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349B1 -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349B1
KR100686349B1 KR1020050059296A KR20050059296A KR100686349B1 KR 100686349 B1 KR100686349 B1 KR 100686349B1 KR 1020050059296 A KR1020050059296 A KR 1020050059296A KR 20050059296 A KR20050059296 A KR 20050059296A KR 100686349 B1 KR100686349 B1 KR 10068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flow path
hole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060A (ko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동 filed Critical 이규동
Publication of KR2006010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 F16K31/14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요시에는 유체 흐름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정밀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된 제 1챔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과 연결된 제 2챔버와,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공이 구비된 밸브 몸체,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공과 제 2챔버에 연결된 유출공이 구비되고 제 1챔버의 압력에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연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도 차단하는 유로차단수단, 유출공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제 1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 제 2챔버에 설치되며 제 2챔버의 압력에 따라 작동로드를 왕복이동시키는 압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체, 감압밸브, 차단

Description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REDUCING VALVE APPARATUS WITH FLOW SHUTTERING FUN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압밸브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를 정수시스템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시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 몸체 110 : 유입구
120 : 제 1챔버 130 : 제 2챔버
140 : 유출구 150 : 연통공
200 : 압력조절수단 210 : 압력조절수단 몸체
211 : 유입공 213 : 유출공
220 : 제 1다이어프램 230 : 오리피스
300 : 유로차단수단 310 : 플런저
320 : 플런저용 스프링 330 : 전자석
340 : 패킹부재 400 : 작동로드
420 : 헤드부 500 : 압력감지수단
510 : 압력감지수단 몸체 520 : 제 2다이어프램
530 : 조절 스프링 540 : 스프링 지지부재
본 발명은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시에는 유체 흐름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정밀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공간을 줄이는 데 적당하도록 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압밸브장치는 물, 고압증기, 공기, 가스 등의 유체를 감압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유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감압밸브장치는 통상 사하중(死荷重), 스프링, 다이어프램 등에 의해 수시로 변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감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의 유출측이 기설정된 기준압보다 작아지면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고 반대인 경우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축소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구성을 등록특허(등록번호: 10-047385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압밸브장치는 유체의 유출측(1B)과 연결되고 유체의 유입측(1A)과는 연통공(3)에 의해 연결된 감압실(2)을 갖는 밸브 몸체(1)와, 상기 감압실(2)에 설치되어 감압실(2) 내 압력에 따라 승강하는 다이어프램(3) 및 디스크(4)와, 상기 다이어프램(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 스프링(5)과, 상기 감압실(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천공홀(7C)을 갖는 제어 플레이트(7)와, 상기 디스크(4)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4)의 승강 동작에 따라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연통공(1C)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패킹부재(8)와 상기 패킹부재(8)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6)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감압밸브장치는 감압실(2)의 압력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이 반응하여 이와 결합되어 있는 디스크(4)가 승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4)에 결합된 패킹부재(8)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연통공(1C)의 유로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상기 연통공(1C)을 통해 상기 감압실(2)로 이동하는 유량이 조절된다. 즉, 상기 감압실(2)의 압력이 낮은 경우 상기 다이어프램(3) 및 디스크(4)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8)가 하강하면서 연통공(1C)이 넓게 열린다. 그러면 상기 연통공(1C)을 통해 이동하는 유량이 증가된다. 반면에 상기 감압실(2)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 및 디스크(4)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8)가 상승하면서 연통공(1C)의 열려진 상태가 점차 좁아진다. 그러면 상기 연통공(1C)을 통해 이동하는 유량이 감소되어 상기 유출측(1B) 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도 감소된다.
한편, 상기 밸브 몸체(1)의 유출측(1B)을 통해 갑작스러운 역류가 침투하여 역압이 발생하는 경우 역류하는 유체가 상기 제어 플레이트(7)에 형성된 천공홀(7C)을 거치면서 감속되어 상기 다이어프램(3)에 미치는 떨림현상 등의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압밸브장치는, 유체의 유출측 압력에 따라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은 있지만 필요시 강제적으로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능은 없었다. 만일 이러한 차단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밸브 몸체를 구비하고 차단 기능을 갖는 구성이 추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동시에 부피가 커지면서 제품 원가가 상승하고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또한, 종래의 감압밸브장치는 갑자기 역류하는 유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었으나 유입측에서 많은 양의 유체가 갑자기 유입되어 유체 압력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면 이를 즉각 대처할 수 있는 구성상의 대비가 전혀 없었다. 이에 따라 유체의 정압을 정밀하게 유지하는데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에는 유체 흐름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정밀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된 제 1챔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과 연결된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공이 구비된 밸브 몸체와, 상기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공과 상기 제 2챔버에 연결된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에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과, 상기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도 차단하는 유로차단수단과, 상기 유출공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제 2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를 왕복이동시키는 압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증가하며,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챔 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 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차단수단은, 상기 제 1챔버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을 차단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런저용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인근에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플런저용 스프링이 가하는 힘을 극복하고 상기 플런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차단수단은, 상기 플런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타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긴밀하게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입공과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축소하는 압력조절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제 1다이어 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공에 의한 유로는 상기 연통공에 의한 유로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유량이 갑자기 증가하는 순간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출공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오리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잘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오리피스 삽입부와, 상기 오리피스 삽입부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유출공의 직경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커지는 경사부위를 구비하여 타방향 이동시 상기 오리피스 입구와 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출공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끼워져서 상기 오리피스를 고정하고,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타방향 이동시 타측부가 상기 연통공과 밀착되어 유로 축소에 기여하는 컨트롤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제 2챔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작동로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작동로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 스프링과, 상기 조절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 스프링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제공하는 탄성 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
또한, 상기 제 2챔버에 더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안내를 받는 작동로드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압밸브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된 제 1챔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과 연결된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공이 구비된 밸브 몸체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공과 상기 제 2챔버에 연결되고 오리피스가 설치된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축소하는 압력조절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제 1다이어프램과, 상기 유출공의 하측부에 상부가 끼워져서 상기 오리피스를 고정하고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하방향 이동시 하부가 상기 연통공과 밀착되어 유로 축소에 기여하는 컨트롤콘을 포함하는 압력조절수단과, 상기 제 1챔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방향 이동 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을 차단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런저용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인근에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스프링이 가하는 힘을 극복하고 상기 플런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긴밀하게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유로차단수단과, 상기 유출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잘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오리피스 삽입부와, 상기 오리피스 삽입부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유출공의 직경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커지는 경사부위를 구비하여 하방향 이동시 상기 오리피스 입구와 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제 2챔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작동로드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작동로드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 스프링과, 상기 조절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 스프링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제공하는 탄성 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압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에 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증가하고,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는 유입되는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정밀하고 안정되게 조절하여 유출하는 한편, 유체의 흐름을 강제 차단할 수 있는 차단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면서도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를 정수시스템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한 정수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A,10B)가 정수필터(40)와 탱크(30)의 유입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역시 상기 정수필터(40)와 탱크(30)의 수압을 감지하는 가운데 각각의 위치에서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개폐동작을 하여 탱크(30)에서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방지하는 한편 정수필터(40)에서 원활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코크밸브(50)를 개방하여 정수를 유출시키면 탱크(30)에 채워진 정수(F)의 수위가 낮아진다. 그러면 본 발명에 의한 제 2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B)가 이를 감지하고 개방되어 수원(20)으로부터 탱크(30)로 정수가 공급되게 한다. 이때 정수필터(40) 내의 수압이 낮아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제 1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A)가 개방되어 수원(20)에서 정수필터(40) 측으로 적정 유량의 직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 1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A)는 정수필터(40)에서 처리 가능한 용량에 적당하게 제 2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B)와 다른 압력에서 폐쇄동작을 수행한다(예를 들면 제 1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는 약 0.1[Kgf/cm2], 제 2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는 약 [3.0Kgf/cm2]). 이로써 상기 탱크(40)의 수위가 증가하여 설정된 압력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 2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B)가 폐쇄되고, 이에 따라 곧바로 상기 제 1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A)의 유출측 압력도 급격히 증가하므로 제 1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10A) 역시 폐쇄된다. 이같은 정수시스템의 경우 상기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 치(10A,10B)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오버플로우의 위험이 없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강제로 유로를 차단하여 직수의 공급을 막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감압밸브장치가 비데(Bidet)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국부(局部)를 세정하는 세정수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세정력이 최적화되고 사용자는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국부(局部)의 세정이 마쳐지면 유로를 강제 차단하여 세정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시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압밸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제 1챔버(120) 및 제 2챔버(130)를 갖는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를 내부를 거쳐 이동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200)과, 상기 밸브 몸체(100)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차단수단(300)과,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400) 및 압력감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밸브 몸체(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 상기 유입구(110)와 연결된 제 1챔버(120), 상기 제 1챔버(120)와 연통공(150)을 통해 연결된 제 2챔버 (130) 및 상기 제 2챔버(130)와 연결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40)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몸체(100)는 생산과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피스(piece)를 조립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차단수단(300) 나머지 부분들을 구분하여 구성하는 데 적합하도록 두개의 피스(100A,100B 도 3 및 도 4 참조)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챔버(130)에는 상기 작동로드(4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로드(400)의 중간 부위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작동로드 가이드(16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로드 가이드(160)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좌우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200)은 상기 제 1챔버(120)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와 제 1다이어프램(220),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에 설치되는 오리피스(230) 및 컨트롤콘(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는 둘레 부근에 상기 밸브 몸체(100)의 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211)이 형성된다. 이로써, 밸브 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 중 일부는 제 1챔버(120) 내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중앙부에는 제 1챔버(120)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 2챔버(130)로 유출되는 유출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공(213)은 연통공(150)보다 작은 유로를 갖도록 작은 구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유입구(110)에서 과도한 유량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 1챔버(120)로 유입되는 유체가 쉽게 유출되지 못하게 하여 제 1챔버(120)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이처럼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면 압력조절수단 몸체(210)가 하강하여 연통공(150)의 유로를 급격히 축소시키거나 차단하게 되어 제 2챔버(130)로 이동하는 유량이 줄어든다.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은 차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는 상기 제 1챔버(120)의 공간에서 제 1다이어프램(220)의 도움을 받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 중앙부위는 상기 유출공(213)을 중심으로 원추형과 비슷한 형태를 이루면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연통공(150)과 부합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는 상승할수록 상기 연통공(150)을 점차 개방하고 하강할수록 상기 연통공(150)을 점차 폐쇄하여 연통공(150)에 의한 유로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오리피스(230)는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유출공(213)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콘(240)은 상측부가 상기 유출공(213)의 하측에 끼워져서 유출공(213) 내부에 삽입된 상기 오리피스(230)를 안정되게 지지 및 고정하고, 하측부는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연통공(150)의 내부면과 밀착되면서 유로 축소에 기여한다. 즉, 여기서 상기 컨트롤콘(240)의 하측부는 상기 연통공(150)의 내주면 중 가장 좁은 부위에 밀착된다.
상기 제 1다이어프램(220)은 상기 제 1챔버(120)를 가로질러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 1다이어프램(220)은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연통공(150)이 점차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압 력조절수단 몸체(210)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연통공(150)이 점차적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유로차단수단(300)은 상기 제 1챔버(120)에 설치되며, 필요시 사용자가 직접 유로 전체 즉, 상기 유출공(213) 및 연통공(150)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차단수단(300)은 플런저(310), 플런저용 스프링(320), 전자석(330), 패킹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차단수단(300)의 플런저(310)는 상하로 긴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310)은 상기 제 1챔버(120)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방향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유출공(213)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3)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연통공(150)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챔버(120)는 상기 플런저(310)의 왕복이동을 허용하는 수용공간(160)을 갖는다.
상기 플런저용 스프링(320)은 상기 제 1챔버(120)의 플런저 수용공간(160)에서 상기 플런저(3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용 스프링(320)은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3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310)에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석(330)은 상기 플런저(310)에 자력을 미치기 위해 플런저 수용공간(160)의 외측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전자석(330)은 상기 플런저 수용공간(160)의 내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이때는 상기 플런저(310)와 접촉되지 않도록 유격을 두어야 플런저(310)의 이동이 방해를 받지 않는다. 상기 전자석(330)은 통상의 전자석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긴 철편과 상기 철편을 반복적으로 감싼 상태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속을 유도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전자석(330)이 자성을 띠게 되어 상기 플런저(310)가 플런저용 스프링(3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상기 전자석(330)이 작동하여 상기 플런저(310)를 자력에 의해 끌어 올리게 되면 플런저(310)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유출공(214)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수단(300)은 반대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플런저(310)가 상승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자석(330)이 자성을 띠게 되면 상기 플런저(310)가 하강하여 유출공의 입구(214)를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340)는 상기 플런저(3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310)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의 입구(214)를 긴밀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부재(340)는 원활한 밀착을 위해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로드(400)는 상기 압력조절수단(200)과 압력감지수단(5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로드(400)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잘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230)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오리피스 삽입부(410)를 갖는다. 또한 상면으로 갈수록 유출공(213)의 직 경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커진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위(421)를 구비한 헤드부(420)를 갖는다. 이같은 헤드부(420)는 상기 작동로드(400)의 하강시 상기 오리피스(230)의 입구와 밀착되어 상기 유출공(213)을 통해 이동되는 유량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차단한다. 한편 상기 작동로드(400)는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에 결합된다. 이같이 구성된 작동로드(400)는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유출공(213)에 의한 유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400)는 제 1챔버(12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로드(400)가 상승할수록 상기 유출공(213)의 유로가 더 넓게 열리면서 상기 제 1챔버(120)에 대한 유체 유입량보다 유출량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면 제 1챔버(120)의 압력이 감소한다. 반면에 상기 작동로드(400)가 하강할수록 상기 유출공(213)의 유로가 적게 열리면서 상기 제 1챔버(120)의 유체 유입량보다 유출량이 적어지므로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은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400)를 승강할 수 있도록 제 2챔버(130)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 몸체(510)와, 제 2다이어프램(520)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 및 제 2다이어프램(520)의 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힘으로 지지하는 조절스프링(530)과 스프링 지지부재(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는 상기 제 2다이어프램(520)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 2챔버(1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다이어프램(520)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중앙부위(521)에서 상기 작동로드(400) 하단부와 결합된다. 이같이 설치된 상기 제 2다이어프램(520)은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P3)이 낮아짐에 따라 부풀어 오르면서 상기 작동로드(400)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P3)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400)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P3)과 유출측 압력(P4)은 같다.
상기 조절 스프링(530)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에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가 상기 조절 스프링(53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지지된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챔버(130)에서 불규칙하고 갑작스런 압력의 변화가 있어도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승강동작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500)과 연결된 작동로드(400)와 압력조절수단(200)까지도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540)는 상기 조절 스프링(530)의 하측을 지지한 형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540)의 외주면에는 나선(54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540)와 나선결합되는 나선공(551)을 갖는 지지부재용 브래킷(550)이 더 구비된다. 이같은 상기 지지부재용 브래킷(550)의 설치로 상기 조절 스프링(530)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에 가하는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이 작동하는 설정값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의 동작을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먼저, 도 6a는 본 발명의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가 유로차단수단(300)의 플런저(31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감압기능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거의 혹은 완전히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의 상태를 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는 하강된 상태에서 연통공(150)을 막고 있으며 작동로드(400) 역시 하강한 상태에서 그 헤드부(420)가 오리피스(230)에 맞닿아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유출공(213)을 막고 있다. 이처럼 유체 이동을 위한 유로가 최대로 축소된 상태에서는 유입구(110)를 통한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구(140)을 통한 유체의 유출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140)와 연결된 유체 사용처(미도시 됨)에서 유체가 사용되거나 줄어들면서 상기 제 2챔버(130)의 압력(P3, 유출측 압력(P4)과 동일)이 낮아지면 도 6b와 같이 제 2다이어프램(520)이 부풀어 오르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 및 작동로드(400)가 상승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챔버(120) 내에 유체의 흐름(F1)이 발생하게 되어 유출공(213)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작동로드(400)가 더 상승할수록 유출공(213)과의 틈새는 더 벌어지면서 상기 유입공(211)을 통해 상기 제 1챔버(12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보다 상기 유출공(213)을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챔버(120)를 채우고 있는 유체의 양이 줄어들면서 상기 제 1챔버(120) 내의 압력(P2)도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 1챔버(120)의 압력(P2)이 감소하게 되면 도 6c와 같이 제 1다이어프램(220)이 부풀어 오르면서 함께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가 상승하게 되면 차단되어 있던 연통공(150)이 개방되면서 연통공(150)을 통한 유체의 흐름(F2)이 발생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가 보다 상승될수록 상기 연통공(150)의 유로도 더 넓게 개방되어 제 2챔버(130)로 이동하는 유량도 증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챔버(130)에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면서 제 2챔버(130)의 압력(P3) 및 유출측 압력(P4)이 증가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500)의 압력감지수단 몸체(510) 및 제 2다이어프램(520)이 반응하여 하강하면서 작동로드(40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6d와 같이 작동로드(400)의 하강으로 인해 유출공(213)과의 틈새가 좁혀지면서 유입공(211)을 통해 제 2챔버(130)로 유입되는 유량이 유출되는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며, 제 1챔버(120)의 압력(P2)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 1챔버(120)의 압력(P2)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1다이어프램(220)이 반응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는 하강한다. 그러면 도 6e와 같이 하강된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에 의해 상기 연통공(150)의 유로가 축소되어 상기 제 2챔버(130)로 유입되는 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전술된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 2챔버(130) 및 유출측의 압력(P3,P4)은 중간 중간에 미세하고 불규칙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게 되며 그 때마다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510) 및 제 2다이어프램(520)이 변화되는 압력에 대해 수시로 반응하면서 상기 작동로드(400)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동로드(400)의 승강에 따라 제 1챔버(120)의 압력이 조절되고, 이러한 제 1챔버(120)의 압력 변화는 즉시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의 승강으로 반영되어 상기 제 2챔버(130)로 유입되는 유량이 조절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는 제 2챔버(130)의 압력(P3) 또는 유출측 압력(P3)에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신속하게 조절하여 정압상태로 유체를 유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 스프링(530)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를 적당한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챔버(130)에서 불규칙하고 갑작스런 압력변화가 있더라도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510) 및 작동로드(40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승강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챔버(130)에서 불규칙하고 갑작스런 압력의 변화가 있어도 방해받지 않고 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입구(110)를 통해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어 는 경우, 상기 제 1챔버(120)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제 1챔버(120)의 압력(P2)도 순간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면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20)가 즉시 하강하여 연통공(150)의 유로를 축소하면서 제 2챔버(130)로 유입되는 유량을 순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처럼 갑작스럽게 연통공(150)의 유로가 축소된 상태의 모습은 도 6a 또는 도 6e에 도시된 모습과 다르지 않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유체가 과도한 압력으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려는 경우 초기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상기 제 2챔버(130)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기에 조절한다.
도 6f는 유로차단수단(300)의 플런저가 하강하여 상기 유출공(213)을 차단(실제로는 패킹부재(340)가 유출공의 입구(214)를 밀착하여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210)을 하강시켜 상기 연통공(150)도 차단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 같은 상태는 상기 전자석(330)이 자성을 띠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310)가 플런저용 스프링(320, 도 5참조)에 의해 밀리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그러나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330)이 자성을 띠게 되면 상기 플런저(310)가 상승하면서 상기 유출공(213) 및 연통공(150)의 유로가 개방되고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입측 압력(P1), 제 1챔버(120)의 압력(P2) 및 제 2챔버(130)의 압력(P3)(혹은 유출측 압력(P4))의 압력에 대응하여 흐르는 유량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감압밸브장치는 강제로 유로를 강제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는 유체 압력 조절 기능과 차단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면서도 그 구성이 단순하고 부피가 작다.
본 발명은 유체 압력 조절 기능가 차단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는 동시에 부피가 작기 때문에 유체를 정압으로 유출하는 정압작용 및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기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치 및 개소에 손쉽게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압력변화들에 대하여 신속히 대응하면서 유체의 유출되는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에 이를 자체적으로 신속히 차단하고 유체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로를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유로를 차단하여 유체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된 제 1챔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과 연결된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공이 구비된 밸브 몸체와;
    상기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공과 상기 제 2챔버에 연결된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에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과;
    상기 제 1챔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도 차단하는 유로차단수단과;
    상기 유출공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제 2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를 왕복이동시키는 압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증가하며,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수단은,
    상기 제 1챔버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을 차단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런저용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인근에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플런저용 스프링이 가하는 힘을 극복하고 상기 플런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차단수단은, 상기 플런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타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긴밀하게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입공과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축소하는 압력조절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제 1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에 의한 유로는 상기 연통공에 의한 유로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유량이 갑자기 증가하는 순간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출공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오리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잘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오리피스 삽입부와, 상기 오리피스 삽입부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유출공의 직경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커지는 경사부위를 구비하여 타방향 이동시 상기 오리피스 입구와 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유출공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끼워져서 상기 오리피스를 고정하고,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타방향 이동시 타측부가 상기 연통공과 밀착되어 유로 축소에 기여하는 컨트롤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제 2챔버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작동로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작동로드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 스프링과;
    상기 조절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 스프링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제공하는 탄성 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챔버에 더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안내를 받는 작동로드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12.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결된 제 1챔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과 연결된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와 제 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공이 구비된 밸브 몸체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공과 상기 제 2챔버에 연결되고 오리피스가 설치된 유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챔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축소하는 압력조절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 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고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는 제 1다이어프램과, 상기 유출공의 하측부에 상부가 끼워져서 상기 오리피스를 고정하고 상기 압력조절수단 몸체의 하방향 이동시 하부가 상기 연통공과 밀착되어 유로 축소에 기여하는 컨트롤콘을 포함하는 압력조절수단과;
    상기 제 1챔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이동시켜 연통공을 차단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런저용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인근에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스프링이 가하는 힘을 극복하고 상기 플런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유출공을 긴밀하게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유로차단수단과;
    상기 유출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잘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오리피스 삽입부와, 상기 오리피스 삽입부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유출공의 직경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커지는 경사부위를 구비하여 하방향 이동시 상기 오리피스 입구와 밀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제 2챔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 몸체와,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작동로드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작동로드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 스프링과, 상기 조절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 스프링이 상기 압력감지수단 몸체에 제공하는 탄성 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압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확장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증가하고, 상기 유로차단수단이 상기 유출공 및 연통공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 2챔버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 1챔버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상기 연통공의 유로를 축소하여 상기 제 2챔버로 이동하는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KR1020050059296A 2005-03-24 2005-07-01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KR100686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700 2005-03-24
KR1020050024700 200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60A KR20060103060A (ko) 2006-09-28
KR100686349B1 true KR100686349B1 (ko) 2007-02-22

Family

ID=3762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96A KR100686349B1 (ko) 2005-03-24 2005-07-01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48B1 (ko) 2007-11-09 2009-09-11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정수기의 수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502B1 (ko) * 2018-01-30 2019-08-09 주식회사 제일전자 감압부 승강 조절이 가능한 감압밸브 어셈블리
CN114087374B (zh) * 2021-11-18 2023-09-05 新乡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膜片和电磁阀联合控制的分体式加油阀
KR20240106642A (ko) 2022-12-29 2024-07-08 코웨이 주식회사 감압밸브, 이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정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399A (en) 1974-04-11 1976-03-23 Atos Oleodinamica S.P.A. Electrically modulated hydraulic-pressure regulating valve
JPH0520107U (ja) * 1990-12-28 1993-03-12 栗本商事株式会社 止水機能付き水道用減圧弁
KR940020935U (ko) * 1993-02-18 1994-09-17 유압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JPH08285097A (ja) * 1995-04-11 1996-11-01 Toto Ltd 減圧流調弁
JPH09244749A (ja) * 1996-03-05 1997-09-19 Fuji Seiko Kk 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399A (en) 1974-04-11 1976-03-23 Atos Oleodinamica S.P.A. Electrically modulated hydraulic-pressure regulating valve
JPH0520107U (ja) * 1990-12-28 1993-03-12 栗本商事株式会社 止水機能付き水道用減圧弁
KR940020935U (ko) * 1993-02-18 1994-09-17 유압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
JPH08285097A (ja) * 1995-04-11 1996-11-01 Toto Ltd 減圧流調弁
JPH09244749A (ja) * 1996-03-05 1997-09-19 Fuji Seiko Kk 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48B1 (ko) 2007-11-09 2009-09-11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정수기의 수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60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6901A (en) Pressure-actuated valve with metering choke
KR100686349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KR101654873B1 (ko) 액츄에이터용 볼륨 부스터
US20020153044A1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with plural outlet float valve
KR101068991B1 (ko) 릴리프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쇽업소버
JP3947392B2 (ja) リリーフバルブ
KR200288461Y1 (ko) 유압 실린더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KR200395625Y1 (ko) 유체 압력 조절밸브
KR102008502B1 (ko) 감압부 승강 조절이 가능한 감압밸브 어셈블리
KR100662051B1 (ko) 유체 압력 조절밸브
JPH07291396A (ja) 充填バルブ
KR20070002369A (ko) 액체제어밸브
KR100652483B1 (ko) 유량조절밸브
KR200216890Y1 (ko) 감압밸브
KR200379895Y1 (ko) 솔레노이드밸브
KR101235812B1 (ko) 고압기체용 감압 조정장치
KR20060101840A (ko)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
KR200156356Y1 (ko) 급수 제어장치
KR101528531B1 (ko) 복합 정유량 밸브
KR200250705Y1 (ko) 정수기용 감압 밸브
KR200226715Y1 (ko)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0580566B1 (ko) 유압 레귤레이터
KR101864802B1 (ko) 직수형 플러쉬 밸브
KR200252479Y1 (ko) 수도용 감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