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538B1 -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538B1
KR101528538B1 KR1020140169559A KR20140169559A KR101528538B1 KR 101528538 B1 KR101528538 B1 KR 101528538B1 KR 1020140169559 A KR1020140169559 A KR 1020140169559A KR 20140169559 A KR20140169559 A KR 20140169559A KR 101528538 B1 KR101528538 B1 KR 10152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oking oil
soju
soap
waste c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열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시민생활환경회의
김강열
김순임
김재주
김현철
박상호
최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시민생활환경회의, 김강열, 김순임, 김재주, 김현철, 박상호, 최낙선 filed Critical 사단법인시민생활환경회의
Priority to KR102014016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5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폐식용유 및 소주와 맥주를 이용하여 2~3단계 검화(비누화) 또는 가공처리과정을 거쳐 생활필수품인 친환경 천연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ㅓ원본비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BASE SOAP USING WASTE COOKING OIL AND WASTE SOJU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폐식용유 및 소주와 맥주를 이용하여 2~3단계 검화(비누화) 또는 가공처리과정을 거쳐 생활필수품인 친환경 천연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에 관한 것이다.
폐식용유와 소주, 맥주의 3가지 물질은 일반폐기물로 구분되어 있어서 가정이나 업소에서 싱크대를 통해 마구 버려도 아무런 법적인 제제를 받지 않는다. 그렇지만 상기 3가지 물질은 독극물보다 더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렇지만 시민 그 누구도 아무런 죄책감도 없이 버리고 있고 이를 규제하는 행정부서나 환경단체도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폐식용유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하 BOD)이 100만ppm이나 되어 이를 정화하는데 20만 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소주의 BOD는 25만2500ppm으로 5만500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며, 맥주의 경우는 BOD는 7만1500ppm으로 1만4300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표를 통해 그 현황과 위험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가지 물질의 BOD 와 정화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
Figure 112014116441545-pat00001

우리나라에서 연간 소비되는 3가지 물질의 양
Figure 112014116441545-pat00002

버려질 경우 예상되는 깨끗한 물의 양
Figure 112014116441545-pat00003

상기 3가지 물질이 각각 1%만 버려진다면 이를 정화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3,843,537,730톤으로서 우리나라 최대의 담수호인 소양강 댐(저수량 22억 톤)으로도 부족하다. 그러나 버려지는 양은 5%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버려지는 이 물질들은 일부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겠지만 대부분의 양은 땅속으로 또 흘러 흘러 바다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지금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가정과 식당, 급식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정제는 석유를 원료로 하는 화학세정제이다. 소비자들의 의식변화에 의해 천연재료 등을 조금씩 첨가하여 천연제품으로 눈속임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화학물질을 주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본성은 여전히 맹독성과 자연 속에서 영원히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허등록 제10-0345800호 특허등록 제10-080481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합성세제가 가지고 있는 사람과 자연에 끼치는 위험성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데 작은 대안으로서, 나아가 사용 후 폐기되는 유효자원을 리사이클하여 안전하고 그 질 또한 우수한 생활필수품인 친환경 천연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려져 2차 오염을 가속시키는 폐식용유와 소주, 맥주 등을 활용하여 합성세제의 폐해로부터 보다 사람과 자연에게 안전한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식용유로부터 정제유를 얻고 정제유를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하여 완전 검화함으로써 버려지는 맥주와 소주를 이용하여 생활필수품인 비누세정제를 제조하는 원료가 되는 양질의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자원으로도 사람과 자연에 유익한 생활필수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나아가 자원의 유효한 재활용에 대해서도 알리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폐식용유를 가열, 교반하는 S1 단계; 상기 폐식용유에 소금물을 투입하고 가열을 중지한 후 교반하는 S2 단계; 정치시켜 상층의 정제유와 하층의 침전부로 층분리하는 S3 단계; 상기 상층의 정제유를 가열, 교반하는 S4 단계; 상기 정제유에 폐소주에 수산화나트륨을 녹인 폐소주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검화시키는 S5 단계; 및 검화 후 숙성시켜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이며,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소금물은 10질량% 소금물이며, 상기 폐식용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5~15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하층의 침전부는 퇴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상기 S4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80~95℃이며,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폐소주 알칼리 용액은 45질량% 폐소주 알칼리 용액이며, 상기 정제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20~30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상기 S6 단계에서, 숙성 온도는 30~40℃이며, 숙성 시간은 1주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합성세제가 가지고 있는 사람과 자연에 끼치는 위험성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데 작은 대안으로서, 나아가 사용 후 폐기되는 유효자원을 리사이클하여 안전하고 그 질 또한 우수한 생활필수품인 친환경 천연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버려져 2차 오염을 가속시키는 폐식용유와 소주, 맥주 등을 활용하여 합성세제의 폐해로부터 보다 사람과 자연에게 안전한 비누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식용유로부터 정제유를 얻고 정제유를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하여 완전 검화함으로써 버려지는 맥주와 소주를 이용하여 생활필수품인 비누세정제를 제조하는 원료가 되는 양질의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원본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자원으로도 사람과 자연에 유익한 생활필수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나아가 자원의 유효한 재활용에 대해서도 알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자원을 활용하여 수질오염 및 환경보전 등 1석 다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버려지는 3가지 물질이 각각 5%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실 속에서 이를 자원화하는 것이 시급하므로 즉각적인 수질개선효과 뿐만 아니라 폐자원의 유효한 활용, 이산화탄소의 감소, 나아가 합성세제에 대한 2차 오염으로부터 우리의 자연환경은 물론 전 지구적인 환경보호에도 큰 기여를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폐식용유 정제 실시예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주방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세탁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자동 식기세척기용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세탁기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화장실 및 부엌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탈취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헹굼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폐식용유 정제 실시예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원본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주방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세탁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자동 식기세척기용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세탁기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화장실 및 부엌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탈취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서 헹굼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폐식용유의 정제 공정으로서 폐식용유를 가열, 교반하는 S1 단계; 상기 폐식용유에 소금물을 투입하고 가열을 중지한 후 교반하는 S2 단계; 정치시켜 상층의 정제유와 하층의 침전부로 층분리하는 S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 공정으로서 상기 상층의 정제유를 가열, 교반하는 S4 단계; 상기 정제유에 폐소주에 수산화나트륨을 녹인 폐소주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검화시키는 S5 단계; 및 검화 후 숙성시켜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이며,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소금물은 10질량% 소금물이며, 상기 폐식용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5~15 부피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S4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80~95℃이며,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폐소주 알칼리 용액은 45질량% 폐소주 알칼리 용액이며, 상기 정제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20~30 부피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S6 단계에서, 숙성 온도는 30~40℃이며, 숙성 시간은 1주일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10질량% 소금물이 상기 폐식용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5 부피비 미만인 경우에는 폐식용유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능이 미미하며, 15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본비누의 제조 공정에서의 검화(비누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5질량% 폐소주 알칼리 용액이 상기 정제유 원본비누의 100 부피비에 대하여 20 부피비 미만인 경우에는 검화(비누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30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척에 도움이 되는 증포(거품)의 발생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하층의 침전부는 퇴비로 사용될 수 있다.
1. 폐식용유의 정제 공정
폐식용유의 내용물에는 각종 다양한 유기물질이 가득 들어있다. 정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 제조된 비누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수거한 폐식용유를 깨끗이 씻어 내기 위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폐식용유를 씻어낸 2차오염수의 처리문제이다. 폐식용유의 정제제로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있지만 식물에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소금물로 씻어낸 것이 가장 유효하다.
도 1의 폐식용유 정제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식용유 속에 들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10질량%의 소금물이 필요하다. 폐식용유를 100℃ 이상으로 가열한 후 여기에 폐식용유의 양의 100%의 물에 10%의 소금을 녹인 후 넣어 가열을 중지한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정치한 후 상온이 되면 분리되는데 밑으로 가라앉은 물질은 폐식용유 속에 들어있던 오염물질과 소금과 함께 유화된 약간의 글리세린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 물질은 퇴비로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폐식용유를 정제하여 정제유로부터 비누세정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폐식용유의 가열 온도를 100℃ 이상으로, 그리고 소금물은 10질량%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원본비누의 제조 공정
상기와 같이 정제된 폐식용유의 정제유로 비누의 원본을 만드는데 만들어진 원본비누는 각종(7종) 비누세정제의 기본원료로 활용되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정제유를 가열, 교반하는 S4 단계; 상기 정제유에 폐소주에 수산화나트륨을 녹인 폐소주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검화시키는 S5 단계; 및 검화 후 숙성시켜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의 원본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유 1ℓ당 버려지는 소주 260㎖에 가성소다(NaOH) 117g을 녹인 45질량%의 알칼리 용액을 만들어서 정제유를 80~95℃ 이하로 가열한 후 3차례에 걸쳐 45질량%의 용액을 넣어 검화시켜 약알칼리성 원본비누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원본비누가 완성된다. 버려지는 소주로 만든 원본비누는 물을 이용하여 만든 비누보다 소비자들이 싫어하는 비누특유의 냄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척에 도움이 되는 다량의 증포(거품)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원본비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비누세정제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여러 물질들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1> 폐식용유는 인간이 자본과 노동으로 재배해야만 얻어질 수 있는 귀중한 자원으로서 정제만 잘 한다면 얼마든지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다.
2> 소주와 맥주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대표적인 먹거리로서 곡물을 발효시켜 깨끗한 증류수와 함께 희석한 아주 깨끗하게 위생처리한 대표적인 식품이다.
3>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NaOH)은 흔히 양잿물이라고 부른다. 가성소다는 바닷물을 전기분해해서 만든 물질이다. 양잿물의 양은 한문의 바다 양(洋)자에서 유래하였다.
4> 수산화칼륨(KOH)은 육상식물에 존재하고 있는 탄산염의 열 용액에 소석회를 넣어 만든다.
5> 구연산(Citric acid)은 레몬이나 메실 등의 열매로부터 만든다.
6>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은 상기 수산화나트륨(NaoH)에 열을 가하여 얻어지는 탄산소다(sodium carbonate)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2:3으로 혼합하여 만든다.
7> 식소다라고도 불리는 중조(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는 상기 바닷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어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만든다.
8> 양조식초는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원본비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각종 비누세정제는 상기의 주원료와 보조원료에서 보여주듯이 모두가 자연에서 얻어지거나 2차 가공을 한 것들이다. 자연에서 태어난 자원을 사람이 먹고, 리사이클하고, 다시 자연에게 좋은 영향을 주며, 다시 사람이 이를 먹고 사용하는 자연 그대로의 순환적 구조의 생성물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원본비누는 각종(7종) 비누세정제의 기본원료로 활용되며 각각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시험예로 설명한다.
[시험예 1] 주방용 물비누의 제조 공정
도 3의 주방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소주 1ℓ에 원본비누 400g을 넣고 90℃까지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녹인다. 녹인 용액에 가성가리(KOH)10g을 넣고 완전반응(검화)을 시킨 다음 이어서 가성가리의 1.05배인 구연산(Citric acid) 10.5g을 넣고 중화시킨다. 가열을 중지하고 온도를 60℃까지 내린 다음 소주 0.1ℓ를 넣어 비누의 투명도를 안정화시킨다.
이때 60℃ 이하로 온도를 내린 이유는 소주에 들어있는 알코올성분이 소멸되지 않아야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거품의 증도와 색도의 조정을 위해 맥주 0.1ℓ를 넣어 교반한 다음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양질의 주방용 물비누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주방용 물비누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2] 세탁기용 물비누의 제조 공정
도 4의 세탁기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소주 1ℓ에 원본비누 400g을 넣고 90℃까지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녹인다. 녹인 용액에 가성가리(KOH) 10g을 넣고 완전반응(검화)을 시킨 다음 이어서 가성가리의 1.05배인 구연산(Citric acid) 10.5g을 넣고 중화시킨다. 가열을 중지하고 온도를 65℃까지 내린 다음 소주 0.1ℓ를 넣어 비누의 투명도를 안정화 시킨다. 세탁기용 물비누에는 맥주를 넣지 아니한다. 맥주 속에 들어있는 맥아 성분이 변성되어 빨랫감에 잔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양질의 세탁기용 물비누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세탁기용 물비누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3] 자동 식기세척기용 물비누의 제조 공정
도 5의 자동 식기세척기용 물비누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소주 1ℓ에 먼저 중조(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100g을 넣고 녹인다. 약 60℃에서 완전히 녹는다. 여기에 원본비누 100g을 넣고 90℃까지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녹인다. 녹인 용액에 가성가리(KOH) 10g을 넣고 완전반응(검화)을 시킨 다음 이어서 가성가리의 1.05배인 구연산(Citric acid) 10.5g을 넣고 중화시킨다. 가열을 중지하고 온도를 60℃까지 내린 다음 소주 0.1ℓ를 넣어 비누의 점도유지와 투명도를 안정화 시킨다.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양질의 자동식기 세척기용 물비누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자동식기 세척기용 물비누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4] 세탁기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의 제조 공정
도 6의 세탁기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본비누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그 가루비누를 먼저 교반기에 100g을 넣는다. 이어 중조(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 100g,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100g을 넣고 혼합한다. 이렇게 혼합한 300g을 세탁기(드럼 겸용)의 세탁조에 넣고 40℃의 온수를 부어 6시간 정도 정치하여 배출하면 많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세탁기 곰팡이제거제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5] 화장실 및 부엌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의 제조 공정
도 7의 화장실 및 부엌용 찌든 때 및 곰팡이 제거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소주 1ℓ에 먼저 중조(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 100g과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30g을 넣고 녹인다. 약 60℃에서 완전히 녹는다. 여기에 원본비누 10g을 넣고 90℃까지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녹인다.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양질의 화장실, 부엌 등 찌든 때와 곰팡이 제거제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화장실, 부엌 등 찌든 때와 곰팡이 제거제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6] 탈취제의 제조 공정
도 8의 탈취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소주 1ℓ에 먼저 중조(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 100g을 넣고 녹인다. 약 60℃에서 완전히 녹는다. 여기에 원본비누 10g을 넣고 90℃까지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녹인다. 35℃에서 교반을 멈추고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키면 알칼리가 중화되어 양질의 탈취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천연 레몬향 등 좋아하는 향을 0.1%정도 넣으면 금상첨화이다. 탈취제의 용도는 차량에어컨, 신발, 냉장고의 냄새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탈취제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7] 헹굼제의 제조 공정
도 9의 헹굼제 제조 실시예 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ℓ의 헹굼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버려지는 소주300g에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100g을 넣고 녹인다. 약 60℃에서 완전히 녹는다. 이어 양조식초 600g을 넣어 1주일간 35℃를 유지한 채 숙성시켜주면 양질의 헹굼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앞의 제조와 달리 온도를 90℃ 이상으로 올리지 않는 이유는 생산품이 약 pH5의 산성제품이므로 식초와 과탄산나트륨이 60℃ 온도에서도 안정되게 잘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든 헹굼제는 1일 내에 하천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시험예 8]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원본비누를 이용하여 제조한 7종의 비누세정제에 대해 3개월 동안 식당, 가정, 단체 급식소에서 수 십 차례의 사용한 결과 사용자들로부터 세척 기능, 세정 기능, 냄새 등에 대하여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아주 획기적인 제품이라는 만족할만한 답변을 얻어냈다. 또한, 농도 300ppm 물고기의 독성실험에서도 합성세제와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은 환경성이 입증되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원의 재활용 내지 경제성 측면을 배제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또는 그 원본비누를 이용한 비누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서 폐식용유, 폐소주 및 폐맥주에 대하여 각각 식용유, 소주 및 맥주가 균등물 및 대체물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6)

  1. 폐식용유를 가열, 교반하는 S1 단계;
    상기 폐식용유에 소금물을 투입하고 가열을 중지한 후 교반하는 S2 단계;
    정치시켜 상층의 정제유와 하층의 침전부로 층분리하는 S3 단계;
    상기 상층의 정제유를 가열, 교반하는 S4 단계;
    상기 정제유에 폐소주에 수산화나트륨을 녹인 폐소주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검화시키는 S5 단계; 및
    검화 후 숙성시켜 원본비누를 제조하는 S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이며,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소금물은 10질량% 소금물이며, 상기 폐식용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5~15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하층의 침전부는 퇴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80~95℃이며,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폐소주 알칼리 용액은 45질량% 폐소주 알칼리 용액이며, 상기 정제유 100 부피비에 대하여 20~30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6 단계에서,
    숙성 온도는 30~40℃이며, 숙성 시간은 1주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KR1020140169559A 2014-12-01 2014-12-01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9A KR101528538B1 (ko) 2014-12-01 2014-12-01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9A KR101528538B1 (ko) 2014-12-01 2014-12-01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538B1 true KR101528538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538B1 (ko) 2014-12-01 2014-12-01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5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1B1 (ko) * 2016-07-22 2017-03-22 (주)엔키스 액상 주방세제의 제조 방법
CN106590996A (zh) * 2016-11-24 2017-04-26 张灿 一种利用废弃油脂制备香皂的方法
KR20220125118A (ko) * 2021-03-04 2022-09-14 이난희 찌든때 제거용 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1896A (ko) 2022-06-28 2024-01-04 이수연 폐식용유를 이용한 고체 비누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91A (ja) * 1993-03-02 1994-09-13 Masayuki Abe 食廃油の再生方法および食廃油再生石鹸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91A (ja) * 1993-03-02 1994-09-13 Masayuki Abe 食廃油の再生方法および食廃油再生石鹸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1B1 (ko) * 2016-07-22 2017-03-22 (주)엔키스 액상 주방세제의 제조 방법
CN106590996A (zh) * 2016-11-24 2017-04-26 张灿 一种利用废弃油脂制备香皂的方法
KR20220125118A (ko) * 2021-03-04 2022-09-14 이난희 찌든때 제거용 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4975B1 (ko) 2021-03-04 2022-09-21 이난희 찌든때 제거용 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1896A (ko) 2022-06-28 2024-01-04 이수연 폐식용유를 이용한 고체 비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538B1 (ko) 폐식용유 및 폐소주를 이용한 원본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539B1 (ko) 폐식용유와 폐소주를 이용한 비누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Rahayu et al. Environmentally safe technology with the conversion of used cooking oil into soap
CN1088101C (zh) 用于非食品无生命表面清洗/清洁的方法
JP2005232387A (ja) 発酵技術を応用した洗浄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3997B2 (ja) 醗酵マクワ多目的洗浄剤とその製造方法
AU2012351353B2 (en) Solid surfactant composition
CN105296179A (zh) 一种皂基环保洗衣液
ISAH Production of detergent from castor oil
CN107287061A (zh) 一种含有天然皂基的芳香型84洗涤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02703229A (zh) 一种茶渍污渍清洗剂及湿巾和制备方法
JP2009525859A (ja) 妨げとなるにおいを抑制するための硝酸塩の使用
KR101063669B1 (ko) 친환경 세제 제조방법
CN104804904A (zh) 一种可完全降解的植物洗碗皂及其制备方法
CN109825385A (zh) 一种利用柑橘皮渣制备的便池除臭皂丸
JP2006282896A (ja) 洗浄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9410419B (en) Plastic packaging cleaning agent capable of being recycled for multiple times and application thereof
Katiya et al. Linear Alkyl Benzene Sulfonates a Soul of Cleaning Agents: A Review on Chemistry, Synthesis, Industrial Production, Applications and Environment Solicitude
KR102044410B1 (ko) 식기 세척용 고농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350316A (zh) 一种柚子味洗洁精的生产方法
CN103666802A (zh) 洗衣机内胆除污剂
CN1407078A (zh) 液体洗涤剂组合物和除臭方法
CN1275614A (zh) 利用废油和柑桔皮制肥皂的方法
CN106336980A (zh) 一种皂角洗洁精的生产方法
Asahy et al. Soap CharOl (Soap Charcoal Oil) Innovation of Oil and Used Cooking Oil So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