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010B1 - 대차 에어댐 - Google Patents

대차 에어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010B1
KR101524010B1 KR1020130164178A KR20130164178A KR101524010B1 KR 101524010 B1 KR101524010 B1 KR 101524010B1 KR 1020130164178 A KR1020130164178 A KR 1020130164178A KR 20130164178 A KR20130164178 A KR 20130164178A KR 101524010 B1 KR101524010 B1 KR 10152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vehicle body
air dam
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대차 에어댐은 차체, 상기 차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차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를 레일 위로 주행시키는 대차부를 포함하는 고속열차에 사용된다.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를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앞면, 상기 앞면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체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앞면을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뒷면을 포함한다.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와 상기 차체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차체의 하부쪽으로 가이드한다. 따라서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이 감소된다.

Description

대차 에어댐{BOGIE AIR DAM}
본 발명은 대차 에어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대차 에어댐에 관한 것이다.
열차기술의 발달로 열차의 속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속열차가 개발되어 시속 300Km를 넘는 속도로 달리는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열차가 운행하는 고속운행하면서 저속운행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중 공기저항은 열차의 고속운행에서 발생되는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이다.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은 주행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예를 들어, 고속열차의 주행속도가 시속 300Km를 넘게되면, 주행저항의 약 90%를 공기저항이 차지하게 된다. 공기저항의 증가는 고속열차의 주행속도 감소의 원인이 되며, 에너지 효율도 저하시킨다.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을 줄이려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며, 열차의 형태를 유선형으로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열차의 형태는 내부에 배치된 동력부, 객실부, 등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열차의 형태를 변형시켜서 공기저항을 줄이는 시도에는 일정한 제약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대차 에어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은 차체, 상기 차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차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를 레일 위로 주행시키는 대차부를 포함하는 고속열차에 사용된다.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를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앞면, 상기 앞면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체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앞면을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뒷면을 포함한다.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와 상기 차체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차체의 하부쪽으로 가이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은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의 상부와 상기 차체 사이의 경계인 차체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에어댐의 높이는 상기 대차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에어댐의 높이는 상기 대차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은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차체들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들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체들 중에서 전면에 배열된 차체에 배치되고 앞면이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제1 대차 에어댐, 및 상기 차체들 중에서 배면에 배열된 차체에 배치되고 앞면이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대차 에어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접하는 대차부들 사이에 대차 에어댐이 형성되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를 차체의 하부로 유도한다.
또한, 대차 에어댐의 앞면이 경사져서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대차 에어댐의 하부쪽으로 유도된다.
더욱이, 대차 에어댐의 앞면이 차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한다.
또한, 공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부분에만 대차 에어댐을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고속열차의 무게가 감소된다.
따라서 대차부에서의 공기저항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 에어댐을 포함하는 고속열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대차부와 대차 에어댐 사이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대차 에어댐을 포함하지 않는 고속열차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b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5b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볼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열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 에어댐을 포함하는 고속열차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좌측방향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속열차는 레일(10) 상에 배치되고, 차체(20), 연결부(30), 대차부(40) 및 대차 에어댐(100)을 포함한다.
레일(10)은 지상에 설치되어 고속열차가 주행하는 통로가 된다.
차체(20)는 동력부(도시되지 않음), 객실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고속열차가 구동할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하고 승무원, 승객 등이 탑승한다. 차체(20)는 동력차, 동력객차 등을 포함한다.
연결부(30)는 차체(20)의 단부 즉, 앞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차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를 인접하는 동력객차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의 거리 및 연결부(30)의 길이가 작아서,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에서 공기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차부(40)는 차체(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동력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동력을 바퀴(50)로 전달한다. 따라서 대차부(40)를 통하여 차체(20)가 레일(10) 위를 주행한다.
대차 에어댐(100)은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부(40)는 차체(2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대차 에어댐(100)은 대차부(40)와 차체(2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대차 에어댐(100)은 앞면(B), 바닥면(C) 및 뒷면(E)을 포함한다.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은 대차부(40)를 마주보고 대차부(40)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은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에어댐각 만큼 경사진다.
대차 에어댐(100)의 바닥면(C)은 앞면(B)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대차부(40)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대차 에어댐(100)의 뒷면(E)은 바닥면(C)의 단부로부터 상부쪽으로 연장되며 앞면(B)을 마주본다. 뒷면(E)은 대차부(40)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대차 에어댐(100)은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를 차체(20)의 하부쪽으로 가이드한다.
도 3은 도 1의 대차부와 대차 에어댐 사이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좌측방향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대차부(40) 내에서 생성된 공기유동은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을 따라 하부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의 상부는 차체바닥(25)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하부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차체바닥(25)는 대차부(40)의 상부와 차체(20) 사이의 경계에 대응된다. 따라서 대차 에어댐(100)은 대차부(40)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은 차체(20)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인 에어댐각을 따라서 기울어진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좌측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는 평면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은 속이 빈 사다리꼴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의 내부에 합성수지, 목재 등의 충진재(도시되지 않음)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인접하는 대차부들(40) 사이에서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는 대차 에어댐(100)을 통과하면서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로 유도된다.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로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00) 쪽으로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대차 에어댐들(100)의 하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대차 에어댐들(100)의 하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의 높이가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도 있다.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00)에 의해 차체(20)의 하부로 유도된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의 하부를 통과하여 후면에 배치된 차체(20)의 하부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은 철,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00)이 합성수지, 목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는 대차 에어댐을 포함하지 않는 고속열차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좌측방향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는 대차부(40)의 후면쪽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로 퍼지게 된다. 특히 대차부(40)의 후면쪽으로 이동한 공기 중 일부는 차량하부(60)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하부(60)에는 대차부(40)를 고정시키거나, 연결부(30)에 연동되는 설비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하부(60)의 높이는 차체(20)의 하부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전면에 배치된 차체(20)의 차량하부(60)를 통과한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차에(20)의 차량하부(60)로 유도된다.
차량하부(60)의 높이는 차체(20)의 하부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차량하부(60)를 통과한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로 유입된다.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로 유입된 공기는 대차부(40) 내부에 배치된 구조물들 또는 대차부(40)와 차체(20) 사이의 연결부에 부딪힌다. 따라서 공기저항이 증가한다.
도 6은 도 4b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우측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4b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지난 공기는 두 개의 대차 에어댐(100)을 순차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차체(20)의 하부로 유도된다. 따라서 배면에 배치된 대차부(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서 공기저항이 감소된다.
도 7은 도 5b에 도시된 고속열차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우측방향이다.
도 5a, 5b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지난 공기의 일부는 차량하부(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차체(20)의 하부보다 높은 높이로 이동한다. 차체(20)의 하부보다 높은 높이로 이동하는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로 유입된다.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로 유입된 공기는 대차부(40) 내에서 공기저항을 증가시킨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대차 에어댐(100)의 상부는 차체바닥(25)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대차 에어댐(100)의 측면은 한쪽이 직각인 사다리꼴 형상을 가져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가 대차 에어댐(100)의 경사진 앞면을 따라서 하부쪽으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차체들(20)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들(1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져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대차부들(40) 사이에 대차 에어댐(100)이 형성되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를 차체(20)의 하부로 유도한다.
또한,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이 경사져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쪽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대차부(40)에서의 공기저항이 감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의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2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속열차는 레일(10) 상에 배치되고, 차체(20), 연결부(30), 대차부(40) 및 대차 에어댐(110)을 포함한다.
대차 에어댐(110)은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에 배치된다.
각 대차부(40) 내에서 생성된 공기유동은 대차 에어댐(110)의 앞면(B)을 따라 하부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10)의 상부는 차체바닥(25)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하부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대차 에어댐(110)은 대차부(40)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10)의 앞면(B)은 차체(20)의 수직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인접하는 대차부들(40) 사이에서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는 대차 에어댐(110)을 통과하면서 대차 에어댐(110)의 하부로 유도된다.
대차 에어댐(110)의 하부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를 통과한 공기는 차체(20)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로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10) 쪽으로 유동된다.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10)에 의해 차체(20)의 하부로 유도된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의 하부를 통과하여 후면에 배치된 차체(20)의 하부로 유도된다.
후면에 배치된 차체(20)의 대차 에어댐(110)의 앞면(B)이 차체(20)와 수직한 방향과 경사진 경우, 대차 에어댐(110)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후면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110)의 앞면(B)은 차체(20)와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져서 대차 에어댐(110)을 통과한 공기가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차 에어댐(110)의 앞면(B)이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은 좌측방향이다.
도 1,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속열차는 레일(10) 상에 배치되고, 차체(20), 연결부(30), 대차부(40) 및 대차 에어댐(100, 110)을 포함한다.
대차 에어댐(100, 110)은 인접하는 차체들(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대차 에어댐(100) 및 제2 대차 에어댐(110)을 포함한다.
제1 대차 에어댐(100)은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앞면이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다. 제1 대차 에어댐(100)은 고속열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면에 배치된다.
제2 대차 에어댐(110)은 측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앞면이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대차 에어댐(110)은 고속열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면에 배치된다.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40) 내에서 생성된 공기유동은 제1 대차 에어댐(100)의 앞면(B)을 따라 하부로 유도된다. 제1 대차 에어댐(100)의 하부로 유도된 공기는 연결부(30)를 지난 후에 제2 대차 에어댐(110)의 하부로 유도된다.
제2 대차 에어댐(110)의 하부로 유도된 공기는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40)의 하부를 통과하여 후면에 배치된 차체(20)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대차 에어댐(100)과 제2 대차 에어댐(110)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져서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이 감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대차 에어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대차 에어댐(120)은 차체바닥(25)과 이격되고 차체(20)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20)의 높이(E)는 대차부(40)의 높이보다 작다. 즉, 대차 에어댐(120)의 높이(E)는 차체바닥(25)과 차체(20)의 하부 사이의 거리(A)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20)의 앞면(B)은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차 에어댐(120)의 앞면(B)이 차체(2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속열차의 주행시 공기의 유동은 대차부(40)의 하부 또는 차체(20)의 하부에서 활발하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부분에만 대차 에어댐(120)을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고속열차의 무게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접하는 대차부들 사이에 대차 에어댐이 형성되어 전면에 배치된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를 차체의 하부로 유도한다.
또한, 대차 에어댐의 앞면이 경사져서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대차 에어댐의 하부쪽으로 유도된다.
더욱이, 대차 에어댐의 앞면이 차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면에 배치된 대차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한다.
또한, 공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부분에만 대차 에어댐을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고속열차의 무게가 감소된다.
따라서 대차부에서의 공기저항이 감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에어댐은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열차 하부에 배치된 복잡한 기기들을 덮는 보호덮개의 역할로도 응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레일 20 : 차체
25 : 차체바닥 30 : 연결부
40 : 대차부 50 : 바퀴
60 : 차량하부 100 : 대차 에어댐

Claims (8)

  1. 차체, 상기 차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차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를 레일 위로 주행시키는 대차부를 포함하는 고속열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를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앞면;
    상기 앞면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속열차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체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앞면을 마주보고 상기 대차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뒷면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부와 상기 차체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차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차체의 하부쪽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차체들 중에서 전면에 배열된 차체에 배치되고 앞면이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제1 대차 에어댐, 및 상기 차체들 중에서 배면에 배열된 차체에 배치되고 앞면이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대차 에어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은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에어댐은 상기 대차부의 상부와 상기 차체 사이의 경계인 차체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에어댐의 높이는 상기 대차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에어댐의 높이는 상기 대차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은 상기 차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7.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차체들에 배치된 대차 에어댐들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에어댐.
  8. 삭제
KR1020130164178A 2013-12-26 2013-12-26 대차 에어댐 KR10152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78A KR101524010B1 (ko) 2013-12-26 2013-12-26 대차 에어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78A KR101524010B1 (ko) 2013-12-26 2013-12-26 대차 에어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010B1 true KR101524010B1 (ko) 2015-05-29

Family

ID=5339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78A KR101524010B1 (ko) 2013-12-26 2013-12-26 대차 에어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5083A (ja) * 2017-03-28 2018-10-25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の車両下部の空力音低減構造
US20220130183A1 (en) * 2020-10-23 2022-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air dam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62A (ja) * 2004-03-17 2005-09-2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移動体の空力音低減構造
JP2007216913A (ja) * 2006-02-20 2007-08-30 Isuzu Motors Ltd 車両の空気抵抗低減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62A (ja) * 2004-03-17 2005-09-2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移動体の空力音低減構造
JP2007216913A (ja) * 2006-02-20 2007-08-30 Isuzu Motors Ltd 車両の空気抵抗低減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5083A (ja) * 2017-03-28 2018-10-25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の車両下部の空力音低減構造
US20220130183A1 (en) * 2020-10-23 2022-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air dam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11651629B2 (en) * 2020-10-23 2023-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air dam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866B2 (ja) 被牽引車両のサイドスカート
CN108162995B (zh) 一种空气导流装置及利用其减小空气压差阻力的方法
KR101524010B1 (ko) 대차 에어댐
CN105620505B (zh) 导向复合式专用吸能结构及其在列车上的应用
WO2018043010A1 (ja) 鉄道車両用台車、鉄道車両及び列車
JP6824683B2 (ja) 鉄道車両
CN109895802A (zh) 高速列车风挡风阻制动装置
CN103863350B (zh) 一种复合式吸能结构及车辆底架结构
JP2010116075A (ja) 併結編成車両
CN105346552B (zh) 一种重载机车转向架构架
CN213502290U (zh) 中低速磁浮车辆底架前端结构
JP2019123406A (ja) 鉄道車両
JP6734754B2 (ja) 鉄道車両
JP2011168158A (ja) 移動体の気流はく離抑制構造
EP3272615B1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 railroad vehicle
CN211281021U (zh) 端部缓冲梁及轨道车辆
KR101306273B1 (ko) 철도차량용 공기저항 저감장치
JP4749831B2 (ja) 鉄道車両の床下走行風の低減方法と装置
GB2561873A (en) Railway vehicle
JP5431201B2 (ja) 移動体の気流はく離抑制構造
CN109677432A (zh) 一种安全高速列车
JP5833217B1 (ja) 鉄道車両
CN204249981U (zh) 一种suv汽车前横梁的吸能结构
JP7332884B2 (ja) 台車及び鉄道車両
JP7033827B2 (ja) 移動体の先頭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