)은 재하블록(50)의 적층시 안정된 적층을 위해 상호 암수 결합되는 부재로서, 특히 상기 적층돌기(53)의 형상은 하부에 위치한 재하블록(50')의 돌기수용홈(5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acking protrusions 53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recesses 55 are mutually male and male in order to stably stack the stacking blocks 50. The stacking protrusions 53 are shaped like a load block 50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groove 55 'of the projection-receiving portion 55'.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에 대해 상술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multi-refraction loading method using the multiple refraction load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이용한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방법은 지지대 설치(S10), 강형 병렬거치(S20), 부속지지대 설치(S30), 재하블록 적층(S40) 및 콘크리트 양생(S50)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ulti-refraction loading method using a multiple refraction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 method of loading multi-refl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a step S20, a step S30, a step S40, and a step S50, ) Process.
지지대 설치과정(S10)은 프리플렉션 재하작업 전의 준비과정으로서, 강형(100)의 길이가 차량이송이 불가능할 정도로 긴 경우 교량시공지 인근에서 케이싱콘크리트 합성빔 작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강형(100)이 좌우 대칭으로 굽힘 변형되기 위해 고정지지대(10)가 평탄화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먼저, 작업부지를 평탄화하고 한 쌍의 고정지지대(10) 및 상기 고정지지대의 좌우 양측에 유동지지대가 부지에 설치되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상기 유동지지대의 좌우 양측에는 또 다른 유동지지대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고정지지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step of installing the support (S10) is a preparation process before the prefabrication work. When the length of the rigid body 100 is long enough to transport the vehicle, the casing concrete composite beam work process can be performed near the bri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support 10 is positioned on the flattened plane so that the rigid member 100 is bent symmetrically.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ite is planarized and work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which a pair of fixed supports 10 and a floating support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support, respectively. Additional fluid support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fluid support, or a fixed support may be fixedly installed.
강형 병렬거치과정(S20)은 상기 고정지지대(10)와 유동지지대(20)에 복수 개의 강형(100)을 만곡부(140)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로 병렬배치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정지지대(10)의 고정수평빔(15) 양단에 한 쌍의 강형(100)을 각각 거치하는 고정빔 거치단계(S21), 내측 유동수평빔(23a)의 일단에 상기 강형(100)의 단부 반대측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23a)을 내측 유동수직빔(21a)에 고정하는 내측유동빔 거치단계(S22),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23a)의 타단에 강형(100')을 추가 거치한 다음 상기 강형(100')의 단부 반대측를 외측 유동수평빔(23b)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유동수평빔(23b)을 외측 유동수직빔(21b)에 고정하는 외측유동빔 거치단계(S23) 및 강형(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평빔(15)과 유동수평빔(23a, 23b)의 상부에 강형고정수단(17)이 고정되는 강형단부 고정단계(S24)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rigid parallel mounting process S20 is a proces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rigid members 100 in parallel on the fixed support 10 and the movable support 20 with the curved portions 140 facing upward. A fixed beam mounting step S21 for mounting a pair of rigid supports 100 at both ends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of the rigid frame 10 and a fixed beam mounting step S21 for fixing the opposite side of the end of the rigid frame 100 to one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An inner flow beam mounting step (S22) of fixing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to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21a) in a stationary state, adding a rigid (100 ')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An outer flow beam mounting step S23 for fixing the outer flow horizontal beam 23b to the outer flow vertical beam 21b while the opposite end of the rigid body 100 'is mounted on the outer flow horizontal beam 23b, Horizontal beams (15a, 15b) and the flow horizontal beams (23a, 23b)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teel (100) It will be written in the order of ganghyeong end setting step (S24) that the fixing means 17 is fixed.
상기 과정은 내측유동빔의 좌우 양측에 외측유동빔을 구비한 상태의 과정이나, 유동지지대의 좌우 양측에 또 다른 고정지지대가 구비되는 경우, 과정은 일부 변동될 수 있다. 즉, 고정지지대의 좌우 양측에 유동지지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지지대의 좌우에 또 다시 다른 고정지지대를 설치하게 되면, 고정지지대 및 다른 고정지지대에 강형을 설치한 후, 상기 유동지지대의 유동빔을 회동하여 강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cess may be a process in which the outer flow beam is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flow beam, or the process may be varied if another fixed support is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w support. That is, if another fixed support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uid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fluid support is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support, a rigid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fixed support and the other fixed support, So as to support the rigid shape.
부속지지대 설치과정(S30)은 강형(100)의 뒤틀림 또는 좌굴을 방지하고 강형들마다 굽힘변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강형(100)의 이음부(130)를 전도방지 지지대(30)가 포위한 상태에서 지지판 이동수단(37)을 통해 측면지지판(35)이 플랜지(110) 양단을 가압하도록 하고, 재하블록(50)이 안치될 강형(100)의 복수 개 지점에 장선지지대(4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tting step S30 is a process for preventing the warpage or buckling of the rigid member 100 and maintaining the same bending deformation for each rigid member, The side supporting plate 35 presses both ends of the flange 110 through the supporting plate moving means 37 in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block 30 is enclosed and the loading block 50 is fixe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teel mold 100, So that the support rods 40 can be disposed.
재하블록 적층과정(S40)은 복수의 강형(100)들에 대해 균일한 굽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요구되는 굽힘정도에 따라 상기 강형(100)과 장선지지대(40)가 중첩되는 곳에 재하블록(50)이 1개 또는 2개 이상 적층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The load block stacking process S40 is a process for uniformly bending deformation of a plurality of rigid members 100. The load block stacking process S40 is a process of stacking the rigid members 100 and the joint support rods 40 So that one or more loading blocks 50 are stacked.
콘크리트 양생과정(S50)은 하중이 재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합성빔을 완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재하블록(50)을 통해 강형(100)이 굽힘 변형된 상태에서 강형(100)의 하부에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인 케이싱콘크리트 형성을 위해 철근이 용접 고정되게 되고, 이후 거푸집(A)이 상기 철근 주위를 포위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A) 제거와 함께 적층된 재하블록(50)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양생 후 강형(100)의 굽힘 변형 복원과정시 케이싱콘크리트의 내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The concrete curing process S50 is a process for comple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 a state in which a load is loaded and in a state where the rigid mold 100 is bent and deformed through the load block 50, The reinforcing bars are welded and fixed in order to form a casing concrete which is a structure, and then a concrete pouring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ouring mold A surrounds the reinforcing bars. When the casing concrete is cured, The stacked load block 50 is removed so that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in the casing concrete during the bending deformation restoration process of the rigid mold 100 after cur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고정지지대
11: 바닥프레임 13: 고정수직빔
15: 고정수평빔 17: 강형고정수단
20: 유동지지대
21: 유동수직빔 23: 유동수평빔
30: 전도방지 지지대
31: 전도방지 바닥프레임 32: 측면지지빔
33: 상부지지빔 35: 측면지지판
37: 지지판 이동수단
40: 장선지지대
50: 재하블록 51: 블록본체
53: 적층돌기 55: 돌기수용홈10: Fixed support
11: bottom frame 13: fixed vertical beam
15: fixed horizontal beam 17: rigid fixing means
20:
21: flow vertical beam 23: flow horizontal beam
30: Anti-inversion support
31: undissolved floor frame 32: side support beam
33: upper support beam 35: side support plate
37: Support plate moving means
40: Joist line support
50: Loading block 51: Block body
53: laminated projection 55: projection receiving groove
Claims (5)
양단에 한 쌍의 강형(100)이 각각 거치되는 고정수평빔(15) 및 상기 강형(100)의 단부를 고정하는 강형고정수단(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평빔(15)의 일단이 상기 강형(100)의 단부 일측을 거치하는 고정지지대(10);
상기 고정지지대(10)에 고정되는 내측 유동수직빔(21a) 및 상기 내측 유동수직빔(21a)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내측 유동수평빔(2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23a)은 일단이 상기 강형(100)의 단부 타측을 거치하며, 상기 내측 유동수직빔(21a)과 내측 유동수평빔(23a)의 좌우 양측에는 강형(100)을 추가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외측 유동수직빔(21b)과 외측 유동수평빔(23b)이 더 구비되는 유동지지대(20);
상기 강형(100)의 이음부(130)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도방지 지지대(30);
상기 강형(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강형(100)의 상면에 안치되고, 상기 강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배열되는 장선지지대(40); 및
상기 강형(100)과 장선지지대(40)가 중첩되는 곳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적층되되, 하나의 장선지지대(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수로 적층되는 재하블록(5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A multiple preloa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prefabrication in a state in which a curved portion (140) is mounted on a rigid (100)
A fixed horizontal beam 15 on both ends of which a pair of rigid supports 100 are mounted and a rigid fixing means 17 for fixing the end of the rigid frame 100, A fixed support (10) having one end for receiving one end of the rigid body (100);
An inner flow vertical beam 21a fixed to the fixed support 10 and an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detachably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21a, 23a ar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end of the rigid mold 100 so that the flow vertical beam 21a and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 flow support 20 further comprising an outer flow horizontal beam 23b and an outer flow horizontal beam 23b;
(30) comprising a pair of side support plates (35) for supporting the joint part (130) of the rigid body (100)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elongated support rods (40)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id body (100)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body (100)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body (100); And
A loading block 50 stacked on at least one site where the rigid support 100 and the girder support 40 overlap, and one girder support 40 having the same number of layers stack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eflector plates.
상기 전도방지 지지대(30)는,
한 쌍의 상기 측면지지판(35) 중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가능한 상기 측면지지판(35)을 전후진시키는 지지판 이동수단(3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collision supporter (30)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moving means (37) for moving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support plates (35) and for moving the movable side support plate (35) back and forth.
상기 재하블록(50)은,
박스형상의 블록본체(51), 상기 블록본체(51)의 배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층돌기(53) 및 상기 블록본체(5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돌기(5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수용홈(5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돌기(53)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재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block (50)
A lamination projection 53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body 51 and a projection 5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51 and corresponding to the lamination projection 53 ,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s (53) are formed in a shape of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프리플렉션 작업이 이루어질 부지를 평탄화한 다음 한 쌍의 고정지지대(10)가 상기 부지에 안치되는 고정지지대 설치단계(S10);
복수 개의 강형(100)이 만곡부(140)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로 고정수평빔(15)과 유동수평빔(23)에 병렬로 거치되는 강형 병렬거치단계(S20);
측면지지판(35)이 강형(100)의 이음부(130) 좌우 양측을 가압하고, 재하블록(50)이 안치될 강형(100)의 지점에 장선지지대(40)가 안치되는 부속지지대 설치단계(S30);
상기 강형(100)과 장선지지대(40)가 중첩되는 곳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재하블록(50)이 선택적으로 적층되는 재하블록 적층단계(S40); 및
상기 재하블록(50)에 의해 굽힘 변형된 강형(100)의 하부에 케이싱콘크리트를 형성한 다음 상기 재하블록(50)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케이싱콘크리트 형성단계(S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이용한 프리플렉션 재하방법.
A method of prefabricated loading using multiple prefabricated loading devices,
(S10) of flattening the site where the preliminary work is to be performed and then a pair of fixed supports (10) are placed on the site;
A rigid parallel mounting step (S20) in which a plurality of rigid molds (100) are mounted in parallel on a fixed horizontal beam (15) and a flow horizontal beam (23) with the curved part (140) facing upward;
The side support plate 35 presses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130 of the rigid member 100 and the attachment block mounting step 40 in which the joint support 40 is placed at the point of the rigid 100 where the load block 50 is to be placed S30);
A loading block laminating step (S40) in which at least one loading block (50) is selectively stacked where the rigid die (100) overlaps with the joists support base (40); And
A casing concrete forming step (S50) for forming compressive stress in the casing concrete by forming a casing concrete under the rigid mold (100) bent and deformed by the load block (50) and then removing the load block (50) ;
Wherein the prefabricated material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aterials.
상기 강형 병렬거치단계(S20)는,
고정지지대(10)의 고정수평빔(15) 양단에 한 쌍의 강형(100)을 각각 거치하는 고정빔 거치단계(S21);
내측 유동수평빔(23a)의 일단에 상기 강형(100)의 외측단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23a)을 내측 유동수직빔(21a)에 고정하는 내측유동빔 거치단계(S22);
상기 내측 유동수평빔(23a)의 타단에 강형(100')을 추가하여 거치한 다음 상기 강형(100')의 외측단을 외측 유동수평빔(23b)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유동수평빔(23b)을 외측 유동수직빔(21b)에 고정하는 외측유동빔 거치단계(S23); 및
상기 고정수평빔(15)과 유동수평빔(23a, 23b)의 상면에 강형고정수단(17)이 고정되는 강형단부 고정단계(S2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리플렉션 재하장치를 이용한 프리플렉션 재하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igid parallel mounting step (S20)
A fixed beam mounting step (S21) for mounting a pair of rigid supports (100) on both ends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of the fixed support (10);
An inner flow beam mounting step (S22) of fixing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to the inner flow vertical beam (21a) while fixing the outer end of the rigid (100) to one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
A rigid body 100 'is add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flow horizontal beam 23a and the outer end of the rigid body 100' is mounted on the outer flow horizontal beam 23b. 23b) to the outer flow vertical beam (21b) (S23); And
A rigid end fixing step (S24) in which the rigid fixing means (17)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rizontal beam (15) and the flow horizontal beams (23a, 23b);
Wherein the prefabricated material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ateri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655A KR101432085B1 (en) | 2014-04-18 | 2014-04-18 |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655A KR101432085B1 (en) | 2014-04-18 | 2014-04-18 |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2085B1 true KR101432085B1 (en) | 2014-08-21 |
Family
ID=5175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6655A KR101432085B1 (en) | 2014-04-18 | 2014-04-18 |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208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480B1 (en) | 2020-09-22 | 2021-04-15 | (주) 대현이엔씨 | Pre-flex Girder Bea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993B1 (en) | 2013-04-24 | 2013-10-29 | 정해용 | Girder making method using rotation preventing appratus |
KR101383138B1 (en) | 2013-10-24 | 2014-04-09 | 박정환 | Uniformly loa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lex composite beam |
-
2014
- 2014-04-18 KR KR1020140046655A patent/KR1014320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993B1 (en) | 2013-04-24 | 2013-10-29 | 정해용 | Girder making method using rotation preventing appratus |
KR101383138B1 (en) | 2013-10-24 | 2014-04-09 | 박정환 | Uniformly loa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lex composite bea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480B1 (en) | 2020-09-22 | 2021-04-15 | (주) 대현이엔씨 | Pre-flex Girder B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779114B (en) | Integral superimposed sheet combination beam | |
JP2019526004A (en) | Precast concrete formwork, floo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432085B1 (en) | Pre-flex Multi-Loading Apparatus and Pre-flex Load Method Using Thereby | |
JP200905228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steel member and concrete member | |
KR10072006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ion beam for using arched plate | |
KR101228642B1 (en) | HolloW core slab having difference of level joint for enhanced unified body | |
JP5937898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box girder bridge | |
KR101682010B1 (en) | Girder type for assembling in-site having reinforced anti-buckling | |
KR101732671B1 (en) | Preflex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1541465B1 (en) | The long-span slab system | |
KR20160073710A (en) |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Box Girder, Bridge using such Composite Box Girders, and Continuous Structure of such Composite Box Girders | |
KR10152775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bridge | |
JP630850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tension slab in overhang construction | |
JP3830767B2 (en) | Continuous girder for bridge | |
JP5033645B2 (en) | How to build a synthetic slab | |
KR100761732B1 (en) | Continuing method for composite girder | |
CN209491947U (en) | A kind of telescopic restressed beam slab stretching bed seat | |
JP2014005685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ox girder bridge | |
JP6871808B2 (en) |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ing structure | |
JP6576204B2 (en) | Slab construction method | |
JP2006132276A (en) | Steel member preceding delivering erection method for composite pc bridge | |
KR20200075653A (en) | Camber Connection Supporter of bent pressed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140105914A (en) | Composite girder using cold formed channel as forms method of contructing the same | |
KR20190010357A (en) | Precast PSC beam girder that can be made long-term by step construction | |
KR20140036407A (en) | Light weight slab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