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079B1 -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079B1 KR101525079B1 KR1020140010234A KR20140010234A KR101525079B1 KR 101525079 B1 KR101525079 B1 KR 101525079B1 KR 1020140010234 A KR1020140010234 A KR 1020140010234A KR 20140010234 A KR20140010234 A KR 20140010234A KR 101525079 B1 KR101525079 B1 KR 101525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vehicle body
- connecting member
- vehicle
- body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차체브래킷과, 하부기기의 상부에 상기 차체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기기브래킷과, 상기 차체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기브래킷을 상기 차체브래킷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체브래킷 및 기기브래킷에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차체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를 상기 차체브래킷에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하부기기가 차체브래킥과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를 통해 철도차량의 하부에 장착됨에 따라 하부기기 장착에 따른 작업공간의 최소화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고, 또 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하부기기를 장시간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팔 근골격계의 부상과 하부기기의 떨어뜨림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철도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차체브래킥과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에 분산됨에 따라 종래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하부에 하부기기를 장착할 때 작업공간을 최소화하면서 하부기기를 신속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철도차량 운행시 차체 브래킷과 기기 브래킷을 고정하는 체결볼트가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하부에는 차체의 중량을 차축에 전달하는 것과 동시에 주행, 제동 기능을 갖춘 대차 및 철도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전기, 유압 등을 전달하는 각종 하부기기 등이 장착된다.
따라서 하부기기는 철도차량 운행시 급출발 및 급제동에 따른 충격에도 철도차량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철도차량의 하부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한다.
도 1, 2는 종래에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는 티슬롯(10)과, 브래킷(20)과, 체결볼트(30) 및 너트(40)로 이루어졌었다.
즉, 철도차량(1)의 하부에는 길이가 긴 티슬롯(10)을 설치하고, 이와 동시에 하부기기(2)의 상부에는 하부기기(2)를 지지하는 브래킷(20)을 설치한 후, 체결볼트(30)의 머리를 티슬롯(10)의 단부에 끼우고, 체결볼트(30)를 하부기기(2)가 장착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하부기기(2)를 들어올려 체결볼트(30)의 단부에 브래킷(20)을 끼우고, 체결볼트(30)에 너트(40)를 삽입하여 조이면, 하부기기(2)가 철도차량(1)의 하부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는 철도차량의 하부에 하부기기를 장착할 때, 체결볼트의 머리를 티슬롯의 단부에 끼우고, 체결볼트를 하부기기가 장착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티슬롯에 삽입된 체결볼트의 단부에 브래킷을 끼우고 체결볼트에 너트를 조일 때까지 작업자가 하부기기를 장시간 들어올리고 있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팔 근골격계의 부상과 힘에 부쳐 하부기기를 떨어뜨릴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철도차량의 하부에 하부기기 장착 후, 철도차량 운행시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체결볼트에 집중됨에 따라, 체결볼트가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기기 장착에 따른 작업공간을 최소화하고, 또 하부기기 장착 작업시간도 단축하여 작업자의 부상과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또한 체결볼트가 철도차량의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으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차체브래킷과, 하부기기의 상부에 상기 차체브래킷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기기브래킷과, 상기 차체브래킷의 하부에 삽입된 상기 기기브래킷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브래킷의 하부에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차체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를 상기 차체브래킷에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체브래킷은 상기 철도차량의 하부에 상부가 고정되며 내부에 전방 및 하부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1체결공을 구비하는 고정판과, 상기 본체의 측면 및 후방 외부둘레에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하부기기의 상부에 하부가 고정되며 내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고정판의 하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2체결공을 구비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에 각각 맞닿은 상기 본체 및 몸체의 양쪽 측면에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사이의 안쪽에 상기 몸체의 관통부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3체결공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에 각각 상기 본체의 측면 외부둘레에 각각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안착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차체브래킷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차체브래킷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고정홀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기기가 차체브래킥과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를 통해 철도차량의 하부에 장착됨에 따라, 하부기기 장착에 따른 작업공간의 최소화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하부기기를 장시간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팔 근골격계의 부상과 하부기기의 떨어뜨림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의 하중이 차체브래킥과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에 분산됨에 따라 종래 응력집중으로 인한 체결볼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함을 명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각종 하부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로서, 그 구성은 차체브래킷(100)과, 기기브래킷(200)과, 연결부재(300)와, 체결볼트(400) 및 너트(500)로 대별된다.
먼저, 해당 하부기기(2)가 정 위치하는 철도차량(1)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철도차량(1)의 하부로 돌출되는 차체브래킷(1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기(2)의 상부에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기기(2)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체브래킷(100)의 하부에 삽입되는 기기브래킷(200)이 설치된다.
또, 상기 차체브래킷(100)의 하부에 삽입된 상기 기기브래킷(2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기브래킷(200)에 하부에 개재되는 연결부재(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체브래킷(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기브래킷(200) 및 연결부재(300)를 상기 차체브래킷(10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400)와 너트(500)가 형성된다.
상기 차체브래킷(100)은 상기 철도차량(1)의 하부에 상부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전방 및 하부로 개방되는 수용부(111)를 구비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1)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40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1체결공(121)을 구비하는 고정판(120)과, 상기 본체(110)의 측면 및 후방 외부둘레에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기브래킷(200)은 상기 하부기기(2)의 상부에 하부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되는 관통부(211)를 구비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상기 고정판(120)의 하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40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2체결공(221)을 구비하는 상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양측에 각각 맞닿은 상기 본체(110) 및 몸체(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310)와, 상기 절개부(310) 사이의 안쪽에 상기 몸체(210)의 관통부(211)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상판(220)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40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3체결공(321)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320)와, 상기 절개부(310)의 바깥쪽에 각각 상기 본체(110)의 측면 외부둘레에 각각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130)에 지지되도록 안착하는 제2지지부(3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320)의 끝단에는 상기 차체브래킷(10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322)와, 상기 차체브래킷(100)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322)가 삽입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고정홀(112)이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300)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보강리브(6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는 해당 하부기기(2)가 정 위치하는 철도차량(1)의 하부에 차체브래킷(100)의 본체(110) 상부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하부기기(2)의 상부에 기기브래킷(200)의 몸체(210) 하부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부기기(2)를 들어올려 차체브래킷(100)의 수용부(111)에 기기브래킷(200)의 몸체(210)를 수직으로 삽입시킨 다음, 수용부(111)에 삽입되는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이 차체브래킷(100)의 수용부(111) 내에 형성된 고정판(120)의 하면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이 차체브래킷(100)의 수용부(111) 내에 고정판(120)에 맞닿게 되면, 작업자는 차체브래킷(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기기브래킷(200)이 상기 차체브래킷(100)에 지지되도록 차체브래킷(100) 및 기기브래킷(200)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개재하면 된다.
이때, 차체브래킷(100) 및 기기브래킷(200)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개재하면, 연결부재(300)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부(310)는 각각 맞닿은 차체브래킷(100)의 본체(110) 및 기기브래킷(200)의 몸체(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끼워지게 되고, 또 연결부재(300)의 제1지지부(320)는 기기브래킷(200)의 관통부(211)에 끼워져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을 받쳐 지지하게 되며, 또한 연결부재(300)의 제2지지부(330)는 차체브래킷(100)의 본체(110) 측면 외부둘레에 각각 끼워져 플랜지(130)의 상부에 받쳐져 지지된다.
따라서 차체브래킷(100)에 삽입된 기기브래킷(200)은 연결부재(300)에 의해 차체브래킷(100)에 분리하지 않도록 지지됨에 따라, 작업자가 들어올린 하부기기(2)를 잡고 있던 손을 놓아도, 하부기기(2)는 하중 및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다.
즉, 기기브래킷(200)에는 하부기기(2)의 하중 및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연결부재(300)의 제1지지부(320)가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을 받치고, 더불어 연결부재(300)의 제2지지부(330)가 플랜지(130)에 받쳐짐에 따라, 기기브래킷(200)은 하부기기(2)의 자체하중 및 중력에 반하는 연결부재(300)의 지지력에 의해 차체브래킷(100)에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차체브래킷(100)의 고정판(120)에 형성된 제1체결공(121)과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에 형성된 제2체결공(221)과 연결부재(300)의 제1지지부(320)에 형성된 제3체결공(321)에 순차적으로 체결볼트(400)를 삽입시킨 다음, 체결볼트(400)의 단부에 너트(500)를 끼워 조이면, 차체브래킷(100)과 지지브래킷(200) 및 연결부재(300)는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체결볼트(400)에는 철도차량(1)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과 하부기기(2)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체결볼트(400)가 종래처럼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즉, 차체브래킷(100)의 플랜지(130)와, 기기브래킷(200)의 상판(220) 및 연결부재(300)의 제1 및 제2 지지부가 서로 맞닿아 면 접촉으로 결합됨에 따라, 철도차량(1)의 급출발 및 급제동으로 인한 충격 및 하부기기(2)의 하중은 종래처럼 체결볼트(400)에 집중되지 않고, 차체브래킷(100)과, 지지브래킷(200) 및 연결부재(300)에 각각 분산되기 때문이다.
또, 연결부재(300)가 차체브래킷(100) 및 기기브래킷(200) 사이에 개재 시, 제1지지부(320)의 끝단에 고정돌기(322)가 차체브래킷(100)의 후방 둘레에 고정홀(112)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차체브래킷(100) 및 기기브래킷(200)의 결합력은 한층 증대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양측으로 보강리브(600)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300)의 강성이 한층 증대됨에 따라, 연결부재(300)는 상하방향의 굽힘 응력에도 쉽게 휘거나 절단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철도차량 2: 하부기기
100: 차체브래킷 110: 본체
111: 수용부 112: 고정홀
120: 고정판 121: 제1체결공
130: 플랜지 200: 기기브래킷
210: 몸체 211: 관통부
220: 상판 221: 제2체결공
300: 연결부재 310: 절개부
320: 제1지지부 321: 제3체결공
322: 고정돌기 330: 제2지지부
400: 체결볼트 500: 너트
600: 보강리브
100: 차체브래킷 110: 본체
111: 수용부 112: 고정홀
120: 고정판 121: 제1체결공
130: 플랜지 200: 기기브래킷
210: 몸체 211: 관통부
220: 상판 221: 제2체결공
300: 연결부재 310: 절개부
320: 제1지지부 321: 제3체결공
322: 고정돌기 330: 제2지지부
400: 체결볼트 500: 너트
600: 보강리브
Claims (6)
- 철도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차체브래킷;
하부기기의 상부에 상기 차체브래킷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기기브래킷;
상기 차체브래킷의 하부에 삽입된 상기 기기브래킷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브래킷의 하부에 개재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기기브래킷 및 연결부재를 상기 차체브래킷에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너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브래킷은,
상기 철도차량의 하부에 상부가 고정되며 내부에 전방 및 하부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1체결공을 구비하는 고정판; 및
상기 본체의 측면 및 후방 외부둘레에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삭제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하부기기의 상부에 하부가 고정되며 내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고정판의 하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2체결공을 구비하는 상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에 각각 맞닿은 상기 본체 및 몸체의 양쪽 측면에 각각 끼워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 사이의 안쪽에 상기 몸체의 관통부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3체결공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절개부의 바깥쪽에 각각 상기 본체의 측면 외부둘레에 각각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안착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차체브래킷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차체브래킷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고정홀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234A KR101525079B1 (ko) | 2014-01-28 | 2014-01-28 |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234A KR101525079B1 (ko) | 2014-01-28 | 2014-01-28 |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5079B1 true KR101525079B1 (ko) | 2015-06-02 |
Family
ID=5349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0234A KR101525079B1 (ko) | 2014-01-28 | 2014-01-28 |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0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965B1 (ko) * | 2016-03-22 | 2017-11-06 | 디케이 주식회사 | 철도차량의 부착물용 클램프 |
CN113335071A (zh) * | 2021-07-22 | 2021-09-03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安装装置及轨道车辆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0899A (ja) * | 1999-07-16 | 2001-02-06 | Kawasaki Heavy Ind Ltd | 配管ユニットによる鉄道車両の床下配管方式 |
KR20120108689A (ko) * | 2011-03-25 | 2012-10-0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고정장치 |
-
2014
- 2014-01-28 KR KR1020140010234A patent/KR1015250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0899A (ja) * | 1999-07-16 | 2001-02-06 | Kawasaki Heavy Ind Ltd | 配管ユニットによる鉄道車両の床下配管方式 |
KR20120108689A (ko) * | 2011-03-25 | 2012-10-0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고정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965B1 (ko) * | 2016-03-22 | 2017-11-06 | 디케이 주식회사 | 철도차량의 부착물용 클램프 |
CN113335071A (zh) * | 2021-07-22 | 2021-09-03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安装装置及轨道车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9559B2 (ja) | 車載の電気機器のプロテクト構造 | |
US8801072B2 (en) | Vehicular fastening structure | |
KR101428276B1 (ko) |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 |
US7740278B2 (en) | Steering gearbox mounting structure | |
KR101609333B1 (ko) | 브레이크 캘리퍼의 설치와 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와 같은 브레이크 캘리퍼를 설치하고 분리하기 위한 방법 | |
KR101525079B1 (ko) |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고정장치 | |
KR101151801B1 (ko) | 철도차량용 완충기 | |
US20170225926A1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 |
CN108068603B (zh) | 车辆下部结构 | |
KR20100004671A (ko) | 보호장치가 장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캡 | |
JP2017099200A (ja) | 集電装置 | |
KR20170130987A (ko) |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 |
KR101417298B1 (ko) | 화물보호아대의 설치기구 | |
JP2014037293A (ja) | エスカレーターの支持装置 | |
KR101201846B1 (ko) |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고정장치 | |
US11390305B2 (en) |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 |
KR101548583B1 (ko) |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 |
CN209835406U (zh) | 一种吊耳及具有该吊耳的柜体 | |
CN102616287A (zh) | 防止rops与车架分离的安全机构 | |
KR100980969B1 (ko) | 잭 업 기구 고정장치 | |
KR200445044Y1 (ko) | 차량의 브레이크 드럼 및 타이어 휠을 고정하는 스터드볼트의 결합장치 | |
KR101244212B1 (ko) |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 | |
KR102715072B1 (ko) |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한 전선이탈방지형 안전구조 풀림방지 기능 쐐기형 인장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 공법 | |
KR20140027718A (ko) | 철도차량용 케이블 트레이 | |
KR101866413B1 (ko) | 스윙체크밸브 디스크 핀 분리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