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167B1 - 거푸집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167B1
KR101523167B1 KR1020140005919A KR20140005919A KR101523167B1 KR 101523167 B1 KR101523167 B1 KR 101523167B1 KR 1020140005919 A KR1020140005919 A KR 1020140005919A KR 20140005919 A KR20140005919 A KR 20140005919A KR 101523167 B1 KR101523167 B1 KR 10152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asic
plate
brace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102014000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설치공법은 일직선 방향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기본앵글과 상기 기본앵글들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철물을 포함하는 것을 재료로 하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건물의 거푸집을 조립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앵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면 앵글과 앵글을 연결하는 부속철물과 그것을 결속해주는 볼트와 너트만으로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어서 기존 20여가지 이상의 자재로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보다 자재가 간소화되고, 거푸집의 무게를 50% 가량 줄임으로써 인건비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거푸집 설치 작업을 간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켜 인건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설치공법 {METHOD OF CONSTRUCTING FORM}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앵글들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거푸집을 제작하는 거푸집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철근콘크리트 공사 중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재는 거푸집의 기본이 되는 유로폼(101)과, 유로폼과 유로폼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102)과, 유로폼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플랫타이(Flat Tie)(103)와, 강관파이프를 고리에 걸어 유로폼의 평활도를 유지하기 위한 후크(104)와, 또다른 벌어짐 방지용 수단인 세파볼트(105)와, 슬라브나 벽체 보강재인 파워스틸(106)과, 슬라브 장선용 각파이프(107), 벽체 바깥쪽 유로폼 연결부재 아웃코너(108), 벽체 안쪽 유로폼 연결부재 인코너(109), 기둥 벌어짐 방지 부재 주밴드, 강관서포트 좌굴방지용 강관파이프(111), 강관파이프 연결재 연결핀(112), 강관파이프 직각방향 연결재 클램프(113), 벽체 수직보강재 옹벽지지대(114), 슬라브, 보 수직지지대 강관서포트(115) 등과 같은 철재 부재들과 합판(116), 산승각(117), 중각제(118), 투바이포(119) 등의 목재부재와 못, 반생(121) 등 약 20여가지의 자재들이 결합 및 연결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거푸집이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은 약 20여가지의 자재로 거푸집을 완성하다 보니 작업 능률 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거푸집 공사의 가장 큰 문제는 거푸집 공사의 기본 자재인 유로폼(101)에 있다.
유로폼(101) 중 제일 작은 것은 가로 15cm × 세로 90cm로 무게는 7.8kg이며, 제일 큰 것은 가로 60cm × 세로 180cm로 무게가 28kg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로폼(101)의 규격은 가로 60cm × 세로 120cm로 무게는 19kg이다. 현행 건축물 중 층고가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는 건물은 아마도 아파트일 것이다. 아파트의 층고는 290cm를 통상적으로 설계에 반영한다. 층고가 290cm이니 슬라브 두께 약 20cm를 제외하면 옹벽의 거푸집 설치 높이는 270cm이다. 기존 유로폼으로 조합하자면 세로 규격이 가장 낮은 것 90cm와 가장 높은 것 180cm를 두 장 조합하면 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데, 세로 180cm와 90cm의 조합은 높이와 무게 때문에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현장에서는 120cm + 120cm + 30cm를 조합하여 다년간 사용해 왔다. 60cm × 120cm의 무게도 19kg이다. 하지만 또 하나의 문제는 연결 부분이 한 곳에서 두 곳으로 늘어나면서 여러가지의 부속 자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유로폼의 특성상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나온 것이 알루미늄폼이다. 가로 60cm × 세로 240cm의 무게가 26kg으로 같은 면적의 유로폼 38kg의 약 68%의 중량이다. 연결 부분도 한 곳으로 체결이 끝난다.
자재비는 알루미늄폼이 100,000원/m2이며, 유로폼이 32,000원/m2로 약 3배 정도 알루미늄폼이 비싸다. 그런데도 아파트 현장에서 비싼 알루미늄폼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건비 절감이다. 거푸집의 중량과 같은 폭(60cm)을 시공할 경우 2장으로 시공하느냐, 3장으로 시공하느냐의 차이가 인건비에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에 자재비가 비싸더라도 알루미늄폼을 쓰는 것이다.
현재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비용 구성을 보면 철근과 레미콘을 제외하면 건축연면적 기준으로 평당 50~70만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설재비용은 약 평당 10만원선이며, 철근콘크리트공 평당 15만원선, 나머지 형틀목수가 평당 25~40만원이다.
가설재의 비중이 많게는 20%, 적게는 15%이며, 자재비 3배의 차이를 인건비에서 보충하고도 남는다. 이것이 알루미늄폼을 아파트 현장에서 사용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알루미늄폼의 단점은 알루미늄폼은 아파트와 같은 층고의 고층에서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나오기 때문에 층고가 일정하지 않은 일반 건축 현장에서는 아직까지도 유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약 20가지의 자재로 거푸집을 형성하는 종래 유로폼의 단점과 작업효율성은 좋으나 규격화되어 있어 고층 건물에만 쓰이는 알루미늄폼의 단점을 보완하여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앵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앵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공법은 일직선 방향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기본앵글과 상기 기본앵글들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철물을 포함하는 것을 재료로 하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건물의 거푸집을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본앵글은 "ㄱ"자를 이루도록 만나는 제1 판재와 제2 판재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철물은, 직각 모퉁이를 이루도록 만나는 두 개의 변을 포함하는 평판으로서 상기 직각 모퉁이를 이루도록 만나는 두 개의 변 각각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위에 일정 간격마다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코너 연결재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3 관통공이 형성된 하나의 기다란 판이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떨어진 부위가 직각으로 꺾여 있으며 직각으로 꺾인 부위와 양 말단 사이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는 직각 연결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는, 네 개의 상기 기본앵글들을 연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기본앵글의 제1 판재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2 판재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너 연결재의 직각 모퉁이가 상기 사각틀의 모퉁이 안쪽에 밀착되도록 네 개의 상기 코너 연결재가 상기 사각틀의 네 모퉁이 각각에 결합하며, 다수 개의 상기 기본앵글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각각이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1 판재는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1 판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2 판재는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2 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과 상기 사각틀을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 앵글은 상기 직각 연결재에 의해 결합하되 하나의 상기 직각 연결재 중 직각으로 꺾인 부위로부터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부위가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과 상기 사각틀을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 앵글 모두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부재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을 수직하게 세워서 연결하되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는 가장자리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상기 기본앵글에 의해 상호 결합시켜 모퉁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철물은 일직선 방향으로 뻗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4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 말단부의 모퉁이가 라운딩 처리된 평판 형태의 직선 외 연결재를 더 포함하고, 옹벽의 예각 또는 둔각 모퉁이에 설치될 사선 옹벽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위에서 볼 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세우고,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은 상기 직선 외 연결재에 의해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부재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을 수직하게 세운 것과 수평하게 눕힌 것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는 가장자리부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 상기 기본앵글에 의해 상호 결합시켜 모퉁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재료는 "ㄱ"자를 이루도록 만나는 제1 가새 판재와 제2 가새 판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새 판재와 상기 제2 가새 판재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5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새 판재의 양 끝단부가 상기 제2 가세 판재의 양 끝단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가새 판재 중 상기 제2 가새 판재의 끝단보다 더 돌출된 부위는 상기 제2 가새 판재와 만나는 상기 제2 가새 판재의 말단과 접하는 부위로부터 제1 가새 판재의 길이 방향과 45°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경사 가장자리를 가지도록 모따기된 형태를 가지는 가새용 앵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에 의해 구성된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수평부재용 거푸집 사이에 상기 가새용 앵글이 끼워지고 상기 가새용 앵글의 한 쌍의 상기 경사 가장자리 각각이 상기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상기 수평부재용 거푸집과 맞닿아서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수평부재용 거푸집을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관통공들 중 상기 기본앵글의 양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상기 제1 관통공들은 상기 기본앵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의 구멍이고, 나머지 상기 제1 관통공들은 원형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5 관통공들 중 상기 제1 가새 판재의 양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상기 제5 관통공들은 상기 가새용 앵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의 구멍이고, 나머지 상기 제4 관통공들은 원형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앵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면 앵글과 앵글을 연결하는 부속철물과 그것을 결속해주는 볼트와 너트만으로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어서 기존 20여가지 이상의 자재로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보다 자재가 간소화되고, 거푸집의 무게를 50% 가량 줄임으로써 인건비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거푸집 설치 작업을 간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켜 인건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유로폼의 해체작업은 유로폼의 중량 때문에 강제적으로 바닥에 자유낙하시킴으로써 엄청난 소음이 발생함으로써 민원이 다반사로 일어나며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선해체 후에 자재 정리를 함으로써 뒤엉킨 자재를 정리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경우 설치할 때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더러 해체시에도 해체와 동시에 자재 정리를 함으로써 해체와 자재 정리 비용이 기존 방법에 의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가설재는 엄청난 양의 목재 폐기물이 발생하여 환경 문제에도 영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자재는 목재의 사용이 최소화돼 목재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친환경적인 가설자재이다.
그리고 현재의 거푸집 공법으로는 골조공사가 완성되어야 외부 마감공사를 진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부와 내부 마감공사를 거푸집 공사와 동시에 설치하여 건축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마감공사에서도 거푸집 고정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하지철물을 설치하지 않고 건식공법으로 내부 마감을 할 수 있어서 공기와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설치된 거푸집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기본앵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가새용 앵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기본앵글 및 가새용 앵글을 나타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코너 연결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직각 연결재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직선 연결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직선 외 연결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거푸집의 단위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정면도 및 결합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기둥 거푸집의 분리 평단면도 및 결합 평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옹벽 인코너용 거푸집의 분리 평단면도 및 결합 평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옹벽 아웃코너용 거푸집의 분리 평단면도 및 결합 평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사선 옹벽용 거푸집의 분리 평단면도 및 결합 평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보용 거푸집의 분리 측단면도 및 결합 측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거푸집의 분리 평면도 및 결합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최종 거푸집의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거푸집의 해제 전 모습과 해체 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거푸집의 해제 전 모습과 해체 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기본 재료인 기본앵글 및 가새용 앵글을 나타낸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연결철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앵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공법은 앵글(100, 200)과 연결철물(310, 320, 330, 340),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거푸집틀을 현장 여건에 맞게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다.
도 2의 기본앵글(100)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본 타공이 적용된 앵글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 타공 방법은 8.5mm 원형 구멍을 중심 간격 50mm로 타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본앵글(100)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구멍은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으로서 타원형 구멍의 가장 긴 부분의 길이가 15mm이고 시공오차(±3.25mm)를 감안하여 타공한다.
기본앵글(100)은 각각의 길이가 50mm인 제1 판재(110)와 제2 판재(120)의 끝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서 "ㄱ"자 형태를 이루는 부재이다.
가새용앵글(200) 타공의 형태는 기본앵글(100)과 동일하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앵글 끝단부의 형상이 기본앵글(100)과 다른 것이 특징이다. 형상이 다른 이유는 앵글과 앵글을 수직, 수평으로만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45°로도 체결할 수 있게 제작함으로써 거푸집의 수직도를 유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벌어짐 방지에 사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4는 기본앵글(100) 및 가새용앵글(200)의 종류, 길이, 중량을 표시한 것이다. 기본앵글(100) 및 가새용앵글(2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총 7가지로, 시공오차(±3.25mm) 범위 안에서 볼트 체결이 가능한 부재는 이 7가지 앵글 뿐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앵글과 앵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철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철물은 코너 연결재(310), 직각 연결재(320), 직선 연결재(330), 옹벽 직각 외 연결재(340) 등이 있다. 코너 연결재(310)는 X, Y축이 만나는 모퉁이 부분에 사용되고, X, Y, Z축이 만나는 곳에서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코너 연결재(310)가 사용된다.
40mm 길이의 판과 140mm의 판이 수직으로 만나서 이루어지는 직각 연결재(320)는 모퉁이가 아닌 X, Y축이 만나는 곳에 사용되며, 직사각형 형태의 직선 연결재(330)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앵글들의 체결에 사용되어 앵글과 앵글을 연결하여 길이를 늘리기 위해 사용된다. 옹벽 직각 외 연결재(340)는 직선 연결재(330)의 양 말단부의 모퉁이 부분을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둥글게 처리한 것으로서 사선으로 설치할 때 사용된다. 코너 연결재(310)에는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변으로부터 20mm 떨어진 부위에 50mm 간격으로 원형의 제2 관통공(311)이 타공되고, 직각 연결재(320)는 제3 관통공(321)이 상대적으로 긴 판에는 50mm 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판에는 중심에 하나가 형성된다. 직선 연결재(330), 옹벽 직각 외 연결재(340)에는 50mm 간격으로 제4 관통공(341)이 네 개가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거푸집의 단위부재(10)를 제작하는 기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거푸집의 기본 치수인 60cm × 120cm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되는 부재는 1100mm 기본앵글(100) 2개, 600mm 기본앵글(100) 2개, 500mm 기본앵글(100) 3개와 코너 연결재(310) 4개, 직각 연결재(320) 6개로 이루어지며, 총 중량을 계산하면 1.15kg × 2개 + 0.62kg × 2개 + 0.51kg × 3개 + 0.36kg × 4개 + 0.18kg × 6개로 7.59kg이다.
여기에 합판 무게를 더하면 앵글 거푸집 총 중량이 산출되는데 합판 120cm × 240cm × 12t의 무게가 18kg이니, 60cm × 120cm의 무게는 4.5kg이다. 총 앵글 거푸집의 무게는 12.09kg이다.
이것은 유로폼의 63% 중량에 불과하고, 알루미늄폼의 68% 중량에 불과하다. 합판 대신 FRP판을 사용하면 무게는 50% 가량으로 줄어들며, 반복 사용 가능 횟수는 비교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의 단위부재(10)들을 이용하여 기둥 거푸집, 옹벽 거푸집 중 인코너 옹벽거푸집과 아웃코너 옹벽거푸집을 도 7a 내지 도 9b와 같이 제작할 수 있다.
즉, 기둥 거푸집을 제작할 때는 거푸집의 단위부재(10)들이 기둥의 전후좌우 사면을 둘러싸는 구조가 되도록 체결하고 옹벽 거푸집의 모퉁이 부분을 위한 거푸집은 위에서 볼 때 직각 형태를 이루도록 체결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본앵글(100)의 제1 판재(110)들은 모두 합판이 접합되는 면을 형성하고 제2 판재들은 모두 바깥쪽을 향하거나 모두 안쪽을 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옹벽거푸집 설치 시 직각이 아닌 사선으로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옹벽 직각 외 연결재(340)를 이용하여 사선 방향의 거푸집도 간편하게 긴결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경우 철선을 이용해 긴결하였다.
또한, 기존 유로폼을 사용하는 경우 보 거푸집의 도 2에서와 같이 유로폼(101)과 중각제(118), 멍에재인 산승각(117), 보 삼각버팀앵글(114) 등이 사용되지만, 보 삼각버팀앵글(114) 등이 사용되지만,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앵글과 연결철물만으로 보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와 도 13은 기둥 거푸집과 보 거푸집이 연결되어 완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둥과 보 사이에는 가새용앵글(200)이 45° 경사진 형태로 세워지도록 끼워지는데 이때 가새용앵글(200)의 45° 모따진 제1 가새 판재(210)의 양 끝단 경사 가장자리들 중 하나는 기둥 거푸집과 접하고 나머지 하나는 보 거푸집과 닿게 되며 제1 가새 판재(210)의 양 끝 타원형 제5 관통공(230)이 다른 거푸집의 앵글과 볼트, 너트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14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 거푸집 공법으로는 외장재 마감을 철근콘크리리트 공사가 마무리된 후에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앵글로 거푸집 설치를 하는 것과 동시에 내, 외부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어서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거푸집의 단위부재 100: 기본앵글
110: 제1 판재 120: 제2 판재
130: 제1 관통공 200: 가새용 앵글
210: 제1 가새 판재 220: 제2 가새 판재
230: 제5 관통공 310: 코너 연결재
311: 제2 관통공 320: 직각 연결재
321: 제3 관통공 330: 직선 연결재
340: 옹벽 직선 외 연결재

Claims (9)

  1. 일직선 방향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기본앵글과 상기 기본앵글들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철물을 포함하는 것을 재료로 하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건물의 거푸집을 조립하는 거푸집 설치공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앵글은 "ㄱ"자를 이루도록 만나는 제1 판재와 제2 판재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철물은,
    직각 모퉁이를 이루도록 만나는 두 개의 변을 포함하는 평판으로서 상기 직각 모퉁이를 이루도록 만나는 두 개의 변 각각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위에 일정 간격마다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코너 연결재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3 관통공이 형성된 하나의 기다란 판이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떨어진 부위가 직각으로 꺾여 있으며 직각으로 꺾인 부위와 양 말단 사이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는 직각 연결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는,
    네 개의 상기 기본앵글들을 연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기본앵글의 제1 판재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2 판재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너 연결재의 직각 모퉁이가 상기 사각틀의 모퉁이 안쪽에 밀착되도록 네 개의 상기 코너 연결재가 상기 사각틀의 네 모퉁이 각각에 결합하며, 다수 개의 상기 기본앵글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각각이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1 판재는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1 판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사각틀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2 판재는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의 제2 판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과 상기 사각틀을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 앵글은 상기 직각 연결재에 의해 결합하되 하나의 상기 직각 연결재 중 직각으로 꺾인 부위로부터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부위가 상기 사각틀을 이루는 상기 기본앵글과 상기 사각틀을 가로지르는 상기 기본 앵글 모두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연결철물은 일직선 방향으로 뻗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4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 말단부의 모퉁이가 라운딩 처리된 평판 형태의 직선 외 연결재를 더 포함하고,
    옹벽의 예각 또는 둔각 모퉁이에 설치될 사선 옹벽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위에서 볼 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세우고,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은 상기 직선 외 연결재에 의해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수직부재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을 수직하게 세워서 연결하되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는 가장자리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상기 기본앵글에 의해 상호 결합시켜 모퉁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수평부재용 거푸집은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을 수직하게 세운 것과 수평하게 눕힌 것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다른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는 가장자리부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 상기 기본앵글에 의해 상호 결합시켜 모퉁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재료는 "ㄱ"자를 이루도록 만나는 제1 가새 판재와 제2 가새 판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새 판재와 상기 제2 가새 판재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제5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새 판재의 양 끝단부가 상기 제2 가세 판재의 양 끝단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가새 판재 중 상기 제2 가새 판재의 끝단보다 더 돌출된 부위는 상기 제2 가새 판재와 만나는 상기 제2 가새 판재의 말단과 접하는 부위로부터 제1 가새 판재의 길이 방향과 45°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경사 가장자리를 가지도록 모따기된 형태를 가지는 가새용 앵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단위부재들에 의해 구성된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수평부재용 거푸집 사이에 상기 가새용 앵글이 끼워지고 상기 가새용 앵글의 한 쌍의 상기 경사 가장자리 각각이 상기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상기 수평부재용 거푸집과 맞닿아서 수직부재용 거푸집과 수평부재용 거푸집을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들 중 상기 기본앵글의 양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상기 제1 관통공들은 상기 기본앵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의 구멍이고, 나머지 상기 제1 관통공들은 원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관통공들 중 상기 제1 가새 판재의 양 끝에 형성된 두 개의 상기 제5 관통공들은 상기 가새용 앵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의 구멍이고, 나머지 상기 제5 관통공들은 원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공법.
KR1020140005919A 2014-01-17 2014-01-17 거푸집 설치공법 KR10152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19A KR101523167B1 (ko) 2014-01-17 2014-01-17 거푸집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19A KR101523167B1 (ko) 2014-01-17 2014-01-17 거푸집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167B1 true KR101523167B1 (ko) 2015-05-26

Family

ID=5339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19A KR101523167B1 (ko) 2014-01-17 2014-01-17 거푸집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1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88A (ja) * 1995-09-04 1997-03-18 Masaru Sugawar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型枠上部押え金物
KR200405571Y1 (ko) * 2005-10-28 2006-01-10 태흥기계산업(주) 유로폼 밀림방지용 코너 앵글
KR200448085Y1 (ko) * 2009-04-01 2010-03-1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88A (ja) * 1995-09-04 1997-03-18 Masaru Sugawar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型枠上部押え金物
KR200405571Y1 (ko) * 2005-10-28 2006-01-10 태흥기계산업(주) 유로폼 밀림방지용 코너 앵글
KR200448085Y1 (ko) * 2009-04-01 2010-03-1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JP2015506428A (ja) モジュラ間柱ブレース
KR101300969B1 (ko)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CN110359701B (zh) 一种外墙模板
US9458626B2 (en) Laser configured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JP6473236B2 (ja) 建築用デッキパネル
KR101203298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KR101523167B1 (ko) 거푸집 설치공법
WO2010098254A1 (ja) 建物の単位構造部材と該単位構造部材を用いた床構造
US11708679B2 (en) CLT structure
US20190177975A1 (en) Structural element
KR100947410B1 (ko) 콘크리트 벽을 축조하기 위한 가변 길이형 타이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101133016B1 (ko) 거푸집 연결용 파워 클램프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200247691Y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102588569B1 (ko)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KR101165587B1 (ko) 토목 건축용 다용도 패널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JP5190904B1 (ja) 木造家屋の耐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