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531B1 - 복합 정유량 밸브 - Google Patents

복합 정유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531B1
KR101528531B1 KR1020140023528A KR20140023528A KR101528531B1 KR 101528531 B1 KR101528531 B1 KR 101528531B1 KR 1020140023528 A KR1020140023528 A KR 1020140023528A KR 20140023528 A KR20140023528 A KR 20140023528A KR 101528531 B1 KR101528531 B1 KR 10152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pening
hole
clos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민철
Original Assignee
소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민철 filed Critical 소민철
Priority to KR102014002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53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정유량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몸체에 하부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이 하부조절장치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막대의 말단에 디스크를 형성하며, 상부몸체 상단에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개폐장치의 하부로 승강 이동되는 개폐디스크를 설치하여 하부조절장치를 작동시키면, 하부조절장치의 승강막대가 승강 이동되어 디스크를 상부몸체의 유체통과공에 근접시키거나 혹은 유체통과공에서 멀어지도록 이격시켜 유체통과공을 통해 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장치의 개폐디스크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유체통과공을 밀폐시키거나 혹은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디스크를 승강 이동에 의해 유체통과공이 손쉽게 개폐되고, 유체통과공 개폐여부가 디스크와 유체통과공 사이 간격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하부조절장치가 동일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유체통과공과 디스크 사이 간격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고, 유체흐름량 조절이 용이하며, 승강막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유체통과공을 통과하는 유체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하부조절장치의 디스크와 개폐장치의 개폐디스크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 미숙련자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 정유량 밸브{Complex set fluid valve}
본 발명은 정유량 밸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조절장치의 디스크가 상부몸체의 유체통과공에 근접되도록 하거나 혹은 유체통과공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유체통과공으로 통과되는 유체의 흐름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복합 정유량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 정유량 밸브는 정유량 밸브와 개폐 밸브를 일체화한 밸브로서,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이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각 호실로 일정한 량의 유량이 공급되도록 유량의 흐름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복합 정유량 밸브는 밸브몸체의 유입구측 개구율과 유출구측 개구율을 조절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출구로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복합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되어 일 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된 상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 유도공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몸체와, 상, 하부가 개방되어 일 측에 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구와 개방된 상,하부 사이에 중공을 형성하고 있는 상부몸체와, 상기 유도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과 상기 유출구측의 차압에 따라 유입구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하부 조절장치와, 상기 상부몸체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을 개폐하여 상기 유출구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상부 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 및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홈은 상기 하부조절장치의 다이아프램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즉, 상기 하부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이 유체가 상기 유도공에 설치된 상기 하부조절장치의 디스크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를 통과한 유체중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상부몸체의 홈 사이에 잔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구멍 및 하부몸체의 유체통로를 통해 상기 하부몸체의 홈과 상기 다이아 프램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입구측의 압력이 상기 상부몸체의 홈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 공간의 압력과 일치되고, 상기 유출구측의 압력이 상기 하부몸체의 홈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 공간의 압력과 일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조절장치의 다이아프램이 상,하부로 압력을 받아 승,하강 되면서 상기 디스크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도공 사이 공간의 개구율이 조절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조절장치의 디스크를 승강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가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근접되거나 혹은 개방된 부분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부분 사이 공간의 개구율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조절장치의 홀더를 따라 상기 가이드를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하단에 구비된 상기 디스크가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켜,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유체가 상기 유출구 측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는 것이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복합 정유량 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상부몸체의 개방된 하부 개폐시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 가이드를 승강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개폐 작동에 따른 가이드 높이 변화로 디스크와 상부몸체의 개방된 하부 사이 간격에 변화가 생기며, 개폐 작동시 항시 디스크와 개방된 하부 사이 간격을 체크하여 스템 이동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하부몸체의 개방된 하부와 디스크 사이 간격에 따른 유체 흐름량에 변화가 생기고, 가이드 높이가 변화될 때 마다 스템의 승강 이동거리 및 유체 흐름량을 반복 체크하여 유체 흐름량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항시 변화되는 가이드 높이에 의해 상부조절장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 토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미숙력자의 경우 제품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으며,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48694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몸체에 하부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이 하부조절장치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막대의 말단에 디스크를 형성하며, 상부몸체 상단에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개폐장치의 하부로 승강 이동되는 개폐디스크를 설치하여 하부조절장치를 작동시키면, 하부조절장치의 승강막대가 승강 이동되어 디스크를 상부몸체의 유체통과공에 근접시키거나 혹은 유체통과공에서 멀어지도록 이격시켜 유체통과공을 통해 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장치의 개폐디스크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유체통과공을 밀폐시키거나 혹은 개방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멸의 다른 목적은, 하부조절장치의 밀폐블럭에 승강막대를 나선방식으로 체결하되, 밀폐블럭 저면을 통해 승강막대를 회전시켜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승강막대를 손쉽게 승강 이동시켜 유체통과공으로 통과되는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복합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몸체의 유도공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필터망을 설치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도공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복합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도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공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체결되고,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개방된 상부 및 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도공 내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측과 상기 유출구측의 차압에 따라 상부로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하부로 내려앉아 상기 유입구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다이아프램; 일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단턱에 걸리되, 타단이 상기 다이아프램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막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막대 말단에 상기 유체통과공에 근접되거나 혹은 상기 유체통과공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체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디스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조절장치; 및 상기 상부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몸체의 유체통과공을 개폐시켜 상기 유출구측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디스크를 형성하고 있는 개폐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면에 환형의 하향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상기 하향 함몰홈과 연통되어 상기 하향 함몰홈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는 저면에 환형의 상향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구 내주면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를 상기 안내공으로 공급하는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유도공 내주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도공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환형의 필터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장치는,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럭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밀폐블럭의 상면에 상기 승강막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장치의 밀폐블럭은, 중앙부에 상기 승강막대를 나선방식으로 체결하는 관통체결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의 개폐디스크는, 하방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반구형 또는 다각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도공을 따라 승강 이동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상기 유입구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통형디스크와; 상기 통형디스크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는, 개폐디스크를 승강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통과공이 손쉽게 개폐되고, 유체통과공 개폐여부가 디스크와 유체통과공 사이 간격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하부조절장치가 항시 동일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유체통과공과 디스크 사이 간격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고, 디스크와 유체통과공 사이 간격 파악으로 유체흐름량 조절이 용이하며, 외부에서 하부조절장치의 승강막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유체통과공을 통과하는 유체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유체통과공의 개폐와 유체흐름량을 조절하는 하부조절장치의 디스크와 개폐장치의 개폐디스크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 미숙련자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개폐디스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다이아프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하부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하부조절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유입구 및 상향 함몰홈에 강한 압력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유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유출구 및 하향 함몰홈에 강한 압력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유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의 개폐장치로 유체통과공을 밀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는 하부몸체(100)와 상부몸체(200), 다이아프램(300), 탄성스프링(400), 하부조절장치(500) 및 개폐장치(60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일측에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구(101)와 연통되는 유도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공(102) 내주면에 단턱(103)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01)는 중공형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고,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도공(102)으로 안내한다.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하부조절장치(50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상면에 환형의 하향 함몰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상기 하향 함몰홈(104)과 연통되어 상기 하향 함몰홈(104)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안내공(105)이 형성된다.
상기 하향 함몰홈(104)은 상기 안내공(105)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향 함몰홈(104) 내의 압력은 상기 상부몸체(200)의 유출구(201)측과 동일한 압력을 형성한다.
상기 유도공(102) 내주면에는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상기 유도공(102)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환형의 필터망(10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부몸체(100) 상부에 체결되고, 일측에 유출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개방된 상부 및 유출구(201)와 연통되어 상기 유도공(102) 내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통과공(20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상기 개폐장치(60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상부몸체(200)는 저면에 환형의 상향 함몰홈(2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구(201) 내주면에 상기 유출구(201)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를 상기 안내공(105)으로 공급하는 배수홈(204)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기 상향 함몰홈(203)과 상기 다이아프램(300)사이에 상기 유도공(102)을 통해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는 유체중 일부를 잔류시켜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의 압력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유입구(101)측과 동일한 압력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홈(203)은 상기 안내공(105)과 연통되도록 밀착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201)로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를 상기 안내공(105)으로 공급한다.
상기 다이아프램(300)은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01)측과 상기 유출구(201)측의 차압에 따라 상부로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하부로 내려앉아 상기 유입구(101)의 개구율을 조절한다.
상기 다이아프램(300)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도공(102)을 따라 승강 이동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상기 유입구(101)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통형디스크(301)와, 상기 통형디스크(301)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누름판(302) 및 상기 누름판(302)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부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패킹(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형디스크(301)는 하단이 상기 하부조절장치(500)의 밀폐블럭(501) 상면에 밀착되거나 혹은 상기 밀폐블럭(501)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101)측의 개구율을 조절한다.
상기 누름판(302)은 상기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통형디스크(301)가 상기 밀폐블럭(501)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밀폐패킹(303)은 상기 하부몸체(100)의 하향 함몰홈(104) 및 상부몸체(200)의 상향 함몰홈(203)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통형디스크(301)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탄성스프링(400)은 일단이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3)에 걸리되, 타단이 상기 다이아프램(300)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부조절장치(500)는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막대(5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막대(502) 말단에 상기 유체통과공(202)에 근접되거나 혹은 상기 유체통과공(202)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디스크(50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503)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유체통과공(202)과 동일한 직경을 갖거나 혹은 상기 유체통과공(20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503)는 상기 유체통과공(20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장치(500)는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럭(50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밀폐블럭(501)의 상면에 상기 승강막대(502)가 체결된다.
상기 밀폐블럭(501)은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통형디스크(301)가 하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하부조절장치(500)의 밀폐블럭(501)은 중앙부에 상기 승강막대(502)를 나선방식으로 체결하는 관통체결공(501a)을 형성한다.
상기 승강막대(502)는 저면이 상기 관통체결공(501a)으로 노출되고, 드라이버 또는 공구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자 또는 십자형 홈(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개폐장치(600)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몸체(200)의 유체통과공(202)을 개폐시켜 상기 유출구(201)측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디스크(601)를 형성한다.
상기 개폐디스크(601)는 하방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역 V자형 관통공(601a)을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601a)은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체통과공(202)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가려져 소량의 유체를 통과시키게 되고,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체통과공(202) 상부로 노출되어 대량의 유체를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디스크(601)는 상기 유체통과공(202)의 형상과 동일하고, 그 직경은 상기 유체통과공(202)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 정유량 밸브는 유체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는 일반적인 밸브 설치방법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개폐장치(6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폐장치(600)는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상부몸체(200)의 유체통과공(202)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유체통과공(202)을 밀폐하고 있는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상방으로 정해진 거리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체통과공(202) 내주면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상기 개폐디스크(601)의 관통공(601a)이 상기 유체통과공(202)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관통공(601a)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유체를 통과시키는 역 V자형 상기 관통공(601a) 전체가 상기 유체통과공(202) 상부로 노출되어 유체의 흐름량이 증가된다.
반면,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유체를 통과시키는 상기 관통공(601a) 전체가 상기 유체통과공(202) 내주면에 밀폐되거나 혹은 상기 관통공(601a)의 일부가 상기 유체통과공(202) 내주면에 밀폐되어 유체 흐름량이 감소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출구(201)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장치(600)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디스크(601)가 유체통과공(202)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관통공(601a)이 상기 유체통과공(202) 내주면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유체가 통과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후, 상기 하부몸체(100)의 유입구(101)로 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유체가 상기 유도공(102) 및 다이아프램(300)을 통과한 후 상기 유체통과공(202) 및 상기 개폐디스크(601)의 관통공(601a)을 통해 상기 유출구(201)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누름판(302)은 상기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통형디스크(301)를 상기 하부조절장치(500)의 밀폐블럭(501)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유체가 상기 유도공(102) 및 통형디스크(301)를 통해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형디스크(301) 상방으로 벗어난 유체중 일부는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고, 그 중 일부는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향 함몰홈(203)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 사이에 잔류되어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에 상기 유입구(101)측의 압력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통과공(202)을 통해 상기 유출구(201)로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가 상기 배수홈(204)을 통해 상기 하부몸체(100)의 안내공(105)으로 이동되고, 이 안내공(105)을 통해 상기 하부몸체(100)의 하향 함몰홈(104)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향 함몰홈(104) 내에 상기 유출구(201) 측의 압력이 형성된다.
특히, 도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유체량이 증가되면,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향 함몰홈(203)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이 증가되어 상기 유입구(101)와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의 압력이 상승되고, 상기 하부몸체(100)의 하향 함몰홈(104)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이 감소되어 상기 유출구(201)와 상기 하향 함몰홈(104) 내의 압력이 저하된다.
그러면,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의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통형디스크(30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입구(101)측의 개구율이 좁혀지는 것이다.
이때, 하방으로 가압되는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밀폐패킹(303)에 의해 상기 하향 함몰홈(104) 내의 공간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축소된 상기 하향 함몰홈(104) 내의 공간으로 공급되는 유체량이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의 유체량 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상기 유출구(201) 및 하향 함몰홈(104) 내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다이아프램(300)의 통형디스크(301)에 의해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유체량이 감소되면, 상기 상향 함몰홈(203) 내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저하됨과 동시에 상기 하향 함몰홈(104)의 압력이 상승되어 상기 유입구(101)와 유출구(201)의 압력이 조정되는 것이다.
반면,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와 반대로 상기 유입구(101)로 공급되는 유체량이 감소되고, 상기 유출구(201)로 토출되는 유체량이 증가되면, 상기 상향 함몰홈(203)과 상기 하향 함몰홈(104)의 압력 차가 상기와 반대로 적용되어 상기 유입구(101)와 유출구(201)의 압력이 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유도공(102) 내주면에 설치된 필터망(106)을 통과함으로써, 유체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이 상기 필터망(106)에 걸려 필터링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는 유체는 상기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 저면에 충돌된 후 상기 개폐디스크(601)의 관통공(601a)을 통해 측방으로 통과되어 상기 유출구(201)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유입구(101) 및 유출구(201)로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량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밀폐블럭(501)의 관통체결공(501a)으로 노출된 상기 승강막대(502) 말단을 공구(예컨대, 드라이버)등을 이용하여 조이게 되면 상기 승강막대(502)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통과공(202)에 근접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체통과공(202)과 상기 디스크(503) 사이 간격이 좁혀져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는 유체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반면, 유체의 흐름량이 적은 경우 상기 승강막대(502) 말단을 공구등을 이용하여 풀게되면 상기 승강막대(5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통과공(202)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체통과공(202)과 상기 디스크(503) 사이 간격이 벌어져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는 유체량이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를 승강 이동시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되, 하부조절장치(500)의 승강막대(502)를 승강 이동시켜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통과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구조는, 개폐디스크(601)를 승강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통과공(202)이 손쉽게 개폐되고, 유체통과공(202) 개폐여부가 디스크(503)와 유체통과공(202) 사이 간격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하부조절장치(500)가 항시 동일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유체통과공(202)과 디스크(503) 사이 간격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고, 디스크(503)와 유체통과공(202) 사이 간격 파악으로 유체흐름량 조절이 용이하며, 외부에서 하부조절장치(500)의 승강막대(502)를 승강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유체통과공(202)을 통과하는 유체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유체통과공(202)의 개폐와 유체흐름량을 조절하는 하부조절장치(500)의 디스크(503)와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 미숙련자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정유량 밸브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하부몸체 101 : 유입구
102 : 유도공 103 : 단턱
104 : 하향 함몰홈 105 : 안내공
106 : 필터망 200 : 상부몸체
201 : 유출구 202 : 유체통과공
203 : 상향 함몰홈 204 : 배수홈
300 : 다이아프램 301 : 통형디스크
302 : 누름판 303 : 밀폐패킹
400 : 탄성스프링 500 : 하부조절장치
501 : 밀폐블럭 501a : 관통체결공
502 : 승강막대 503 : 디스크
600 : 개폐장치 601 : 개폐디스크
601a : 관통공

Claims (7)

  1.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일측에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구(101)와 연통되는 유도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공(102) 내주면에 단턱(10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100)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부몸체(100) 상부에 체결되고, 일측에 유출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개방된 상부 및 유출구(201)와 연통되어 상기 유도공(102) 내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통과공(20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00);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01)측과 상기 유출구(201)측의 차압에 따라 상부로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하부로 내려앉아 상기 유입구(101)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다이아프램(300);
    일단이 상기 하부몸체(100)의 단턱(103)에 걸리되, 타단이 상기 다이아프램(300)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400);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막대(5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막대(502) 말단에 상기 유체통과공(202)에 근접되거나 혹은 상기 유체통과공(202)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어 상기 유체통과공(202)으로 유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디스크(503)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조절장치(500); 및
    상기 상부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상부몸체(200)의 유체통과공(202)을 개폐시켜 상기 유출구(201)측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디스크(601)를 형성하고 있는 개폐장치(6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는 상면에 환형의 하향 함몰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상기 하향 함몰홈(104)과 연통되어 상기 하향 함몰홈(104)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안내공(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200)는 저면에 환형의 상향 함몰홈(2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구(201) 내주면에 상기 유출구(201)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중 일부를 상기 안내공(105)으로 공급하는 배수홈(20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유도공(102) 내주면에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상기 유도공(102)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환형의 필터망(10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장치(500)는,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럭(50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밀폐블럭(501)의 상면에 상기 승강막대(502)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장치(500)의 밀폐블럭(501)은,
    중앙부에 상기 승강막대(502)를 나선방식으로 체결하는 관통체결공(501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600)의 개폐디스크(601)는,
    하방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역 V자형 관통공(601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00)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도공(102)을 따라 승강 이동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상기 유입구(101)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통형디스크(301)와;
    상기 통형디스크(301)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누름판(302); 및
    상기 누름판(302) 상단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부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패킹(30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정유량 밸브.
KR1020140023528A 2014-02-27 2014-02-27 복합 정유량 밸브 KR10152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28A KR101528531B1 (ko) 2014-02-27 2014-02-27 복합 정유량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28A KR101528531B1 (ko) 2014-02-27 2014-02-27 복합 정유량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531B1 true KR101528531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528A KR101528531B1 (ko) 2014-02-27 2014-02-27 복합 정유량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5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438B1 (ko) * 2006-03-16 2006-09-05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리테이너가 구비된 파일럿 작동형 메인 밸브
JP2006300091A (ja) * 2005-04-15 2006-11-02 Ckd Corp 流体制御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091A (ja) * 2005-04-15 2006-11-02 Ckd Corp 流体制御弁
JP4616059B2 (ja) * 2005-04-15 2011-01-1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制御弁
KR100617438B1 (ko) * 2006-03-16 2006-09-05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리테이너가 구비된 파일럿 작동형 메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8864B (zh) 減壓裝置
KR101764709B1 (ko)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KR101568221B1 (ko)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1528531B1 (ko) 복합 정유량 밸브
CN110440016A (zh) 一种调节阀
KR101437080B1 (ko)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RU2347256C2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с комплексным реверсивным клапаном выпуска давления
JP2010520529A (ja) 流動体流動調節装置
KR100686349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KR101574182B1 (ko)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JP2001263507A (ja) 流量調整弁
CN109139931B (zh) 一种具有稳压结构的闸阀
CN104913094B (zh) 节水装置
KR101306908B1 (ko) 유량조절 밸브 조립체
KR101124475B1 (ko) 유량조절밸브
KR20080095558A (ko) 유량조절카트리지
KR100999391B1 (ko) 워터링 감압밸브
KR20110136279A (ko) 정유량 감압밸브
KR200480010Y1 (ko) 더블플러그 타입형 밸브
KR101799969B1 (ko) 미세유량 조절용 콘트롤 밸브
KR102008502B1 (ko) 감압부 승강 조절이 가능한 감압밸브 어셈블리
KR200482138Y1 (ko) 릴리프 밸브
US9367069B2 (en) Pneumatic leve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