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121B1 -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 Google Patents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121B1
KR102613121B1 KR1020230052681A KR20230052681A KR102613121B1 KR 102613121 B1 KR102613121 B1 KR 102613121B1 KR 1020230052681 A KR1020230052681 A KR 1020230052681A KR 20230052681 A KR20230052681 A KR 20230052681A KR 102613121 B1 KR102613121 B1 KR 10261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body
light source
accommodating
ground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23005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0Plumb lines
    • G01C15/105Optical plumb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보다 하측에 무게중심을 가지는 질량체, 상기 질량체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중심 측에 수용되는 제1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제2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질량체는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을 때 하측면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다림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Plumb with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에 관한 것이다.
다림추는 실끝에 원뿔 모양의 추를 매단 것으로 어느 점을 동일 연직선 상으로 옮기는데 사용하는 먹매김 도구이다. 다림추는 원뿔의 밑면이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고 원뿔의 꼭지점이 지면을 향한 상태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다림추(1)를 보면 원기둥에 원뿔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되지만, 기능은 상술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림추(1)는 꼭지점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줄어들게 되므로 다림추(1)의 무게중심은 원뿔의 꼭지점보다 밑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충격에도 꼭지점이 흔들려 작업을 수행할 때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다림추를 통해 연직방향만을 체크할 수 있으므로 건설 등의 분야에 사용될 때 수평계 등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한 충격에도 연직방향으로의 표시가 흔들리지 않는 다림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직방향 표시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표시도 가능한 다림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더라도 연직방향으로의 표시가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림추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의 과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보다 하측에 무게중심을 가지는 질량체, 상기 질량체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중심 측에 수용되는 제1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제2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질량체는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을 때 하측면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전원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 각각은 상기 제1 수용부에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전원부는 4개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제2 수용부는 하측면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되고, 나머지 한쌍의 상기 제2 수용부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질량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1개의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나머지 제2 수용부는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질량체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의 하측면이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중 일부를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일부를 지면으로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체의 외측면은 테이퍼진 형태로 구비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지면으로 통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두께는 상기 중공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다림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는 약한 충격에도 연직방향으로의 표시가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연직방향 표시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표시도 가능하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더라도 연직방향으로의 표시가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의 효과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100)는 질량체(110), 광원부(120) 및 전원부(130)를 포함한다.
질량체(110)는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보다 하측에 무게중심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존의 다림추는 정확한 연직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뿔 모양의 꼭지점이 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100)는 후술하는 광원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 광을 통해 연직방향의 표시기능을 수행하므로 무게중심이 지면을 기준으로 질량체(110)의 꼭지점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질량체(110)는 바람직하게는 원뿔의 형태 또는 원뿔과 원뿔의 밑면에 원기둥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이 적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다림추를 사용할 때 주의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업무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광원부(120)는 질량체(110)에 결합되여 지면을 향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부분이다.
광원부(120)는 질량체(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질량체(110)의 중심측에 제1 수용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21)는 질량체(110)의 내측으로 함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21)가 질량체(110)의 중심부에 구비됨으로써 제1 수용부(121)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연직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작업자들이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할 정도의 크기 및 조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30)는 광원부(120)에게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즉, 전원부(130)는 광원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질량체(110)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30)는 질량체(110)의 제2 수용부(131)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31)는 질량체(110)가 기울어지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부(131)는 1개 형성되거나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31)가 1개 형성되는 경우 광원부(120)의 상측, 즉 질량체(110)의 꼭지점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21)와 제2 수용부(131)는 동심원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제2 수용부(131)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질량체(110)가 공중에 매달려 있을 때 연직방향을 올바르게 지시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31)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광원부(120)의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수용부(131)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질량체(110)가 공중에 매달려 있을 때 연직방향을 올바르게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부(131)는 제1 수용부(121)를 기준으로 x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동일 거리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31)는 제1 수용부(121)를 기준으로 y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동일 거리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부(131) 각각은 제1 수용부(121)에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수용부(131) 및 전원부(130)가 4개 구비되는 경우 x축 및 y축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 수용부(131)는 하측면의 가로방향으로 제1 수용부(121)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되고, 나머지 한쌍의 제2 수용부(131)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121)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및 상기 세로방향은 x축 및 y축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130) 및 제2 수용부(131)는 항상 짝수로만 구비될 필요는 없다. 도 3(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20)의 상측에도 전원부(130) 및 제2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2 수용부(131)는 복수로 구비되고, 제2 수용부(131) 중 1개의 제2 수용부(131)는 제1 수용부(121)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수용부(131) 중 나머지 제2 수용부(131)는 질량체(110)의 너비방향(x축, y축)으로 제1 수용부(121)와 동일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100)는 보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140)는 질량체(110)에 연결되어 질량체(110)의 하측면이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장소의 변경 등이 있을 때 건설현장 등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림추(100)는 지면에 안전하게 놓아둘 수 있다.
또한, 보호부(140)는 질량체(11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결합부(141), 질량체(110)로부터 거리를 이격시키는 연결부(142) 및 연결부(142)와 결합되는 평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1)는 질량체(1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면 족하다. 결합부(141)의 형태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결합부(141)는 단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구성들이 함께 결합부(141)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결부(142)는 보호부(140)가 질량체(110)의 너비방향(xy평면방향, x축, y축)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142)는 바(ba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42)는 결합부(141) 및 평면부(143)와 연결되어 평면부(143)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4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평면부(143)는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지면을 향해 진행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은 제1 수용부(121)의 위치, 구체적으로 광원부(120)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송출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140)는 구조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150)는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중 일부는 질량체(110)의 너비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일부는 지면으로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구조체(150)는 상기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광원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시 설명하면,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조체(150)는 원뿔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조체(150)는 중공된 형태로 구비되고 구조체(150)의 외측면은 테이퍼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구조체(150)는 중공부(151)를 포함하여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지면으로 통과시켜 지면에 연직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중 일부는 구조체(150)의 외측면에 반사되어 지면의 수평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로써, 연직방향뿐만아니라 측면 방향의 수평도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구조체(150)의 크기는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두께는 중공부(15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종래의 다림추
100: 다림추
110: 질량체
120: 광원부
121: 제1 수용부
130: 전원부
131: 제2 수용부
L: 레이저
140: 보호부
141: 결합부
142: 연결부
143: 평면부
150: 구조체
151: 중공부

Claims (10)

  1.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보다 하측에 무게중심을 가지는 질량체;
    상기 질량체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질량체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의 하측면에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중 일부를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일부를 지면으로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질량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결합부, 바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질량체로부터 거리를 이격시키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지면을 향해 진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송출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중심 측에 수용되는 제1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질량체의 제2 수용부에 위치되고,
    상기 질량체는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을 때 하측면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의 외측면은 테이퍼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지면으로 통과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두께는 상기 중공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다림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전원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 각각은 상기 제1 수용부에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전원부는 4개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제2 수용부는 하측면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되고,
    나머지 한쌍의 상기 제2 수용부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한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질량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다림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1개의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나머지 제2 수용부는 상기 질량체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동일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림추.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52681A 2023-04-21 2023-04-21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KR10261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81A KR102613121B1 (ko) 2023-04-21 2023-04-21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681A KR102613121B1 (ko) 2023-04-21 2023-04-21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121B1 true KR102613121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681A KR102613121B1 (ko) 2023-04-21 2023-04-21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1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708A (ko) * 2003-04-28 2003-07-22 박용주 레이저 수직 수평계
KR200390931Y1 (ko) * 2005-04-29 2005-07-27 임승재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 표시기
US20130340268A1 (en) * 2010-12-03 2013-12-26 Alexey V. Gulunav Laser leveling device
CN111442769A (zh) * 2020-04-29 2020-07-24 浙江茗虞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工程测量的监理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708A (ko) * 2003-04-28 2003-07-22 박용주 레이저 수직 수평계
KR200390931Y1 (ko) * 2005-04-29 2005-07-27 임승재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 표시기
US20130340268A1 (en) * 2010-12-03 2013-12-26 Alexey V. Gulunav Laser leveling device
CN111442769A (zh) * 2020-04-29 2020-07-24 浙江茗虞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工程测量的监理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033B2 (en) Laser level with adjustable stand
US20050016004A1 (en) Measuring arrangement to determine location of corners for a building foundation and a wooden base frame, and the use thereof
US7886450B1 (en) Elevated laser beam positioning device
ATE161335T1 (de) Tragbare laservorrichtung für ausrichtzwecke
TW479809U (en) Photoelectronic tilt angle sensing device
KR102613121B1 (ko) 표시기능이 구비된 다림추
SE0002920L (sv) Geodetiskt instrument med laseranordning
CN108738239A (zh) 图案形成片、图案制造装置以及图案制造方法
US20020184774A1 (en) Verticality/horizon indicator for construction
CN111396717A (zh) 一种放线装置和施工放线方法
CN107044851A (zh) 一种激光水平尺
CN204809194U (zh) 一种smif激光传感器检测及调整辅助工具
JP4849835B2 (ja) 倒壊範囲判定器及び倒壊範囲判定方法
JP7141981B2 (ja) 建て方調整用計測器及び建て入れ方法
CN101509770B (zh) 带激光器导向的吊线锤
KR100954441B1 (ko) 비접촉식 igps 싱글센서 고정 지그
CN212912072U (zh) 一种测量工具的整理箱
CN210070909U (zh) 一种光学经纬仪红外线对点装置
CN203785649U (zh) 一种轴系基座测量仪器
CN202420479U (zh) 一种水平监控装置
CN104959950B (zh) 一种货油泵中间支承件的安装装置
KR20100134458A (ko) 수직도 측정 장치
JP6071844B2 (ja) 壁の変位を確認する確認装置及びその確認方法
KR101531205B1 (ko) 수직 수평 교정 기능을 갖춘 갱폼
JP3040771B1 (ja) レ―ザ光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