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666Y1 - 납골함 받침판 - Google Patents

납골함 받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666Y1
KR200275666Y1 KR2020020005771U KR20020005771U KR200275666Y1 KR 200275666 Y1 KR200275666 Y1 KR 200275666Y1 KR 2020020005771 U KR2020020005771 U KR 2020020005771U KR 20020005771 U KR20020005771 U KR 20020005771U KR 200275666 Y1 KR200275666 Y1 KR 200275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
plaque
ossuary
box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임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혁 filed Critical 임동혁
Priority to KR2020020005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666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합 안착부(11)가 형성된 납골함 보관부(10)과, 상기 납골함 보관부(10)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위패 보관부(20)로 구성되어지는 납골함 받침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고안은 납골함 보관부의 상면 일측에 위패보관부를 형성하여 위패를 보관하므로써 장기간 보관중에 발생하게 되는 위패의 분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별도의 위패보관함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며, 또한 위패와 납골함을 동시에 보관 및 관리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납골함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납골함 받침판{A ashes box for support}
본 고안은 납골함 받침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자(亡者)의 이름을 적어놓은 위패(位牌)를 설치할 수 있는 납골함 받침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화장장례가 날로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망자의 유골을 화장하여 안치할 수 있는 납골함의 수요가 널리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납골함에는 가족이나 후손들이 망자의 이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별도의 위패를 준비하여 납골함마다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위패는 별도의 보관함을 제작하여 부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위패 보관수단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경제적 부담도 무시할 수 없으며, 특히 협소한 납골묘의 특성때문에 위패의 설치위치가 마땅치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여러개의 위패가 함께 있는 경우 위패가 부주의에 의해 서로 뒤바뀌게 될 우려가 큰 폐단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망자의 납골함과 위패를 동시에 보관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위패의 보관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납골함의 구분이 명확하도록 하는 납골함 받침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납골함 받침판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납골함을 안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4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납골함 받침판
10: 납골함 보관부 11,11a: 납골함 안착부
12: 통공(通孔) 12a: 경사면
20,20a: 위패보관부
A: 위패(位牌) B: 납골함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납골함 받침판(1)는 크게 납골함을(B)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開口)된 원형 형상의 납골함 보관부(10)과, 상기 납골함 보관부(10)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역시 상부가 개구된 위패 보관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위패보관부(10)는 납골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납골함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 납골합 안착부(11)와, 상기 납골함 안착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장기간 보관중에 발생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지면(地面)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공(12)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통공(12)이 형성되어지는 높이는 상기 납골함 안착부(11)보다 하단에 위치해야 하며, 수분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2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납골함 받침판(1)는 납골함을 상부가 개구된 원형 형상의 납골함 보관부(11)에 안착시켜 보관하게 되고, 위패(A)는 상기 납골함 보관부(11)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 위패 보관부(20)에 삽입하여 보관하게 되므로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납골함 받침판(1a)의 다른 실시예는 납골함 안착부(11a)와 위패보관부(20a)를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부부관계와 같이 납골함을 함께 모셔야할 망자를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납골함 안착부(11a)와, 위패보관부(20a)의 형성되는 수량은 망자의 납골함의 수량에 따라 제작되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납골함 받침판에 직접 위패보관수단을 형성하므로써 별도의 위패보관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위패의 설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납골함이 여러개라 할지하도 서로 혼동하지 않게 되어 위패와 납골함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체계적인 납골함 관리를 가능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납골함을 보관하기 위한 상부가 개구된 원형 형상의 납골함 안착부(11)가 형성된 공지의 납골함 받침판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안착부(11)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위패 보관부(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받침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안착부(11)의 하단에 형성하되 경사면(12a)을 구비하는 통공(1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받침판.
KR2020020005771U 2002-02-27 2002-02-27 납골함 받침판 KR200275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71U KR200275666Y1 (ko) 2002-02-27 2002-02-27 납골함 받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71U KR200275666Y1 (ko) 2002-02-27 2002-02-27 납골함 받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66Y1 true KR200275666Y1 (ko) 2002-05-11

Family

ID=7311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771U KR200275666Y1 (ko) 2002-02-27 2002-02-27 납골함 받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6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64B1 (ko) * 2016-01-29 2018-01-30 조현목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101821462B1 (ko) * 2015-12-24 2018-03-08 조형빈 유골함
KR20210121564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102384635B1 (ko) * 2021-09-24 2022-04-08 이귀재 납골함 장식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462B1 (ko) * 2015-12-24 2018-03-08 조형빈 유골함
KR101823564B1 (ko) * 2016-01-29 2018-01-30 조현목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20210121564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102409735B1 (ko) * 2020-03-30 2022-06-17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102384635B1 (ko) * 2021-09-24 2022-04-08 이귀재 납골함 장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2042S1 (en)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USD565181S1 (en) Dental implant
USD523145S1 (en)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prosthetic
USD546282S1 (en) Ballast box container
USD504805S1 (en) Chair for tilt wall construction
KR200275666Y1 (ko) 납골함 받침판
USD498821S1 (en) Actuator housing for a flush valve
USD507893S1 (en) Stool
USD540449S1 (en) Toilet seat urine shield
USD527674S1 (en) Incense kit
USD493241S1 (en) Toilet seat light
USD494062S1 (en) Bowl with a lid
USD468112S1 (en) Toilet brush
USD518288S1 (en) Tooth dental cassette
USD423638S (en) Aerobic treatment tank design
USD512647S1 (en) Dispenser of a container
USD563094S1 (en) Receptacle for housing and displaying dental prostheses
JP3146802U (ja) ブーツスタンド
KR200194606Y1 (ko) 납골함
USD498986S1 (en) Egg yolk separator
KR200347967Y1 (ko) 연소에 의한 부패방지 유골함
USD519217S1 (en) Moulding
USD494775S1 (en) Five shelf rotatable storage unit
USD449368S1 (en) Bait tank
KR200175233Y1 (ko) 어항이 결합된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