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493B1 -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493B1
KR101528493B1 KR1020090059572A KR20090059572A KR101528493B1 KR 101528493 B1 KR101528493 B1 KR 101528493B1 KR 1020090059572 A KR1020090059572 A KR 1020090059572A KR 20090059572 A KR20090059572 A KR 20090059572A KR 101528493 B1 KR101528493 B1 KR 10152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terference
channels
intermodul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38A (ko
Inventor
유현석
백인권
강병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493B1/ko
Priority to US12/828,520 priority patent/US8355684B2/en
Priority to CA2766991A priority patent/CA2766991C/en
Priority to MX2011012737A priority patent/MX2011012737A/es
Priority to PCT/KR2010/004270 priority patent/WO2011002235A2/en
Publication of KR2011000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슬립 상태 시, 채널 스캐너가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혼변조 예측부가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예측하고, 액티브 상태 시, 채널 선택부가 채널들에서 혼변조 간섭치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기는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추정하여 고려함으로써, 채널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송, 채널, 수신 전계 강도, 혼변조, 간섭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ANNEL IN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서비스(broadcasting service)는 본격적인 디지털(digital)화, 광대역(Very High Frequency; VHF/ Ultra High Frequency; UHF)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Television),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휴대용 방송 기기 등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방송 서비스는 방송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채널들을 통해 제공된다. 즉 방송 송신기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송 수신기는 다수개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하여,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기는 채 널 별 수신 전계 강도 또는 수신 전계 강도와 잡음에 따른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를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채널은 다른 채널들에 비해, 수신 전계 강도가 최고이거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가 최고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가 통신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채널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방송 시스템에서 특정 채널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로부터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수신기는 채널을 선택한 다음, 채널을 이용하는데 간섭을 고려할 뿐, 채널을 선택하는데 간섭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은, 장슬립 상태 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추정하는 과정과, 액티브 상태 시,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추정 과정은, 상기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예측 과정은,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한 쌍의 다른 채널들의 주파 수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들로부터의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1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2
은 상기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3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4
는 상기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5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6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7
은 상기 채널 별 인덱스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예측 과정은,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의 전력 이득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이득에 따라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억제하기 위한 혼변조 억제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산출 과정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는 과정이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8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09
는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0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1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2
는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나타낸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은,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상기 특정 채널에 인접한 다른 채널의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인접 간섭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결정된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이면,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3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4
은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5
는 상기 특정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6
은 상기 특정 채널의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7
은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8
는 상기 배경 잡음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상기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채널 스캐너와,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예측하기 위한 혼변조 예측부와,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가 최소인 어 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예측부는,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한 쌍의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19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0
은 상기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1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2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3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4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5
은 상기 채널 별 인덱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예측부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의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이득에 따라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억제하기 위한 혼변조 억제치를 파악하며,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여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6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7
는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8
Figure 112009040113136-pat00029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0
는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는,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상기 특정 채널에 인접한 다른 채널의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인접 간섭치를 산출하기 위한 인접 산출부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결정된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이면,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상기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1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2
은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3
는 상기 특정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4
은 상기 특정 채널의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5
은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6
는 상기 배경 잡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은,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채널 별 간섭을 추정하여 고려한다. 즉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통해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 나아가 인접 간섭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여, 채널을 선택하는데 고려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채널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방송 시스템은 방송 송신기(100) 및 방송 수신기(300)로 이루어진다. 방송 송신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널들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채널들은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에 따라 구분된다. 여기서, 방송 송신기(100)는 각각의 채널에서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 또는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방송 데이터(broadcasting data)를 송신한다. 방송 수신기(300)는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다. 즉 방송 수신기(300)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최적의 채널을 결정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300)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scan)하여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시스템에서 특정 채널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로부터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방송 송신기(100)가 다수개의 채널들을 통해 방송 데이터 송신 시, 인접한 채널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 번째 채널에 N-1 번째 채널 또는 N+1 번째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송 데이터가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는 N 번째 채널에 N-2 번째 채널 및 N-1 번째 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혼변조(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에 의해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는 N 번째 채널에 N+1 번째 채널 및 N+2 번째 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혼변조에 의해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서 혼변조 간섭 검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기(300)는 데이터 수신부(data receiving unit; 310), 데이터 처리부(data processing unit; 320), 제어부(controlling unit; 330) 및 메모리(memory unit; 3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방송 수신기(300)의 무선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수신부(310)는 무선 저잡음 증폭기(Radio Frequency Low-Noise Amplifier; RF LNA; 311), 믹서(Mixer; 313), 채널 선택 필터(Channel Selection filter; 315) 및 기저대역 가변 이득 증폭기(BaseBand Variable Gain Amplifier; BB VGA; 317)를 구비한다. 무선 저잡음 증폭기(311)는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되 잡음을 낮게 유지시킨다. 즉 무선 저잡음 증폭기(311)는 방송 신호에서 잡음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킨다. 믹서(313)는 방송 신호에 발진 신호를 믹싱한다. 채널 선택 필터(315)는 특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채널들의 방송 신호를 여과시킨다. 기저대역 가변 이득 증폭기(317)는 특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 때 무선 저잡음 증폭기(3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모델링(modeling)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저잡음 증폭기(311)는 볼테라 시리즈(Volterra series)와 같은 다항식, 즉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7
'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채널의 방송 신호 통과 시, 채널 선택 필터(315)는 특정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예컨대 'f1' 및 'f2'에 해당하는 다른 채널들의 방송 신호에 의한 간섭 신호, 즉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8
'을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간섭 신호는 다른 채널들의 방송 신호 혼변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특정 채널의 주파수가 다른 채널의 주파수, 다시 말해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39
' 또는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0
'와 동일하면, 특정 채널에서 다른 채널들의 혼변조에 의한 간섭이 작용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방송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321),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AGC; 323), 복조기(Demodulator; 325), 복호기(Decoder; 327)를 구비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21)는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한다. 자동 이득 제어기(323)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 전력이 기준 전력으로 유지되도록 전력 이득(Gain; G)을 산출하고, 데이터 수신부(310)를 제어한다. 복조기(325)는 방송 데이터를 복조화하고, 복호기(327)는 방송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어부(330)는 방송 수신기(3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채널 스캐너(Channel scanner; 331), 혼변조 예측부(IMD estimator; 333) 및 채널 선택부(channel selector; 335)를 구비한다. 채널 스캐너(331)는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해 무선 수신이 가능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한다. 이 때 채널 스캐너(331)는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혼변조 예측부(333)는 채널 별 간섭을 추정한다. 그리고 혼변조 예측부(333)는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추정할 수 있다. 채널 선택부(335)는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하도록 데이터 수신부(310)에 통보한다. 즉 방송 데이터의 수신 성능이 미리 결정된 기준 성능 이하로 열화되면, 제어부(330)가 채널을 결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 서비스 리스트(service list),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등으로 이루어지는 채널 정보 테이블(channel information table)을 관리한다.
메모리(3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방송 수신기(3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채널 결정 절차는, 제어부(330)가 511단계에서 데이터 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후 채널 스캔 주기가 경과되면, 제어부(330)가 5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5단계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330)는 방송 송신기(100)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개, 예컨대 M 개의 채널들을 스캔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채널 별 서비스 리스트(service list)를 파악하여, 채널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메모리(340)는 하기 <표 1>과 같이 채널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채널 인덱스
(channel index)
수신 전계 강도 - 서비스 리스트
0 -35 - Program A, B
1 -78 - N/A
2 -57 - Program C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1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2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3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4
N-1 -65 - N/A
N -88 - Program B
N+1 -45 - Program C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5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6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7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8
M-1 -67 - Program F
이와 같이, 제어부(330)가 채널을 스캔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에서 채널 스캔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채널 스캔 주기 경과한 다음, 슬립 상태(sleep state)로 전환 시, 제어부(330)는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슬립 상태로 장슬립(long sleep)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장슬립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615단계에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채널 별 서비스 리스트를 파악할 수 있다. 이 후 슬립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active state)로 전환 시, 제어부(330)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5로 리턴한다.
이어서, 제어부(330)는 517단계에서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N 번째 채널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첫 번째 채널, 예컨대 채널 인덱스 '0'을 N 번째 채널로 설정하여 확인한다.
계속해서, 제어부(330)는 519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결정된 최저 임계치(minimum threshold; TH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최저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521단계에서 수신 전계 강도를 사용하여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Estimated SINR; ESINR)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0
은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1
는 배경 잡 음(thermal background noise level)을 나타낸다.
한편, 519단계에서 최저 임계치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523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가 최고 임계치(maximum threshold; TH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최고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525단계에서 간섭을 예측하여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30)가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5에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산출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가 최고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330)는 711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인접 채널들로부터 인접 간섭치(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CI)를 산출한다. 이는 채널 선택 필터(315)에서 완전하게 여과되지 않으면, 인접 채널의 방송 신호가 N 번째 채널에 간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때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인접 채널들, 즉 N-1 번째 채널 또는 N+1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인접 간섭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인접 간섭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2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3
여기서,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4
은 N-1 번째 채널에서 N 번째 채널로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5
은 N-1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6
은 N+1 번째 채널에서 N 번째 채널로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7
은 N+1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8
는 채널 선택 필터(315)의 필터링 가능치(filter loss)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713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전력 이득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전력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715단계에서 전력 이득에 따른 혼변조 억제치(IMD suppression; IMDS)를 파악한다. 즉 제어부(330)는 혼변조에 의한 간섭의 제거 가능치를 파악한다. 이 때 메모리(340)는 전력 이득에 따른 혼변조 억제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59
여기서,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0
는 자동 이득 제어기(323)에 미리 결정된 기준 전력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717단계에서 임의의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채널 인덱스 '0' 내지 'M-1'에 해당하는 M 개의 채널들 중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L은 K 보다 큰 수일 수 있으며, 작은 수 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719단계에서 N 번째 채널 및 L 번째 채널과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비교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L 번째 채널의 주파수의 두 배에서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감한 결과가 N 번째 채널의 주파수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N 번째 채널 및 L 번째 채널과 K 번째 채널의 주파수가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1
여기서,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2
은 N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3
은 L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4
는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719단계에서 L 번째 채널의 주파수의 두 배에서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감한 결과가 N 번째 채널의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721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로부터 혼변조 간섭치(IMD Interference; IDI)를 산출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330)는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여,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5
여기서,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6
은 L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7
는 K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723단계에서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이 다수개의 쌍으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이 다수개, 예컨대 C 개의 쌍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725단계에서 N 번째 채널에서 C 개의 혼변조 간섭치 총합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혼변조 간섭치의 총합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8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727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 다음, 도 5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인접 간섭치 및 혼변조 간섭치를 사용하여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69
한편, 523단계에서 최고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 는 527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가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529단계에서 수신 전계 강도를 사용하고 간섭을 예측하여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30)가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5에서 다른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산출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가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어부(330)는 811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인접 채널들로부터 인접 간섭치를 산출한다. 이는 채널 선택 필터(315)에서 완전하게 여과되지 않으면, 인접 채널의 방송 신호가 N 번째 채널에 간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때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인접 채널들, 즉 N-1 번째 채널 또는 N+1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인접 간섭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인접 간섭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0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1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813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전력 이득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5>와 같이 전력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815단계에서 전력 이득에 따른 혼변조 억제치 를 파악한다. 즉 제어부(330)는 혼변조에 의한 간섭의 제거 가능치를 파악한다. 이 때 메모리(340)는 전력 이득 대응 혼변조 억제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이득 정보 테이블에서 전력 이득에 대응하는 혼변조 억제치를 파악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2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817단계에서 임의의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채널 인덱스 '0' 내지 'M-1'에 해당하는 M 개의 채널들 중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L은 K 보다 큰 수일 수 있으며, 작은 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819단계에서 N 번째 채널 및 L 번째 채널과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비교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L 번째 채널의 주파수의 두 배에서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감한 결과가 N 번째 채널의 주파수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N 번째 채널 및 L 번째 채널과 K 번째 채널의 주파수가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3
다음으로, 819단계에서 L 번째 채널의 주파수의 두 배에서 K 번째 채널의 주파수를 감한 결과가 N 번째 채널의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 는 821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로부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로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330)는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여,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7>과 같이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4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823단계에서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이 다수개의 쌍으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L 번째 채널 및 K 번째 채널이 다수개, 예컨대 C 개의 쌍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825단계에서 N 번째 채널에서 C 개의 혼변조 간섭치 총합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8>과 같이 혼변조 간섭치의 총합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5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827단계에서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 다음, 도 5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수신 전계 강도, 인접 간섭치 및 혼변조 간섭치를 사용하여 N 번째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하기 <수학식 19>와 같이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6
계속해서, 제어부(330)는 531단계에서 N을 1 만큼 증가시킨 다음, N 번째 채널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533단계에서 N이 M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M 개의 채널들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모두 산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N이 M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30)는 519단계 내지 533단계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추가하여, 채널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메모리(340)는 하기 <표 2>와 같이 채널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채널 인덱스 수신 전계 강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추정치 서비스 리스트
0 -35 3.5 Program A, B
1 -78 N/A N/A
2 -57 12 Program C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7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8
Figure 112009040113136-pat00079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0
N-1 -65 N/A N/A
N -88 7.4 Program B
N+1 -45 17.1 Program C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1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2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3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4
M-1 -67 8 Program F
마지막으로, 제어부(330)는 535단계에서 최적의 채널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330)는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비교하여, M 개의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 채널들을 그룹화한 다음, 특정 그룹의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채널들에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가 최고인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rogram C'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 요구 시, 제어부(330)는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 'Program C'에 대응하는 채널 인덱스 '2' 및 'N+1'을 파악하고, 채널 인덱스 '2' 및 'N+1'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채널 인덱스 'N+1'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30)는 537단계에서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30)는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수신 전계 강도가 최고인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30)는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인접 간섭치 또는 혼변조 간섭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30)는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수신 전계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인접 간섭치 또는 혼변조 간섭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낮은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기가 채널 별 인접 간섭치를 산출한 다음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하여,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기가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한 다음 인접 간섭치를 산출하여,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방송 수신기가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한 다음, 다수개의 채널들 중 일부에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택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기가 다수개의 채널들 중 일부에서 제한적으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 및 비교하여 최적의 채널을 선택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방송 수신기가 채널 정보 테이블에서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 채널들을 그룹화한 다음, 특정 그룹의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방송 수신기가 슬립 상태에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고, 액티브 상태에서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산출하여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립 상태에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산출하고, 액티브 상태에서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슬립 상태에서 채널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뿐, 액티브 상태에서 채널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기는 다수개의 채널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채널 별 간섭을 추정하여 고려한다. 즉 방송 수신기는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통해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 나아가 인접 간섭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송 수신기는 채널 별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의 추정치를 산출하여, 채널을 선택하는데 고려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채널 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 혼변조 간섭 검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5에서 채널 스캔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도 5에서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산출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8은 도 5에서 다른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산출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15)

  1.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장슬립 상태 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추정하는 과정과,
    액티브 상태 시,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추정 과정은,
    상기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예측 과정은,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한 쌍의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20>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들로부터의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5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6
    은 상기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7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8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89
    ,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0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1
    은 상기 채널 별 인덱스를 나타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예측 과정은,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의 전력 이득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이득에 따라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억제하기 위한 혼변조 억제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혼변조 간섭치 산출 과정은,
    하기 <수학식 21>과 같이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2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3
    는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4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5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6
    는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나타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예측 과정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쌍이 다수개이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의 총합을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 추정 과정은,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상기 특정 채널에 인접한 다른 채널의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인접 간섭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결정된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이면, 하기 <수학식 22>와 같이 상기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7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8
    은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099
    는 상기 특정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0
    은 상기 특정 채널의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1
    은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2
    는 배경 잡음을 나타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산출 과정은,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최저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최고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방법.
  9.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에 있어서,
    장슬립 상태 시, 다수개의 채널들을 스캔하여 상기 채널 별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채널 스캐너와,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채널 별 혼변조 간섭치를 예측하기 위 한 혼변조 예측부와,
    액티브 상태 시,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예측부는,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한 쌍의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23>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3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4
    은 상기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5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6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7
    ,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8
    Figure 112009040113136-pat00109
    은 상기 채널 별 인덱스를 나타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예측부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의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이득에 따라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억제하기 위한 혼변조 억제치를 파악하며, 하기 <수학식 24>와 같이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 평균치에서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감하여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0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1
    는 상기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2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3
    은 상기 다른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4
    는 상기 혼변조 억제치를 나타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변조 예측부는,
    상기 다른 채널들의 쌍이 다수개이면,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혼변조 간섭치의 총합을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에서 특정 채널과 상기 특정 채널에 인접한 다른 채널의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채널에서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의 인접 간섭치를 산출하기 위한 인접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 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결정된 최저 임계치 이상이고 최고 임계치 미만이면, 하기 <수학식 25>와 같이 상기 채널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채널들에서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가 최소인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5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6
    은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7
    는 상기 특정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8
    은 상기 특정 채널의 혼변조 간섭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19
    은 상기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인접 간섭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040113136-pat00120
    는 배경 잡음을 나타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상기 최저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신 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최고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를 상기 혼변조 간섭치 및 인접 간섭치를 사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결정 장치.
KR1020090059572A 2009-07-01 2009-07-01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52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72A KR101528493B1 (ko) 2009-07-01 2009-07-01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US12/828,520 US8355684B2 (en) 2009-07-01 2010-07-01 Channel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roadcast reveiver
CA2766991A CA2766991C (en) 2009-07-01 2010-07-01 Channel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roadcast receiver
MX2011012737A MX2011012737A (es) 2009-07-01 2010-07-01 Aparato y metodo de determinacion de canal de receptor de radiodifusion.
PCT/KR2010/004270 WO2011002235A2 (en) 2009-07-01 2010-07-01 Channel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roadcast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72A KR101528493B1 (ko) 2009-07-01 2009-07-01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38A KR20110002138A (ko) 2011-01-07
KR101528493B1 true KR101528493B1 (ko) 2015-06-17

Family

ID=4341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572A KR101528493B1 (ko) 2009-07-01 2009-07-01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5684B2 (ko)
KR (1) KR101528493B1 (ko)
CA (1) CA2766991C (ko)
MX (1) MX2011012737A (ko)
WO (1) WO20110022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810A1 (zh) * 2012-06-06 2013-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址接入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74637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822574A (zh) * 2016-12-02 2018-06-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配對方法及其系統
US10205647B2 (en) * 2017-01-26 2019-02-12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on between multiple redundant data streams
US10985951B2 (en) 2019-03-15 2021-04-20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Integrating Volterra series model and deep neural networks to equalize nonlinear power amplifiers
ES2964085T3 (es) * 2019-12-30 2024-04-04 Rohde & Schwarz Método y sistema de control de tráfico aéreo para seleccionar la mejor señal de radio
US11606281B2 (en) 2021-05-20 2023-03-14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Real-time digital data degradation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83A (en) * 1895-07-02 Henry t
KR20090023967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062204B1 (ko) * 2006-10-04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804B1 (ko) * 2007-11-27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자동 변경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548A (en) * 1989-12-19 1992-09-15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of monitoring cellular radio channels to avoid adjacent and co-channel interference
US5044010A (en) * 1990-03-29 1991-08-27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vailable communication channel for a cordless telephone
US5418839A (en) * 1990-04-13 1995-05-23 Phonemate, Inc. Environmental adaptive mechanism for channel utilization in cordless telephones
US5197093A (en) * 1990-04-13 1993-03-23 Phonemate, Inc. Enviromental adaptive mechanism for channel utilization in cordless telephones
US6678508B1 (en) * 2000-02-07 2004-01-13 Ericsson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two receivers
US20040259502A1 (en) 2003-06-19 2004-12-23 Weidner Michael 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M interference effects in two-way radio subscriber units
KR100612655B1 (ko) * 2004-01-02 2006-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면모드 단말에 대한 트래픽 공지와 채널 적응 방법 및장치
US20060084444A1 (en) * 2004-10-20 2006-04-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cognitive transceiver for ad hoc networking
KR100740170B1 (ko) 2006-03-17 2007-07-18 한국과학기술원 이종무선통신 간의 상호간섭조절 장치 및 방법
US7643791B2 (en) 2007-01-12 2010-01-05 Airorlit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igna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83A (en) * 1895-07-02 Henry t
KR101062204B1 (ko) * 2006-10-04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3967A (ko) * 2007-09-03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405804B1 (ko) * 2007-11-27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자동 변경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66991A1 (en) 2011-01-06
WO2011002235A3 (en) 2011-04-21
US8355684B2 (en) 2013-01-15
WO2011002235A2 (en) 2011-01-06
US20110003570A1 (en) 2011-01-06
MX2011012737A (es) 2011-12-16
CA2766991C (en) 2017-10-03
KR20110002138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493B1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결정 장치 및 방법
US8396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radio frequency filtering
TWI434521B (zh) 用於無線通訊之可適性接收方法
US6944427B2 (en) Reduced crossmodulation operation of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US8086204B2 (en) Radio receiving apparatus
EP2663982B1 (en) Methods of receiving multiple carriers using different RF mixer frequencies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s
US201403075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v white space spectrum sensing
CA2582366C (en) Mitiga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ing channel power estimation and attenuation in a two-way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20070049227A1 (en) Noise blanker control
US9088328B2 (en) Recei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0975099A2 (en)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KR100690608B1 (ko) 무선 av 기기의 채널 선택 방법
WO2011091250A1 (en) Automatic gain control in radio frequency receivers
JP4456635B2 (ja) 複数の無線通信サービ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238358A1 (en) Adjacent channel power scan
EP13503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level of rf signals based upon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mory
US11405813B2 (en) Radio link monitoring (RLM) procedures in new radio unlicensed bands (NR-U)
CN116208181A (zh) 多载波接收方法以及多载波接收机
US109313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intermodulation performance of receivers
KR101332051B1 (ko) 신호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 이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50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66367A (ja) 高周波受信機および隣接妨害波の低減方法
KR20100056288A (ko) 대역내 주파수 간섭을 개선한 방송 수신기 및 그 이득 제어방법
JP4039424B2 (ja) 受信装置及び表示装置
JP4542673B2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