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205B1 -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 Google Patents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205B1
KR101531205B1 KR1020150006556A KR20150006556A KR101531205B1 KR 101531205 B1 KR101531205 B1 KR 101531205B1 KR 1020150006556 A KR1020150006556 A KR 1020150006556A KR 20150006556 A KR20150006556 A KR 20150006556A KR 101531205 B1 KR101531205 B1 KR 10153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using
horizontal
vertical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문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주)태건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건정공 filed Critical (주)태건정공
Priority to KR10201500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부와 벽면 영역에 대응하는 막힘부를 구비하는 평판 부재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막힘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고,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자세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측정 유니트는, 중공부를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윈도우로서 개구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 단일 부재인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의 설치 각도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세를 조절하는 가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GANG FORM HAVING CORRECTING FUNCTION FOR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본 발명은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에 상,하부가 동일한 다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상기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상기 케이지는,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건물의 형상을 결정하는 부분이므로, 그가 정확한 자세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거푸집, 나아가 갱폼의 자세를 파악하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갱폼의 자세가 정확한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갱폼의 자세가 정확한지를 파악함에 있어서 갱폼 외에 별도의 도구나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은, 창문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부와 벽면 영역에 대응하는 막힘부를 구비하는 평판 부재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막힘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고,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자세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측정 유니트는,
중공부를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윈도우로서 개구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 단일 부재인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의 설치 각도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세를 조절하는 가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의 상방에서 상기 윈도우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해 상기 몸체 중 절개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설치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 각각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에 의하면, 갱폼의 자세가 정확한지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갱폼의 자세가 정확한지를 파악함에 있어서 갱폼 외에 별도의 도구나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 의해, 갱폼 설치 작업 시간이 줄어들고, 작업 시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갱폼 설치 작업이 간단화되어, 그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100)을 거푸집(110)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100)을 케이지(170)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자세 측정 유니트(13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100)을 거푸집(110)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100)을 케이지(170)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100)은, 거푸집(110)과, 자세 측정 유니트(130)와, 케이지(150)를 가질 수 있다.
거푸집(110)은 건물의 벽면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거푸집(110)은 평판 부재와, 연결 부재(1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판 부재는, 막힘부(111)와, 개방부(113)를 가진다. 막힘부(111)는 개방되지 않아 건물의 벽면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된다. 이와 다릴, 개방부(113)는 건물의 창문 영역에 대응하여 개방된 부분이다.
연결 부재(115)는 양 단부가 각각 막힘부(111)에 결합되는 막대일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부재(115)는 개방부(113)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5)는 하나의 개방부(113)에 대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 측정 유니트(130)는 거푸집(110)의 자세를 측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자세 측정 유니트(130)는 거푸집(110)에 설치된다.
자세 측정 유니트(130)는, 측정계(131)와, 하우징(135)을 가질 수 있다.
측정계(131)는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거푸집(110)의 자세가 건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한지, 또는 수직한지에 관한 측정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135)은 측정계(131)를 내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135)은 측정계(131)를 낙하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낙하물은 거푸집(110) 뒷편으로 부어지는 콘크리트 등이 될 수 있다.
하우징(135)은 연결 부재(1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35)이 금속재라면, 하우징(135)은 한 쌍의 연결 부재(115) 각각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케이지(150)는, 안전난간(151), 작업 발판(153), 사다리(155), 및 도어(157)를 가질 수 있다.
안전난간(151)은 거푸집(110)에 결합되며, 케이지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이다. 안전난간(151)은 수직하게 세워진 기둥들과, 그 기둥들을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들을 가질 수 있다. 안전난간(151)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작업 발판(153)은 안전난간(15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작업 발판(153)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 발판(153)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몇 개의 층을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다리(155)는 도어(157)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사다리(155)는 작업 발판(15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도어(157)는 작업 발판(153)의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 간에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작업자의 통과 후에는, 도어(157)는 작업 발판(153)과 같은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거푸집(110)에 일체화된 측정계(131)를 확인하여, 거푸집(110)이 건물의 바닥면에 대해 적정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위 파악의 결과에 의해,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거푸집(110)의 자세를 조절하게 된다. 그 경우 역시, 작업자는 측정계(131)를 재차 확인하여, 거푸집(110)의 적정한 설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계(131)는 하우징(135)에 의해 보호되므로, 낙하물 등에 의해 손상될 염려 없이 오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세 측정 유니트(130)는, 앞서 기술된 측정계(131)와, 하우징(135)에 더하여, 설치대(141)와, 가변 부재(143)를 더 가질 수 있다.
측정계(131)는 수평계(132)와 수직계(133)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수평계(132)와 수직계(133)는 각각 야광 기능을 가져서,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그들을 쉽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135)은 몸체(136)와, 윈도우(139)를 가질 수 있다.
몸체(136)는 대체로 실린더 형인 파이프일 수 있다. 그에 의해, 몸체(136)는 그의 내부에 중공부(137)를 가진다. 이러한 중공부(137)에는 수평계(132)와 수직계(133)가 배치된다.
윈도우(139)는 몸체(136)에 설치되어, 수평계(132)와 수직계(133)가 중공부(137)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윈도우(139)는, 본 실시예에서, 몸체(136)의 일 부분이 개구된 형태이다. 이와 달리, 윈도우(139)는 광 투과성 재질의 커버로서, 몸체(136)의 일 부분(예를 들어, 개구부)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설치대(141)는 수평계(132)와 수직계(133)가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설치대(141)는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변 부재(143)는 하우징(135)에 설치되어 설치대(141)의 설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가변 부재(143)는, 예를 들어 설치대(1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나사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평계(132)와 수직계(133)는 설치대(141)에 결합된 채로 하우징(135)의 중공부(137)에 배치된다.
이때, 설치대(141)가 가변 부재(143)에 의해 각도 조절됨에 의해, 설치대(141)에 설치된 수평계(132)와 수직계(133)의 자세 또한 보다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자세 측정 유니트(13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자세 측정 유니트(130')는 앞선 실시예의 자세 측정 유니트(130)와 대체로 동일하나, 가림판(140')을 더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가림판(140')은 하우징(135')의 일부로서, 몸체(136)의 절개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몸체(136)의 절개된 부분은 최초의 파이프에서 윈도우(139)로서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부분이다.
그에 의해, 가림판(140')은 윈도우(139)의 상방에서 윈도우(139)의 전방 측을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림판(140')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확실하게, 낙하물이 측정계(131)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수평 수직 교정 기능을 갖는 갱폼 110: 거푸집
111: 막힘부 113: 개방부
115: 연결 부재 130,130': 자세 측정 유닛
131: 측정계 135,135': 하우징
140': 가림판 141: 설치대
143: 가변 부재 150: 케이지

Claims (10)

  1. 창문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부와 벽면 영역에 대응하는 막힘부를 구비하는 평판 부재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막힘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고,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자세 측정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측정 유니트는,
    중공부를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윈도우로서 개구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 단일 부재인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의 설치 각도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계와 수직계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세를 조절하는 가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의 상방에서 상기 윈도우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해 상기 몸체 중 절개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설치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 각각에 용접 결합되는,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KR1020150006556A 2015-01-14 2015-01-14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KR10153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556A KR101531205B1 (ko) 2015-01-14 2015-01-14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556A KR101531205B1 (ko) 2015-01-14 2015-01-14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205B1 true KR101531205B1 (ko) 2015-06-25

Family

ID=5351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556A KR101531205B1 (ko) 2015-01-14 2015-01-14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2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3Y1 (ko) * 2004-08-19 2004-12-17 허성환 거푸집 설치 가변 수평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3Y1 (ko) * 2004-08-19 2004-12-17 허성환 거푸집 설치 가변 수평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0284B1 (en) Climbing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US7886450B1 (en) Elevated laser beam positioning device
KR101531205B1 (ko)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CN114319884A (zh) 一种玻璃幕墙的施工方法
KR101263658B1 (ko) 시공정밀도 향상을 위한 레이져 촬영 이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직도 모니터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직도 관리방법
ES2253481T3 (es) Procedimiento y cerco de insercion para la instalacion de una puerta de caja de una instalacion de ascensor.
KR101234372B1 (ko)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직도 관리측량방법
JP2022071844A (ja) 吹付厚管理装置およびトンネル施工方法
RU2016129940A (ru) Элемент сборной опалубки, полученная опалубк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й плиты, включающей сквозной проход, ограниченный данной опалубкой
KR100796033B1 (ko) 레이즈클라이머를 이용한 수직위치 측량방법
WO2015169993A1 (es) Conjunto de dispositivos para la construcción de piscinas y procedimiento de construcción correspondiente
JP6937660B2 (ja) 水準測量用の標尺
JP2014048198A (ja) 切盛状況確認方法およびレーザー受光具
EP0475074A1 (en) Procedur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JP2020193482A (ja) 建て方調整用計測器及び建て入れ方法
KR102548905B1 (ko) 터널 측량기 설치용 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KR200189886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KR101537793B1 (ko) 평면 레이저 수직추
JP7018869B2 (ja) 固定具
ES2275385B1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contra caidas en huecos en obras en construccion.
JP2000320149A (ja) 建築現場の配置確認装置
EP312386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einfachten ausrichtung einer füllmaschine zur wurstherstellung
JPH08133623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型板装置並びに主定規材並びに下げ振り線固定具
JP2021075896A (ja) 鉄骨施工に係るトータルステーションの設置方法
KR101580993B1 (ko) 건설현장의 수평레벨 측정기능을 갖는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