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866B1 - 심장박동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심장박동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866B1
KR101525866B1 KR1020090013726A KR20090013726A KR101525866B1 KR 101525866 B1 KR101525866 B1 KR 101525866B1 KR 1020090013726 A KR1020090013726 A KR 1020090013726A KR 20090013726 A KR20090013726 A KR 20090013726A KR 101525866 B1 KR101525866 B1 KR 10152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unit
threshold level
detecting
out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656A (ko
Inventor
조준동
진덕양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8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박동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심장박동 검출장치는 심실 또는 심방 신호를 적응형 문턱 레벨에 따라 피크를 검출하며, 피크 검출이 이행된 후에는 설정된 문턱레벨 유지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 수단; 및 상기 피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 간격에 따라 심장의 질병을 지시함과 아울러 박동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증상 판단 수단;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지 않으면 상기 피크 검출수단의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기본값을 설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빠르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느리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연장하는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장박동, 피크 검출, 문턱 레벨

Description

심장박동 검출장치{Heart puls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심장박동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장의 상태에 따라 문턱 레벨 유지 시간을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심장박동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장 질환자의 증가 추세에 따라 심장 박동 검출 및 치료시스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심장 박동 검출 및 치료 시스템은 심장의 치명적인 질환을 치료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매우 정밀하게 심장의 박동 피크를 검출해야 한다. 또한 체내에 삽입되어 배터리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심장박동 검출 시스템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6-0135218호가 있다.
상기 특허출원된 심장박동 검출 시스템은 심실 또는 심방 신호를 적응형 문턱 레벨에 따라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 수단; 및 상기 피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 간격에 따라 심장의 질병을 판단하는 증상 판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크 검출 수단은 심실 및 심방 신호를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검출 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심실 및 심방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은 상기 피크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적응 패턴부; 상기 정보로부터 심실 및 심방의 상태를 판단하는 온 셋 평가부, 안정도 평가부, 프로그램 로직 평가부;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질병여부를 판별하고, 처방을 출력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피크 검출 수단은 피크가 검출되면, 미리 정해둔 시간(200ms) 동안 문턱레벨을 유지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빈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피크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서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피크 검출 수단의 문턱레벨 지속시간을 가변하여, 빈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피크 검출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서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심장박동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심장박동 검출장치에 있어서, 심실 또는 심방 신호를 적응형 문턱 레벨에 따라 피크를 검출하며, 피크 검출이 이행된 후에는 설정된 문턱레벨 유지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 수단; 및 상기 피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 간격에 따라 심장의 질병을 지시함과 아울러 박동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증상 판단 수단;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지 않으면 상기 피크 검출수단의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기본값을 설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빠르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느리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연장하는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피크 검출 수단의 문턱레벨 지속시간을 가변하여, 빈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피크 검출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서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심장박동 검출장치의 피크 검출 수단의 문턱 레벨 지속시간을 가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심장박동 검출장치는 센싱부(100), AD 변환기(102), 피크 검출기(104), 적응 패턴부(106), 온셋 평가부(108), 안정도 평가부(110), 프로그램 로직 평가 부(112), 판단부(114),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116), 출력부(118)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100)는 심실과 심방 신호를 검출하여 AD 변환기(102)에 제공한다.
상기 AD 변환기(102)는 상기 심실과 심방 신호를 AD 변환하여 피크 검출기(104)에 제공한다.
상기 피크 검출기(104)는 심실 및 심방 신호를 적응형 문턱 레벨에 따라 피크 검출을 수행하고, 피크인 신호는 1로 나머지는 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적응 패턴부(106)는 피크 검출부(104)의 출력에 대해 피크로 검출된 시점에서 5가지의 정보인, 피크 사이의 간격, 피크 발생시간, 심방 또는 심실의 신호 발생 사이에 상대 신호가 몇번 뛰었는지의 갯수, 심방과 심실 사이의 간격, 그리고 파필드 맥파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여 저장한다.
상기 온셋 평가부(108)는 적응 패턴부(106)의 출력에 따라 심실 신호 간격이 최근 급격히 변화하였는지를 평가한다.
상기 안정도 평가부(110)는 적응 패턴부(106)의 출력에 따라 최근 심실 신호 간격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최근 1개의 심실 최대치 간격이 그 이전 3개의 심실 최대치와의 차가 최대 기준치 이상 차이가 나면 인에이블 신호를 판단부(114)에 제공한다.
상기 판단부(114)는 온셋 평가부(108), 안정도 평가부(110), 프로그램 로직 평가부의 출력에 따라 5단계의 질병을 판별하고 질병에 따른 8단계의 처방정보를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116) 및 출력부(118)로 제공한다.
상기 출력부(118)는 상기 판단부(114)가 제공하는 처방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116)는 상기 판단부(114)가 제공하는 처방정보에 따라 피크 검출부(104)의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가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턱레벨 유지시간 가변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116)는 판단부(114)로부터 처방정보가 입력되면(200단계), 상기 처방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처방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상태를 검출한다(202~204단계). 상기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116)는 상기 판단부(114)로부터 제공된 처방정보가 질병상태를 나타내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처방정보가 질병상태를 나타내지 않으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204,206단계).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처방정보가 질병상태를 나타내면, 박동이 정상보다 빠른지를 체크하고, 상기 박동이 정상보다 빠르지 않으면 서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로 판단하여 상기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연장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204,208,210,212단계).
또한 상기 처방정보가 질병상태를 나타내고 박동이 정상보다 빠르면 빈맥성 질환을 겪는 환자로 판단하여 상기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체크할 수 있게 한다(204,208,210,214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 검출방법의 흐름도.

Claims (2)

  1. 심장박동 검출장치에 있어서,
    심실 또는 심방 신호를 적응형 문턱 레벨에 따라 피크를 검출하며, 피크 검출이 이행된 후에는 설정된 문턱레벨 유지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 수단; 및
    상기 피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 간격에 따라 심장의 질병을 지시함과 아울러 박동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증상 판단 수단;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지 않으면 상기 피크 검출수단의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기본값을 설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빠르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의 출력정보가 질병상태를 지시하며 박동수가 미리 정해둔 수치보다 느리면 문턱레벨 유지시간을 연장하는 피드백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 수단은,
    심실 및 심방 신호를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심실 및 심방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상 판단 수단은,
    상기 피크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적응 패턴부;
    상기 정보로부터 심실 및 심방의 상태를 판단하는 온 셋 평가부, 안정도 평가부, 프로그램 로직 평가부; 및
    상기 온 셋 평가부, 안정도 평가부, 프로그램 로직 평가부의 출력에 따라 심장의 질병을 지시함과 아울러 박동의 빠르기를 지시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검출장치.
KR1020090013726A 2009-02-19 2009-02-19 심장박동 검출장치 KR10152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26A KR101525866B1 (ko) 2009-02-19 2009-02-19 심장박동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26A KR101525866B1 (ko) 2009-02-19 2009-02-19 심장박동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56A KR20100094656A (ko) 2010-08-27
KR101525866B1 true KR101525866B1 (ko) 2015-06-08

Family

ID=4275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726A KR101525866B1 (ko) 2009-02-19 2009-02-19 심장박동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8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09A (ko) * 2002-03-29 2004-11-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급성 심장 마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20427A (ko) * 2004-02-25 2007-02-21 넬커 퓨리탄 베넷 인코포레이티드 심장 박동 감지 및 센서의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장치
KR20080060754A (ko) * 2006-12-27 2008-07-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적응형 피크 심장박동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09A (ko) * 2002-03-29 2004-11-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급성 심장 마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20427A (ko) * 2004-02-25 2007-02-21 넬커 퓨리탄 베넷 인코포레이티드 심장 박동 감지 및 센서의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장치
KR20080060754A (ko) * 2006-12-27 2008-07-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적응형 피크 심장박동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56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10396A (ru) Контроль кровяного давления пациента
US8702604B2 (en) Detection of waveform artifact
JP2006508745A5 (ko)
WO2006115832A3 (en) Multiple sensors for sleep apnea with probability indication for sleep diagnosis and means for automatic activation of alert or therapy
US20060149327A1 (en) Detection of diastolic heart failure
JP6381637B2 (ja) 同期カルディオバージョンの混合モード動作およびタイミング検証
CN102551694A (zh) 基于其它生理参数控制非侵入式血压确定的方法和系统
JP2010094236A (ja) 心電信号検出装置、心臓治療装置および心電信号検出システム
KR20190063578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음주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874168B1 (ko) 적응형 피크 심장박동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20328B2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WO2012087515A4 (en) Rate initialization and overdrive pacing for capture threshold testing
JP2012125281A (ja) 浴槽システム
JP2011010714A5 (ja) ゲームシステム、生体光計測装置
KR101525866B1 (ko) 심장박동 검출장치
CN107205670B (zh) 用于测量血压和用于指示心房颤动的存在的装置和方法
JP2002017694A (ja) 脈拍数検出装置
US20200093391A1 (en) Pulse discrimination device and electrocardiogram analyzer
KR101030170B1 (ko) 저전력 소모를 위한 피크 심장 박동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8511B1 (ko) 광용적맥파 기반의 심폐소생술 피드백 장치 및 방법
US8929982B2 (en) Ischemia detection
US11433242B2 (en) Pulse discrimination device and electrocardiogram analyzer
KR101107490B1 (ko) 피크 심장 박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WO2009154093A1 (ja) 生理状態判別装置及び運動機械器具
CN116271540B (zh) 一种心律管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