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644A -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644A
KR20160111644A KR1020150036521A KR20150036521A KR20160111644A KR 20160111644 A KR20160111644 A KR 20160111644A KR 1020150036521 A KR1020150036521 A KR 1020150036521A KR 20150036521 A KR20150036521 A KR 20150036521A KR 20160111644 A KR20160111644 A KR 2016011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stereoscopic image
digital electronic
electronic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198B1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맵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맵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맵퍼스
Priority to KR102015003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01C21/3638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including 3D objects and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객체에 대해 객체의 실제 이미지를 적용하여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식별성이 좋은 디지털 전자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NAVIGATION SERVICE AND NAVIG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화된 객체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에 따라 안내를 하는 도로 및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해당한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2차원 지도 기반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주요 건물이나 도로 등을 2.5차원의 형상으로 표현하는 2.5차원 내비게이션을 거쳐, 최근에는 주요 교차로를 3차원 모델로 구축한 다음 차량의 진행 위치에 맞추어 실세계와 유사한 거리의 모습을 입체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는 3차원 내비게이션으로 발전하고 있다.
3차원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대부분은, 3D 건물, 랜드마크 및 관심장소를 시각화하는데 사실적(Photorealistic) 랜더링 기술을 사용한다. 이런 시각화 기법에서는 정확한 기하학적 모델 및 상세한 사실적 건물 텍스처(Texture)를 필요로 한다. 3차원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랜더링된 3D 건물, 도로 또는 다른 물체의 모습을 실제의 건물, 도로 또는 다른 물체와 가능한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전면 유리창을 통해 실제의 건물을 보았을 때, 운전자는 건물이 사실적으로 일치하여 3D 랜트마크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보급 이후 사용자는 디지털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개인화 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획일화된 인터페이스보다는,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종래의 내비게이션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터페이스 일부를 변경 또는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뿐,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객체를 변경하거나 또는 개별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지털 전자 지도 상의 객체들을 사용자별로 개별화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서브 객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객체의 객체 형상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상기 서브 객체 영상을 보정하여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객체 영상을 복수의 부분 영상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영상들 각각을 폭과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복수의 부분 영상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정보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이 획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 위치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객체의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저장 정보에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입체 영상의 식별 정보를 쌍으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류하여 저장된 객체 입체 영상은 다른 사용자의 접근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접근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이 적용된 특정 객체를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에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송신을 요청하고,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이 적용된 특정 객체를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 사용자 정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한 객체에 대해 객체의 실제 이미지를 적용하여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있는 객체 영상 생성부에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문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100)은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를 획득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110), 생성된 객체 입체 영상과 사용자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고, 이들이 반영된 디지털 전자지도를 제공하는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단말(13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 및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를 수행하여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객체는 디지털 전자지도에 포함되어 후술하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Display)될 수 있는 객체로, 예를 들어, 주행차량, 건물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특정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즉,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와 이미지를 획득한 시점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2차원 영상(사진)과 영상이 촬영된 위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객체 입체 영상은 해당 객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 및/또는 내비게이션 단말(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또는 노트북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객체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112),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113),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4)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1)는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1)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시스템)부(112)는 복수의 인공 위성들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부(112)는 상기 이미지가 획득된 시점에,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획득된 위치 정보는 상기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110) 내 저장 모듈(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13)는 영상 획득부(111)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13)는 영상 획득부(111)를 통해 획득된 사진(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을 가공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3차원 모델링 방법, 즉,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113)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된 영상 처리 프로그램에 해당할 수 있고, 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배포, 가상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영상 처리부(113)를 통해 생성된 객체 입체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식별자(ID) 또는 전화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는 후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130)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디지털 전자지도와 내비게이션 단말(130)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교통 정보, 유고 정보 등)를 생성하고, 후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전자지도는 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지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객체들을 3차원으로 나타내는 3D 맵(3-Dimension Map)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와 객체 입체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객체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디지털 전자지도에 포함된 객체 정보, 특히, 객체의 영상을 해당 객체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특정 객체의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객체 입체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저장 정보에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객체 입체 영상의 식별 정보를 쌍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와 연관하여 아파트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 X, 승용차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 Y, SUV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 Z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 입체 영상들은 객체 종류 정보를 기초로 [X], [Y, Z]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X, Y, Z 각각을 XX, YY, ZZ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X]와 [Z]가 사용되는 경우, A 사용자의 사용자 저장 정보 A는 [(a,b), XX], [주행차량, ZZ]와 같은 데이터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a,b)는 A 사용자의 거주지의 위경도 좌표에 해당하고, 주행차량은 해당 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객체 입체 영상에 다른 사용자의 접근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접근 정책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객체 입체 영상 X는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허용이라는 접근 정책을 포함하는 경우,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접근 정책을 포함하여 해당 객체 입체 영상 X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된 객체 입체 영상 X는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에 의해 B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B 사용자의 호출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사용자에게 위치와 주변 지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 최단거리 등을 제공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지도 안내를 통해 길 찾기를 도와주는 장치 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해당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로부터 배포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에 디지털 전자지도, 교통 정보 등에 대한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디지털 전자지도, 교통 정보 등을 내비게이션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송수신부(210), 객체 영상 생성부(220), GPS부(230), 표시부(240), 데이터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송수신부(210)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220)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 영상 생성부(220)는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취득하는 영상 획득부(221)와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222)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영상 획득부(221)는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2)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획득부(221)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GPS부(230)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위성들로부터 각각 시간과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들을 기초로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부(230)는 영상 생성부를 통해 특정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시점에, 내비게이션 시스템(특히, 영상 생성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GPS부(230)는 표시부(240)를 통해 디지털 전자지도가 도시되는 경우, 내비게이션 시스템(특히, 표시부)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GPS부(230)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후술하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이미지 정보(또는 획득된 이미지 정보), 디지털 전자지도 등을 표시(display)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는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경로 탐색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전자지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는, 탐색된 경로 데이터, 수신한 영상, 및 객체 입체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는,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서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60)는 송수신부(210), 객체 영상 생성부(220), GPS부(230), 표시부(240) 및 데이터 저장부(250) 각각의 동작과,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요청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디지털 전자지도를 리딩하여, 송수신부(21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디지털 전자지도를 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고, 표시부(240)를 통해 디지털 전자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객체 영상 생성부(220)에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에 해당하고, (b)는 추출틀(extraction framework)이 적용된 이미지 정보에 해당하며, (c)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서브 객체 영상에 해당하고, (d)는 변환을 통해 생성된 서브 입체 영상에 해당한다. 즉,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process)은 추출틀 적용 단계(즉, 객체 인식 단계), 이미지 추출 단계 및 이미지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틀을 기초로 이미지 정보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출틀은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틀에 해당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선택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추출틀은 객체 종류에 따라 기 저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틀은 건물 객체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에 해당할 수 있거나, 또는 차량 객체에 대응하여 특정방향에서 바라본 차량의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추출틀의 크기와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틀의 각 모서리 부분의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추출틀의 상부를 이전보다 좁게, 추출틀의 하부를 이전보다 넓게, 전체 높이는 이전보다 낮도록, 추출틀을 변경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조정된 추출틀을 기초로 서브 객체 영상을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객체 영상 생성부는 일반적인 객체 추출 방법(예를 들어, 임계값 이용 방법, 에지 기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서브 객체 영상을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된 서브 객체 영상을 변환하여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된 사다리꼴 형상의 서브 객체 영상에 대하여 폭(또는 길이)를 부분적으로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방식으로 보정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객체 영상 생성부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서브 객체 영상을 기초로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 영상 생성부는 서브 객체 영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보다 폭이 좁은 부분은 폭을 늘이고, 폭이 넓은 부분은 폭을 좁히는 방식으로 서브 객체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객체 영상 생성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서브 객체 영상의 상하 방향으로 중심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배치할 수 있고, 중심선보다 폭이 좁은 서브 객체 영상의 위 부분에 대해서는 폭을 넓히며, 중심선보다 폭이 넓은 서브 객체 영상의 아래 부분에 대해서는 폭을 좁힐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객체 영상 생성부는 서브 객체 영상을 복수의 부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 영상의 폭과 높이를 보정하며, 보정된 부분 객체 영상들을 결합하여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b)와 도 4(c)를 참조하면, 객체 영상 생성부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브 객체 영상을 20개(또는 30개)로 분할하여 20개의 부분 영상을 생성하고, 중심선 위측에 존재하는 부분 영상들에 대해서는 폭과 높이를 늘이고, 중심선 아래측에 존재하는 부분 영상들에 대해서는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부분 영상의 높이는 해당 부분 영상의 넓이와 다른 부분 영상의 넓이를 상호 동일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있는 객체 영상 생성부에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객체 영상 생성부는 건물 객체에 대한 4개의 이미지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고, 4개의 이미지 정보들로부터 4개의 서브 입체 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4개의 서브 입체 영상들을 결합하여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이미지 정보들 각각은 건물 객체의 4개 방향에서 획득한 영상에 해당한다.
도 5a는 건물 객체와 각 이미지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들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 객체의 위치 정보는 (x, y)에 해당하고, 제1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는 (x1, y1)에 해당하며, 제2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는 (x2, y2)에 해당하고, 제3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는 (x3, y3)에 해당하며, 제4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는 (x4, y4)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x는 위도 정보, y는 경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를 획득한 시점에 이미지 획득 수단의 고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정보는 (x1, y1, z1)에 해당할 수 있고, 여기에서, z1은 고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객체의 위치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객체와 이미지 정보간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와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객체 영상 생성부는 제1 이미지 정보가 객체의 남쪽 방향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객체 영상 생성부는 제2 내지 제4 이미지 정보들 각각이 객체의 서쪽 방향, 동쪽 방향 및 북쪽 방향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객체 영상 생성부는 객체의 위치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추출틀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영상 생성부는 객체의 위치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간의 차이에 반비례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윗면 길이(아래면에 대한 윗면의 비율)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영상 생성부는 이미지 정보의 고도 정보를 기초로 추출틀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이미지 정보의 고도 정보가 객체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a, b, c의 경우),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틀의 형상을 아랫면이 상대적으로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미지 정보의 고도 정보가 객체의 높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경우,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틀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의 고도 정보가 객체의 높이의 절반보다 높은 경우(d의 경우), 객체 영상 생성부는 추출틀의 형상을 윗면이 상대적으로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객체 영상 생성부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한 서브 객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통해, 각 이미지 정보로부터 서브 객체 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영상 생성부는 이미지 정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객체 영상들의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결합 위치에 따라 복수의 서브 객체 영상들을 결합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610).
여기에서, 객체 정보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종류 정보(예를 들어, 건물, 차량), 객체 형상 정보(차량의 경우, 승용차, SUV 등) 및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객체가 SUV(Sports Utility Vehicle)에 해당하는 경우, 객체 정보는 SUV 이미지와, 객체 종류 정보로서 차량, 객체 형상 정보로서 SUV, 객체 위치 정보로서 주행 차량의 위치(즉,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객체가 사용자가 거주하는 아파트에 해당하는 경우, 객체 정보는 해당 아파트의 이미지와, 객체 종류 정보로서 건물, 객체 형상 정보로서 아파트, 객체 위치 정보로서 (a, 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a는 위도, b는 경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특정 객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및 객체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해당 정보의 입력을 프롬프팅(promp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표시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등록이라는 항목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 종류, 객체 형상, 객체 위치 등을 선택하거나 또는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S620).
일 실시예에서, 객체 영상 생성부는 특정 객체의 이미지 정보로부터 특정 객체에 대한 서브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서브 객체 영상과 특정 객체의 객체 형상을 기초로 객체 입체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생성된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한다(S630).
일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특정 객체의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저장 정보에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입체 영상의 식별 정보를 쌍으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류하여 저장된 객체 입체 영상은 다른 사용자의 접근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접근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객체 입체 영상을 해당 특정 객체에 적용한다(S64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한 객체에 대해 실제 객체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성이 좋은 디지털 전자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S710).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S7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에 대해 추출틀을 적용하고, 서브 객체 영상을 추출하며, 서브 객체 영상을 특정 객체에 적용 가능하도록 형상 변환과 같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정보, 객체 입체 영상 및 객체 정보를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S730).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객체 입체 영상과 객체 정보를 저장한다(S740).
앞서 도 1을 참고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객체 입체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저장 정보에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객체 입체 영상의 식별 정보를 쌍으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최신의 디지털 전자지도를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50).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내비게이션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760).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해당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권이 없는 경우,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해당 절차, 즉, 디지털 전자지도 또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갱신 등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로부터 디지털 전자지도의 버전,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프로그램의 버전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저장된 디지털 전자지도, 서비스 프로그램 등에 대한 업데이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에서 해당 내비게이션 단말(130)에 저장된 디지털 전자지도, 서비스 프로그램 등에 대한 갱신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디지털 전자지도에 대한 갱신이 필요한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에 디지털 전자지도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S770).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해당 요청에 따라 디지털 전자지도를 호출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객체 입체 영상의 존재 유무와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객체 입체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해당 객체 입체 영상을 디지털 전자지도 내에 존재하는 특정 객체에 적용한다(S780).
예를 들어,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해당 특정 객체에 대한 3D 모델을 객체 입체 영상으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120)는 해당 객체 입체 영상이 적용된 디지털 전자지도를 내비게이션 단말(130)에 전송한다(S790).
내비게이션 단말(130)은 수신한 디지털 전자지도를 기초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객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특정 객체를 객체 입체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S80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비게이션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11: 영상 획득부
112: GPS부
113: 영상 처리부
114: 송수신부
115: 표시부
120: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
130: 내비게이션 단말
210: 송수신부
220: 객체 영상 생성부
221: 영상 획득부
222: 영상 처리부
230: GPS부
240: 표시부
250: 데이터 저장부
260: 제어부

Claims (12)

  1.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특정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서브 객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객체의 객체 형상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상기 서브 객체 영상을 보정하여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객체 영상을 복수의 부분 영상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영상들 각각의 폭과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복수의 부분 영상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이 획득된 위치에 관한 복수의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 위치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객체의 객체 종류 정보, 객체 형상 정보, 객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저장 정보에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의 식별 정보를 쌍으로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여 저장된 객체 입체 영상은 다른 사용자의 접근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접근 정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특정 객체에 대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이 적용된 특정 객체를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0.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제공 서버에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송신을 요청하고,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이 적용된 특정 객체를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단말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12.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디지털 전자지도 상에 도시되는 특정 객체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 입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객체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
    사용자 정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전자지도가 호출되면, 저장된 상기 객체 입체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에 적용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36521A 2015-03-17 2015-03-17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170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521A KR101707198B1 (ko) 2015-03-17 2015-03-17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521A KR101707198B1 (ko) 2015-03-17 2015-03-17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44A true KR20160111644A (ko) 2016-09-27
KR101707198B1 KR101707198B1 (ko) 2017-02-15

Family

ID=5710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521A KR101707198B1 (ko) 2015-03-17 2015-03-17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695A (ko) * 2019-06-12 2023-08-21 장태원 360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수행하는 방법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8379A (ja) * 1996-05-29 1997-12-12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298337A (ja) * 2006-04-28 2007-11-15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01655A (ko) * 2007-05-08 2009-01-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플래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8379A (ja) * 1996-05-29 1997-12-12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298337A (ja) * 2006-04-28 2007-11-15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01655A (ko) * 2007-05-08 2009-01-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플래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695A (ko) * 2019-06-12 2023-08-21 장태원 360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수행하는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98B1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999B1 (en) Augmented reality with earth data
CN108474666B (zh) 用于在地图显示中定位用户的系统和方法
US11698268B2 (en) Street-level guidance via route path
KR101147748B1 (ko) 지리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US8532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terrain and route guidance
US20130162665A1 (en) Image view in mapping
CN102639962A (zh) 使用非真实感(npr)3d地图的3d导航方法
US20130069941A1 (en) Navigational aid having improved processing of display data
KR101413011B1 (ko)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232864B1 (ko)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30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9167213A1 (ja) 位置推定装置、トラッカー、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789480B (zh) 用于将两个或更多个用户导航到会面位置的方法和设备
JP201400999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776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7198B1 (ko) 개별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1404976B1 (ko) 3차원 매칭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보행 경로 poi표출 시스템
JP473334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han et al. Indoor navigation systems using annotated map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US9734619B2 (en) 3-dimensional map view with background images
CN112527925A (zh) 地图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836113B1 (ko)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245192B2 (en) Ad collateral detection
JP2013205072A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05499B1 (ko)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