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004B1 -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04B1
KR101530004B1 KR1020130102064A KR20130102064A KR101530004B1 KR 101530004 B1 KR101530004 B1 KR 101530004B1 KR 1020130102064 A KR1020130102064 A KR 1020130102064A KR 20130102064 A KR20130102064 A KR 20130102064A KR 101530004 B1 KR101530004 B1 KR 10153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monon
apple
reaction
tetradecadienylacetate
sex pherom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991A (ko
Inventor
신동수
쿠마르 프레임
비제이쿠마르
하샤바드한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이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하 filed Critical 이동하
Priority to KR102013010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2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hydroxylic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34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35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5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with a metal-nitrogen link, e.g. metal amides, metal guanid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12Acetic acid esters
    • C07C69/14Acetic acid esters of monohydroxylic compounds
    • C07C69/145Acetic acid esters of monohydroxylic compounds of unsaturated alcohols
    • C07C69/15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1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I (IA or IB) as the central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C07C25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C07C2531/1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굴나방(apple leaf 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 10Z)-tetradecadienylacetate)을 저렴한 출발물질로부터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순도와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4E, 10Z)-tetradecadienylacetate as major sex pheromone of apple leaf 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
본 발명은 사과굴나방(apple leaf 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 10Z)-Tetradecadienylacetate)을 저렴한 출발 물질로부터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순도와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과굴나방(apple leaf 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과의 해충으로, 유충은 이른 봄부터 사과 잎의 뒷면에 천막 모양의 굴을 만들고 그 속에서 잎 살을 먹는데 심한 경우 한 잎에 10여 개씩의 피해부가 발견된다. 중부지방에서는 연 4∼5회 발생하고 번데기 상태로 피해 부위 속에서 월동한다. 성충은 이른 아침에 교미하며 어린 잎의 뒷면에 1개씩의 알을 낳는다. 사과굴나방은 비교적 근래에 문제된 해충으로서 1970년 후반에서 1980년 초반에 주요 사과 재배 단지에 대 발생한 일이 있으며, 특히 가해 부위가 잎이며, 그 중 잎맥 사이를 1마리가 1㎠ 정도만 가해하므로 잎당 1~2마리 가해로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잎에 여러 마리가 가해한 경우 잎이 변형되고 심하면 일찍 낙엽화 되기도 한다. 사과굴나방의 유충은 사과나무 ·야광나무 잎을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사과 굴나방을 방제하기 위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해 해충의 살충제 저항성 유발, 천적 및 유용곤충의 감소로 생태계 파괴, 잔류독성에 의한 인축독성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페로몬을 이용하는 방법이 미국과 유럽 등 농업선진국에서 적용되어져 왔다. 성페로몬은 곤충의 같은 종간의 의사소통 물질의 한가지로 암컷에서 발산하여 수컷을 유인하여 교미를 하게 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유기합성 살충제는 곤충을 비특이적으로 박멸하기 위해 많은 양을 살포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성페로몬은 매우 적은 양 예컨대 ha당 1 내지 2g씩 2회 또는 3회 처리로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성페로몬은 종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독성이 없으며 다른 생물에는 영향이 없다. 성페로몬이 이용되는 분야는 발생예찰과 대량유살, 교미교란에 의한 방제분야이고 이 중 발생예찰분야는 대상 해충의 발생상황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살충제 처리 필요여부를 판단하고, 필요시 살충제 처리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살충제 남용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해충종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의 근간이 되고 있다.
성페로몬을 이용한 해충방제는 Shorey et al . (1967)이 최초로 나비목 해충의 교미교란에 관한 실험을 한 이후 해충의 방제예찰, 교미교란, 대량포획의 방법에 대한 방제가 보고되었다. 이로부터 성페로몬을 이용한 해충방제는 특정 해충만을 대상으로 작용하고 미량으로 충분하며, 환경오염의 부작용이 없어 해충의 발생예찰에도 이용되고 직접 방제에도 이용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의 성페로몬에 대한 연구는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의 발생조사,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 수컷 성충의 합성 페로몬에 대한 반응,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합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사과굴나방 성페로몬의 주성분은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이며, 소수 성분으로 (Z)-10-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가 확인된 바 있다. 성페로몬으로 우리나라의 사과굴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야외 연구에서는(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 : (Z)-10-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의 비율이 6:4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사과굴나방 수컷을 유인하는 활성이 뛰어나다고 보고된 바 있다(Boo, K. S.; Jung C. H.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998, 24, 1939-1947).
일본 특허 공개번호 JP 2009-132647호에는 브라질 사과 굴나방 (Brazilian apple leaf miner)의 성페로몬인 (3E, 5Z)-도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3E, 5Z)-dodecadienylacetate)의 제조방법이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5,5-디에톡시-(3Z)-3-펜테닐-메톡시메틸에테르를 산의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하고, 4-포밀-(3E)-부테닐-메톡시메틸에테르를 얻는 단계;
상기 4-포밀-(3E)-부테닐 메톡시메틸에테르를 위티그(Wittig) 반응을 이용해 알킬리덴 트라이페닐포스포란과 반응시키고 (3E, 5Z)-도데카디에닐 메톡시메틸에테르를 얻는 단계;
상기 (3E, 5Z)-도데카디에닐 메톡시메틸에테르로부터 (3E, 5Z)-도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얻는 단계.
그러나, 사과굴나방으로부터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분리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저렴한 가격으로 고순도 및 고수율로 대량생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JP 2009-132647
Boo, K. S.; Jung C. H.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998, 24, 1939-1947
본 발명은 사과굴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경제적이면서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펜틴, 1,4-디브로모부탄 및 4-펜틴-1올을 반응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78318386-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1-펜틴(1-pentyne) (화학식 2) 및 1,4-디브로모부탄(1,4-dibromo butane) (화학식 3)을 반응시켜 9-브로모논-4-인(9-Bromonon-4-yne) (화학식 5)을 제조하는 단계;
2) 수소 분위기 하 9-브로모논-4-인 (화학식 5)을 부분 수소화 반응시켜 (Z)-9-브로모논-4-엔 ((Z)-9-bromonon-4-ene) (화학식 7)을 제조하는 단계;
3) (Z)-9-브로모논-4-엔 (화학식 7)에 4-펜틴-1올(4-pentyne-1-ol) (화학식 4)을 반응시켜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Z)-tetradec-10-en-4-yn-1-ol) (화학식 9)을 제조하는 단계;
4)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 (화학식 9)을 버치(birch) 환원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4E, 10Z)-Tetradecadien-1-ol) (화학식 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 (화학식 10)을 아세틸화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 10Z)-Tetradecadienylacetate) (화학식 1)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78318386-pat000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1) 단계 및 3) 단계의 커플링 반응은 알칼리금속 아마이드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알칼리금속 아마이드는 액상의 암모니아에 촉매량의 Fe(NO3)3·9H2O 및 알칼리금속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2) 단계의 부분 수소화 반응은 린들라 촉매(Lindlar catalyst)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2) 단계의 부분 수소화 반응은 촉매량의 퀴놀린을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4) 단계의 버치 환원은 액상의 암모니아 내 리튬 금속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5단계로 간단하게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가격이 저렴하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출발물질을 사용함으로서 높은 입체 화학적 순도를 갖는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효율적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각 단계마다 보호기의 도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반응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인하여 사과굴나방을 효과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유인하는 유인제와 관련된 가정용, 방역용 살충제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적은 생물 농약제품의 경쟁력 강화 및 친환경적 제품개발에 따른 살충제의 사용 절감에 따른 자연환경보호 및 생태계보존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과굴나방(apple leaf 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굴나방의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10Z)-tetradecadienylacetate)을 저렴한 출발물질로부터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순도와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펜틴, 1,4-디브로모부탄 및 4-펜틴-1올을 반응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1-펜틴(1-pentyne) (화학식 2) 및 1,4-디브로모부탄(1,4-dibromo butane) (화학식 3)을 커플링 반응시켜 9-브로모논-4-인(9-Bromonon-4-yne) (화학식 5)을 제조하는 단계;
2) 수소 분위기 하 9-브로모논-4-인 (화학식 5)을 부분 수소화 반응시켜 (Z)-9-브로모논-4-엔((Z)-9-Bromonon-4-ene) (화학식 7)을 제조하는 단계;
3) (Z)-9-브로모논-4-엔 (화학식 7)에 4-펜틴-1올(4-pentyne-1-ol) (화학식 4)을 반응시켜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Z)-Tetradec-10-en-4-yn-1-ol) (화학식 9)을 제조하는 단계;
4)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 (화학식 9)을 버치(birch) 환원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4E, 10Z)-Tetradecadien-1-ol) (화학식 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 (화학식 10)을 아세틸화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 10Z)-Tetradecadienylacetate) (화학식 1)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78318386-pat00003
상기 1) 단계의 1-펜틴(1-pentyne) (화학식 2)과 1,4-디브로모부탄 (화학식 3)의 커플링 반응은 알칼리금속 아마이드 존재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알칼리금속 아마이드는 액상의 암모니아에 촉매량의 Fe(NO3)3·9H2O과 리튬, 나트륨 및 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금속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상기 1-펜틴(1-pentyne) (화학식 2)과 1,4-디브로모부탄 (화학식 3)은 1:1~1.3당량으로 반응시키고, 반응용매로는 통상의 비양자성 용매(aprotic solvent)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2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의 부분 수소화 반응은 전이금속 촉매, 바람직하게는 린들라 촉매(Lindlar catalyst) 존재 하에서 수행되며, 촉매량의 퀴놀린을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된다. 상기 부분 수소화 반응은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범위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반응용매는 통상의 유기 용매를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 단계의 (Z)-9-브로모논-4-엔 (화학식 7)과 4-펜틴-1올(4-pentyne-1-ol) (화학식 4)의 커플링 반응은 알칼리금속 아마이드 존재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알칼리금속 아마이드는 액상의 암모니아에 촉매량의 Fe(NO3)3·9H2O과 리튬, 나트륨 및 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금속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상기 (Z)-9-브로모논-4-엔 (화학식 7)과 4-펜틴-1올(4-pentyne-1-ol) (화학식 4)은 1:1.2~5당량으로 반응시키고, 반응용매로는 통상의 비양자성 용매(aprotic solvent)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2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 단계의 버치 환원은 액상의 암모니아 내 리튬 금속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반응용매로는 통상의 비양자성 용매(aprotic solvent)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2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5) 단계의 아세틸화 반응은 트라이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존재 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실험 조건>
용매는 사용하기 전에 공지의 방법으로 정제 건조시켰다. 목적하는 화합물의 구조 결정을 위하여 1H 및 13C NMR 스펙트럼은 Bruker 사의 Avance 400 MHz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였고, 용매는 테트라메틸실란(TMS)을 내부표준물질로 하는 CDCl3를 사용하였다. GC-MS 분석은 Hewlett-Packard 5890-5970 system를 사용하였다. 실리카 겔(60120 mesh)은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용되었다. 모든 반응은 0.25 mm silica gel plate를 사용하여 TLC로 반응여부를 확인하였다.
[ 실시예 1] (4E, 10Z)- 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화합물 1)의 제조
Figure 112013078318386-pat00004
1단계) 9-브로모논-4-인(9-Bromonon-4-yne, 화합물 5 )의 제조
-45℃ 이하로 유지된 1L 2-구 플라스크에서 암모니아 (500 mL)를 응축시켰다. -50℃에서 상기 플라스크에 Fe(NO3)3·9H2O (713 mg, 1.76 mmol)를 가하여 용액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30분간 교반시켰다. 상기 플라스크에 리튬 금속 (2.47 g, 352.90 mmol)을 천천히 가하고 30분간 교반시켜 용액의 색상이 갈색에서 흰색-회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펜틴 (화합물 2, 17.4 mL, 176.47 mmol)을 무수 THF (30mL)에 혼합한 후 상기 반응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디브로마이드 (화합물 3, 38.11 g, 176.47 mmol)을 무수 THF (70mL)에 혼합한 후 상기 반응혼합물에 천천히 가하고, -45℃에서 교반시켰다.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켜 암모니아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 포화 NH4Cl (200 mL)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에테르 (3 x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뒤, 목적생성물을 포함하는 화합물 (34.1g, 화합물 3, 5 6의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은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생성물의 GC로 분석하였다.
GC-MS(m/z): 202(70%) (화합물 5), 199(10%) (화합물 3), 190(30%) (화합물 6).
2단계) (Z)-9-브로모논-4-엔((Z)-9-Bromonon-4-ene, 화합물 7 )의 제조
파르 반응기에 (Parr reaction bottle) (500mL) 내에 에틸아세테이트, 화합물 5 (34.1 g, 167.9 mmol), 린들라 촉매인 5% Pd/CaCO3 (3.5 g, 1.67 mmol) 및 퀴놀린 (150 mg)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를 용매로, 파르 수소화 반응기기(Parr hydrogenation apparatus)를 이용하여 수소 압력 40 psi 하에서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셀라이트를 통해 필터하고 감압 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제거시켰다. 목적 생성물을 포함하는 화합물(34.0g, 화합물 3, 7 8의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은 다음 반응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생성물은 GC로 분석하였다.
GC-MS(m/z): 204(70%) (화합물 7), 199(10%) (화합물 3), 194(30%) (화합물 8).
3단계)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Z)-Tetradec-10-en-4-yn-1-ol, 화합물 9 )의 제조
-45℃ 이하로 유지된 1L 2-구 플라스크에 암모니아 (400 mL)를 응축시켰다. -50℃에서 상기 플라스크에 Fe(NO3)3·9H2O (670 mg, 1.66 mmol)를 가하여 용액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30분간 교반시켰다. 상기 플라스크에 리튬 금속 (3.49 g, 499 mmol)을 천천히 가하고 30분간 교반시켜 용액의 색상이 갈색에서 흰색-회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4-펜틴-1-올 (화합물 4, 18.49 mL, 199 mmol)을 건조 THF (40mL)에 혼합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1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 3, 78의 혼합물 (34 g, 166 mmol)을 건조 THF (70mL)에 혼합한 후 상기 반응혼합물에 천천히 가하고, -45℃에서 1.5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리고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켜 암모니아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NH4Cl (200 mL)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추출 용매는 에테르 (3 x 250 mL)를 사용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Hexane= 4/1)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 9를 얻었다 (무색 액체) (11.3 g, 31 %, 3단계 수득률).
1H NMR (400 MHz, CDCl3) : δ 5.34-5.40 (m, 2H), 3.76 (t, J=5.05Hz, 2H), 2.25-2.31 (m, 2H), 2.12-2.18 (m, 2H), 1.97-2.08 (m, 2H), 1.74 (m, 2H), 1.32-1.54 (m, 6H), 0.96 (t, J=7.32). 13C NMR (100 MHz, CDCl3) : δ 130.00, 129.80, 81.12, 79.42, 62.15, 31.75, 29.35, 28.98, 28.71, 26.75, 22.89, 18.66, 15.50, 13.78. GC-MS (M.Wt : 208) 90%.
4단계) (4E, 10Z)- 테트라데카디엔 -1-올((4E, 10Z)- Tetradecadien -1- ol , 화합물 10 )의 제조
-45℃ 이하로 유지된 500 mL 2-구 플라스크에 암모니아 (200 mL)를 응축시켰다. -50℃에서 상기 플라스크에 리튬 금속 (1.52 g, 217.3 mmol)를 가하여 용액의 색상이 청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 후 30분간 교반시켰다. 화합물 9 (11.3 g, 54.3 mmol)를 THF(50mL)에 혼합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45℃에서 6시간동안 교반시켰다. TLC로 반응여부를 관찰한 후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시켜 암모니아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NH4Cl (100 mL)로 세척하였다. 추출용매는 에테르 (3 x 100 mL)를 사용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Hexane=3/7)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인 디에놀 화합물 10를 무색 액체로 수득하였다(9.05g, 79.4 % yield).
1H NMR (400 MHz, CDCl3) : δ 5.40-5.50 (m, 2H), 5.31-5.40 (m, 2H), 3.65 (t, J=5.55Hz, 2H), 1.95-2.21 (m, 8H), 1.63 (q, J=6.56, 14.14Hz, 2H), 1.30-1.44 (m, 7H), 0.90 (t, J=7.32Hz, 3H). 13C NMR (100 MHz, CDCl3) : δ 131.13, 129.95, 129.81, 129.55, 62.61, 32.58, 32.44, 29.35, 29.28, 29.21, 28.94, 27.10, 22.9, 13.78. GC-MS (m/z) : 210 (99%).
5단계) (4E, 10Z)- 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 ((4E, 10Z)-Tetradecadienylacetate, 화합물 1 )의 제조
디에놀 화합물 10 (9.0 g, 42.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 mL)과 혼합한 후 질소 분위기 하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11.9 mL, 85.6 mmol)을 가하였다. 15분간 교반시킨 다음, 0℃에서 아세트산무수물 (6 mL, 64.2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온도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물 (100 mL)를 가하고 디클로로메탄 (2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물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 여과 후 감합하에서 농축시켰다. 유기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Hexane= 1/9)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를 무색 액체로 수득하였다(10.5g, 98% yield).
1H NMR (400 MHz, CDCl3) : δ 5.39-5.50 (m, 2H), 5.33-5.39 (m, 2H), 4.06 (t, J=6.82Hz, 2H), 1.95-2.05 (m, 8H), 2.04 (s, 3H), 1.64-1.73 (m, J=2H), 1.31-1.42 (m, 6H), 0.90 (t, J=7.32Hz, 3H). 13C NMR (100 MHz, CDCl3) : δ 171.05, 131.46, 129.95, 129.80, 128.83, 64.03, 32.44, 29.37, 29.29, 29.19, 28.90, 28.62, 27.11, 22.92, 20.93, 13.77. GC-MS (m/z) : 252 (96%).

Claims (7)

  1. 삭제
  2. 1) 1-펜틴(1-pentyne) 및 1,4-디브로모부탄(1,4-dibromo butane)을 반응시켜 9-브로모논-4-인(9-Bromonon-4-yne)을 제조하는 단계;
    2) 수소 분위기 하 9-브로모논-4-인을 부분 수소화 반응시켜 (Z)-9-브로모논-4-엔((Z)-9-Bromonon-4-ene)을 제조하는 단계;
    3) (Z)-9-브로모논-4-엔을 4-펜틴-1올(4-pentyne-1-ol)을 커플링 반응시켜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Z)-Tetradec-10-en-4-yn-1-ol)을 제조하는 단계;
    4) (Z)-테트라데크-10-엔-4-인-1-올을 버치(birch) 환원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4E, 10Z)-Tetradecadien-1-ol)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4E, 10Z)-테트라데카디엔-1-올을 아세틸화시켜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4E, 10Z)-Tetradecadienylacetate)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및 3) 단계의 커플링 반응은 알칼리금속 아마이드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아마이드는 액상의 암모니아에 촉매량의 Fe(NO3)3·9H2O 및 알칼리금속을 가하여 제조된 것인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부분 수소화 반응은 린들라 촉매(Lindlar catalyst)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부분 수소화 반응은 촉매량의 퀴놀린을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버치 환원은 액상의 암모니아 내 리튬 금속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30102064A 2013-08-28 2013-08-28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KR10153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64A KR101530004B1 (ko) 2013-08-28 2013-08-28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64A KR101530004B1 (ko) 2013-08-28 2013-08-28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991A KR20150024991A (ko) 2015-03-10
KR101530004B1 true KR101530004B1 (ko) 2015-06-19

Family

ID=5302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064A KR101530004B1 (ko) 2013-08-28 2013-08-28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0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647A (ja) * 2007-11-30 2009-06-18 Shin Etsu Chem Co Ltd (e3,z5)−3,5−アルカジエニルアセタ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36227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복숭아 명나방 성페로몬의 새로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647A (ja) * 2007-11-30 2009-06-18 Shin Etsu Chem Co Ltd (e3,z5)−3,5−アルカジエニルアセタ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36227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복숭아 명나방 성페로몬의 새로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991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rejão et al. Phytotoxic effects of metabolites from Alternaria euphorbiicola against its host plant Euphorbia heterophylla
Cossé et al. Pheromone components of the wheat stem sawfly: identification, electrophysiology, and field bioassay
Herrera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moth sex pheromone component from Chilecomadia valdiviana
Vidal et al.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of the male-produced sex pheromone of the soldier beetle Chauliognathus fallax (Coleoptera: Cantharidae)
Andersson et al. Identification of sex pheromone components of the Hessian fly, Mayetiola destructor
KR101901808B1 (ko) 복숭아유리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KR20200052626A (ko) 복숭아순나방 기피용 조성물, 이의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30004B1 (ko) 사과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4e, 10z)-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Liu et al. Practical Synthesis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Synthetic Sex Pheromone of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Pyralidae)
Rodríguez et al. Identification of male-produced aggregation pheromone of the curculionid beetle Acrotomopus atropunctellus
AU2003257249B2 (en) Eremophilone and eremophilone derivatives for pest control
Lapointe et al.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of a male-produced pheromone for the neotropical root weevil Diaprepes abbreviatus
CZ288898B6 (cs) Tetradeka-8,10-dienaly a jejich použití jako specifických sexuálních atraktantů klíněnek
Zhang et al. Synthesis and field test of three candidates for soybean pod borer's sex pheromone
US4243660A (en) Composite insect attractant for male cabbage moth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its active agents
Harris et al. A new pheromone race of Acrobasis nuxvorella (Lepidoptera: Pyralidae)
Ho et al. Identification of the major sex pheromone component of the scale insect, Aulacaspis murrayae Takahashi
KR101875934B1 (ko) 귤굴나방의 주요 성페로몬인 (7z,11z)-헥사데카디엔알의 제조방법
US8663621B2 (en)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of a male-produced pheromone for the neotropical root weevil Diaperpes abbreviatus (coleoptera: curculionidae)
CN113880717B (zh) 一类双酯基取代的水杨酸甲酯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yatnova et al. Insect sex attractants
US9718797B2 (en) Eight diasteromers of vittatalactone and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attracting acalymma vittatum
RU260156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7-метокси-3,7-диметил-2е-октен-1-ил)-2-метилбензимидазола
GB2104061A (en) 2,3-Dihydropyrans and methods for combatting insects therewith
EP1138666B1 (en) A preparation method for 4-(P-methoxyphenyl)-2-amino-butane and an insec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