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415B1 -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415B1
KR101527415B1 KR1020140098550A KR20140098550A KR101527415B1 KR 101527415 B1 KR101527415 B1 KR 101527415B1 KR 1020140098550 A KR1020140098550 A KR 1020140098550A KR 20140098550 A KR20140098550 A KR 20140098550A KR 101527415 B1 KR101527415 B1 KR 10152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aring
vehicle
smart key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호선
한진희
안종형
목동희
이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한국쉐어링협동조합
주식회사 피플카쉐어링
(주)아워카쉐어링
주식회사 티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한국쉐어링협동조합, 주식회사 피플카쉐어링, (주)아워카쉐어링, 주식회사 티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riority to KR102014009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10/025Coordination of plural reservations, e.g. plural trip segments, transportation combined with accommod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06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ly on the information in that bit cell
    • H03M5/12Biphase level code, e.g. split phase code, Manchester code; Biphase space or mark code, e.g. double frequency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송신하는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고,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모듈과, 상기 차량 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고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카-쉐어링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상기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OF CAR DOOR FOR CAR-SHARING}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쉐어링(car-sharing)은 렌터카(rent-a-car)와는 조금 다른 형태로서 근간에 확산되기 시작하는 차량 대여 서비스이다.
한 대의 자동차를 시간 단위 또는 분 단위로 여러 사람이 나눠 쓰는 것으로서, 렌터카 서비스와는 달리 주로 주택가 근처에 보관소가 있다. 1950년대 스위스에서 사회운동 형태로 처음 시작된 이후 90년대 들어 서유럽과 미국에서 상업화됐다.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시내 곳곳에 위치한 무인 차량 보관소에서 차를 빌리고 지정된 무인 차량 보관소에 반납하는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카-쉐어링의 무인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특허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75904와 공개특허공보 10-2010-0138478은 차량의 무인 거점의 연결 상태에 따라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운행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10-2014-0075904는 카-쉐어링 서비스의 무인화를 위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통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러 특허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카-쉐어링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운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차량의 도어 개폐 기술 그 자체로는 이전부터 많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카-쉐어링 서비스의의 특성상 수시로 많은 사용자들이 차량을 공유하여 사용하고 그 사용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이 없이 편리하게 누구나 차량의 도어와 운행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실제 이용되고 있는 카-쉐어링 서비스에서는 비밀번호 기능의 도어 개폐 수단을 부착하여 이용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바뀔때마다 비밀번호를 수작업으로 변경하여야 하며, 이러한 도어 개폐 수단을 위해 별도의 장착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아직까지는 차량의 액세스를 위한 보편적이고 단순하며 보안성이 강구된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수단의 필요성은 점점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 10-2014-0075904호 제 10-2010-01384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은,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송신하는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고,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모듈과, 상기 차량 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고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카-쉐어링 차량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상기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상기 카-쉐어링 차량을 반납하여 반납 등록을 한 경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은,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가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사용자 스마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차량 센서 모듈이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상기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상기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에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반납이 등록되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도어 개폐 장치를 부착할 필요없이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의 스마트 키를 플래시 램프나 터치스크린의 온/오프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차량을 개폐하고 차량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CDMA나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플래시 램프나 터치스크린의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그 이용 수단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며, 스마트 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차폐 효과가 뛰어나 그 인식률이 매우 높다.
그리고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여 송신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그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맨체스터 코드의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와 터치스크린의 광원의 색상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중 미리 약속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맨체스터 코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이하, '차량 도어 개페 시스템'이라 함)(100)은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 및 카-쉐어링 차량(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100)은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에서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카-쉐어링 차량(130)의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별도의 도어 개폐 장치를 카-쉐어링 차량(130)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스마트 키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에서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되어 카-쉐어링 차량(130)으로 송신되며, 특정 통신 방식이 아닌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나 플래시 램프(flash lamp)의 온/오프(on/off)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스마트 폰의 기종이나 이에 구비된 통신 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든지 스마트 키를 송신하고 오류없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맨체스터 코드의 변환시 그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를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이 미리 공유하여 맨체스터 코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의 온/오프 시에도 터치스크린의 광원 색상을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이 미리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 키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정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내지는 시간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맨체스터 코드의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물론, 맨체스터 코드가 아닌 다른 방식의 AND 게이트(gate) 연산, OR 게이트 연산 등으로 가변적으로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는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130)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는 CDMA,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USB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로 스마트 키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은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키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키 자체를 확인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은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또는 0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스마트 키를 클럭 주파수와 연산하여 맨체스터 코드가 생성되며, 클럭 주파수와 스마트 키의 디지털 연산을 통해 생성된다.
여기서,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는 특정 클럭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으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공유된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코드의 변환과 역변환이 가능해지며, 클럭 주파수를 모르면 역변환이 불가능해진다. 이에, 다른 사람이 카-쉐어링 차량(130) 고유의 스마트 키를 알고 있더라도 클럭 주파수를 모르면 도어의 개폐가 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맨체스터 코드가 아닌 AND 게이트(gate) 연산이나 OR 게이트 연산 등 다양한 연산 방식이 가변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산 방식은 사용자가 차량 사용을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에 등록한 경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가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에 연산 방식을 실시간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은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은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 또는 조합된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의 한정은 그 인식률을 높이기에 필요한 적정 주파수이기 때문이다.
한편,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는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할지 아니면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할지에 대해서도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로 실시간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 사용을 등록하면,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가 두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로 제공하여 서로 공유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레드, 그린, 블루 중 어느 색상의 광원을 온/오프할지에 대해서도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과 카-쉐어링 차량(130)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색상만이 아니라 레드, 그린, 블루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된 색상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카-쉐어링 차량(130)을 반납하여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에 반납 등록을 한 경우,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은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쉐어링 차량(130)의 보안 유지를 위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쉐어링 차량(130)의 차량 센서 모듈(131)은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센서 모듈(131)은 CMOS 센서 또는 CCD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카-쉐어링 차량(130)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은 차량 센서 모듈(131)에서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쉐어링 차량(130)은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판단 결과 일치하면,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은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은 코드의 방식이 다르면 스마트 키 자체를 디코딩(decoding)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은 미리 약속된 터치스크린의 색상이 다른 경우에도 스마트 키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은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 중 미리 약속된 광원이 아닌 경우에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의 일치 여부는 광원의 모양이 점 모양인지 큰 사각형 모양인지를 판단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의 타이밍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럭 주파수에 따라 스마트 키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생성된 맨체스터 코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클럭 주파수가 변경되면 맨체스터 코드의 데이터도 달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가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로 송신한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이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30)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이 앞서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한다(S103).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이 앞서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한다(S104).
이때,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고,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쉐어링 차량(130)의 차량 센서 모듈(131)이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한다(S105).
다음으로, 카-쉐어링 차량(130)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이 앞서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한다(S106).
다음으로,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0)이 앞서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107).
여기서, 판단 결과 일치하면,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132)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한다(S108).
다음으로,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10)에 카-쉐어링 차량(130)의 반납이 등록되면,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3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 단말(120)이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한다(S109).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
120: 사용자 스마트 단말
130: 카-쉐어링 차량
131: 차량 센서 모듈
132: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

Claims (4)

  1.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송신하는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고,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모듈과, 상기 차량 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고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카-쉐어링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상기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상기 카-쉐어링 차량을 반납하여 반납 등록을 한 경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3.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가 사용자의 카-쉐어링(car-sharing) 예약 사항에 따라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를 사용자 스마트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스마트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수신된 스마트 키를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차량 센서 모듈이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플래시 램프 또는 터치스크린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상기 감지된 온/오프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를 역변환하여 스마트 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상기 출력된 스마트 키를 기 저장된 스마트 키와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제어 모듈이 도어(door)를 열림 가능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변환된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 플래시 램프(flash lamp)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온/오프(on/off)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램프를 온/오프하는 경우 10 Hz 미만의 주파수로 온/오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온/오프하는 경우 60 Hz 이상의 주파수로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온/오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에 상기 카-쉐어링 차량의 반납이 등록되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스마트 단말이 상기 카-쉐어링 도어 개폐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키를 자동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방법.
KR1020140098550A 2014-07-31 2014-07-31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152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50A KR101527415B1 (ko) 2014-07-31 2014-07-31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50A KR101527415B1 (ko) 2014-07-31 2014-07-31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415B1 true KR101527415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550A KR101527415B1 (ko) 2014-07-31 2014-07-31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4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588A (ja) * 2000-12-06 2002-06-21 Nissan Motor Co Ltd 共用車輌運用システム
JP2009061978A (ja) *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車両共有化システム
JP4486650B2 (ja) * 2005-01-20 2010-06-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シェア管理装置および車両シェア管理方法
JP2013166447A (ja) * 2012-02-15 2013-08-29 Toyota Motor Corp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588A (ja) * 2000-12-06 2002-06-21 Nissan Motor Co Ltd 共用車輌運用システム
JP4486650B2 (ja) * 2005-01-20 2010-06-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シェア管理装置および車両シェア管理方法
JP2009061978A (ja) * 2007-09-07 2009-03-26 Toyota Motor Corp 車両共有化システム
JP2013166447A (ja) * 2012-02-15 2013-08-29 Toyota Motor Corp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9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mpt message
CN104637131B (zh) 一种门禁系统授权方法、装置及门禁系统
US9373208B2 (en) Secure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closures such as garage doors
CN100524369C (zh) 控制进入人员可进入的区域、特别是门关闭的空间的方法
CN103821413B (zh) 一种蓝牙电子自动锁系统及其开关方法
US20080271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in a Home-Automation Network
KR10157060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US9644591B2 (en) General-purpose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5493635A (zh) 用于远程控制可控设备的系统
US201300159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uthorization
TW201531081A (zh) 使用可攜式電子裝置的存取控制
US10481569B2 (en) Household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entral processing device
CN104483937A (zh) 酒店智能房控系统及方法
AU2018263282B2 (en) Access control system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898069A (zh) 门禁系统
CN109716866A (zh) 无线灯具配置
KR20190096264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CN105931343A (zh) 一种智能门锁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124318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US20180035475A1 (en) Door operator with a wireless setup function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oor operator
CN105960832A (zh) 具有集成安全概念的照明系统和该照明系统的操作方法
KR101527415B1 (ko)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US10859992B2 (en) Vehicle-based geo-fen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