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841B1 -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841B1
KR101525841B1 KR1020080126046A KR20080126046A KR101525841B1 KR 101525841 B1 KR101525841 B1 KR 101525841B1 KR 1020080126046 A KR1020080126046 A KR 1020080126046A KR 20080126046 A KR20080126046 A KR 20080126046A KR 101525841 B1 KR101525841 B1 KR 10152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ccommodating portion
communication chute
clos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469A (ko
Inventor
오승환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841B1/ko
Priority to US12/402,572 priority patent/US8146783B2/en
Priority to EP09003681.5A priority patent/EP2196755B1/en
Priority to CN200910132567A priority patent/CN101749912A/zh
Publication of KR2010006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 및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수용부와 상기 냉각실을 연통시키는 연통슈트; 및 상기 용기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함다. 이에 의하면, 개폐유닛이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므로, 개폐유닛의 설치 공간이 축소되어, 용기수용부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용기 등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디스펜서, 개폐유닛, 구동유닛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방 동작 없이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되는 얼음조각 등을 인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에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등의 냉동사이클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저장실에 보관된 음식물 등의 저장물을 낮은 온도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근래에는 냉장고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의 내부에 포함된 급수원이나 제빙장치로부터 물이나 얼음조각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어를 자주 열고 닫음에 따라 저장실 내의 냉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도어의 전면에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급수원이나 제빙장치을 연결하는 연통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슈트를 개폐하는 기구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기구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기구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으로 용기를 진입시켜 배출되는 얼음조각 등을 인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구장치는 상기 연통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스윙운동하게 구동시킴으로서 상기 연통슈트를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는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기구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고, 결국 사용자가 용기를 진입시킬 수 있는 공간, 특히, 상기 케이스의 높이가 축소되어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에 진입시킬 수 있는 용기의 크기가 매우 한정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불만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디스펜서를 동작시키는 기구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용기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넓어진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 및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수용부와 상기 냉각실을 연통시키는 연통슈트; 및 상기 용기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의 일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용기수용부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연통슈트의 단면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연통슈트의 단면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연통슈트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통슈트를 닫는 동작시 상기 연통슈트의 하향경사진 단면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은,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연통슈트를 닫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 단이 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타 단이 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링크; 상기 회전축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링크; 및 상기 종동링크의 타 단과 상기 구동링크의 단부에 양단이 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모터는 구동축이 상기 용기수용부의 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용기수용부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 단이 핀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재의 일 측에 타 단이 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링크; 상기 연장부재의 일 측에 일 단이 핀결합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단부에 양단이 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개폐유닛이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므로, 개폐유닛의 설치 공간이 축소되어, 용기수용부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용기 등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를 구비한 냉장고(10)는 냉각실(12)과 도어(13)가 구비된 본체(11)를 포함한다. 비록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각실(12)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증발기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1)는 직육면체의 상자형태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냉각실(12)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실(12)을 형성하는 벽체, 즉 냉각실(12)의 벽면과 본체(11)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삽입되어 상기 냉각실(12)을 본체(11)의 외부와 단열시킨다.
상기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액상 발포제가 충전 및 응고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각실(12)은, 냉장실, 냉동실, 싱싱실, 야채실, 쌀보관실 등 다양한 저장온도 또는 저장 환경을 갖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냉장고에는 저장되는 저장물을 비교적 덜 찬 온도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냉장실(12a)과 저장물을 찬 온도에서 얼려 보관하는 냉동실(12b)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실(12)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본체(11)에 마련된 냉기공급통로를 통해 공급되어 냉각실(12)의 내부가 냉각된다.
냉동실(12b)과 냉장실(12a)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냉장실(12a)이 냉동실(12b)의 하측에 위치되는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냉장실(12a)과 냉동실(12b)이 좌우로 위치되는 타입, 냉장실(12a)이 냉동실(12b)의 상측에 위치되는 타입 등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도어(13)는 본체(11)에 힌지결합되는 타입(13a)되거나, 상기 본체(11)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입(13b) 등으로 구비될 있으며, 상기 냉각실(12)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도어(13)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어손잡이(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실(12)을 형성하는 벽체와 마찬가지로 단열재가 삽입되어 냉각실(12)을 외부로부터 단열시킨다.
상기 도어(13)의 개수와 관련하여, 각 냉각실(12) 마다 한 개씩 마련되는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예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3)에는 냉각실(12) 내부에 저장된 얼음조각 등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00)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에서 도어(13)의 개방 없이 냉각실(12) 내부에 저장된 얼음조각 등을 인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관하나,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100)가 상기 냉장실(12a)의 도어(13a)에 구비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도어(13a)의 전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며, 전면으로 개방된 용기수용부(120)와, 용기수용부(120)의 상측에 위치되며 그 뒤쪽에 상기 디스펜서(100)의 구성 요소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차폐하는 차폐부(101), 그리고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레버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101)에는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냉장고(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를 관통하여 그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슈트(113)와, 상기 용기수용부(120) 내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통슈트(113)의 단부를 개폐하되, 상기 연통슈트(113)의 두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113)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슈트(113)는, 상기 냉각실(12)의 내부와 상기 도어(13)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수용부(12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통슈트(113)는, 상기 용기수용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13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연통슈트(130)의 단면은 수평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부(140)는 용기(C)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구비되며, 레버부(140)가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일 측에 구비된 동작스위치(141)가 접속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폐유닛(130)은, 상기 연통슈트(113)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113)의 단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31), 상기 개폐부재(131)가 결합되는 회전축(132), 상기 회전축(132)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33,134)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닛(130)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유닛(130)은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차폐부(101)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회전축(132)은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추회전 가능하게 상단과 하단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개폐부재(131)는 상기 연통슈트(113)의 두께방향으로 이동되어 수평으로 마련된 상기 연통슈트(113)의 단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32)에 수평으로 결합된다.
상기 구동유닛(133,134)은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34)와, 상기 구동부(134)의 구동축(134a)에 일 단이 핀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회전축(132)의 외면에 핀 결합되는 링크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34)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plunger)가 직선왕복운동하는 솔레노이드, 열 팽창에 의한 직선왕복운동이 발생되는 써멀엑추에이터(thermal actuator)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34)는 구동축(134a)이 상기 개폐부재(131)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개폐유닛(130)은, 상기 개폐부재(131)가 상기 연통슈트(113)를 닫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 탄성부재(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1)는 원통형의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51)는 상기 회전축(132)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일 단은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회전축(132)의 일 측 또는 상기 개폐부재(131)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1)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31)는 상기 연통슈트(113)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연통슈트(113)의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연통슈트(113)를 통해 냉기가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유닛(130)에 의한 상기 연통슈트(113)가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냉장고에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신호가 상기 구동부(134)에 전달되면, 구동부(134)의 구동축(134a)이 상기 구동부(134)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134a)에 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133)가 상기 구동축(134a)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133)의 타 단에 핀 결합된 상기 회전축(1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133)의 타 단은 상기 회전축(132)의 외면에 핀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축(132)의 반경이 회전반경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축(132)에 결합된 개폐부재(131)가 도 3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면서 상기 연통슈트(113)가 개방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연통슈트(113)를 통해 냉각실(12a)에 저장된 얼음조각 등이 인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얼음조각 등의 인출 완료 신호가 상기 구동부(134)에 전달되면, 상기 구동부(134)의 구동축(134a)이 상기 구동부(13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축(134a)에 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133)를 이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132)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131)를 도 4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상기 개폐부재(131)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통슈트(113)를 개폐하게되므로, 상기 도어(13a)의 두께방향으로 스윙되면서 개폐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용기 등이 진입될 수 있는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높이가 증가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00)를 구비한 냉장고(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2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수용부(120), 연통슈트(213)와 함께, 개폐부재(231), 회전축(232), 링크부재(233) 및 구동부(234)를 포함하는 개폐유닛(230)이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31)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연통슈트(213)의 단면은 상기 개폐부재(213)에 의해 상기 연통슈트(213)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31)는, 상기 연통슈트(213)를 닫는 동작시 상기 연통슈트(213)의 하향경사진 단면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232)과 결합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231)가 상기 연통슈트(213)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연통슈트(213)의 단면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상기 개폐부재(231)에 의한 상기 연통슈트(213)의 밀폐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31)와 상기 회전축(232)의 결합은 도 7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와 회전축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31)는 상기 회전축(232)으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재(235)에 상기 개폐부재(231)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재(235)의 말단에는 상기 개폐부재(23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1b)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235b)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235)의 양측면 상단에는 양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5a) 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31)의 하면에는 상기 연장부재(235)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5a)에 결합되는 후크(231)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231)와 상기 걸림돌기(235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폐부재(231)의 하면과 상기 연장부재(235)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탄성부재(235c)가 개입된다.
상기 탄성부재(235c)는 상기 회전축(232)과 상기 힌지돌기(235b)를 연결한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되,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구동유닛과 개폐부재를 용기수용부의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0)를 구비한 냉장고(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3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수용부(120), 연통슈트(313)과 함께, 개폐부재(331)와 회전축(332)을 포함하는 개폐유닛(330)이 구비된다.
다만, 상기 개폐유닛(330)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달리 구동부(134)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334)가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330)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링크부재(133)에 대 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모터(334)의 구동축(334a)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링크(333a), 상기 회전축(332)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3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링크(333c) 및 상기 종동링크(333c)의 타 단과 상기 구동링크(333a)의 단부에 양단이 핀 결합되는 연결링크(333b)를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해, 구동링크(333a), 연결링크(333b), 종동링크(333c) 및 상기 회전모터(334)의 구동축(334a)과 상기 회전축(332)를 연결하는 가상의 링크가 4절링크 구조(four-link mechanism)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회전모터(3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333a), 종동링크(333c) 및 연결링크(333b)는 동일평면상에서 운동하게 되며, 상기 종동링크(333c)에 의해 축회전되는 회전축(332)에 결합된 개폐부재(331)는 상기 연통슈트(313)의 개폐를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334)는 구동축(334a)이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333c)는 상기 개폐부재(331)가 상기 회전축(332)에 결합되는 위치보다 아래쪽에서 상기 회전축(332)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334)는 상기 용기수용부(120)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0)에 의하면, 회전모터(334)가 적용되므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솔레이노이드 또는 써멀엑추에이터(thermal actuator)의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음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구동유닛과 개폐부재를 용기수용부의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400)를 구비한 냉장고(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4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수용부(120), 연통슈트(413)과 함께, 개폐부재(431)와 회전축(432)을 포함하는 개폐유닛(430)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430)은,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434), 상기 회전모터(434)의 구동축(434a)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링크(433a), 상기 회전축(432)으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31)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재(435), 상기 연장부재(435)의 일 측에 일 단이 핀 결합되며, 상기 구동링크(433a)의 단부에 양단이 핀 결합되는 연결링크(433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431)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연통슈트(413)의 단면은 상기 개폐부재(413)에 의해 상기 연통슈트(413)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31)가 상기 연통슈트(413)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연통슈트(413)의 단면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상기 개폐부재(431)에 의한 상기 연통슈트(413)의 밀폐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 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431)와 상기 연장부재(435)의 결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와 대동소이하므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다르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431)는, 상기 연통슈트(413)를 닫는 동작시 상기 연통슈트(413)의 하향경사진 단면에 대응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432)와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와 회전축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구동유닛과 개폐부재를 용기수용부의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구동유닛과 개폐부재를 용기수용부의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13)

  1. 냉각실 및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그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수용부와 상기 냉각실을 연통시키는 연통슈트; 및
    상기 용기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슈트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슈트의 두께방향으로 운동되어 상기 연통슈트의 일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재에서 돌출되는 힌지 돌기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통슈트의 일 단부는 일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통슈트의 일 단부를 닫는 동작시 상기 하향경사진 일 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 돌기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 단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 단이 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타 단이 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링크;
    상기 회전축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링크; 및
    상기 종동링크의 타 단과 상기 구동링크의 단부에 양단이 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구동축이 상기 용기수용부의 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용기수용부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80126046A 2008-12-11 2008-12-1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2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046A KR101525841B1 (ko) 2008-12-11 2008-12-1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12/402,572 US8146783B2 (en) 2008-12-11 2009-03-12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EP09003681.5A EP2196755B1 (en) 2008-12-11 2009-03-13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CN200910132567A CN101749912A (zh) 2008-12-11 2009-04-02 具有分配器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046A KR101525841B1 (ko) 2008-12-11 2008-12-1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469A KR20100067469A (ko) 2010-06-21
KR101525841B1 true KR101525841B1 (ko) 2015-06-08

Family

ID=4181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046A KR101525841B1 (ko) 2008-12-11 2008-12-1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6783B2 (ko)
EP (1) EP2196755B1 (ko)
KR (1) KR101525841B1 (ko)
CN (1) CN1017499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5894B2 (en) * 2011-07-25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and solids
US9377232B2 (en) * 2013-07-03 2016-06-28 The Coca-Cola Company Ice dispenser
CN104773396B (zh) * 2015-01-30 2017-03-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颗粒物容器及具有该颗粒物容器的冰箱
DE102017000038A1 (de) * 2016-10-06 2018-04-12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20080020044A (ko) * 2006-08-30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62988A (ko) * 2006-12-31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545A (en) * 1975-12-24 1978-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control device with closure regulator
US4227383A (en) * 1979-05-04 1980-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4285212A (en) * 1980-06-02 1981-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storage assembly
US4462437A (en) * 1981-12-09 1984-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control device with closure regulator
US4555049A (en) * 1984-01-18 1985-11-26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Ice door mechanism
NZ248935A (en) * 1992-11-02 1995-10-26 White Consolidated Ind Inc Refrigerator door ice dispenser: actuator dimensioned to accommodate polystyrene cup
WO1997005436A1 (en) 1995-07-26 199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of refrigerator
US5860564A (en) * 1995-09-07 1999-01-19 Imi Cornelius Inc. Ice dispensing chute
JP3112450B2 (ja) * 1998-03-03 2000-11-27 三星電子株式会社 冷蔵庫のアイスディスペンサー
US7340914B2 (en) * 2005-01-03 2008-03-1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ledge
KR20080065435A (ko) * 2007-01-0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얼음안내장치
KR100869510B1 (ko) * 2007-01-18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20080020044A (ko) * 2006-08-30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62988A (ko) * 2006-12-31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46783B2 (en) 2012-04-03
EP2196755A2 (en) 2010-06-16
CN101749912A (zh) 2010-06-23
KR20100067469A (ko) 2010-06-21
EP2196755A3 (en) 2015-06-17
EP2196755B1 (en) 2018-07-25
US20100147012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1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973392B2 (en) Refrigerator
JP4624885B2 (ja) 冷蔵庫ドアの開閉装置
KR102218309B1 (ko) 냉장고
CN108278831B (zh) 冰箱
KR101669421B1 (ko) 냉장고
KR100765200B1 (ko) 냉장고
KR102338471B1 (ko) 냉장고
KR101215096B1 (ko) 냉장고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1015258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75158A (ko) 냉장고의 결로방지 도어
KR20180065633A (ko) 냉장고
WO2009116720A1 (en) Refrigerator having the partition member
KR201100727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멀리언의 조립방법
US10816255B2 (en) Refrigerator
KR101621558B1 (ko) 냉장고
KR100614316B1 (ko) 냉장고
JPH11117600A (ja) 物品収納容器及び冷蔵庫
KR20090075017A (ko) 콤비 냉장고의 제빙기
KR100534136B1 (ko) 냉장고
CN110849060A (zh) 双上部门型冰箱和门密封装置
JP2006242495A (ja) 冷蔵庫等の扉開放装置
CN107429963B (zh) 冰箱
KR101537639B1 (ko) 냉장고의 홈바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