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99B1 -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 Google Patents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99B1
KR101405499B1 KR1020120110214A KR20120110214A KR101405499B1 KR 101405499 B1 KR101405499 B1 KR 101405499B1 KR 1020120110214 A KR1020120110214 A KR 1020120110214A KR 20120110214 A KR20120110214 A KR 20120110214A KR 101405499 B1 KR101405499 B1 KR 10140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oi
information
coordinate value
symbo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168A (ko
Inventor
강경훈
김성표
유현아
이승택
김기우
Original Assignee
이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택 filed Critical 이승택
Priority to KR102012011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4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2Guidance using simplified or iconic instructions, e.g. using arr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은,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진행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서버로부터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을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GPS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현재위치 좌표값과 경로POI 중 상기 현재위치좌표값과 가장 근접한 경로POI인 제1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를 이용하여 최초 방향벡터를 산출하는 방향벡터산출단계; 최초 방향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최초 상징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단계; 및 최초 상징객체를 화면표시수단 중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 영역에 표출시키는 객체표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Method for generating symbol object of route direction}
본 발명은 경로 방향을 상징하는 객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과 함께 경로 POI에서 다음 경로POI의 방향성을 상징하는 객체를 해당 경로POI의 위치에 표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영상에 대한 증강 현실 기법으로 경로 확인을 시각적으로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 즉, 실세계 정보에 텍스트, 위치 정보, 범주 카테고리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세계 정보를 합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
증강 현실 기법은 스마트폰과 같이 모바일 단말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른 결과물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하게 되는 실제 세계 정보에 아이템 공급자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주변 지형 인식, 목적지 확인, 주변 건물의 정보 확인 등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증강 현실 기법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주체 측으로 전달하는 GPS 정보 및 실세계 정보와 기 구축된 3D 기반의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주변 지형물(Point Of Interest, POI)의 위치 정보와 그 지형물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주변에 어떤 지형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근래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방향을 나타내는 선형 라인을 출력시켜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이동하여야 할 방향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구현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 또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 상의 라인을 선형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단말에 고사양의 하드웨어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재 위치 정보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범용성을 가질 수 없는 본질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선형 라인의 생성을 위한 연산을 서버에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피드백하여 표출시키는 방법도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에 따라 서버 구동에 상당한 부담이 됨은 물론, 고용량의 데이터가 송수신되어야 하므로 과도한 데이터 트래픽 초래는 물론, 사용자 단말에 표출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실시간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은 상당한 고가의 특수한 단말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경로 정보를 형성하는 주요 거점인 경로POI들 사이의 방향성을 상징하는 상징객체를 각각의 경로 POI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출시킴으로써, 연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경로를 찾아야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경로 확인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인식가능하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주요 거점 POI인 경로POI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진행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과 함께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을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GPS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현재위치 좌표값과 상기 경로POI 중 상기 현재위치좌표값과 가장 근접한 경로POI인 제1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를 이용하여 최초 방향벡터를 산출하는 방향벡터산출단계; 상기 최초 방향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최초 상징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최초 상징객체를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 영역에 표출시키는 객체표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경로POI에 대한 절대좌표값을 수신하고,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n(n은 1 이상 N-1 이하)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과 n+1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로 산출되는 벡터와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n번째 상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표출단계는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n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n번째 상징객체를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경로POI의 텍스트 정보를 더 수신받고,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상기 경로 POI의 절대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로POI의 텍스트정보를 표출시키는 정보표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을 산출하는 시선각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객체표출단계는 상기 상징객체가 표출되는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시선각에 포함되도록 유도하는 방향 안내 정보를 더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n번째 경로POI와 n+1번째 경로POI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상징객체의 크기를 차등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상기 경로POI가 선형성 기반의 도로 POI인 경우, 상기 도로POI의 선형 각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상기 수신된 선형 각도 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은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POI들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POI에서 다음 POI로 진행하는 방향성 상징객체를 해당POI에 대응되는 화면표시수단의 위치에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를 통한 실세계 영상과 경로의 주요 거점에서의 진행 방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경로 확인 및 목적지 도달의 과정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방향성 객체의 연산을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주요 거점인 경로POI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수행하므로 사용자 단말에 요구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어 실시간 인터페이싱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단말 사양에 무관한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구현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좌표값의 상대적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각 경로POI들의 절대좌표값 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경로POI와 다음 경로POI사이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해당 경로POI들에 대한 방향성 등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표출되는 방향성 상징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이하 객체 표출방법이라고 지칭한다)을 구현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객체 표출방법은 사용자 단말(100-1, 100-2, 100-n) 등에서 구현되는 방법 내지 알고리즘으로서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비스서버(10)는 이미 구축된 3D, 2D 지도 체계를 통하여 지도를 구성하는 모든 POI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명칭, 종류, 위치정보, 형상 정보 등이 DB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DB정보는 그 데이터량이 상당히 방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에 모두 구비시키는 방법보다는 서비스서버(10)에 저장한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의 연산에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 단말의 저장 용량이 크다거나 또는 특정 지역 섹터 내에서의 제한적인 POI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라면 사용자 단말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모바일 단말에서 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증강 현실 기법과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면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 기기에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서비스서버(10)는 맵 데이터 또는 교통 특성에 대한 정보 등을 관장하는 소정 관공서 등의 기관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들을 제공받거나 또는 네트워크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0)이 그 수행 주체 내지 장치라고 전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산량과 연산 부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서버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객체 표출방법을 구현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구현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장치(100)(이하 객체 표출장치로 지칭한다)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객체 표출장치(100)는 수신부(110), GPS(120), 방향벡터산출부(130), 객체생성부(140), 표출제어부(150), 정보표출부(160), 화면표시수단(170) 및 자이로센서(1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서비스서버(10)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정보 생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출되는 맵 상에서 특정 포인트를 지정하는 방식, 텍스트 정보 등을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출발지 또는 목적지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300) 사용자 단말 즉, 객체 표출장치(100)는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서버(10)로 전송한다(S310).
출발지에 대한 정보 전송은 상기 방법을 포함하여 현재GPS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출발지 및 목적지와 그 사이의 경로 정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가 서비스서버(10)로 전송되면 서비스서버(10)는 맵 상에 존재하는 POI들 중,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주요 거점 POI인 경로POI들을 순차적으로 정렬시킨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S320). 실시형태에 따라 목적지POI를 경로POI에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경로POI들을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제10-1105808호에 상세하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POI는 Point Of Interest의 약칭으로서 지리 정보 관련 기술 분야에는 지도상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POI는 통행, 경로 등과 관련한 이정표 또는 경로 식별 내지 인지를 위한 지형지물로서 건물, 교차로, 횡단보도, 육교, 도로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체 표출방법은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10)가 생성하여 저장한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 내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본 발명의 수신부(110)는 상기 서비스서버(10)로부터 상기 경로정보를 구성하는 경로POI의 절대좌표값 정보를 수신한다(S330).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POI들에 대한 절대좌표값은 이미 서비스서버(10) 등에 DB화되어 있으므로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을 서비스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POI의 절대좌표값은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객체 표출장치(100) 즉,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또한 GPS, 고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절대좌표값들은 3차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효율성과 이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5 및 도 7 등과 같이 3차원 좌표계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연산의 편의성, 단말에 고도 센서 구비 여부 등을 감안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3차원 좌표계는 2차원 좌표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객체 표출장치(100)의 현재위치와 경로POI들의 좌표값들은 모두 절대좌표값에 해당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경로 방향 상징객체는 현재 위치에서 다음 위치를 향하는 방향성을 가지며 이 방향성은 절대 좌표값들 사이의 방향 벡터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방향 벡터는 특정 위치의 절대값 좌표를 기준으로 할 때, 다음 위치의 POI 절대값 좌표에 대한 상대좌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향벡터생성부(130)는 객체 표출장치(100)에 구비된 GPS(120)로부터 객체 표출장치(100)의 현재 위치 좌표값이 입력되면, 현재 위치좌표값과 서비스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된 다음 순서의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이를 연산함으로써 현재 표출장치의 위치 즉, 현재 위치좌표값을 기준으로 한 다음 순서의 경로POI에 대한 방향 벡터를 생성한다(S340).
예를 들어, 현재 위치 좌표값이 (1,1,1)이고 다음 순서(순위)의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이 (2,4,2)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0,0,0)을 객체 표출장치(100)의 현재 위치로서 기준점으로 설정하면, 절대좌표값(2,4,2)를 가지는 다음 순위의 POI에 대한 방향벡터는 (1,3,1)이 된다.
즉,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경로 POI는 객체 표출장치(100) 즉, 사용자 단말(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1,3,1)에 해당하는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만약 상기 POI가 현재 위치(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최초의 경로POI 즉, 현재 위치좌표값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경로POI인 제1경로POI이라면 현재 위치에서 경로 방향은 상기 제1경로POI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현재 위치에서는 상기 제1경로POI를 향하는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표출한다.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이 상징객체는 최초 상징객체로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벡터가 방향벡터산출부(130)에서 산출되면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40)는 산출된 최초 방향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최초 상징객체를 생성한다(S350). 상징객체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등과 같이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객체라면 다양한 응용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징객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50)는 도 9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객체 표출장치(100)의 화면표시수단(170) 중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 역역인 중앙 하단 등에 최소 상징객체가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370).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좌측 하단이나 우측 하단 등 다양한 위치에서 이를 표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최초 상징객체의 표출 방법에서 확장하여 복수 개의 경로POI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위치정보 생성,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의 생성 및 그 상징객체의 표출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경로정보를 형성하는 경로POI가 목적지POI를 포함하여 N개가 존재한다면, 서비스서버(10)는 "출발지 → #1경로POI → #2경로POI → #3경로POI →...→ #N경로POI(목적지 경로POI)"의 순서로 정렬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각 경로POI들의 절대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객체 표출장치(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는 객체 표출장치(100)의 수신부(110)가 수신한다. 이 때,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객체 표출장치(10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로 지칭되는 대상은 본 발명의 객체 표출장치와 서로 대응되는 개념에 해당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N이 5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신부(110)는 서비스서버(10)로부터 5개의 경로POI에 대한 절대좌표값 즉, (2,5,1), (3,5,0), (5,6,0), (7,7,3) 및 (8,9,3)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330). 마지막 (8,9,3) 정보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경로POI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목적지 정보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이 수신되면, 본 발명의 방향벡터산출부(130)는 현재 위치와 다음 위치 사이의 방향 벡터를, 해당하는 두 개의 절대 좌표값들의 차 연산을 이용하여 산출한다(S340).
n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과 n+1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이를 연산하여 방향 벡터가 산출되면,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40)는 이 방향 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n번째 상징객체를 생성한다(S350). N번째 경로POI 즉, 마지막 경로POI인 목적지 POI에서는 경로 진행이 종료되는 것이므로 N번째 경로POI에서는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표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로서 N-1 이하의 수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진행상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경로 방향이 형성되는 것이라면, 즉, A가 n번째 경로POI이고 B가 n+1번째 경로POI이라면 n번째 경로POI에서는 n+1번째 경로POI방향으로 경로 방향성이 결정되어야 하므로 상징객체의 방향성을 의미하는 벡터는 (2,3,2)-(1,1,1)의 연산 결과인 (1,2,1)의 방향성을 가지게 되고 (1,2,1)의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가 n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인 (1,1,1)에 대응되는 화면표시수단의 위치에서 표출된다.
예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40)가 생성한 상징객체의 수는 4개이고 이들의 방향성은 (1,0,-1), (2,1,0), (2,1,3) 및 (1,2,0) 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상징객체들은 같은 순서로 화면표시수단 중 각 경로POI의 절대좌표값 즉, (2,5,1), (3,5,0), (5,6,0) 및 (7,7,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출되게 된다(S370).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신부(110)는 서비스서버(10)로부터 각 경로POI의 명칭, 도로명 주소 등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더 수신받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S330) 이와 같이 각 경로POI의 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정보표출부(160)는 해당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로POI의 텍스트 정보를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50)와 연계하여 텍스트 정보 및 방향성 상징 객체를 통합하여 표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즉, 화면표시수단(170)이 정면 등과 같이 특정한 기준 방향의 시선각이 되거나 또는 보정 오차 범위 내의 시선각이 유지되는 경우라면 상술된 프로세싱을 통하여 각 상징객체의 표출 위치 및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법에서는 각 POI의 절대 좌표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출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종래 방법에서는 해당 절대 좌표값이 사용자 단말의 뷰어 각도 내에 들어오지 않으면 표출되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는 현재 뷰어 각도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단말을 회전시키거나 각도를 변화시켜야 자신이 원하는 해당 POI가 화면표시수단에 들어오게 되는지 전혀 알지 못하므로 여러 번의 우연적인 시행 착오를 거쳐야만 다음 POI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를 극복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180)와 같이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에 대한 회전 방향 또는 회전각에 대한 정보를 산출(S380)하면,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50)는 이 시선각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징객체가 표출되는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90).
만약,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상기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시선각에 포함되도록 유도하는 방향 안내 정보를 더 표출(S395)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해당 경로 POI가 시선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수단에 "왼쪽으로 30도 회전하십시오" 등의 안내 멘트를 출력시키거나 왼쪽을 상징하는 화살표 등을 화면표시수단의 좌측 방향 부분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행 경로 등에 있어서 다음 경로POI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자신의 단말을 통하여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징객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 내에 표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보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POI와 다음 POI에 대한 방향성을 상징하는 상징객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증강현실에서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경로를 확인하고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위치에서 특정 POI까지의 거리 등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40)는 해당 경로POI에서 다음 경로POI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상징객체의 크기를 차등화하여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n번째 경로POI와 그 다음 경로POI사이의 거리는 각 경로 POI의 절대좌표값의 차이의 수학적 연산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으므로 그 산출된 거리와 함수관계를 가지는 크기의 상징객체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화살표 등으로 나타나는 상징객체의 크기를 통하여 남은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화살표의 꼬리 부분을 단일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섹션으로 나누고 남은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섹션 중 채워지는 섹션의 개수를 서로 달리하는 등 상징객체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또한, 색상 자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남은 거리를 상징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경로POI에는 도로 등과 같이 선형성을 가지는 선형성 기반의 POI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선형성 기반의 POI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포인트 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포인트 지점의 절대좌표값을 이용하여 상술된 프로세싱을 응용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형성 기반의 도로 POI인 경우, 서비스서버(10)로부터 상기 도로POI의 선형 각도 정보를 본 발명의 수신부(110)가 수신한 후,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40)는 수신된 선형 각도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후속 경로POI의 수학적 연산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선형 각도 정보와 함께 경로POI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절대좌표값 정보도 함께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의 시작점 정보, 종료 정보 등도 함께 전송하도록 하고 보간법(interpolation)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도록 도로 POI의 절대좌표값 등을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행 경로 등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는 실시간 또는 특정 주기별로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각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은 항상성(恒常性)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경로POI의 방향성을 언제든지 현재 위치와 연계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경로 POI와 다음 순서의 경로 POI의 절대좌표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방향성 객체의 방향성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의하는 경우, 간단한 연산만으로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각 경로POI별로 다음 경로POI로 진행하는 방향을 소정의 상징객체로 생성하고 표출할 수 있어 실시간 인터페이싱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도 경로POI의 위치정보, 텍스트 정보, 선형 각도 정보 등으로 한정되므로 전송 데이터량을 비약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어 트래픽 증가 등에 따른 전송 지연 등에 대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서비스서버가 수신한 후, 경로POI 중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 영역 이내(예를 들어 200m)에 존재하는 경로POI만을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소정 거리를 벗어나는 영역에 존재하는 POI의 경우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이와 같이 제한적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전송받고 현재 위치가 변화될 때 다시 변화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소정 반경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경로POI를 선별하여 그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이 소정 반경에 다다르거나 일정 기준 거리만 남기는 경우 다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선별된 경로POI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객체 표출장치(100)에 대한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은 컴퓨터로 읽은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 상징객체 표출장치(사용자 단말)
110 : 수신부 120 : GPS
130 : 방향벡터산출부 140 : 객체생성부
150 : 표출제어부 160 : 정보표출부
170 : 화면표시수단 180 : 자이로센서

Claims (7)

  1.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주요 거점 POI인 경로POI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진행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출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을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GPS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현재위치 좌표값과 상기 경로POI 중 상기 현재위치좌표값과 가장 근접한 경로POI인 제1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를 이용하여 최초 방향벡터를 산출하는 방향벡터산출단계;
    상기 최초 방향벡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최초 상징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최초 상징객체를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 영역에 표출시키는 객체표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경로POI에 대한 절대좌표값을 수신하고,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n(n은 1 이상 N-1 이하)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과 n+1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의 차로 산출되는 벡터와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n번째 상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표출단계는,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n번째 경로POI의 절대좌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n번째 상징객체를 더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경로POI의 텍스트 정보를 더 수신받고,
    상기 화면표시수단 중 상기 경로 POI의 절대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경로POI의 텍스트정보를 표출시키는 정보표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을 산출하는 시선각산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표출단계는,
    상기 상징객체가 표출되는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경로POI의 위치가 시선각에 포함되도록 유도하는 방향 안내 정보를 더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n번째 경로POI와 n+1번째 경로POI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상징객체의 크기를 차등화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단계는,
    상기 경로POI가 선형성 기반의 도로 POI인 경우, 상기 도로POI의 선형 각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객체생성단계는,
    상기 수신된 선형 각도 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상징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10214A 2012-10-04 2012-10-04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KR10140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14A KR101405499B1 (ko) 2012-10-04 2012-10-04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14A KR101405499B1 (ko) 2012-10-04 2012-10-04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68A KR20140044168A (ko) 2014-04-14
KR101405499B1 true KR101405499B1 (ko) 2014-06-11

Family

ID=5065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214A KR101405499B1 (ko) 2012-10-04 2012-10-04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1412B (zh) * 2020-12-18 2023-03-2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76A (ja) * 1999-07-12 2001-01-26 Hitachi Ltd 歩行者ナビゲーション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
JP2002296066A (ja) * 2001-03-29 2002-10-09 Toshiba Corp 歩行者への経路案内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携帯端末
KR20050041457A (ko) * 2003-10-31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길안내 방법
EP2306151A1 (en) * 2009-10-01 2011-04-06 France Telecom Movement controlled point of interest rend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of
US20120016578A1 (en) * 2009-03-16 2012-01-19 Tomtom Belgium N.V. Outdoor to indoor navig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76A (ja) * 1999-07-12 2001-01-26 Hitachi Ltd 歩行者ナビゲーション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
JP2002296066A (ja) * 2001-03-29 2002-10-09 Toshiba Corp 歩行者への経路案内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携帯端末
KR20050041457A (ko) * 2003-10-31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길안내 방법
US20120016578A1 (en) * 2009-03-16 2012-01-19 Tomtom Belgium N.V. Outdoor to indoor navigation system
EP2306151A1 (en) * 2009-10-01 2011-04-06 France Telecom Movement controlled point of interest rend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68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5822A1 (en) Dockable Billboards For Labeling Objects In A Display Having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Of A Virtual or Real Environment
US20160080725A1 (en) Stereo Panoramic Images
US20130314398A1 (en) Augmented reality using state plane coordinates
US8903645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5141418A (ja) 両眼光学拡張現実システムの深さ−視差較正
CN109561282B (zh) 一种用于呈现地面行动辅助信息的方法与设备
US9549169B2 (en) Stereoscopic map display system
US20130069941A1 (en) Navigational aid having improved processing of display data
KR102583243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
JP2016122277A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表示端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EP3287867A1 (en) Audio processing
Schmalstieg et al. Augmented reality as a medium for cartography
CN109489654A (zh) 导航路线的呈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405499B1 (ko) 경로방향 상징객체 표출방법
KR20120091492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US9609309B2 (en) Stereoscopic image output system
WO2023088127A1 (zh) 室内导航方法、服务器、装置和终端
US10753759B2 (en) Vector map display system and method based on map scale change
JP2017207696A (ja) 電子装置
KR20130123340A (ko) 3차원 매칭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보행 경로 poi표출 시스템
US10614308B2 (en) Augmentations based on positioning accuracy or confidence
KR20120043439A (ko) 영상광고의 자유도를 높인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Kuflik et al. Visual Cues for Cultural Heritage Urban Navigation with Smart Glasses.
JP2006084184A (ja) 3次元gisナビゲーション方法、3次元gis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3次元gis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4981848A (zh) 地图描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