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73B1 -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Google Patents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673B1 KR101527673B1 KR1020140000023A KR20140000023A KR101527673B1 KR 101527673 B1 KR101527673 B1 KR 101527673B1 KR 1020140000023 A KR1020140000023 A KR 1020140000023A KR 20140000023 A KR20140000023 A KR 20140000023A KR 101527673 B1 KR101527673 B1 KR 101527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main body
- present
- sealing portion
- adhes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여 내부에 안치된 유골분의 부패나 변색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도자기 재질의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0), 밀봉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되,
유입부는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봉부는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의 유입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부(4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100), 밀봉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되,
유입부는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봉부는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의 유입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부(4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여 내부에 안치된 유골분의 부패나 변색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도자기 재질의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전통적으로 화장보다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근래에는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매장의 선호도가 점차 낮아지고 화장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망자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서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납골당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통상 화장은 화장장에서 망자의 시신을 화장시키고, 화장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여 별도의 납골함에 안치한 후 에 납골당에 보관한다.
상기 납골함은 도자기, 유리, 석재,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조적으로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본체와 뚜껑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 및 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써,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이 초래되고, 이에 따라 유골분의 장기간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619234호(이하 선행기술 1)에는 내부 납골함과, 상기 내부 납골함을 내포하고 있는 외부 납골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납골함의 내부를 진공 처리하거나 질소 가스로 가압하고, 상기 외부납골함의 내부에 상기 내부 납골함을 내포하여 진공 처리하거나 질소 가스로 가압함으로써 이중 잠금 장치로 이루어진 진공 가압 방식의 밀폐구조를 갖는 납골함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은 몸체와 뚜껑의 분리가 되지 않고, 그로 인해 내부에 공기가 접할 수 없어 골분의 부패에 따른 세균과 벌레의 번식을 막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납골함의 위생 상태와 자연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 안치되는 납골함의 특징에 의하여 진공처리나 질소 가스의 경우에는 서서히 누출되어 결국에는 골분이 망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0-0116075(이하 선행기술 2)에는 내함과 외함의 이중으로 된 납골함에 있어서, 외함은 기존의 어떠한 재질과 디자인(모양)으로 된 납골함을 그대로 사용하며, 내함은 그 재질이 항균성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형성된 납골함에 유골분을 넣고 내함을 80℃이상의 열수에 담근 상태에서 본 발명의 승화성 멸균제를 유골분 주위에 소량 넣고, 연소물을 유골분 위에 놓아서 연소시킨 후, 즉시, 내함의 뚜껑을 닫고 열수에서 꺼내어 밀봉함으로써 영원히 납골함 내부를 진공의 상태와 멸균상태로 유지하고, 외함의 안쪽에 안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진공 납골함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두 개의 납골함의 구성으로 유골의 보존 상태를 향상시키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그 구조와 유골의 안치 절차가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오랜 기간 방치되는 경우 진공이 현저히 떨어져 초기 납골함의 보관 성능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 1의 장기간 안치되는 납골함의 특징에 의하여 진공처리나 질소 가스의 경우에는 서서히 누출되어 결국에는 골분이 망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 2의 구조의 복잡함과 유골의 안치 절차가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오랜 기간 방치되는 경우 진공이 현저히 떨어져 초기 납골함의 보관 성능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납골을 납골함에 안치하는 경우, 화장 후의 높은 온도의 유골을 납골함에 안치하고 뚜껑을 막는 경우(접착제를 사용하여 막는 경우도 동일함) 후에 납골함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내려가게 되어 뚜껑이 납골함 내부로 빠지거나 또는 뚜껑과 납골함 사이의 접착제가 떨어져서 틈이 발생하여 결국 납골함 내부로 공기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결과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이 초래되고, 이에 따라 유골분의 장기간 보관이 어렵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100), 밀봉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되,
유입부는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봉부는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체의 유입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부(4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은 화장 후의 높은 온도의 유골을 납골함에 안치하고 뚜껑을 막는 경우(접착제를 사용하여 막는 경우도 동일함) 후에 납골함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냉각되어 뚜껑이 납골함 내부로 빠지거나 또는 뚜껑과 납골함 사이의 접착제가 떨어져서 틈이 발생하여 결국 납골함 내부로 공기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결과로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그에 따라 종래의 납골함이 유골분을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은 구조가 단순하고 유골의 안치 절차가 복잡한 단점을 해결하며, 또한 오랜 기간 방치되는 경우 진공이 현저히 떨어져 초기 납골함의 보관 성능보다 떨어지는 문제점을 말끔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납골함은 화장장에서 바로 나온 높은 온도의 유골을 납골함에 안치하여도 골분이 망실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공기 및 습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여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의 염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 유골분을 장기간 보관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전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밀봉부의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실시 개념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거치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실시 개념도.
도 2d는 본 발명의 납골함의 밀봉부를 하면부에서 본 상태도.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를 하면부에서 본 상태도.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작용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본체의 유입부의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본체의 걸림부가 형성된 유입부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밀봉부의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실시 개념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거치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실시 개념도.
도 2d는 본 발명의 납골함의 밀봉부를 하면부에서 본 상태도.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를 하면부에서 본 상태도.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의 작용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본체의 유입부의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본체의 걸림부가 형성된 유입부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체(100), 밀봉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납골함을 제공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본체(100)는 내부에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유입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유입부(110)는 유골을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밀봉부(200)는 본체의 유입부(110)를 막아서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종래의 납골함에서는 상기의 밀봉부가 고무, 코르크 또는 기타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마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마개에 접착제를 발라서 밀봉을 시행하였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화장을 거친 유골을 바로 납골함의 본체에 수납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처럼 화장을 거친 유골은 매우 높은 온도로 유입되게 된다.
그 후 상기한 재질의 마개에 접착제를 발라서 납골함 본체의 유입부를 막게 된다.
그 후 높은 온도로 유입되었던 유골은 서서히 냉각되고 그에 따라 납골함 본체의 공기는 수축하게 되고 압력이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마개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버리거나 또는 마개와 유입부 사이의 접착제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체와 마개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 및 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써,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이 초래되고, 이에 따라 유골분의 장기간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납골함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아래에서 설명할 밀봉부의 구조 및 재질 등의 기술적 특징으로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밀봉부(200)의 구조 및 재질 등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2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밀봉부는 본체의 유입부를 막을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되어 있되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밀봉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마름모꼴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면부의 면적이 하면부의 면적보다 넓으며, 밀봉부의 수직단면을 보았을 경우 도 2a와 같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d에서 보여주는 도면은 상기한 밀봉부를 하면부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의 형상을 보여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봉부는 본체의 유입부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면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원형 또는 원판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밀봉하는데 유리하다.
다만 본체의 유입부의 형상이 4각, 5각, 6각 등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밀봉부는 그 형상이 평면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4각, 5각, 6각 등 다각형 형상으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밀봉부에 맞도록 본체의 유입부는 마찬가지로 그 횡단면이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다.
도 3a에서 보는 것처럼 본체(100)의 유입부(110)는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유입부(110)에서 상면개구부의 면적이 하면개구부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면이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접촉부(113)는 밀봉부의 측면부(203)가 접촉되어 밀봉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완전한 밀봉을 위해서는 상기한 접촉부와 측면부에 접착제를 발라서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배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부의 구조와 기능으로 앞서 설명한 유골의 유입후 밀봉부를 막은 후에 유골이 냉각되게 되어도 마개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버리거나 또는 마개와 유입부 사이의 접착제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본체가 냉각되어 공기가 수축되어도 앞서 설명한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의 밀봉부가 역시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의 유입부에 더욱 더 밀착되게 끼워 지게 됨에 따라 마개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버리거나 또는 마개와 유입부 사이의 접착제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의 유입부에 걸림부(120)가 구성될 수 있어 밀봉부의 본체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유입부의 하부에 돌출되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20)는 밀봉부의 하면부를 걸리게 하여 본체의 온도 하강 및 압력 하강에 의하여 밀봉부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효과를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한 밀봉부가 하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팽착수축부(220)가 구성되게 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처럼 종래의 납골함은 높은 온도의 유골을 납골함에 유입하고 접착제를 바른 뚜껑으로 즉시 막는 경우 상온보다 높은 유골에 의하여 본체 내부의 공기의 팽창 및 압력 상승이 발생한다.
이런 공기의 팽창 및 압력 상승 상황은 접착제로 막은 뚜껑을 외부로 밀어 내버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접착제가 떨어지고 막은 뚜껑의 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결과적으로 외부의 공기 및 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써, 유골분이 부패되거나 해충의 발생이 초래되고, 이에 따라 유골분의 장기간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봉부의 하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어 팽착수축부(220)가 구성되게 되게 된다.
도 2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공간부(210)는 밀봉부의 하면부에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패여 들어간 공간을 의미하며, 이런 공간부의 형성으로 팽착수축부(220)가 구성되게 된다.
도 2e에서 보여주는 도면은 공간부 및 팽착수축부가 형성된 밀봉부를 하면부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의 형상을 보여 주게 된다.
상기한 팽착수축부(220)는 밀봉부의 다른 도 2b에서 보는 것처럼 밀봉부에서 팽창수축부외의 다른 부분의 단면(A)의 두께보다 팽착수축부의 단면(B)의 두께가 얇아서 팽창과 수축의 기능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밀봉부의 재질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탄력성이 있는 재질인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 화합물질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부의 측면부(203)가 본체의 유입부에 접촉되어 부착되는 경우 본체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어도 팽창수축부는 밀봉부의 다른 부분보다 팽창력이 높게 되므로 팽창하게 된다.
도 2f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팽창수축부는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팽창력을 밀봉부의 측면으로 직접 전달하게 않고 팽창수축부가 먼저 팽창하는 기능(X 상태)을 하게 됨에 따라 공기의 팽창력을 완충하게 되는 작용과 효과를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팽창수축부의 팽창 기능으로 고온의 유골이 본체로 유입되고 본 발명의 밀봉부를 본체의 유입부에 결합하는 경우(이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음) 밀봉부가 유입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도 2f에서 보는 것처럼 또한 추후 유골이 냉각되어 본체가 냉각되는 경우 상기한 팽창된 팽창수축부는 다시 수축되게 됨으로써 원상 상태로 돌아가거나 혹은 더 수축하게 되는 기능(Y의 상태)을 하게 됨에 따라 밀봉부의 밀봉 효과는 더욱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밀봉부의 구조와 유입부의 구조에 의하여 밀봉부가 본체로 유입되는 문제점 및 밀봉부가 유입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없이 밀봉의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한 밀봉부에 거치부(230)가 부가될 수 있어 밀봉의 효과를 더욱 증대하게 된다.
도 2c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밀봉부는 거치부(230)가 밀봉부의 상면부에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밀봉부의 거치부(230)는 본체의 유입부를 밀봉부가 막은 경우 유입부의 상면단부(114)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기능과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거치부는 상기한 밀봉부가 본체 내부의 공기 수축 및 압력 하강의 발생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거치부에도 접착제를 부착하여 상기한 유입부의 상면단부에 접촉시켜 결합함으로써 밀봉력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밀봉부의 기능과 작용으로 본체 내부로의 고온의 유골 유입에 따른 공기 팽창, 압력 상승의 문제점에 의한 불완전한 밀봉 및 본체 내부의 유골의 냉각에 따라 공기 수축 및 압력 하강의 문제점에 의한 불완전한 밀봉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밀봉부의 재질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봉부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력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고분자 물질로 구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밀봉부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은 고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계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고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계열 등에 충전제, 안정제, 활제(lubricant), 충격보강제, 셀롤로오즈 파이버, 커플링에이전트 등을 추가하여 조성한 것을 압출기내에서 가압 혼련한 후 앞서 설명한 밀봉부로 성형하여 제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밀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를 사용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는 탄력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매우 뛰어나 밀봉의 효과를 더욱 증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는 비정형 실리콘(amorphous Siica)과 실록산(siloxnae)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리콘인 점이 특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정형 실리콘 100중량부에 제1실록산 100~1,000 중량부, 제2실록산 10~200중량부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실록산은 디메틸 실록산, 메틸비닐 실록산, 디메틸비닐-터미네이티드 실록산을 의미하며 단독으로 또는 모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록산을 모두 혼합하는 경우 디메틸 실록산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메틸비닐 실록산 50~200 중랴부, 디메틸비닐-터미네이티드 실록산 50~200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2실록산은 폴리디메틸 실록산, 하이드록실-터미네이티드 실록산을 의미하며 단독으로 또는 모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록산을 모두 혼합하는 경우 폴리디메틸 실록산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록실-터미네이티드 실록산 10~150 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리콘에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분말을 함유할 수 있어 내열성, 내산성 및 내화학성을 증진시킨다.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는 붕규산 유리라고도 하며 규산 대신에 붕산을 주체로 하는 유리로 붕산을 적어도 5% 이상 함유하며, 붕소를 첨가함으로써 팽창계수가 저하하여 화학적 내성, 특히 내산성 ·내후성(耐候性)이 증대하고, 내열충격성(耐熱衝擊性)이 풍부한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를 실리콘에 혼합한 효과로 인하여 열 변형에도 강하고 원래 형태로의 복원력도 증가시키면서 전체적으로 내구성과 밀봉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비정형 실리콘(amorphous Siica) 100중량부에 보로실리케이트 분말 1~5 중량부 혼합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는 탄력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여 밀봉부의 밀봉 효과를 증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부를 결합하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접착제는 내열성, 내화학성을 구비한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상기한 내열성, 내화학성을 구비하고 접착능력이 뛰어난 접착제용 조성물로 된 것을 사용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접착제용 조성물은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카르복실산 다이안하이드라이드, 디아민, 실록산 구조를 포함하는 디아민, 트리아민 및 테트라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의 폴리아미노 화합물 및 3,4-디아미노벤조익애시드로 이루어진 접착제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은 테트라카르복실산 다이안하이드라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아민 60~ 100중량부, 실록산 구조를 포함하는 디아민 0.05 내지 40 중량부, 폴리아미노 화합물 0.01 내지 5 중량부 및 3,4-디아미노벤조익애시드 0.03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접착제용 조성물에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소화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는 점착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며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5~2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접착제용 조성물에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더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고분자 100 중량부에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10중량부로 조성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10~30중량부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혼합하여 조성하는 경우 접착부의 플렉서빌러티(flexibility)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접착부의 플렉서빌러티의 의미는 접착부의 접착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접착후에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재접착시에도 접착력이 동일하게 유지하는 성능을 의미한다.
하기할 바와 같이 상기한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그 혼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뚜껑부(300)는 상기한 본체와 밀봉부가 결합하고 나서 그 위를 덮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뚜껑부(300)는 본체의 유입부를 막은 밀봉부를 위에서 덮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한 뚜껑부(300) 내부에 속뚜껑부(400)를 구비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속뚜껑부(400)는 밀봉부를 적합하게 막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속뚜껑부는 유골이 본체에 안치되고 밀봉부로 밀봉을 한 후에 밀봉부를 감싸 안듯이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속뚜껑부의 기능은 밀봉부에 상온의 직접적인 공기를 차단하게 하여 밀봉부와 본체의 유입구와의 접착력을 높이게 하며 또한 유골이 본체에 유입되는 경우의 높은 온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상온과의 직접적인 접촉 차단을 통하여 밀봉부의 밀봉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추후에 납골함의 본체로 유입할 수 있는 공기, 습기, 해충 등을 막아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본체(100), 뚜껑부(300), 속뚜껑부(400)의 재질은 도자기, 유리, 석재,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자기로 하는 것이 내구성과 안정성에서 유리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진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골함의 생산, 제조, 유통,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례산업 등의 밀봉기능이 우수한 납골함을 생산, 제조, 유통,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체(100), 유입부(110),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
밀봉부(200),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 공간부(210), 팽착수축부(220)
뚜껑부(300),
속뚜껑부(400).
밀봉부(200),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 공간부(210), 팽착수축부(220)
뚜껑부(300),
속뚜껑부(400).
Claims (4)
- 본체(100), 밀봉부(200), 뚜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한 본체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되,
유입부는 상면개구부(111), 하면개구부(112), 접촉부(113), 상면단부(114)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봉부는 상면부(201), 하면부(202), 측면부(203)로 구성되고 상광하협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밀봉부는 그 하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팽창수축부(22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유입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속뚜껑부(4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023A KR1015276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023A KR1015276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7673B1 true KR101527673B1 (ko) | 2015-06-16 |
Family
ID=5351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0023A KR1015276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767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5997A (ko) | 2019-09-25 | 2021-04-02 | 한창수 | 질소충전 진공 납골함 |
KR102355971B1 (ko) | 2021-10-06 | 2022-02-08 | (주)에스에이치산업 | 유골함 |
KR102355970B1 (ko) | 2021-10-06 | 2022-02-08 | (주)에스에이치산업 | 유골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6837A (ko) * | 2002-02-05 | 2003-08-14 | 박태열 | 진공 납골함과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
KR100647129B1 (ko) * | 2006-04-10 | 2006-11-23 | 한국석묘개발 주식회사 | 매장형 납골함 |
-
2014
- 2014-01-02 KR KR1020140000023A patent/KR101527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6837A (ko) * | 2002-02-05 | 2003-08-14 | 박태열 | 진공 납골함과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
KR100647129B1 (ko) * | 2006-04-10 | 2006-11-23 | 한국석묘개발 주식회사 | 매장형 납골함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5997A (ko) | 2019-09-25 | 2021-04-02 | 한창수 | 질소충전 진공 납골함 |
KR102355971B1 (ko) | 2021-10-06 | 2022-02-08 | (주)에스에이치산업 | 유골함 |
KR102355970B1 (ko) | 2021-10-06 | 2022-02-08 | (주)에스에이치산업 | 유골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7673B1 (ko) | 밀봉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납골함 | |
US6209736B1 (en) | Structure of feeding bottle | |
KR20140076772A (ko) | 진공 유골함 | |
WO2004062448A3 (en) | Sanitizing toothbrush holder | |
KR101849062B1 (ko) | 흉상 유골함 | |
KR101255949B1 (ko) |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 |
KR100924282B1 (ko) | 봉안함 밀폐 보관방법 | |
JPH06327731A (ja) | 骨 壷 | |
KR101750623B1 (ko) | 기능성 진공 납골함 | |
KR101162921B1 (ko) |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 |
KR101708995B1 (ko) | 유골함 | |
KR200447042Y1 (ko) | 진공 유골함 | |
KR200441057Y1 (ko) | 유골함 | |
KR20080000775U (ko) | 납골함 | |
CN201030016Y (zh) | 新型骨灰盒 | |
KR101821462B1 (ko) | 유골함 | |
KR101844115B1 (ko) | 유골함 | |
KR200403946Y1 (ko) | 납골함 | |
KR20060022220A (ko) | 영구보존형 크리스탈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30303B1 (ko) | 납골함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70063479A (ko) | 기능성 진공 납골함 | |
KR200256395Y1 (ko) | 유골함 | |
KR200332645Y1 (ko) | 납골함 안치대 | |
JP3216976U (ja) | 墓用花セット具 | |
KR100800265B1 (ko) | 납골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