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847B1 -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847B1
KR101528847B1 KR1020130138572A KR20130138572A KR101528847B1 KR 101528847 B1 KR101528847 B1 KR 101528847B1 KR 1020130138572 A KR1020130138572 A KR 1020130138572A KR 20130138572 A KR20130138572 A KR 20130138572A KR 101528847 B1 KR101528847 B1 KR 10152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weight
friction
speed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955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건설용리프트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용리프트협동조합 filed Critical 건설용리프트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3013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8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가 정상 하강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면 감속기와 연결된 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마찰부재가 원심력으로 마찰드럼에 밀착되고 이때 마찰력에 의해 추락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리프트가 빠르게 추락하지 않고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며 서서히 추락하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리프트 상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를 승강 안내하는 레일블록에는 상기 감속기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하되, 상기 감속기의 상기 피니언 반대쪽에 마찰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감속기와 회전축으로 연결된 무게추가 양쪽에 구비되어 리프트가 추락하는 동안 상기 회전축이 빠르게 회전되면, 상기 무게추들이 원심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리프트의 추락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The Lift crash deceleration device}
본 발명은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가 정상 하강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면 모터의 감속기와 연결된 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마찰부재가 원심력으로 마찰드럼에 밀착되고 이때 마찰력에 의해 추락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리프트의 추락이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인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리프트는 작업자 및 화물을 각 층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수직으로 세워진 레일블록의 래크를 전동으로 회전되는 피니언이 맞물려 회전되면서 리프트가 승하강 된다. 리프트에는 피니언을 전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각종 전기장치 및 리프트가 추락할 때 이를 정지시키는 거버너(governor) 등이 구비된다. 거버너는 리프트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추락할 때 내부의 무게추가 원심력으로 펼쳐지면서 톱니들이 맞물려 리프트를 정지시키는 기구이다.
국내 실용 제445840호에는 리프트의 낙하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와이어가 감긴 권취드럼의 한쪽 끝단에 원심력으로 펼쳐지는 톱니 형태의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리프트가 추락하면 톱니 형태의 기구가 펼쳐지면서 서로 맞물려 리프트를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리프트가 추락하는 중간에 멈춰서면 작업자 및 화물이 그 충격으로 다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되고, 특히 고층에서 리프트가 멈춰서면 작업자들이 공포심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고층에 멈춰선 리프트에 올라가 리프트를 수리해야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트가 정상 하강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면 감속기와 연결된 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마찰부재가 원심력으로 마찰드럼에 밀착되고 이때 마찰력에 의해 추락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리프트가 빠르게 추락하지 않고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며 서서히 추락하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추락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거너버가 작동되기 전에 추락 속도를 정상 하강속도로 감속시키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거너버가 작동되는데 필요한 추락속도 이전에 본 발명의 감속수단이 작동되어 리프트가 서서히 추락하여 지상의 완충장치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층에서 리프트가 정지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거너버의 순간 정지로 인한 충격으로 인명 및 화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리프트 상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를 승강 안내하는 레일블록에는 상기 감속기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하되, 상기 감속기의 상기 피니언 반대쪽에 마찰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감속기와 회전축으로 연결된 무게추가 양쪽에 구비되어 리프트가 추락하는 동안 상기 회전축이 빠르게 회전되면, 상기 무게추들이 원심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리프트의 추락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가 추락하는 중간에 거너버에 의해 멈춰서지 않고 지상으로 안전하게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며 내려오기 때문에 고층에 멈춰서는 일이 방지되어 작업자의 고소공포증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층에 멈춰선 리프트를 수리하기 위하여 올라가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고층에서 수리하는 도중에 리프트가 추락할 위험성도 배제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리고 리프트가 거너버에 의해 순간 정지되면서 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칠 위험성도 없으므로 리프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리프트는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며 추락하여 지상의 완충장치에 가볍게 내려앉으므로 그 충격이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이 설치된 리프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의 정단면도
도 1 내지 도 2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이 적용된 리프트는 수직으로 래크(15)가 설치된 레일블록(14)이 구비되고, 레일블록(14)에 구름접촉 하면서 승강되는 리프트(10)가 구비된다. 리프트(10)의 상부에는 기계실이 구비되는데, 기계실에는 상기 레크(15)와 치합된 피니언(13)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11) 및 감속기(12)가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20)은 상기 감속기(12)와 회전축(21)으로 연결되어 감속기(12)가 회전되는 동안 감속수단(20) 내부의 무게추(23)도 함께 회전된다. 감속수단(20)은 원통형의 마찰드럼(21)이 구비되고, 마찰드럼(21)의 내부에는 중앙으로 회전축(22)이 구비되며, 마찰드럼(21)의 내주연에는 원호상의 마찰부재(50)를 갖는 무게추(23)가 양쪽으로 구비된다.
회전축(22)에는 축연결관(30)이 구비되고, 축연결관(30)의 양쪽에는 상기 무게추(23)의 안쪽 홈으로 끼워지는 가이드부(24)가 구비되어 무게추(23)가 상기 가이드부(24)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구성이다. 가이드부(24)의 외주연에는 스프링(40)이 구비되고 무게추(23)의 양쪽에는 스프링(40)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탄성조절볼트(4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4)에 끼워지는 가압판(41)은 상기 각 탄성조절볼트(42)에 체결되어 그 체결력에 의해 스프링(40)을 가압한다. 미설명부호 32는 마찰드럼(21)의 내부를 가려주는 커버, 31은 축연결관(30)을 회전축(22)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감속수단(2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모터(11)와 연결된 감속기(12)가 작동되면 감속기(12)의 회전력이 피니언(13)으로 전달되어 래크(15)를 타고 주행되는 동안 리프트(10)는 레일블록(14)에 구름접촉식으로 승강된다.
감속기(12)가 회전되면 회전축(22)이 함께 회전되는데, 회전축(22)에 끼워진 축연결관(30)의 양쪽에 구비된 가이드부(24)가 회전된다. 각 가이드부(24)의 자유단에는 무게추(23)가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무게추(23)는 탄성조절볼트(42)의 체결력에 따라 가압판(41)이 스프링(40)을 눌러 고정한 상태이다. 감속기(12)가 정상 회전속도를 유지하는동안 무게추(23)는 원심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무게추(23)의 외주면에 구비된 마찰부재(50)는 마찰드럼(21)과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다.
만약 리프트(10)가 추락할 경우 피니언(13)이 래크(15)와 치합된 상태로 하강되면서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피니언(13)과 감속기(12)를 통하여 연결된 회전축(22)이 함께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때 가이드부(24)에 끼워진 무게추(23)가 함께 회전되면서 원심력을 받아 벌어지고 이때 스프링(40)이 압축되면서 이의 마찰부재(50)가 마찰드럼(21)에 밀착된다. 무게추(23)가 벌어지면 탄성조절볼트(42)의 끝단에 걸린 가압판(41)이 함께 당겨지면서 스프링(40)을 압축시킨다.
마찰부재(50)가 마찰드럼(21)에 밀착되면 회전축(22)이 감속되면서 서서히 회전되는데, 리프트(10)는 정상 하강속도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추락된다.
무게추(23)의 원심력은 스프링(40)의 탄성력에 따라 조절된다. 탄성조절볼트(42)를 조여 가압판(41)이 무게추(23)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면 스프링(40)이 압축되어 무게추(23)는 큰 원심력이 작용해야 작동된다. 반대로 탄성조절볼트(42)를 풀어 가압판(41)이 무게추(23)에서 벌어지고 스프링(40)이 느슨해지도록 하면 무게추(23)는 약한 원심력에도 작동된다. 결국 리프트의 추락속도는 스프링(40)의 압축 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10 : 리프트 11 : 모터
12 : 감속기 13 : 피니언
14 : 레일블록 15 : 래크
20 : 감속수단 21 : 마찰드럼
22 : 회전축 23 : 무게추
24 : 가이드부 30 : 축연결관
40 : 스프링 41 : 가압판
42 : 탄성조절볼트 50 : 마찰부재

Claims (3)

  1. 삭제
  2. 리프트 상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를 승강 안내하는 레일블록에는 상기 감속기의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하되, 상기 감속기의 상기 피니언 반대쪽에 마찰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감속기와 회전축으로 연결된 무게추가 양쪽에 구비되어 리프트가 추락하는 동안 상기 회전축이 빠르게 회전되면, 상기 무게추들이 원심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리프트의 추락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쪽에는 상기 각 무게추가 왕복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각 가이드부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무게추와 고정볼트로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가압판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에는 외주면으로 원호형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면과 밀착되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KR1020130138572A 2013-11-14 2013-11-14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KR10152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72A KR101528847B1 (ko) 2013-11-14 2013-11-14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72A KR101528847B1 (ko) 2013-11-14 2013-11-14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55A KR20150055955A (ko) 2015-05-22
KR101528847B1 true KR101528847B1 (ko) 2015-06-15

Family

ID=5339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572A KR101528847B1 (ko) 2013-11-14 2013-11-14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53B1 (ko) 2020-11-16 2021-05-31 이상진 적재 양중기 과부하 방지장치가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12-28 양기태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8560A (zh) * 2017-09-01 2017-11-03 龙岩龙安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自救式高楼快速逃生装置
CN111035865A (zh) * 2019-12-24 2020-04-21 陈慧欣 一种高楼险情逃生自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16A (ko) * 2000-04-18 2001-11-07 홍채민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KR20050073127A (ko) * 2004-01-08 2005-07-13 정상호 리프터의 감속기
KR101038151B1 (ko) * 2005-11-21 2011-05-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1136645B1 (ko) * 2012-01-16 2012-04-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16A (ko) * 2000-04-18 2001-11-07 홍채민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KR20050073127A (ko) * 2004-01-08 2005-07-13 정상호 리프터의 감속기
KR101038151B1 (ko) * 2005-11-21 2011-05-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1136645B1 (ko) * 2012-01-16 2012-04-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53B1 (ko) 2020-11-16 2021-05-31 이상진 적재 양중기 과부하 방지장치가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KR102344978B1 (ko) 2021-07-29 2021-12-28 양기태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55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847B1 (ko) 건설리프트의 추락 감속장치
KR100354380B1 (ko)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CN105540378B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保护系统
KR101701887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WO2015081423A1 (en) An elevator system (for silos, reservoirs, wind aeolian structures, electric towers, radio towers and frequency signals transmission towers, any other towers and any other high structures) with two emergency breaking safety device, a shock-proof system, a motorised (or engine or electric) winch and two lateral guiding tracks
CN205328400U (zh) 一种电梯和升降机坠落及人员坠井事故紧急救援系统
CN205419395U (zh) 一种电梯防坠装置
CN210140981U (zh) 一种建筑施工用施工架
CN102992133A (zh) 一种施工电梯的防坠系统
CN110662582B (zh) 线缆型升降装置
CN207390725U (zh) 新型有机房双向限速器
CN203064931U (zh) 具有自救逃生功能的电梯装置系统
CN105392729A (zh) 电梯用调速器以及使用该电梯用调速器的电梯装置
CN205863788U (zh) 高层建筑电缆提升保护装置
CN104261297B (zh) 一种电梯曳引轮的制动装置
CN2189142Y (zh) 井字架升降机防冲顶安全防护装置
CN204111240U (zh) 一种电梯曳引轮的制动装置
CN103848299A (zh) 一种在建建筑的施工电梯
CN103848302A (zh) 一种在建建筑的施工升降机
CN219363082U (zh) 一种输电线路起吊工具
CN203781565U (zh) 一种电梯反绳轮安全保护装置
CN103832907B (zh) 一种电梯反绳轮安全保护装置
CN212292440U (zh) 一种慢速卷扬机
CN117430048B (zh) 一种用于起重机的钢丝绳索具
CN103848303A (zh) 一种建筑的施工电梯的防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