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462B1 - 유골함 - Google Patents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462B1
KR101821462B1 KR1020150186417A KR20150186417A KR101821462B1 KR 101821462 B1 KR101821462 B1 KR 101821462B1 KR 1020150186417 A KR1020150186417 A KR 1020150186417A KR 20150186417 A KR20150186417 A KR 20150186417A KR 101821462 B1 KR101821462 B1 KR 10182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ust
cap
boss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307A (ko
Inventor
조형빈
Original Assignee
조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빈 filed Critical 조형빈
Priority to KR102015018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4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함이 고인의 흉상 형태이며 질소 충전이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골함은, 속이 비어있는 흉상 유골함(10); 흉상 유골함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을 보관하는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20);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30);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막는 뚜껑(40); 유골함을 받치는 받침대(50); 및 흉상 유골함과 받침대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970);를 포함한다.
상기 유골함은, 고인의 흉상의 형태로 제작되어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더욱 새롭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하고 밀폐성이 뛰어나며 질소를 충전할 수 있어 외기를 차단하고 유골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골함{Remains box}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의 흉상 형태의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골분을 저장하는 유골함은 보통 원통 형태의 도자기류로 제작된다. 원통형 도자기류의 유골함에 유골분을 인입시킨 후 뚜껑을 닫은 다음 봉안당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이 경우, 유골함의 형태가 거의 원통형으로 천편일률적이고, 도자기류의 유골함은 취급 부주의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물론, 부패방지를 위해 진공장치와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유골함도 있으나, 경제적인 부담과 사용이 불편하다.
특히, 고인의 유족들이 고인을 기리기 위해 유골함을 넣어 두는 봉안당 전면에 사진, 추모 글 쪽지 등을 지저분하게 붙어 놓거나 봉안당 안에 유물 등을 넣어 두는 사례가 있는데, 봉안당을 찾는 참배객들이 보기에 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유족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고인의 모습에 대한 기억이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의 유골함은 보관용기와 마개부재가 완전 밀착되어 있지 않아 그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나 습기가 유입되어 유골분이 부패되고 곰팡이 등의 유해균이 서식하여 벌레가 생겨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질, 변색되어 온전한 상태로 장기 보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진공 유골함은 고가의 장비 또는 부품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의 장치가 필요하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작이 까다로워 제작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매우 고가인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진공 정도 및 진공 유지라는 효과의 측면에서는 만족스러운 제품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2467호(3D프린터를 활용한 골분재 흉상)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3043호(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밀폐성이 뛰어나서 유골함 내부로 침투하는 외기를 차단시켜 유골의 부패 요소를 없애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는 유골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유골함은, 속이 비어 있는 흉상 유골함; 상기 흉상 유골함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을 보관하는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막는 뚜껑; 상기 흉상 유골함을 받치는 받침대; 및 상기 흉상 유골함과 상기 받침대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저면에 형성되고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몸체 외측면중에서 상부 및 하부에 기밀유지용 고정 링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기밀유지용 고정 링 사이의 상기 몸체 외측면에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끝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몸체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구멍과 대면되는 충전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충전 노즐의 타측은 해당 마개에서 상기 손잡이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마개의 손잡이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요(凹)홈이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와의 끼움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결합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고인의 성명과 출생년월일 및 사망년월일이 명기되며, 상기 받침대의 좌측면에는 고인의 양력이 명기되고, 상기 받침대의 우측면에는 고인의 유족명이 명기되며, 상기 접촉부는 단턱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영정사진 등을 이용하여 고인의 흉상을 3D 프로그램을 통해 입체적으로 모델링하고 3D프린터를 이용하여 흉상을 출력 및 제작하여 그 흉상 안에 고인의 유골분을 넣어 둘 수 있는 3D흉상 유골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창적이고 개성있는 수려한 미관과 다양한 재질로 파손 위험이 없으며, 간단한 밀봉장치로 제습방지가 간단하고 3D 흉상을 통해 고인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시간이 지나더라도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새롭게 할 수 있다.
고인의 사후에 태어난 유족의 자녀들도 본적이 없는 고인의 3D 흉상 유골함을 통해 어딘가 본인과 닮은 고인의 모습을 발견하고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느낄 수 있다.
3D흉상 유골함과 받침대를 소형 피규어 형태로 제작하고 그 안에 소량의 유골을 넣어 봉안한 후 출가 또는 외국에 거주하는 유가족의 집안에 보관이 가능하며, 이를 고인의 기일 등에 제사 또는 추모예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설날, 추석 등 연휴에 차례도 지내지 않고 해외여행을 가는 현실에 소형의 3D 흉상 유골함을 여행시 품에 소지하여 고인에 대한 공경심과 미안함을 조금이나마 대신할 수 있다.
3D 흉상 유골함은 복잡한 구조와 장치가 없는 간단한 구조로 사용상 부주의로 파손되거나 일부 진공장치 유골함과 같이 부품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간단한 밀폐방식과, 유골함 용기 내부를 질소 충전하고 3D흉상 유골함 내부와 유골함 용기 외부사이를 이중으로 질소 충전하여 외부의 공기 및 습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보호케이스를 씌워 8중으로 외부 습기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여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품질과 가격 면에서 복잡한 진공유지 장치 및 진공펌프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타 제품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하여 시장경쟁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여의도 면적의 1.2배 정도가 묘지로 잠식되고 자연환경 훼손이 매우 심각한 현실에서 본 발명의 3D 흉상 유골함으로 화장 문화가 더욱 확산되어 장묘문화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 용기의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손잡이부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흉상 유골함과 마개 및 뚜껑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보호 케이스가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보호 케이스가 설치된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 용기의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손잡이부의 정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흉상 유골함과 마개 및 뚜껑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은 흉상 유골함(10), 유골함 용기(20), 마개(30), 뚜껑(40), 받침대(50), 및 보호 케이스(70)를 포함한다.
흉상 유골함(10)은 고인의 영정사진 등을 이용하여 고인의 흉상을 입체적으로 3D 모델링하고 이를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제작할 수 있다.
흉상 유골함(1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ABS(Plastic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Plastics - Poly Lactic Acid), Nylon, TPU, PC, HIPS, PVA, 세라믹, 수지, 금속 등 다양하다. 물론, 3D 프린터로 출력 및 제작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상기 예로 든 재질 이외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흉상 유골함(10)의 재질에는 유골분, 금속분말, 염료, 항료 등을 첨가할 수 있어 다양한 색상과 항균, 방향성 제품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흉상 유골함(10)은 경제성과 견고성을 고려하여 ABS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표면은 강도와 미관을 고려하여 청동분사 도장 처리할 수 있으며 금, 은 등을 입힐 수 있다.
특히, 흉상 유골함(10) 내부는 비어 있다. 흉상 유골함(10)의 내부에 유골함 용기(20)를 넣고 유골을 담는다.
흉상 유골함(10)의 일면(예컨대, 저면)에는 입구(1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입구(12)의 외측면에는 나사산(14)이 형성된다.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는 뚜껑(40)과 결합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의 내측면에는 마개(30)의 나사산(36)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유골함 용기(20)에 담겨지는 유골은 탄산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유골함 용기(20)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게 되면 유골의 산화작용이 일어나서 부패하기 쉽고 세균이 증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유골분이 담겨지는 유골함 용기(20)는 수술용 또는 주방용 고무장갑, 콘돔 등에 사용되는 신축성과 기밀성이 뛰어난 천연고무 라텍스 등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유골함 용기(20)는 유골(유골분)을 담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이때, 유골은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도 2 참조)를 통해 유골함 용기(20) 내부에 담겨질 수 있다.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는 해당 유골함 용기(20)의 몸체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다.
유골함 용기(20)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안쪽으로 들어가서 흉상 유골함(10)의 내부에 안치된다.
마개(30)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와 뚜껑(40) 사이를 막는다. 즉, 마개(30)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안쪽을 밀폐시킨다. 예를 들어, 마개(30)는 보온병의 내부 마개 등과 같이 나사산이 있는 형태와 링거병의 고무마개와 같이 압박 패킹하는 기능을 혼합하여 돌리면서 압착하여 막으며, 재질은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개(30)의 몸체 외측면중에서 아래 부분과 윗 부분에는 기밀유지용 고정 링(32, 34)이 설치되고, 마개(30)의 고정 링(32)(34) 사이의 몸체 외측면에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나사산(36)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마개(30)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안쪽 구멍에 돌려 막아 삽입되었을 경우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안쪽 끝부분을 막으며 윗부분도 압착하여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마개(30)는 손잡이부(38)를 잡고 돌리면 해당 마개(30)가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안쪽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마개(30)의 몸체 내부에 일회용 가스충전 라이터 또는 일회용 부탄연료 가스 캔의 충전 장치(예를 들어, 충전 노즐, 스프링 등 포함)를 설치하게 되면 질소 가스 충전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마개(30)의 손잡이부(38)의 중앙에는 구멍(44)이 형성되고, 구멍(44)과 대면되게 충전 노즐(42)이 해당 마개(30)의 몸체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충전 노즐(42)의 일측 끝단은 해당 마개(30)의 몸체를 세로로 관통하여 노출된다. 다시 말해서, 충전 노즐(42)의 일측은 구멍(44)과 대면되게 마개(30)의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충전 노즐(42)의 타측은 마개(30)에서 손잡이부(38)와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충전 노즐(42)의 타측 끝단을 노출시키는 이유는 흉상 유골함(10) 및/또는 유골함 용기(20) 내로의 질소 가스 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질소 가스를 충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질소 가스를 충전하기 위해 질소 가스 캔(도시 생략)이 충전 노즐(42)과 연결되고 충전 노즐(42)이 눌리어진 상태로서 질소 가스 충전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질소 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3과 같은 상태로 복귀할 것이다.
가스 충전 장치는 만약 가스라이터나 부탄가스 연료 캔인 경우 인화성 물질인 라이터 가스나 부탄가스가 샌다면 크나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질소 가스 충전 장치(즉, 충전 노즐(42)이 설치된 부분)는 밀봉효과가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뚜껑(40)은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막는다. 즉, 뚜껑(40)은 마개(30)와 더불어 흉상 유골함(10)의 완벽한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뚜껑(40)의 내측면에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의 나사산(14)과 결합 가능한 나사산(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의하면, 마개(30)가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밀봉시키고, 이어 뚜껑(40)이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와 결합되어 재차 밀봉시킨다.
받침대(50)의 전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고인의 성명과 출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등을 음각 또는 양각하거나 동판에 음각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받침대(50)의 좌측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고인의 양력을 양각 또는 음각할 수 있다.
받침대(50)의 우측은 도 11에서와 같이 고인의 유가족 이름을 음각 또는 양각할 수 있다.
받침대(50)는 흉상 유골함(10) 본체와 분리 가능하여, 추후 유자녀의 결혼, 출산 등으로 며느리, 사위, 손자들의 이름을 추가 기재하기가 용이하다. 즉, 받침대(50)는 흉상 유골함(10)을 받치는데, 받침대(50)의 상면에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 부분과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결합 홈(52)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측이 결합 홈(5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받침대(50)의 후면에는 도 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60)이 설치되고, 서랍(60) 안에는 고인의 유물, 추모 글 등을 넣어 둘 수 있다. 서랍(60)은 받침대(50)의 수납 공간(미도시)에 수납가능하다. 서랍(60)의 전면에는 손잡이(62)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60)을 열고 닫을 때, 받침대(50)내부의 홈(52)에 닿지 않도록 전면 부분이 일부 개구(미도시)되어 있어서,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이에 대하여는 홈(52)의 구조로 인한 필연적인 사항으로 이해될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받침대(50)의 저면에는 단턱(56a)이 형성된 베이스(56)가 형성된다. 베이스(56)의 단턱(56a)에는 보호 케이스(70)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단턱(56a) 대신에 보호 케이스(70)의 저면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어도 무방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보호 케이스가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흉상 유골함을 제외한 경우이고, 도 15는 보호 케이스가 설치된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호 케이스(70)는 6면체로 각 면을 이어 붙이지 않고 통째로 곡면처리하며 모서리 이음새가 없다.
보호 케이스(70)의 아래 면은 개방되어 있다. 보호 케이스(70)는 흉상 유골함(10) 본체와 받침대(50) 크기에 맞추어 받침대(50)의 베이스(56)의 단턱(56a)에 위치하게 된다.
보호 케이스(70)는 투명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먼지 유입을 방지하고 미관이 수려하며 필요에 따라서 뒷면은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뒷면은 아래 또는 상하로 개폐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뒷면에는 색깔이 있는 코팅지 또는 동판을 부착할 수 있고, 코팅지를 붙인 뒷면 또는 동판에 고인에 대한 추모 글 등을 각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흉상 유골함(10)에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20)를 넣고 유골함 용기(20) 입구(22) 부분을 바깥으로 접어 흉상 유골함(10) 입구(12)에 걸쳐 끼운 후 유골함 용기(20)에 유골분을 담는다.
그리고 나서, 유골함 용기(20) 입구(22) 부분을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에서 빼내고 유골함 용기(20)를 손으로 압축하여 내부 공기를 제거한 후에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 아래 부분을 잡고 입구(22) 끝부분 안쪽을 마개(30)에 걸쳐 끼운다.
이후, 유골함 용기(20)의 접혀진 입구 안쪽을 양면 접착테이프로 빙 돌려 붙인 후, 양면접착 테이프 바깥쪽 보호막을 떼어내고 접혀진 유골함 용기(20)의 입구 (22)부분을 마개(30)에서 빼내면서 안쪽으로 뒤집으며 꼭 눌러서 접착 봉인한다.
이와 같이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 안쪽을 양면 접착테이프로 봉인 접착한 후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20) 입구(22) 부분을 잡아당겨 풍선 묶듯이 묶는다. 그리고,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가 묶여 매듭 지워진 상태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로 봉인 접착된 부분을 다시 한번 고무줄 등으로 묶어 주는 것만으로도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 및 습기차단이 충분히 가능하여 부패와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유골함 용기(20)의 묶여진 입구(22) 부분을 흉상 유골함(10)의 내부에 밀어 넣은 후에 마개(30)로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밀봉하고, 뚜껑(40)으로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막는다.
그리고, 흉상 유골함(10)의 입구(즉, 도 8과 같이 뚜껑(40)이 결합된 입구)를 받침대(50)의 결합 홈(52)에 끼운다. 이에 의해, 도 13과 같이 흉상 유골함(10)과 받침대(5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흉상 유골함(10) 내부로 들어오는 습기 및 먼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70)를 씌워 준다.
한편, 상술한 사용 예와는 다르게, 유골함 용기(20) 내부에 질소를 충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흉상 유골함(10)에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20)를 넣고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 부분을 바깥으로 접어 흉상 유골함(10) 입구(12)에 걸쳐 끼운 후 유골함 용기(20)에 유골분을 담는다.
그리고 나서, 유골함 용기(20) 입구(22) 부분을 흉상 유골함(10) 입구(12)에서 빼내고 유골함 용기(20)를 손으로 압축하여 내부 공기를 제거한 후에 유골함 용기(20) 입구(22) 아래 부분을 잡고 입구(22) 끝부분 안쪽을 바깥으로 접어 마개(30)에 걸쳐 접어 끼우고, 마개(30)에 장착된 충전 노즐(42)을 통해 일회용 질소 충전 캔 용기에 담겨진 질소를 충전한다.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는 도 3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질소 가스 캔(도시 생략)을 구멍(44)을 통해 충전 노즐(42)에 연결시키고 누르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충전 노즐(42)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질소 가스가 유골함 용기(2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질소 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질소 가스 캔을 충전 노즐(42)로부터 연결해제 시킨다. 그에 따라, 충전 노즐(42)은 도 3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나서, 마개(30)에 걸쳐 접어 끼워져 접혀진 유골함 용기(20) 입구(22)의 접혀진 안쪽을 양면 접착테이프로 빙 돌려 붙인다.
이후, 양면 접착테이프 바깥쪽 보호막을 떼어내고 질소 충전된 유골함 용기(20) 입구(22)의 아래부분을 잡고, 마개(30)에서 빼내면서 접혀진 유골함 용기(20)의 입구 부분을 안쪽으로 뒤집으며 꼭 눌러서 접착 봉인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골함 용기(20) 내부의 질소가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봉인된 유골함 용기(20)의 입구(22) 윗부분을 잡아당겨 풍선 묶듯이 손으로 묶은 후 양면 접착테이프로 봉인 접착된 부분을 다시 한번 고무줄 등으로 묶어 준다.
이후, 유골함 용기(20)의 묶여진 입구(22) 부분을 흉상 유골함(10)의 내부에 밀어 넣어 준다.
그리고, 마개(30)로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밀봉한다.
이후, 유골함 용기(20)가 들어 있는 흉상 유골함(10) 내부를 마개(30)의 충전 노즐(42)을 이용하여 또다시 질소를 충전한다. 여기서의 질소 가스 충전은 상술한 유골함 용기(20)내로의 질소 가스 충전 방식을 따르면 된다. 이에 의해, 흉상 유골함(10)과 내부에 들어 있는 유골함 용기(20) 사이를 격리하여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을 이중으로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유골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한다. 여기서, 질소 충전과정에 볼펜 심 또는 이쑤시개 등으로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충전 노즐을 눌러주면서 내부 공기를 빼내며 질소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소 충전이 끝나면 뚜껑(40)을 돌려 닫아 다시 한번 외부와의 공기유통을 차단한다.
이후, 유골 인입 및 뚜껑(40)을 닫은 흉상 유골함(10)을 받침대(50)에 올려놓는다. 즉, 흉상 유골함(10)의 입구(즉, 도 8과 같이 뚜껑(40)이 결합된 입구)를 받침대(50)의 결합 홈(52)에 끼운다. 이에 의해, 도 13과 같이 흉상 유골함(10)과 받침대(5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흉상 유골함(10) 내부로 들어오는 습기 및 먼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70)를 씌워 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인의 흉상을 흉상 유골함(10)으로 하였는데, 고인의 흉상이 아닌 고인의 두상을 유골함으로 할 수도 있고, 고인의 흉상 및 두상은 3D 프린터를 통해 제작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국립현충원 등에 3D흉상 유골함과 받침대를 좀 더 크게 제작하여 그 안에 유골함 상자를 안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15에서는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가 돌출된 형태이고,뚜껑(40)이 구비되며, 받침대(50)에 홈(52)이 형성된 형태의 유골함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써 변형이 가능한 데 그 예를 상기 도 1 내지 도1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두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가 삽입형태가 된 점과 상기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와 대응되게 받침대(50)의 상면에 요(凹)형상의 홈(52)이 아닌 돌출부가 돌출형성된 점이다. 즉,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유골함(10) 내부로 들어가게 형성하며, 내부로 들어간 유골함 입구를 별도의 뚜껑 없이 마개(30)를 그대로 내부 밀폐 뚜껑으로 대신하여 유골함 용기 입구 내부를 밀폐하며, 내부밀폐 마개(30)의 손잡이부가 흉상 유골함(10) 저면보다 일정부분 들어가게 형성하며, 유골함 받침대(50) 상면에는 유골함 내부 밀폐 마개(30)의 손잡이부가 유골함 내부로 들어간 부분 만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유골함 내부입구와 받침대 돌출부위가 결합되게 변형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렇게 하면 도 1 내지 도15의 실시예에서 흉상 유골함(10)과 받침대(50)의 구성이 각각 일부가 달라지며, 뚜껑(40)은 불필요하다. 유골함 용기(20)과 마개(30)는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흉상 유골함(10)의 저면에는 내부 안쪽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들어간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의 상부에는 마개(30)와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마개(30)는 흉상 유골함(30)의 입구로 진입하여 완전히 결합시키게 되면 흉상 유골함(10) 입구의 저면에는 약간의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마개(30)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마개(30)의 손잡이부(38)에는 반원호 형상의 요((凹)홈의 구멍(44)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사용하여 마개(30)를 회전시켜 흉상 유골함(10)의 입구(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마개(30)가 결합된 흉상 유골함(10)의 저면을 받침대(50) 상면의 돌출부에 마주하게 접촉시키면 받침대(50) 상면의 돌출부는 마개(30)가 결합된 흉상 유골함(10)의 입구 저면의 공간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흉상 유골함(10)은 받침대(50)에 의해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흉상 유골함 20 : 유골함 용기
30 : 마개 40 : 뚜껑
50 : 받침대 60 : 서랍
70 : 보호 케이스

Claims (6)

  1. 속이 비어 있는 흉상 유골함;
    상기 흉상 유골함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골분을 보관하는 신축성이 있는 유골함 용기;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를 막는 뚜껑;
    상기 흉상 유골함을 받치는 받침대; 및
    상기 흉상 유골함과 상기 받침대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저면에 형성되고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몸체 외측면중에서 상부 및 하부에 기밀유지용 고정 링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기밀유지용 고정 링 사이의 상기 몸체 외측면에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끝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의 몸체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구멍과 대면되는 충전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충전 노즐의 타측은 해당 마개에서 상기 손잡이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마개의 손잡이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요홈이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흉상 유골함의 입구와의 끼움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결합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고인의 성명과 출생년월일 및 사망년월일이 명기되며,
    상기 받침대의 좌측면에는 고인의 양력이 명기되고,
    상기 받침대의 우측면에는 고인의 유족명이 명기되며,
    상기 접촉부는 단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5. 삭제
  6. 삭제
KR1020150186417A 2015-12-24 2015-12-24 유골함 KR10182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17A KR101821462B1 (ko) 2015-12-24 2015-12-24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17A KR101821462B1 (ko) 2015-12-24 2015-12-24 유골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35A Division KR101849062B1 (ko) 2018-01-08 2018-01-08 흉상 유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07A KR20170076307A (ko) 2017-07-04
KR101821462B1 true KR101821462B1 (ko) 2018-03-08

Family

ID=593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417A KR101821462B1 (ko) 2015-12-24 2015-12-24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29B1 (ko) 2023-01-16 2023-11-21 한병옥 살아 생전 망자의 두상 모습을 입체 형상으로 만든 유골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66Y1 (ko) * 2002-02-27 2002-05-11 임동혁 납골함 받침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66Y1 (ko) * 2002-02-27 2002-05-11 임동혁 납골함 받침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29B1 (ko) 2023-01-16 2023-11-21 한병옥 살아 생전 망자의 두상 모습을 입체 형상으로 만든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07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062B1 (ko) 흉상 유골함
CN105578924B (zh) 胶囊型化妆品及其制造方法
US20060266079A1 (en) Keepsake vessel having removable locket therein
KR20000016594A (ko) 제품 저장 및 분배용 패키징 시스템
WO2004062448A3 (en) Sanitizing toothbrush holder
KR101821462B1 (ko) 유골함
KR101823564B1 (ko)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CN204617382U (zh) 一种双层气密式粉盒
KR200480181Y1 (ko) 탯줄 보관 인형 및 그 세트
CN203369503U (zh) 便携式餐盒
ES1212963U (es) Carcasa con cavidades huecas rellenables, con depósito desinfectante para móviles y otros dispositivos electrónicos análogos
CN201512161U (zh) 一种瓶子和瓶盖
CN208882477U (zh) 可放置香烟盒的饮用器皿盖
US6612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prophylactic articles
CN206371654U (zh) 一种气垫cc霜包装结构
CN207618272U (zh) 一种多功能饮料瓶
CN107968870A (zh) 手机壳
CN205633630U (zh) 一种手机包装盒
CN213284529U (zh) 一种可折叠的便携紫外线消毒箱
CN204280208U (zh) 包装袋
KR101260668B1 (ko) 악력기
CN206741105U (zh) 一种万花筒的diy组件
CN218588420U (zh) 抽屉式首饰盒
CN207275315U (zh) 收纳包
TWM519437U (zh) 多邊立體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