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886B1 -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886B1
KR101525886B1 KR1020140018791A KR20140018791A KR101525886B1 KR 101525886 B1 KR101525886 B1 KR 101525886B1 KR 1020140018791 A KR1020140018791 A KR 1020140018791A KR 20140018791 A KR20140018791 A KR 20140018791A KR 101525886 B1 KR101525886 B1 KR 10152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coordinate
image
point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원
Original Assignee
서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원 filed Critical 서호원
Priority to KR102014001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입력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하고,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OF SERVICING MAP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지도 영상 위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도와 함께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지도에 좌표를 매핑하여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을 찾거나, 현재 위치를 확인할 때에는 스마트폰 등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지도를 다운받아야 하므로, 데이터 로밍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해외 여행객은 사용하기 힘들다. 단, GPS 센서를 이용하면 현재 위치의 좌표만은 데이터 통신망 등을 이용하지 않고 획득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통신망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지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면 해외 여행객이 현재 위치를 지도 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와 지도에 상응하는 좌표 마커를 제공하고, 단말 장치의 영상 촬영 모듈을 사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지도 제공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137074A호, 2013년 12월 16일 공개 (명칭: 3차원 지도를 이용한 증강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 및 지도에 상응하는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지도 위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 데이터 및 현재 위치를 획득할 때에 데이터 통신망 등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 위에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를 이용한 다른 컨텐츠와 접목하여 간편하게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는,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입력하는 지도 입력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하는 좌표 인식부; 및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 인식부는 상기 축척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지도의 각 지점 및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방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방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지도의 각 지점 및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방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좌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방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도 및 지도에 상응하는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지도 위에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 및 현재 위치를 획득할 때에 데이터 통신망 등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위에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를 이용한 다른 컨텐츠와 접목하여 간편하게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입력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및 지도에 상응하는 좌표 마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는 지도 입력부(110), 좌표 인식부(120) 및 위치 표시부(130)을 포함한다.
지도 입력부(110)는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입력한다.
이 때, 영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 화상일 수도 있고, 영상 촬영 모듈에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QR코드의 형식일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단, 좌표 마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도와 중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지점은 상기 지도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는, 좌표 마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도와 중첩된 경우, 상기 좌표 마커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지점일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2개 이상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좌표가 지도 내의 어떤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된 영상이 불완전하여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데 있어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각 좌표 마커가 2개 이상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좌표 인식부(120)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한다.
이 때, 좌표 마커의 위치에 기반하여 지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마커가 지도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좌표 마커를 인식하고, 이에 기반하여 지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지도가 정면에서 입력되지 않아 직사각형의 형태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 직사각형의 형태로 보정하는 지도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획득한 좌표가 많을수록 좌표의 매핑이 정확하지만, 최소 2개의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만 있어도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인식부(120)는 상기 축척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지도의 각 지점 및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획득한 좌표가 많을수록 좌표의 매핑이 정확하지만, 최소 1개의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 및 상기 축척 정보만 있어도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일부의 좌표 마커만 인식하더라도 좌표의 매핑이 가능한 경우, 일부의 좌표 마커 및 지도의 일부만 인식할 수 있다.
위치 표시부(130)는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한다.
이 때, 현재 위치는 GPS를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GPS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지도에 현재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도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의 방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방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표시부(130)는 상기 방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방향이 화면의 위를 향하도록 영상 및 지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입력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210)에 포함된 영상 촬영 모듈(211)로 지도(220) 및 좌표 마커(230~ 233)를 촬영함으로써 입력한다.
이 때, 영상 촬영 모듈(211)로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는, 영상 촬영 모듈(211)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화면(212)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지도(220) 및 좌표 마커(230~ 233)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마커 중 어느 하나가 2개 이상의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포함하거나,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경우, 최소 1개의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지점과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및 지도에 상응하는 좌표 마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도(310) 주위에 좌표 마커들(320~ 323)이 위치하고 있다.
도 3에는 지도(310)의 네 모서리와 좌표 마커들(320~ 323)의 각 모서리가 접하고 있으나, 지도(310)와 좌표 마커들(320~ 323)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좌표 마커(320)의 우하단 모서리가 지도(310)의 모서리와 접하고 있으나, 좌표 마커(320)이 지도(310)와 전부 접하는 경우, 좌표 마커(320)의 좌상단 모서리가 지도(310)의 모서리와 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좌표 마커(321~ 323)도 각각 좌하단, 우상단, 좌상단의 모서리가 지도(310)와 접하고 있으나, 각각 우상단, 좌하단, 우하단의 모서리가 지도(310)와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320~ 323)의 위치에 기반하여 지도(31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마커(320~ 323)가 지도(310)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좌표 마커(320~ 323)를 인식하고, 이에 기반하여 지도(310)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촬영 인디케이터(410~ 413)를 포함한다.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지도 및 좌표 마커를 인식할 때에는, 화상을 촬영한 후에 지도 및 좌표 마커를 인식할 수도 있으나, 지도 및 좌표 마커를 인식할 수 있을 때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때, 지도 및 좌표 마커의 인식을 돕기 위하여 촬영 인디케이터(410~ 413)를 표시하고, 촬영 인디케이터(410~ 413) 내부의 영역에 지도 및 좌표 마커가 위치하도록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모듈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영상(510), 지도(520), 좌표 마커(530~533), 현재 위치(540), 현재 방향(541) 및 방향 표시 버튼(550)를 포함한다.
이 때, 영상(510)은 정지 화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고,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있는 영상일 수도 있다.
지도(520) 및 좌표 마커(530~ 533)를 인식하여 지도(520)의 각 지점과 좌표를 매핑한다.
또한,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영상(510) 내의 지도(520) 위에 현재 위치(540)를 표시한다.
이 때, 좌표 마커(530~ 533)는 방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방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향(54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방향 표시 버튼(550)으로 현재 방향(541)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현재 방향(541)이 위를 향하도록 영상(510) 및 지도(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입력한다(S610).
이 때, 영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 화상일 수도 있고, 영상 촬영 모듈에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QR코드의 형식일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단, 좌표 마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도와 중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지점은 상기 지도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는, 좌표 마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도와 중첩된 경우, 상기 좌표 마커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지점일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는 2개 이상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좌표가 지도 내의 어떤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된 영상이 불완전하여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데 있어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각 좌표 마커가 2개 이상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한다(S620).
이 때, 좌표 마커의 위치에 기반하여 지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마커가 지도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좌표 마커를 인식하고, 이에 기반하여 지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지도가 정면에서 입력되지 않아 직사각형의 형태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 직사각형의 형태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부의 좌표 마커만 인식하더라도 좌표의 매핑이 가능한 경우, 일부의 좌표 마커 및 지도의 일부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한다(S630).
이 때,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획득한 좌표가 많을수록 좌표의 매핑이 정확하지만, 최소 2개의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만 있어도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지도의 각 지점 및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마커를 인식하여 획득한 좌표가 많을수록 좌표의 매핑이 정확하지만, 최소 1개의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 및 상기 축척 정보만 있어도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현재 위치를 수신한다(S640).
이 때, 현재 위치는 GPS를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GPS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한다(S650).
이 때, 지도에 현재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도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의 방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방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표시부(130)는 상기 방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방향이 화면의 위를 향하도록 영상 및 지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망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지도 데이터 및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지도 위에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여행 가이드북 등의 지도를 이용한 다른 컨텐츠와 접목하여 여행 중에 현재 위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고, 범용의 지도가 아닌 특정 목적을 위한 지도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110: 지도 입력부 120: 좌표 인식부
130: 위치 표시부 210: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
211: 영상 촬영 모듈 212: 화면
220: 지도 230~ 233: 좌표 마커
310: 지도 320~ 323: 좌표 마커
410~ 413: 촬영 인디케이터 510: 영상
520: 지도 530~ 533: 좌표 마커
540: 현재 위치 541: 현재 방향
550: 방향 표시 버튼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영상 촬영 모듈을 통하여, 지도 및 1개 이상의 좌표 마커가 포함된 인쇄물을 촬영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지도 및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좌표 마커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의 각 지점과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하는 단계;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현재 좌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의 특정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단말 장치는
    상기 지도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 직사각형의 형태로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축척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지도의 각 지점 및 상기 지점에 상응하는 좌표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표 마커는
    상기 지도에 상응하는 방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좌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방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지도 위에 현재 방향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11. 삭제
KR1020140018791A 2014-02-19 2014-02-19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2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91A KR101525886B1 (ko) 2014-02-19 2014-02-19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91A KR101525886B1 (ko) 2014-02-19 2014-02-19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886B1 true KR101525886B1 (ko) 2015-06-24

Family

ID=5351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91A KR101525886B1 (ko) 2014-02-19 2014-02-19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055B1 (ko) * 2016-05-30 2017-08-28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피사체의 자세 및 동작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34A (ko) * 2006-07-04 2008-01-09 주식회사 엘비에스플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20062337A (ko) * 2010-12-06 2012-06-14 서울메트로 Qr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860A (ko) * 2011-12-21 2013-07-22 이상헌 위치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 맵, 그 스마트 맵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1167A (ko) * 2012-06-26 2014-01-06 한국과학기술원 웨어러블 증강현실 환경에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34A (ko) * 2006-07-04 2008-01-09 주식회사 엘비에스플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20062337A (ko) * 2010-12-06 2012-06-14 서울메트로 Qr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860A (ko) * 2011-12-21 2013-07-22 이상헌 위치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 맵, 그 스마트 맵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1167A (ko) * 2012-06-26 2014-01-06 한국과학기술원 웨어러블 증강현실 환경에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055B1 (ko) * 2016-05-30 2017-08-28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피사체의 자세 및 동작 분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59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080885B2 (en) Digitally encoded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CN103335657B (zh) 一种基于图像捕获和识别技术增强导航功能的方法和系统
US1181535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positioning information
EP3592001B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60102992A1 (en) Street-level guidance via route path
US20190102626A1 (en) Image display system, terminal, method, and program
KR101232864B1 (ko)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43164A1 (en) Position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16542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3644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09638A (ko) 미인식 실제객체에 대한 가상객체 데이터 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장치와, 기록매체
KR101525886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지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21030B (zh) 增强现实提供方法、增强现实提供服务器、以及记录介质
KR101696261B1 (ko) 랜드마크를 이용한 보행자 이동경로 제공방법
JP200511550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993712B2 (ja) 簡略地図の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CN103943026B (zh) 一种基于像素距离的目标点自动排布方法
JP6537189B2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CN112492525B (zh) 信息推送系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3104854A (ja) 携帯端末及び情報表示方法
JP201213748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60060278A (ko) 세도로 주행시 교차로 주변 건물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111644A (ko)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JP2022046075A (ja) 道路標識表示装置、道路標識表示方法、および道路標識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