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669B1 -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69B1
KR101531669B1 KR1020140140698A KR20140140698A KR101531669B1 KR 101531669 B1 KR101531669 B1 KR 101531669B1 KR 1020140140698 A KR1020140140698 A KR 1020140140698A KR 20140140698 A KR20140140698 A KR 20140140698A KR 101531669 B1 KR101531669 B1 KR 10153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ood waste
water
storage tank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평만
Original Assignee
유평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평만 filed Critical 유평만
Priority to KR102014014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 상부에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는 뚜껑(11)이 형성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11)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교반장치(2)와; 상기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2)에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탈수장치(3)와; 상기 탈수장치(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슬러지 저장탱크(4)와;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갖고, 상기 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고형제 저장탱크로부터 주입되는 고형제와 섞어 형성된 고형물을 저장하기 위한 고형물 저장탱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잔반처리장치{Food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할 때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물과 함께 씻겨져 주방용 싱크대의 수거통에 일차적으로 수거된 후 자연배수에 의해 어느 정도의 탈수를 거쳐 폐기처리를 하게 되었다.
상기 과정으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폐기할 때 부피와 중량이 과중하였음은 물론 침출수를 발생시켜 심한 악취와 부패를 촉진시키는 등의 공중위생과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폐기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탈수한 상태로 버리도록 하는 관계당국의 관련법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가정이나 영업장 등에서는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탈수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하여 수거된 잔반을 별도의 용기에 넣어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수분을 배수시켜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후 쓰레기 봉투에 넣어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잔반의 부피를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 처리과정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잔반처리장치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잔반처리장치는 비교적 고가이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으 들뿐 아니라 설치장소의 제약으로 인하여 설치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37274호에 제안하고 있는 바,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의 중간 부분에서 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하도록 상기 교반축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교반축의 외주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에 연결된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엉키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교반축에 삽입된 상기 회전판에 각각 대칭으로 부착된 복수의 보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단순히 음식물을 교반하는 것으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37274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일측 상부에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는 뚜껑(11)이 형성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11)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교반장치(2)와; 상기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2)에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탈수장치(3)와; 상기 탈수장치(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슬러지 저장탱크(4)와;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갖고, 상기 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고형제 저장탱크로부터 주입되는 고형제와 섞어 형성된 고형물을 저장하기 위한 고형물 저장탱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상기 교반장치(2)는 상기 음식물, 물, 미생물을 분해하고, 교반하기 위한 반응조(21)와 상기 반응조(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조(21)로부터 분해되고, 교반된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조(22)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21)는 모터(23)를 갖고, 상기 모터(23)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24)를 가지며, 상기 교반회전축(24)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뚜껑(11)을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25)를 갖고, 상기 집수조(22)는 상기 반응조(21)로부터 분해되고, 교반된 침출수를 걸러내기 위한 메쉬망(26)을 갖고, 상기 침출수를 저장하기 위한 침출수 저장탱크(27)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상기 탈수장치(3)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결합되어 침출수를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드럼(33)과; 상기 드럼(33)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33)의 외주면과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장치(2)의 침출수 저장탱크(27)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가 투입되며, 상기 드럼(33)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흡착되는 다수개의 롤러(34)와; 상기 롤러(3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4)에 슬러지를 보내기 위한 슬러지 제거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상기 드럼(33)은 내측에 메쉬망(36)이 형성되고, 외측에 부직포(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상기 슬러지 제거구(35)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롤러(34)와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의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을 투입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침출수를 집수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집수된 침출수를 탈수시켜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제3단계(S300)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물을 각각 저장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각각 저장된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서 상기 제4단계(S400)는 저장된 물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섞어 고형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형물을 상기 제3단계(S300)로 보내 재탈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의하면,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교반장치의 집수조에 형성된 메쉬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탈수장치 및 슬러지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탈수장치의 드럼을 구성하는 메쉬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서 탈수장치의 슬러지 제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100)는 일측 상부에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는 뚜껑(11)이 형성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이 형성된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뚜껑(11)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교반장치(2)와,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교반장치(2)에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탈수장치(3)와, 탈수장치(3)의 일측에 설치되어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슬러지 저장탱크(4)와,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갖고, 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고형제 저장탱크로부터 주입되는 고형제와 섞어 형성된 고형물을 저장하기 위한 고형물 저장탱크(5)를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하우징(1)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상부에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도록 뚜껑(11)이 형성되고, 물을 투입하기 위한 공급관(12)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하측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이동수단인 바퀴(13)가 형성된다.
교반장치(2)는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의 뚜껑(11) 및 공급관(12)을 통해 투입된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침출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반응조(21)와 집수조(22)로 구성된다.
반응조(21)는 모터(23)를 갖고, 모터(23)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교반회전축(24)를 가지며, 교반회전축(24)에 돌출형성되어 하우징(1)의 뚜껑(11)을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25)를 갖는다.
집수조(22)는 반응조(21)로부터 분해되고, 교반된 침출수를 걸러내기 위한 메쉬망(26)을 갖고,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침출수 저장탱크(27)를 갖는다. 이때, 메쉬망(26)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교반장치(2)는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반응조(21)의 교반회전축(24), 교반날개(25) 및 집수조(22)는 하우징(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14, 15) 사이에 설치되고, 반응조(21)의 모터(23)는 일측 격벽(14)의 외부에 설치되고, 교반회전축(25)은 모터(23)와 연결되어 하우징(1)의 격벽(14, 15) 내측에서 회전하여 교반날개(25)가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하도록 한다. 이때, 하우징(1)의 타측 격벽(15)의 하부에는 침출수 저장탱크(27)에 집수된 침출수를 배출하여 후술하는 탈수장치(3)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교반장치(2)는 하우징(1)의 뚜껑(11)을 통해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고, 공급관(12)을 통해 물이 투입되면, 모터(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교반회전축(24)이 회전하게 되고, 교반회전축(24)의 회전에 의해 교반날개(25)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하게 된다. 이후, 교반날개(25)에 의해 분해되고, 교반된 음식물은 메쉬망(26)에 의해 걸러지고, 침출수는 메쉬망(26)을 통해 침출수 저장탱크(27)에 집수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100)에서 교반장치(2)는 미생물을 공급하여 교반날개(25)를 통해 음식물 잔반을 분해하고 교반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탈수장치(3)는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교반장치(2)에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침출수의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장치(2)의 침출수 저장탱크(27)에 짐수된 침출수는 펌프(17)의 작동으로 이송관(18)을 통해 공급되어 진다.
탈수장치(3)는 모터(31)와, 모터(3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과, 회전축(32)과 결합되어 침출수를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드럼(33)과, 드럼(33)의 상부에 설치되고, 드럼(33)의 외주면과 맞닿게 형성되어 교반장치(2)의 침출수 저장탱크(27)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가 투입되며, 드럼(33)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흡착되는 다수개의 롤러(34)와, 롤러(34)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슬러지 저장탱크(4)에 슬러지를 보내기 위한 슬러지 제거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34)의 개수를 3개로 구성하였지만, 드럼(33)의 크기에 따라 4개, 5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드럼(33)은 이중구조로 구성되되, 내측은 메쉬망(36)이 형성되고, 외측에 필터 역할을 하는 부직포(37)가 형성되어 진다. 이때, 메쉬망(36)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방향의 타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드럼(33)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은 침출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외측의 부직포(37)에 흡착되고, 물은 메쉬망(36)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드럼(33)의 외측에 형성된 부직포(37)에 흡착된 슬러지는 드럼(33)의 회전에 의해 상부에 설치된 롤러(34)에 재흡착되어 진다.
슬러지 제거구(35)는 롤러(34)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롤러(34)와 맞닿게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슬러지 제거구(35)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는 것은 드럼(33) 및 롤러(34)가 회전하기 때문에 드럼(33) 및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한번에 제거하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탈수장치(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반장치(2)의 침출수 저장탱크(27)에 집수된 침출수를 펌프(17)에 의해 이송관을 통해 공급받되, 탈수장치(3)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34)를 통해 공급된다. 침출수가 공급되면 모터(31)의 동작으로 회전축(32)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32)의 회전에 의해 드럼(33)이 회전하게 된다. 드럼(33)의 회전과 동시에 드럼(33)의 상부에 맞닿게 형성된 롤러(34)는 드럼(33)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침출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드럼(33) 및 롤러(34)에 흡착되고, 물은 드럼(33)의 부직포(37), 메쉬망(36)을 통해 후술하는 고형물 저장탱크(5)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드럼(33)에 흡착된 슬러지는 드럼(33)의 반복되는 회전에 의해 롤러(34)에 재흡착되고,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는 슬러지 제거구(35)에 의해 제거되어 슬러지 저장탱크(4)에 저장되어 진다.
고형물 저장탱크(5)에는 탈수장치(3)의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장치(3)에 의해 슬러지가 제거된 물이 집수된다. 그러나, 탈수장치(3)에서 슬러지를 제거하였다고는 하나 물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고형물을 생성하고, 순수한 물만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고형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물에 고형제를 투입 후 교반기(52)를 통해 섞어 주어 고형물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고형제는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된 탈수장치(3)의 주변에 설치된 고형제 저장탱크(6)에서 고형물 저장탱크(5)로 고형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고형물은 펌프(17)의 동작으로 이송관(18)을 통해 탈수장치(3)로 공급하게 되고, 탈수장치(3)에서 재탈수되어 순수한 물만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고형물 저장탱크(5) 및 고형제 저장탱크(6)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 설치되어 진다. 이는, 최초 탈수장치(3)를 통해 집수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고형제와 섞여 고형물로 생성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후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다른 고형물 저장탱크(5)에 집수하여 고형물로 생성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100)에 의하면,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교반장치(2)에서 1차적으로 음식물 잔반을 분해하고, 교반하고, 2차적으로 탈수장치(3)에서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슬러지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순수한 물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설명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을 투입하는 제1단계(S100)와,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침출수를 집수하는 제2단계(S200)와, 제2단계(S200)에서 집수된 침출수를 탈수시켜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는 제3단계(S300)와, 제3단계(S300)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물을 각각 저장하는 제4단계(S400)와, 제4단계(S400)에서 각각 저장된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단계는 음식물과 미생물이 투입되면 교반장치(2)에서 분해하여 교반하게 되는데, 교반장치(2)는 모터(2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교반회전축(24)이 회전하게 되고, 교반회전축(24)의 회전으로 교반날개(25)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하여 침출수를 집수하게 된다. 이때, 침출수를 제외한 음식물 잔반은 메쉬망(26)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탈수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탈수작업은 탈수장치(3)에서 탈수시키되 탈수장치(3)는 모터(3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회전축(32)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32)의 회전으로 드럼(33)이 회전하여 공급받은 침출수를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게 된다. 이때, 물은 드럼(33)의 부직포(37)와 메쉬망(36)을 통해 흘러보내지고, 슬러지는 드럼(33)에 흡착되어 드럼(33)과 맞닿게 형성되어 회전하는 롤러(34)에 재흡착되어 슬러지 제거구(35)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제4단계는 제3단계에서 탈수되어 분리된 물과 슬러지를 저장하는 단계로써,슬러지는 슬러지 저장탱크(4)에 저장되고, 물은 고형물 저장탱크(5)에 각각 저장되어 진다. 이때, 제4단계(S400)는 저장된 물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섞어 고형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형물을 제3단계(S300)로 보내 재탈수시키는 단계(S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물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고형제로 생성하는 것은 제3단계에서 탈수되어 분리된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섞어 고형물로 생성하여 제3단계로 보내 재탈수시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물을 배출하기 위함이다.
제5단계는 순수한 물은 고형물 저장탱크(5)에 형성된 배출구(51)를 통해 배출시키고, 슬러지는 별도로 배출하여 재활용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에 의하면, 음식물 잔반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해서 퇴비 또는 사료화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잔반이 발생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주방 환경 및 음식물 집하장이 위생적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성 복합미생물을 사용하여 부패에 따른 악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벌레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반처리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하우징 2 : 교반장치
3 : 탈수장치 4 : 슬러지 저장탱크
5 : 고형물 저장탱크 11 : 뚜껑
12 : 공급관 21 : 반응조
22 : 집수조 23 : 모터
24 : 교반회전축 25 : 교반날개
26 : 메쉬망 27 : 침출수 저장탱크
31 : 모터 32 : 회전축
33 : 드럼 34 : 롤러
35 : 슬러지 제거구 36 : 메쉬망
37 : 부직포 100 :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Claims (7)

  1. 일측 상부에 음식물 및 미생물이 투입되는 뚜껑(11)이 형성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11)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을 교반하고, 분해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집수하기 위한 교반장치(2)와, 상기 하우징(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2)에 집수된 침출수를 공급받아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탈수장치(3)와, 상기 탈수장치(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슬러지 저장탱크(4)와, 상기 탈수장치(3)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갖고, 상기 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고형제 저장탱크로부터 주입되는 고형제와 섞어 형성된 고형물을 저장하기 위한 고형물 저장탱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3)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결합되어 침출수를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기 위한 드럼(33)과;
    상기 드럼(33)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33)의 외주면과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장치(2)의 침출수 저장탱크(27)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가 투입되며, 상기 드럼(33)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흡착되는 다수개의 롤러(34)와;
    상기 롤러(3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4)에 슬러지를 보내기 위한 슬러지 제거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3)은 내측에 메쉬망(36)이 형성되고, 외측에 부직포(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구(35)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롤러(34)와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34)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40698A 2014-10-17 2014-10-17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KR10153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98A KR101531669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98A KR101531669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669B1 true KR101531669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98A KR101531669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2229A (zh) * 2020-11-02 2021-03-09 崔家华 一种具有吸风式调料回收结构的食品加工添料装置
KR102238426B1 (ko) * 2020-07-17 2021-04-09 서해석 음식물 쓰레기 발효 탈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274A (ko) *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
KR20100030276A (ko) * 2008-09-10 2010-03-18 (주)화인이테크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KR20120083562A (ko) * 2011-01-18 2012-07-26 강창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274A (ko) *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
KR20100030276A (ko) * 2008-09-10 2010-03-18 (주)화인이테크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KR20120083562A (ko) * 2011-01-18 2012-07-26 강창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26B1 (ko) * 2020-07-17 2021-04-09 서해석 음식물 쓰레기 발효 탈수 장치
CN112452229A (zh) * 2020-11-02 2021-03-09 崔家华 一种具有吸风式调料回收结构的食品加工添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1725A1 (en)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392806B2 (ja) プラスチック壁紙からのプラスチックと紙の分別回収システムおよび分別回収方法
JP2006272312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処理装置
KR101400158B1 (ko) 분해효율을 높인 음식물 처리기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481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531669B1 (ko) 음식물 잔반처리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83279B1 (ko)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100572301B1 (ko) 유/무기성 및 가연성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에서의 자숙기구조 및 그를 이용한 자숙 방법
KR201500172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330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20134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및 잔존하는 고형물 처리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KR20080037274A (ko)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463574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소멸장치
CN110374173A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处理器及其实现方法
JP2003154339A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6312167A (ja) 生ごみ処理機
KR10084410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212976271U (zh) 一种复合酶餐厨垃圾生物降解设备
JP3181492U (ja) 無機質系処理剤による食品残渣廃棄物の処理装置
KR20120074861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소멸 건조장치
JP2002336830A (ja) 有機廃棄物の水中分解処理機
JP2003211123A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