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54B1 -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 Google Patents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54B1
KR101527154B1 KR1020130090854A KR20130090854A KR101527154B1 KR 101527154 B1 KR101527154 B1 KR 101527154B1 KR 1020130090854 A KR1020130090854 A KR 1020130090854A KR 20130090854 A KR20130090854 A KR 20130090854A KR 101527154 B1 KR101527154 B1 KR 10152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iver
water
floa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173A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잠기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로 전환하면서 통수단면적을 좁히거나 수압에 의하여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도와 고수부지를 연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발판을 형성하되,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하천수에 잠기게 되면 하단부가 회전하여 들리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OPEN TYPE ACCESS ROAD STRUCTURE OF HIGH WATER GROUND}
본 발명은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잠기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로 전환하면서 통수단면적을 좁히거나 수압에 의하여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는 시가지 하천 제방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의 측벽을 따라 인도에서 고수부지로 이어지는 구조물을 일컫는다.
이같은 하천 고수부재 접근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자전거 등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의 형태를 갖거나 주로 사람의 출입을 위주로 하여 계단 형태로 축조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천의 고수부지로 출입을 안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는 홍수시와 같이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고 통수단면적을 좁게 하여 결과적으로 하천의 수위를 급상승시켜 시가지로의 범람시기를 앞당기는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또한, 빠른 속도로 흐르는 하천수의 수압을 그대로 받으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함께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천수에 의해 떠다니는 나무가지나,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 쉽게 걸리면서 하천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078호(2003.07.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잠기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로 전환하면서 통수단면적을 좁히거나 수압에 의하여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는, 인도와 고수부지를 연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바닥을 형성하되,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하천수에 잠기게 되면 하단부가 회전하여 들리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천수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의 부력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부력체는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서로 간에 나란히 이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방향 바아와, 상기 이격 설치된 종방향 바아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하단부가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복수의 횡방향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는 연속적으로 층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물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유물들이 상기 프레임에 걸리지 않도록 우회시켜주는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부유물 회피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 회피모듈의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체가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부여하는 부유체와; 상기 중심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어 물살을 받으면서 상기 중심체를 회전시켜주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주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체는 중앙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체의 중공에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로울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는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잠기는 경우에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로 전환하여 하천의 통수단면적을 좁히는 문제가 없고 수압에 의하여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물 회피모듈이 하천수에 의해 떠다니는 나무가지나, 쓰레기 등의 부유물을 프레임이나 회전체에 걸리지 않도록 우회시키기 때문에 진입로의 설치로 인해 고수부지 위 하천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없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잠기게 되는 경우 발판 역할을 하던 복수의 회전체(120)가 하천수에 의한 부력과 물살에 의해 회전하여 들리면서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가 되어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하천의 통수단면적을 좁히거나 수압에 의하여 떠내려가 유실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인도와 고수부지를 연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평소에는 발판 역할을 하다가 수위가 높아진 하천수에 의해 잠기게 되면 회전하여 개방되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회전체(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서로 간에 나란히 이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120)의 회전축(124)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방향 바아(110a)와, 상기 이격 설치된 종방향 바아(110a)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120)의 하단부가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복수의 횡방향 바아(11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바아(110c)는 상기 종방향 바아(110a)로부터 하측으로 요입된 곳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120)의 지지패널(121)이 걸쳐진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120)의 지지패널(121)을 지지하기 위한 횡방향 바아(110c) 이외에도 상기 종방향 바아(110a)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종방향 바아(110a) 서로 간의 이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지하는 이격 지지용의 바아(110b)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종방향 바아(110a)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전술된 것처럼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발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각각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하천수에 잠기게 되면 그의 하단부가 회전하여 들리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120)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패널(121)과, 상기 지지패널(12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천수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된 부력체(122) 및 상기 지지패널(121)을 상기 프레임(110)의 종방향 바아(11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회전축(12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력체(122)가 하천수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회전체(120)에 걸리는 하방 처짐을 극복하면서 하천수의 물살과 더불어 부력에 의해서도 회전하여 들려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력체(122)가 하측으로 볼록한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되면 하천수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이상의 부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회전체(120)의 구성에 의하면, 하천의 수위가 고수부지보다 높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회전체(120)가 회전하지 않고 프레임(110)에 밀착되어 사람이나 자전거가 인도에서 고수부지로 출입할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도 3과 같이 하천의 수위가 고수부지 위를 덮을 정도로 높아지는 경우 복수의 회전체(120)가 하천수에 대한 부력체(122)의 부력 및 하천수의 물살에 의해 회전하여 그 하단부가 들리면서 개방된 상태가 되어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에는 다섯 개의 회전체(120) 중 아래에서 네 개의 회전체(120)만 하천수에 잠겨있는 상태가 도시되었으며, 이 경우 최상단에 위치한 회전체(120)를 제외하고 하천수에 의해 잠겨 있는 회전체(120)만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회전체(12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층계(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의 구성은 사람과 자전거 등의 탈 것의 출입을 염두하고 구성된 변형전 실시예와는 달리 주로 사람의 출입만을 염두에 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사람의 출입을 주로 염두에 둔 층계(123)를 설치하는 구성도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회피모듈의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100)는 하천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물들이 프레임(110)이나 회전체(120)에 걸리지 않도록 우회시켜주는 부유물 회피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물 회피모듈(130)은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심축(131)과, 상기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물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각으로 향하는 부유물들을 우회시켜주는 회전 어셈블리(130a)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는 다시 중심체(132)와, 부유체(133)와, 블레이드(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심축(13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봉 형태 구조물로서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심축(131)은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의 회전 중심축(131)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하방향 가이드 역할도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10)과 고수부지의 상하 이격폭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여 설치한다.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의 중심체(132)는, 상기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체(132)는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에는 상기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로울러(132a)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로울러(132a)가 배치된 형태는 도 8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울러(132a)는 중심체(132)의 내벽에 고정된 바아 형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상기 중심체(132)의 중공에 상기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된 복수의 로울러(132a)가 설치되면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가 중심축(131)을 따라 안내되어 원활한 승강이 가능해지고,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하는 원활한 회전도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의 부유체(133)는 중심체(132)가 수면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유체(133)는 수면에 쉽게 부유할 수 있는 작은 비중의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중심체(132)의 외주면 둘레를 감싼 형태로 설치된다. 단, 상기 부유체(133)는 중심체(132)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도면과 같이 외주면 둘레를 감싼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부유에 적합하다. 이처럼 부유체(133)가 구비되면 하천수 수위의 변화와 관계없이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가 항상 수면에 부유하면서 부유물들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어셈블리(130a)의 블레이드(134)는 하천수의 물살을 이용하여 회전 어셈블리(130a)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134)는 유속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형성하는 볼록면과 반대편에서 높은 압력을 형성하는 오목면을 구비하며,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134)가 배치된 형태는 도 7에 잘 나타나 있으며 복수의 블레이드(134)가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물살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볼록면이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었다. 여기서 만일 회전 어셈블리(130a)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해야 한다면 상기 블레이드(134)의 오목면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부유물 회피모듈(130)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하천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점차 우회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단계적으로 연계하여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배치방법이 있으나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프레임 110a : 종방향 바아
110c : 횡방향 바아 120 : 회전체
121 : 지지패널 122 : 부력체
123 : 층계 124 : 회전축
130 : 부유물 회피모듈 130a : 회전 어셈블리
131 : 중심축 132 : 중심체
132a : 로울러 133 : 부유체
134 : 블레이드

Claims (9)

  1. 하천의 고수부지로 출입하기 위한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있어서,
    인도와 고수부지를 연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발판을 형성하되,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하천수에 잠기게 되면 하단부가 회전하여 들리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서로 간에 이격을 두고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방향 바아와, 상기 이격 설치된 종방향 바아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하단부가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복수의 횡방향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천수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의 부력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부력체는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는 연속적으로 층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물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유물들이 상기 프레임에 걸리지 않도록 우회시켜주는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부유물 회피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회피모듈의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체가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부여하는 부유체와;
    상기 중심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어 물살을 받으면서 상기 중심체를 회전시켜주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주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는 중앙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체의 중공에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로울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9. 하천의 고수부지로 출입하기 위한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에 있어서,
    인도와 고수부지를 연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발판을 형성하되,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하천수에 잠기게 되면 하단부가 회전하여 들리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천수의 물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유물들이 상기 프레임에 걸리지 않도록 우회시켜주는 회전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부유물 회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서로 간에 나란히 이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종방향 바아와, 상기 이격 설치된 종방향 바아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하단부가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복수의 횡방향 바아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천수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된 부력체를 구비하며,
    상기 부유물 회피모듈의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중앙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공에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로울러를 갖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체가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부여하는 부유체와, 상기 중심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어 물살을 받으면서 상기 중심체를 회전시켜주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주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KR1020130090854A 2013-07-31 2013-07-31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KR10152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4A KR101527154B1 (ko) 2013-07-31 2013-07-31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4A KR101527154B1 (ko) 2013-07-31 2013-07-31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73A KR20150015173A (ko) 2015-02-10
KR101527154B1 true KR101527154B1 (ko) 2015-06-09

Family

ID=525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854A KR101527154B1 (ko) 2013-07-31 2013-07-31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1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152A (ko) * 2010-03-12 2011-09-20 (주)지비텍이엔씨 배수로에서 동물 탈출을 위한 부력경사로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18448A (ko) * 2010-08-23 2012-03-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각 부유물 누적 방지장치
JP2013023828A (ja) * 2011-07-15 2013-02-04 Kochiku Sekkei Co Ltd 津波対応型階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152A (ko) * 2010-03-12 2011-09-20 (주)지비텍이엔씨 배수로에서 동물 탈출을 위한 부력경사로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18448A (ko) * 2010-08-23 2012-03-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각 부유물 누적 방지장치
JP2013023828A (ja) * 2011-07-15 2013-02-04 Kochiku Sekkei Co Ltd 津波対応型階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73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2162B (zh) 一种可自动升降的排水井盖
BR112012010871A2 (pt) "usina elétrica de poço".
CA2383672A1 (en) Bridge pillar debris deflection apparatus
KR101197734B1 (ko) 교각 부유물 누적 방지장치
JP6625911B2 (ja) フラップゲート及びゲート設備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CN113389174A (zh) 一种建筑桥梁的防护装置
CN207376798U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防堵塞装置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069425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1527154B1 (ko) 오픈형 하천 고수부지 접근로
KR101242787B1 (ko) 에너지 토출을 극대화한 유수력 발전장치
KR102228133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261700B1 (ko) 회전식 가동보
CN206090801U (zh) 一种雨水截污设备
KR100879398B1 (ko) 자동 전도 난간
WO2017024369A2 (pt) Sistema para separação de materiais
CN208346617U (zh) 一种具有蓄水及过滤功能的防洪桥
KR101311243B1 (ko) 상승 및 파손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KR102132956B1 (ko) 부력식 스윙도교
CN220521268U (zh) 河道环境保护用浮动式拦污装置
KR101728687B1 (ko) 개폐창문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WO2019175523A1 (en) Waterwheel
KR102417163B1 (ko) 외부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혼합형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