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84B1 -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84B1
KR101524484B1 KR1020130130593A KR20130130593A KR101524484B1 KR 101524484 B1 KR101524484 B1 KR 101524484B1 KR 1020130130593 A KR1020130130593 A KR 1020130130593A KR 20130130593 A KR20130130593 A KR 20130130593A KR 101524484 B1 KR101524484 B1 KR 10152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tion effect
animation
electronic document
object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708A (ko
Inventor
이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13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해 단계를 지정하여 단계별로 출력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은,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하는 단계,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를 출력함에 있어서, 전자문서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단계별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명시적 관점을 제공하고, 출력한 문서를 활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함에 있다.

Description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EP PRINTING AN ELECTRONIC DOCUMENT APPLIED ANIMATION EFFECT}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해 단계를 지정하여 단계별로 출력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변화속도가 빨라지면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거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전자문서의 다양한 효과를 활용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과 강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데 그 중 가장 자주 사용하는 효과로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효과를 가진 전자문서라 하더라도 별도의 영상재생장치가 없는 한 타인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보편화된 형태는 문서 형태로 출력을 하는 것이다. 종래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포함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있지만, 문서 형태로 출력을 했을 경우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는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명시적으로 볼 수 있는 일관된 방법이나 장치는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를 출력함에 있어,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른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명시적 관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들 중에서, 정보전달에 필수적인 애니메이션 효과와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한 문서를 활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은,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하는 단계,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단계의 수를 설정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효과가 복수의 객체에 적용된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객체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단계의 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복수의 객체에 적용된 상이한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 효과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인식부,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검출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명시적 관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태들 중에서, 정보전달에 필수적인 애니메이션 효과와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한 문서를 활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알고리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2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2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전자문서 상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제2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 및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전자문서 상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제2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 및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문서란,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적인 형태 그대로 또는 인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자문서는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사의 오피스 (Office) 프로그램 군에 포함된 워드 (Word), 엑셀 (Excel), 파워 포인트 (PowerPoint) 나,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컴 오피스 또는 어도비 (Adobe) 사의 아크로뱃 (Acrobat) 과 같이 PC 를 기반으로 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뿐만 아니라, 최근 모바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smartphone) 또는 태블릿 (Tablet) 컴퓨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웨어 (Infraware) 사의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군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는 HTML, XML, SGML과 같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를 포함하며,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저장되는 정보라면, 각종 메모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메모, 동영상, 이미지도 전자문서로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애니메이션 효과란, ‘살아있는’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 ‘anima’에서 비롯한 단어인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효과를 뜻하는 말로 정보의 강조와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전자문서 상에서 일부 또는 모든 객체가 움직이도록 보이는 효과를 넣은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알고리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의 단계별 출력장치 (100) 는 인식부 (110), 검출부 (120), 제어부 (130), 생성부 (140) 및 전송부 (150) 를 포함한다.
인식부 (110) 는,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인식한다. 인식부 (110) 가 판단하는 애니메이션의 존재여부는 전자문서 전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로, 전자문서 상에 존재하는 특정 페이지나, 전자문서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 전자문서와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한다. 검출부 (120) 는 인식부 (110) 가 애니메이션 효과를 인식하면 해당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 (130) 는 검출부 (120) 가 수집한 애니메이션 효과의 정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단계를 수행하고, 생성부 (140) 는 단계가 부여된 디스플레이 상태들의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임시파일을 형성한다. 이때 생성부 (140) 가 형성하는 임시파일은 출력장치에서의 인쇄를 위한 것으로 출력장치가 인식이 가능하다면 파일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전송부 (150) 는 사용자의 출력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생성부 (140) 가 생성한 출력장치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식부 (110) 를 통해, 전자문서 상에 존재하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인식한다 (S100). 이때, 인식된 애니메이션 효과는 전자문서 전체에 적용되었거나, 전자문서의 일부의 특정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 일 수 있다.
애니메이션 효과가 인식되면 (S100), 검출부 (120) 는 전자문서 상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정보를 수집한다 (S200). 이때 수집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며, 이 데이터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한다.
검출부 (120) 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대해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작업이 제어부 (130) 에 의해 이루어진다 (S300). 레벨링 작업 (S300) 은 검출부 (120) 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직접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객체, 런닝타임, 단계의 수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전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는 애니메이션 효과만 선택하여 레벨링 작업 (S300) 을 수행 할 수 있고,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런닝타임 중 중요부분이 표시되는 구간을 선택하거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경우, 직접 단계를 부여할 단계의 수를 지정하여 정보전달의 효용성을 벗어난 단계 수만큼 레벨링 작업 (S300) 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벨링 단계를 2단계로 지정한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가상페이지로 이루어진 임시파일을 형성하고, 레벨링 단계를 3단계로 설정한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변화상태의 정가운데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까지 3개의 가상페이지로 이루어진 임시파일 형성하게 된다.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애니메이션의 런닝타임의 설정은, 예를 들어 12분의 런닝타임을 갖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대해, 런닝타임을 시작시점에서부터 6분시점으로, 레벨링 단계를 2단계로 설정한 경우, 시작시점 과 6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가상페이지로 이루어진 임시파일을 형성하고, 런닝타임을 시작시점에서부터 6분시점으로, 레벨링 단계를 3단계로 지정한 경우, 시작시점, 런닝타임 3분시점 및 6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가상페이지로 이루어진 임시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런닝타임 구간을 3분시점에서 5분시점으로, 레벨링 단계를 3단계로 지정한 경우, 런닝타임 3분시점, 4분시점 및 5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가상페이지로 이루어진 임시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레벨링 단계 설정으로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해 효율적이고 명시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레벨링 단계 (S300)의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9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생성부 (140) 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부 (130) 의 레벨링 작업 (S300) 의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가 부여된 디스플레이 상태들의 가상페이지를 포함한 임시파일을 형성한다 (S400). 이때 생성된 가상페이지는 사용자가 그 구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와 부합되지 않을 경우 다시 레벨링 작업 (S300) 을 수행 할 수 있다.
생성부 (140) 에서 형성된 임시파일은, 사용자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전송부 (S500) 에서 출력장치로 전송한다 (S500).
도 3a 내지 도 3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제 1객체 (300) 의 애니메이션 효과는, 제 1객체 (300) 가 나타내는 4가지 정보인 ‘1.서론’, ‘2.본론’, ‘3.결론’ 및 ‘4.요약’ 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4단계로 구분되어진 단계가 구분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가지고 있고, 도 3b의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시작해 도 3e의 디스플레이 상태로 종료한다. 제 1객체 (300) 는 기존 프린터에서 출력할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가 종료된 시점인 도 3e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출력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단계가 구분된 제 1객체 (3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도시하고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 (300) 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하고 있고,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설정을 하지 않거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설정 없이 레벨링 단계를 4단계로 지정한 경우에 해당하는 제 1객체 (300) 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가상페이지 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 및 도 4c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설정 없이 레벨링 단계를 2단계로 지정한 경우 형성된 제 1객체 (3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설정은 없었으므로, 4단계 (도 3b 내지 도 3e) 로 구분되는 제 1객체 (3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 중 1단계에 해당하는 도 4b 와 4단계에 해당하는 도 4c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가상페이지로 설정되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 및 도 5c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시작시점의 설정없이 종료시점을 제 1객체 (300) 의 3단계로, 레벨링 단계를 2단계로 지정한 경우 형성된 제 1객체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2단계로 지정 시 시작시점인 도 5b 와 종료시점인 도 5c가 가상페이지로 설정되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2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의 제 2객체 (600) 의 애니메이션 효과는, 분단위로 하나의 눈금을 이동하는 시계를 표현한 것으로, 12분의 런닝타임을 갖고,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도 6a와 일치한다.
도 6b 내지 도 6e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런닝타임의 지정없이, 레벨링 단계를 4단계로 지정한 경우 형성된 제 2객체 (6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작시점, 런닝타임 4분시점, 8분시점 및 12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가 가상페이지로 설정되었다.
도 7a 내지 도 7e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2객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 내지 도 7e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런닝타임을 6분으로, 레벨링 단계를 4단계로 지정한 경우 형성된 제 2객체 (6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작시점, 런닝타임 2분시점, 4분시점 및 6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가 가상페이지로 설정되었다.
도 8a 내지 도 8e는 전자문서 상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제2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 및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6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객체 (300) 는 단계가 구분되는 4단계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효과이고, 제 2객체 (600) 는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12분의 런닝타임을 갖는 애니메이션 효과이다.
도 8b 내지 도 8e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런닝타임의 지정없이, 레벨링 단계를 4단계로 지정한 경우 형성된 제 1객체 (300) 및 제 2객체 (6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 1객체 (300) 는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본래 가지고 있던 4단계로 형성되었고, 제 2객체 (600) 는 시작시점, 런닝타임 4분시점, 8분시점 및 12분시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상태가 가상페이지로 설정되었다.
도 9a 내지 도 9e는 전자문서 상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 1객체 및 제2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 1객체 및 제 2객체의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 내지 도 9e는 레벨링 단계 (S300) 에서 사용자가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객체를 제 1객체 (300) 만 선택한 경우 형성된 제 1객체 (300) 및 제 2객체 (600) 의 디스플레이 상태들로 구성된 가상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 1객체 (300) 는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본래 가지고 있던 4단계로 형성되었고, 제 2객체 (600) 는 레벨링 단계 (S300) 가 수행되지 않아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애니메이션 효과의 단계별 출력장치
110: 인식부
120: 검출부
130: 제어부
140: 생성부
150: 전송부
30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1객체
60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제2객체

Claims (9)

  1.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하는 단계;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단계의 수를 설정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효과가 복수의 객체에 적용된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객체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방법.
  5.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 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단계의 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된 애니메이션의 효과가, 단계가 구분되지 않는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효과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제5 항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효과가 복수의 객체에 적용된 경우,
    상기 레벨링 작업 시, 사용자가 레벨링 작업에 적용할 애니메이션 효과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전자문서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인식부;
    상기 전자문서의 하나 이상의 객체에 적용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객체수, 순서, 런닝타임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검출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에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링 정보를 수신하여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부여된 단계에 해당하는 가상의 페이지를 포함한, 출력을 위한 임시 파일을 형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임시파일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장치.

KR1020130130593A 2013-10-30 2013-10-3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52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593A KR101524484B1 (ko) 2013-10-30 2013-10-3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593A KR101524484B1 (ko) 2013-10-30 2013-10-3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08A KR20150049708A (ko) 2015-05-08
KR101524484B1 true KR101524484B1 (ko) 2015-06-01

Family

ID=5338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593A KR101524484B1 (ko) 2013-10-30 2013-10-30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3348B2 (ja) * 2016-05-25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仮想視点画像の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361A (ko) * 2000-06-07 2001-12-13 이데이 노부유끼 애니메이션 작품으로부터 일련의 정지 프레임 화상을전자적으로 작성하여 그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361A (ko) * 2000-06-07 2001-12-13 이데이 노부유끼 애니메이션 작품으로부터 일련의 정지 프레임 화상을전자적으로 작성하여 그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08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2867B2 (ja) 画像検証コードに基づいて画像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647305B (zh) 文档格式转换方法和装置
US80732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eature matching in automatic image stitching
CN110673847B (zh) 配置页面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0101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ouch-screen based application ported in a smart device
WO2016032080A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차트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61687B2 (ja) 数式出力コンピュータ、数式出力方法、数式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数式出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CN110990010B (zh) 一种软件界面代码的生成方法及装置
KR101524484B1 (ko)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전자문서의 단계별 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10191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prehension of code time complexity and flow
CN106951168B (zh) 一种文字处理方法及移动终端
JP544065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560159B1 (ko) 대체 전자문서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50087982A (ko) 쓰레드를 활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4038460A (zh) 语音指令的推荐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627726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9251666A (ja) 変更履歴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2574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829942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Sharaf et al. Using Rules to Animate Prolog Programs.
JP6015719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評価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評価方法
CN109395416B (zh) 智能积木模块互动实现方法、装置及系统
JP201404455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60249B1 (ko)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메모 페이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EP4361960A1 (en) Annotation device and annot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