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407B1 -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407B1
KR101525407B1 KR1020130075137A KR20130075137A KR101525407B1 KR 101525407 B1 KR101525407 B1 KR 101525407B1 KR 1020130075137 A KR1020130075137 A KR 1020130075137A KR 20130075137 A KR20130075137 A KR 20130075137A KR 101525407 B1 KR101525407 B1 KR 10152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retaining
engag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73A (ko
Inventor
윤여관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 대산이엔지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산이엔지, 윤여관 filed Critical (주) 대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7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실내 인테리어상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미감을 조성하여 실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11)가 형성되면서, 둘레면중 상부 바깥쪽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12)이 형성되고, 하부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14)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면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바깥쪽면에 형성된 걸림홈(12)이 끼워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편(21)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공(14)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22)과, 전면에 형성되는 액자부(25)로 이루어지는 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와 커버(20)의 하단부는 간격(d)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과 커버(20)의 양측 둘레면은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상기 프레임(10)의 걸림홈(12)은 커버(20)의 걸림편(21)보다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Cover Structure for Distributing Board with Picture Frame Function}
본 발명은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각종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미감을 조성하여 실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벽체에 함체가 매설된 구조이고, 이를 불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 또는 금속재로 된 도어가 덮여 있는데, 개폐동작시 하방 또는 측방의 버튼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분전반은 프레임과 보호커버로 이루어져서 벽체에 매설되고, 내부로 각 스위치가 결합된 스위치 베이스를 끼워 넣고 볼트,너트 및 와셔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한다.
이때, 분전반의 보호커버에 각 스위치 레버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전반은 전면에서 볼때 대부분 직사각형이면서 무모양의 단색의 색채로 구성되어서 주변 실내 벽면과의 색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대부분이라 실내 인테리어 측면에서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도어의 둘레로 프레임이 노출된 구조로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실내에는 어울리지 않고 좋지 않은 인상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별도의 시건장치를 마련하여 쉽게 도어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한 면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79083호(공개일 : 2003.10.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된 프레임으로부터 커버의 개폐동작을 착탈식으로 하면서 불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화재시 유독가스 및 화염 발생을 억제하고, 전면에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무늬 및 색상으로 구현하는 액자부를 형성한 액자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둘레면중 상부 바깥쪽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부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면 상부에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바깥쪽면에 형성된 걸림홈이 끼워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의 하부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과, 전면에 형성되는 액자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커버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끼워지는 걸림핀이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되는 횡방향의 보강대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프레임의 하단부와 커버의 하단부는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부는 커버의 전면부에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을 형성하여 UV코팅 처리한 투명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부는 커버의 전면부에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이 형성된 벽지 또는 시트지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부는 커버의 전면부에 직접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이 형성되는 실사 코팅으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과 커버의 양측 둘레면은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상기 프레임의 걸림홈은 커버의 걸림편 보다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공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된 프레임으로부터 커버를 착탈식으로 개폐시키면서 커버의 전면에 각종 그림 등과 같은 액자기능을 부여하여 실내 인테리어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더라도 주변의 미감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화재시 유독가스 및 화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반드시 상부방향으로만 이동시켜서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 등이 커버를 분리하려고 해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그에 따라 커버의 안쪽에 구비된 차단기 등을 함부로 만질 수 없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시건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시건장치를 마련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프레임으로부터 커버의 조립 및 분리시, 커버의 걸림편 및 걸림공이 프레임의 걸림홈 및 걸림공에서 약간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커버 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에서 프레임에 커버가 조립및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커버 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1)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4에 도시된 분리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벽면에 고정,설치되면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은 각종 차단기 등 전기 부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둘레면중 상부 바깥쪽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부 안쪽면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자석(13)이 구비되며, 하부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1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공(14)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안쪽면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바깥쪽면에 형성된 걸림홈(12)이 끼워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편(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공(14)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홈(12)은 걸림편(21)의 길이(횡방향 길이)보다 좀더 여유있게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에 커버(20)를 조립 및 분리시, 걸림홈(12)과 걸림공(14)에 의해 약간 커버(20)를 횡방향으로 유동시킬 여유가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립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0)의 둘레면과 커버(20)의 둘레면 양측면도 약간 간격을 두고 커버(20)가 조립된다.
상기 커버(20)의 배면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채널형(길이방향을 따라 요(凹)부가 형성된 구조)으로 형성되는 보강대(23)와, 이 보강대(23)의 안쪽면에는 종방향의 보강대(24)가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대(23)에는 상기 걸림핀(22)이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23)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돌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보강대(23)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만이 프레임(10)의 걸림공(14)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제작의 편의상 하나의 핀을 보강대(23)를 관통하여 삽입후,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한 것일 뿐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강대(23)는 커버(20)의 하단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가 끼워지면서 걸림핀(22)이 프레임(10)의 걸림공(14)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전면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아크릴 재질의 투명판에 UV코팅처리하거나, 또는 벽지, 시트지를 부착하거나 또는 커버(20) 전면에 직접 실사코팅 등의 프린팅 방법으로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그림 등이 형성되는 액자부(25)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서, 도 1은 벽지 또는 시트지를 직접 부착한 형태로 커버(20)의 전면에 액자부(25)를 구성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아크릴 재질의 투명판에 UV 코팅 방법에 의해 꽃 그림 및 색상을 표현한 액자부(25)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자석(13)에 의해 커버(20)가 프레임(10)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b는 커버(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편(21)이 프레임(10)의 상단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1)는, 고정된 프레임(10)에 커버(20)를 끼워서 조립하는데, 프레임(10)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차단기 등 각종 분전반을 구성하는 스위치 박스(도시되지 않음)가 배열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안쪽 하부에 형성된 보강대(23)에는 걸림핀(22)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14)에 끼우고, 커버(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편(21)은 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2)에 끼워져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프레임(10)에 커버(20)가 조립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d) 만큼 커버(20)의 하단부가 프레임(10)의 하단부와 떨어진 상태로 조립된다.
물론, 프레임(10)의 상단부와 커버(20)의 상단부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프레임(10)으로부터 커버(20)의 조립 및 분리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앞으로 빼내면 되는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여러가지 설비 등이 존재하거나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충분히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프레임(10)에 조립되면, 커버(20)만이 보이고 프레임(10)은 전혀 보이지 않게 되고, 더욱이 커버(20)의 전면은 액자부(25)로 형성되어 있어 인테리어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더라도 주변 미감을 해치지 않고 오히려 마치 미술 작품을 걸어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자석(13)이 구비되어 있어 커버(20)의 조립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므로 조립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시건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서도 쉽게 커버(20)를 분리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커버(20)의 상부에는 걸림편(21)에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2)에 걸려 있고, 또한 커버(20)의 하부에는 걸림핀(22)이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14)에 끼워져 있어, 커버(20)를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커버(20)를 사용자 앞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걸림편(21) 및 걸림핀(22)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20)를 하부로 내리는 경우에도 커버(20)의 상단면이 프레임(1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분리시에는 도 6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드시 커버(20)를 상부로 들어올린 다음, 앞으로 잡아당겨야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커버(20)의 하단부는 프레임(10)의 하단부와 간격(d)을 두고 결합되어 있어, 간격(d) 만큼 커버(2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횡방향의 보강대(23)에 구비된 걸림핀(22)이 프레임(10)의 걸림공(14)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커버(20)의 상단부는 프레임(10)의 상단부로부터 간격(d) 만큼 상승하여 간격이 생기게 되며, 그러면 사용자쪽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10)에 커버(20)의 조립 또는 분리시, 걸림홈(12)과 걸림공(14)에 의해 약간 커버(20)를 횡방향으로 유동시킬 여유가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립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시공을 위해 스위치 박스(도시되지 않음)를 벽면에 매립시, 시공상 작업자의 잘못으로 약간 편심되게 매립되는 경우, 편심된 스위치 박스에 맞추어서 프레임(10)도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러면 커버(20)의 조립시 프레임(10)의 걸림홈(12) 및 걸림공(14)의 형성길이에 따른 여유가 없이 꼭 맞게 형성된다면 커버(20)도 편심되게 설치될 수 밖에 없지만, 프레임(10)의 걸림홈(12) 및 걸림공(14)의 형성길이를 여유있게 형성하여 커버(20)를 편심된 프레임(10)으로부터 정위치로 조립할 수 있어 시공상 잘못하더라도 외부에서 볼때에는 항상 커버(20)가 올바르게 설치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버 구조체
10 : 프레임
11 : 개구부
12 : 걸림홈
13 : 자석
14 : 걸림공
20 : 커버
21 : 걸림편
22 : 걸림핀
23 : 보강대
24 : 보강대
25 : 액자부
d : 간격

Claims (9)

  1. 개구부(11)가 형성되면서, 둘레면중 상부 바깥쪽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12)이 형성되고, 하부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14)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쪽면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바깥쪽면에 형성된 걸림홈(12)이 끼워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편(21)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안쪽면에 형성된 걸림공(14)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22)과, 전면에 형성되는 액자부(25)로 이루어지는 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와 커버(20)의 하단부는 간격(d)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과 커버(20)의 양측 둘레면은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상기 프레임(10)의 걸림홈(12)은 커버(20)의 걸림편(21)보다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걸림공(14)에 끼워지는 걸림핀(22)이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되는 횡방향의 보강대(2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25)는 커버(20)의 전면부에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을 형성하여 UV코팅처리한 투명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25)는 커버(20)의 전면부에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이 형성된 벽지 또는 시트지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25)는 커버(20)의 전면부에 직접 여러가지 색상의 무늬 및 그림이 형성되는 실사 코팅으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공(14)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KR1020130075137A 2013-06-28 2013-06-28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KR10152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37A KR101525407B1 (ko) 2013-06-28 2013-06-28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37A KR101525407B1 (ko) 2013-06-28 2013-06-28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73A KR20150001973A (ko) 2015-01-07
KR101525407B1 true KR101525407B1 (ko) 2015-06-09

Family

ID=5247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37A KR101525407B1 (ko) 2013-06-28 2013-06-28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536U (ko) * 1998-07-23 1998-10-26 배홍기 액자기능을 갖는 분전함 커버
KR200421530Y1 (ko) * 2006-05-01 2006-07-12 안희철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KR20070117049A (ko) * 2006-06-07 2007-12-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71841A (ko) * 2007-12-28 2009-07-02 김성규 세대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536U (ko) * 1998-07-23 1998-10-26 배홍기 액자기능을 갖는 분전함 커버
KR200421530Y1 (ko) * 2006-05-01 2006-07-12 안희철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KR20070117049A (ko) * 2006-06-07 2007-12-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71841A (ko) * 2007-12-28 2009-07-02 김성규 세대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73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US7715201B2 (en) Housing or frame-like holding element with an inscribed strip
KR20150001972A (ko)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JP2009123545A (ja) 枠体
KR102043507B1 (ko) 신발장 후면판과 전기통신함 사이의 틈새막이장치
KR101525407B1 (ko) 액자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EP2413445A1 (en) Recessed housing
CN102356292B (zh) 具有安装元件的控制箱设备
JP5023540B2 (ja) パネ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5875060B2 (ja) 分電盤
JP2016140144A (ja) 住宅用分電盤
KR20150001974A (ko) 분전반용 커버 구조체
US6385326B1 (en) Quick-detachable structure for on-wall speaker panel
JP2006112630A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JP2018152513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JP2006278279A (ja) 非常通報用ボタン装置
CN220208807U (zh) 一种电闸盒
JP2018153038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JP6491470B2 (ja) 冷蔵庫の扉構造
JP4016309B2 (ja) 管理室制御盤
IT201800001697A1 (it) Gruppo targhetta-pulsante per postazione citofonica esterna di un impianto citofonico e/o videocitofonico e postazione citofonica esterna impiegante lo stesso
KR200486425Y1 (ko) 안전 체결형 콘트롤 스위치 박스
JP2009182840A (ja) 嵌合構造、並びに該嵌合構造を備えるスピーカ及び該スピーカを備える表示装置
JP4310002B2 (ja) 電子装置
JP6300873B2 (ja) 壁埋め込み器具用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