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215B1 -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215B1
KR101525215B1 KR1020130099536A KR20130099536A KR101525215B1 KR 101525215 B1 KR101525215 B1 KR 101525215B1 KR 1020130099536 A KR1020130099536 A KR 1020130099536A KR 20130099536 A KR20130099536 A KR 20130099536A KR 101525215 B1 KR101525215 B1 KR 10152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int
quality list
measurement result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098A (ko
Inventor
남성호
정홍진
김보현
백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2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생성하고 이를 실측값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를 판단할 수 있는 Q-Point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합/부 판정 모듈을 구비하여 품질리스트와 측정결과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차 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제품의 오차 정도를 즉각 알 수 있는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Q-POINT USING THREE DIMENSIONS INFORMATION}
본 발명은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생성하고 이를 실측값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를 판단할 수 있는 Q-Point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형은 재료의 가소성 및 유동성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춘 완성도 높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성의 형으로서,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금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금형은 금형의 제작을 의뢰하는 발주업체와, 이를 의뢰받아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업체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는 구체적으로 발주업체는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의 설계도를 제작하고 이를 금형업체에 전달한다. 또한, 금형업체는 전달받은 제품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금형의 설계도를 제작하고, 이를 발주업체에 확인을 받으며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각 가공업체들은 그 수정 요청사항을 반영하여 금형부품을 수정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금형부품에 대한 불량 검사에 있어서, 하나의 금형부품당 주요 품질관리지점인 다수개의 검사포인트가 있는데, 이 수많은 검사포인트에 대해 각각 검사기준표의 검사기준값과 검사결과값을 비교하여 불량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된 검사포인트는 설계도 상에 표시되고, 검사포인트에 대한 검사기준값은 검사기준표로 작성되어 금형업체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금형업체는 제공된 검사기준표와 대응되는 검사 기준값을 일일이 찾아서 확인해야 되므로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실수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21024호(2012.03.08.)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13247호(2010.02.09.)
본 발명의 목적은 Q-Point와 실측값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를 판단할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포함하는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설계도에 대응되는 제품의 실측값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부, 및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결과가 상기 품질리스트에 부합하는지 평가하는 검사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설계도에 상기 Q-Point를 표시하는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과, 상기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 및 상기 품질리스트를 상기 검사평가부에 등록하는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상기 설계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경량화 설계도를 생성하는 설계도 경량화 모듈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Q-Point를 생성하는 Q-Point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Q-Point 생성 모듈은, 상기 Q-Point의 고유 식별 정보인 ID를 생성하는 ID 생성 모듈과, 상기 Q-Point의 좌표를 생성하는 좌표 생성 모듈, 및 상기 Q-Point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표시하는 마크업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Q-Point의 ID와, 상기 Q-Point의 좌표 정보, 및 상기 Q-Point의 기준 치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결과 생성부는, 상기 좌표를 상기 설계도를 기반으로 제작한 제품의 치수를 실측하는 측정기에 입력하는 좌표 입력 모듈과,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실측값을 기반으로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검사 평가부는,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품질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측정결과 생성부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측정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자동 합/부 판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품질리스트를 조회하는 품질리스트 조회 모듈과,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업무를 조회하는 측정검사 업무 조회 모듈,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측정검사 이력 관리 모듈, 상기 설계도 경량화를 진행한 인력 정보 및 경량화된 설계도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도 경량화 이력을 관리하는 설계도 경량화 이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성적서를 출력하는 측정검사 성적서 출력 모듈을 가지는 측정검사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평가부는,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한 오차 정도에 따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상기 품질리스트의 기준 치수보다 상기 측정결과의 실측값이 큰 경우와, 상기 품질리스트의 기준 치수보다 상기 측정결과의 실측값이 작은 경우는 서로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며, 상기 오차 정도가 상이한 정도에 따라 명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자동 합/부 판정 모듈을 구비하여 품질리스트와 측정결과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차 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제품의 오차 정도를 즉각 알 수 있는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의 품질리스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에서 가시화된 품질정보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부(100)와, 제품을 실측한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부(200), 및 품질리스트와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검사평가를 실시하는 검사평가부(300)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의 품질리스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품질리스트 생성부(100)는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포함하는 품질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품질리스트 생성부(100)는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110), 가시화된 디지털 품질정보를 기반으로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120), 및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130)을 포함한다.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110)은 디지털 품질정보를 가시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도 경량화 모듈(112)과, Q-Point 생성 모듈(114)을 포함한다.
설계도 경량화 모듈(112)은 디지털 품질정보가 생성된 설계도를 불러들여 경량화한다. 일반적으로 파일로 제작된 설계도는 제품의 형상과,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치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설계도 파일은 많은 정보를 포함하게 되며, 특히 3차원 설계도 파일의 경우 일반적인 2차원 설계도 파일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하여 파일을 로딩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계도 경량화 모듈(112)을 구비하여, 도 2와 같이, 설계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여 경량화 설계도를 생성한다.
Q-Point 생성 모듈(114)은 설계도 경량화 모듈(112)을 통해 경량화된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생성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도에서 품질관리를 위한 지점, 즉, Q-Point를 ID와 함께 지정한다. 또한, 지정되는 ID는 해당 Q-Point의 좌표와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Q-Point는 품질 포인트로서, 제품 생산 시 품질을 확인하는 품질관리 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Q-Point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Q-Point 생성 모듈(114)은 Q-Point 마다 상이한 ID를 생성하는 ID 생성 모듈과, 좌표 생성 모듈 및 마크업 모듈을 포함한다. 좌표 생성 모듈은 Q-Point의 좌표를 생성한다. 여기서, 좌표는 x방향 좌표와, y방향 좌표, 및 z방향 좌표를 포함하는 3차원 좌표를 의미한다. 마크업 모듈은 Q-Point 생성 모듈(114)에서 생성된 Q-Point를 설계도에 표시한다. 이는 Q-Point의 좌표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Q-Point의 ID와 함께 표시하여 구현할 수 있다.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120)은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110)을 통해 가시화된 디지털 품질정보를 기반으로 품질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120)은 디지털 품질정보, 즉, Q-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Q-Point의 ID와, Q-Point의 좌표 정보, 해당 Q-Point의 기준 치수 정보, 및 Q-Point의 오차범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Q-Point의 기준 치수 정보는 Q-Point의 오차범위 정보를 대체할 수도 있다.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130)은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120)에서 생성된 품질리스트를 등록한다. 여기서, 품질리스트를 등록하는 대상은 후술될 검사평가부(300)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품질리스트는 품질리스트 생성부(100) 자체에 등록되고 후술될 검사평가부(300)가 이를 전송받아 측정결과와의 자동 합/부 판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측정결과 생성부(200)는 제품을 실측한 측정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측정결과 생성부(200)는 제품을 실측하는 측정기에 Q-Point에 포함된 좌표를 입력하는 좌표 입력 모듈(210)과, 입력된 좌표에 대한 제품의 실측값을 기반으로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을 포함한다.
좌표 입력 모듈(210)은 품질리스트에 저장된 ID에 대한 좌표 정보를 측정기에 입력한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120)이 품질리스트를 생성할 때 Q-Point와 함께 저장된 해당 Q-Point의 좌표 정보를 읽고 이를 제품을 실측하는 측정기에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Q-Point의 좌표 정보를 전송받은 측정기는 해당 좌표에 대해서 실측을 수행한다.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은 좌표 입력 모듈(210)에 의해 전송받은 좌표에 대한 제품의 실측값에 대한 측정결과를 생성한다. 이는 제품의 Q-Point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 측정기에서 실측값을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이 전송받고,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은 이를 Q-Point의 ID와 결합하여 측정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결과 등록 모듈(230)은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검사평가부(300)에 등록한다. 이때, 측정결과는 검사평가부(300)의 측정결과 저장 모듈(320)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또한, 등록되는 측정결과는 Q-Point의 ID와 좌표 정보, 실측값이 연동되어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평가부(300)는 품질리스트의 Q-Point와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검사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310)과, 측정결과 저장 모듈(320),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 및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을 포함한다.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310)은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130)을 통해 등록된 품질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310)에 저장된 품질리스트는 후술될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에 전달되어 자동 합/부 판정에 사용되거나, 제품 생산 시 생산자가 품질 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정결과 저장 모듈(320)은 측정결과 생성 모듈(220)에서 생성되어 등록된 측정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측정결과 저장 모듈(320)에 저장된 측정결과 역시 후술될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에 전달되어 자동 합/부 판정에 사용되거나, 불량 원인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은 품질리스트와 측정결과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 판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은 품질리스트에 포함된 Q-Point의 좌표 정보와 측정결과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결과의 실측값이 어떤 Q-Point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고, 품질리스트에 포함된 Q-Point의 기준 치수 정보와 측정결과에 포함된 실측값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합/부를 판정한다. 또한, 합/부 판정에 따른 합/부 판정 정보는 Q-Point에 대한 합/부 판정 정보와, 오차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차 크기 정보는 기준 치수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와, 실측값이 기준 치수보다 큰값인지 작은값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따라, 오차 크기 정보는 +오차 크기 정보와 ??오차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에서 가시화된 품질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에서 생성된 합/부 판정 정보를 기반으로 품질정보를 가시화한다. 이는 합/부 판정 정보에 포함된 오차 크기 정보에 따라 제품 이미지에 색상을 부여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이미지에 +오차 크기 정보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오차 크기 정보는 청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 크기에 따라 색상의 명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오차 크기가 클수록 색상의 명도를 높게 하고 오차 크기가 작을수록 색상의 명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차 크기가 클수록 명도를 낮게 하고 오차 크기가 작을수록 명도를 높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차 크기에 따라 색상의 채도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으며, 오차 크기에 따라 색상 자체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측정검사를 관리하기 위한 측정검사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검사 관리 모듈은 측정검사 전반에 대해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310)에 저장된 품질리스트를 조회하는 품질리스트 조회 모듈과, 측정검사 업무 조회 모듈, 측정검사 이력 관리 모듈, 설계도 경량화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경량화 진행 인력 정보 및 경량화된 설계도 정보 등의 이력을 관리하는 설계도 경량화 이력 관리 모듈, 및 측정검사 성적서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전술된 구성의 측정검사 관리 모듈은 검사평가부(300)에 구비되거나 품질리스트 생성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측정검사 관리 모듈은 측정결과 생성부(2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합/부 판정 모듈(330)을 구비하여 품질리스트와 측정결과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합/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차 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제품의 오차 정도를 즉각 알 수 있는 Q-Point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품질리스트 생성부 110: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
112: 설계도 경량화 모듈 114: Q-Point 생성 모듈
120: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 130: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
200: 측정결과 생성부 210: 좌표 입력 모듈
220: 측정결과 생성 모듈 230: 측정결과 등록 모듈
300: 검사평가부 310: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
320: 측정결과 저장 모듈 330: 자동 합/부 판정 모듈
340: 품질 정보 가시화 모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설계도를 기반으로 Q-Point를 포함하는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설계도에 대응되는 제품의 실측값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부, 및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결과가 상기 품질리스트에 부합하는지 평가하는 검사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설계도에 상기 Q-Point를 표시하는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과, 상기 품질리스트를 생성하는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 및 상기 품질리스트를 상기 검사평가부에 등록하는 품질리스트 등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상기 설계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경량화 설계도를 생성하는 설계도 경량화 모듈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Q-Point를 생성하는 Q-Point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Q-Point 생성 모듈은,
    상기 Q-Point의 고유 식별 정보인 ID를 생성하는 ID 생성 모듈과,
    상기 Q-Point의 좌표를 생성하는 좌표 생성 모듈, 및
    상기 Q-Point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표시하는 마크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Q-Point의 ID와, 상기 Q-Point의 좌표 정보, 및 상기 Q-Point의 기준 치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결과 생성부는,
    상기 좌표를 상기 설계도를 기반으로 제작한 제품의 치수를 실측하는 측정기에 입력하는 좌표 입력 모듈과,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실측값을 기반으로 측정결과를 생성하는 측정결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사 평가부는,
    상기 품질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품질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과,
    상기 측정결과 생성부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측정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자동 합/부 판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품질리스트 저장 모듈에 저장된 품질리스트를 조회하는 품질리스트 조회 모듈과,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업무를 조회하는 측정검사 업무 조회 모듈,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이력을 관리하는 측정검사 이력 관리 모듈,
    상기 설계도 경량화를 진행한 인력 정보 및 경량화된 설계도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도 경량화 이력을 관리하는 설계도 경량화 이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측정기에서 수행된 측정검사 성적서를 출력하는 측정검사 성적서 출력 모듈을 가지는 측정검사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사평가부는,
    상기 품질리스트와 상기 측정결과를 비교한 오차 정도에 따라 상기 경량화 설계도에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품질정보 가시화 모듈은 상기 품질리스트의 기준 치수보다 상기 측정결과의 실측값이 큰 경우와, 상기 품질리스트의 기준 치수보다 상기 측정결과의 실측값이 작은 경우는 서로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며,
    상기 오차 정도가 상이한 정도에 따라 명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KR1020130099536A 2013-08-22 2013-08-22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KR10152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536A KR101525215B1 (ko) 2013-08-22 2013-08-22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536A KR101525215B1 (ko) 2013-08-22 2013-08-22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098A KR20150023098A (ko) 2015-03-05
KR101525215B1 true KR101525215B1 (ko) 2015-06-04

Family

ID=5302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536A KR101525215B1 (ko) 2013-08-22 2013-08-22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707A (ja) * 1993-03-30 1994-10-18 Mazda Motor Corp 寸法のバラツキ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333575A (ja)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形状測定方法
KR20090004192A (ko) * 2007-07-06 2009-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형 부재 가공 완성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636B1 (ko) * 2010-02-25 2012-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 제조공정의 검사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707A (ja) * 1993-03-30 1994-10-18 Mazda Motor Corp 寸法のバラツキ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333575A (ja)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形状測定方法
KR20090004192A (ko) * 2007-07-06 2009-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형 부재 가공 완성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636B1 (ko) * 2010-02-25 2012-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 제조공정의 검사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098A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6039B2 (en) Measurement processing device, measurement processing method, measurement processing progr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TW555969B (en) Method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thereof and digital camera system
US10760902B2 (en) Measurement processing device, x-ray inspection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measurement processing method, x-ray inspection method, measurement processing program, and x-ray inspection program
JP6254763B2 (ja) Cadベースの位置合わせ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3699488A (zh) 基于调用关系依赖图的回归测试方法及系统
JP2013161485A (ja) Cadベースの位置合わせ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5403183A (zh) 一种用于检验车钩的工作样板计量检测方法
USRE48998E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alculating analysis report of 3D scan data
JP2020003301A (ja) 外観検査システム、外観検査結果の表示方法、および、外観検査結果の表示プログラム
WO2019131742A1 (ja) 検査処理装置、検査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70839B1 (ko) 단말기 검출 시스템
JP5599849B2 (ja) レンズ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CN109997028B (zh) 调整对检查体的是否良好判定条件的方法及装置
JP2020098108A (ja) 表面の不具合検査方法
KR101525215B1 (ko) 3차원 정보를 이용한 q-point 관리 시스템
CN116480952A (zh) 燃气泄露气云光谱视频监测预警方法及系统
KR20120126432A (ko) 측량기를 이용한 3차원 건축실물모델링 방법
JP2020003300A (ja) 外観検査システム、外観検査結果の表示方法、および、外観検査結果の表示プログラム
KR102181524B1 (ko) 컬러강화 이미지와 판정범위 기준값의 다중 적용을 이용하는 와이어 하네스 스마트 비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11232302A (ja) 画像検査方法及び画像検査装置
JP4943777B2 (ja) 欠陥データ処理装置、欠陥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欠陥データ処理方法
GB2592706A (en) Resonance inspection of manufactured parts with witness coupon testing
JP6009364B2 (ja) 渦巻きばねの形状を計測するための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2370A (ja) 組付検査装置、組付検査方法および組付検査プログラム
Kos et al. Detection, localization and recognition of objects using Lab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